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春亭 卞季良의 정치사상과 정치적 활동

        박병련(Park Byung-Ry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8 No.1

        춘정 변계량(春亨 卞季良)은 초선 초기의 대표적인 학자관료이다. 그는 여말선초의 소용돌이 정국에서 당시대의 일반인이 경험할 수 없었던 정치사회적 사건들을 경험했다. 당시의 주류학문을 계승했을 뿐 아니라, 조선의 정치와 행정을 방향 잡던 최고위급 인물들과 교유하면서 생각을 교환했다. 그의 정치에 관한 생각은 조선 초기 최고 정치가와 지식인들의 정치에 관한 사유방식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게 한다. 불교와 도교에 관한 포용적 사고와 유교적 문치(文治)를 위한 제도적 정비, 그리고 정도전(鄭道傳)과 달리 왕권강화를 통한 정치적 안정을 기하고자 하는 그의 생각은 태종시대의 정치와 사회를 이해하는 훌륭한 창의 역할을 한다. 그는 유교적 이상과 조선의 현실을 조화시키고자 했을 뿐 아니라, 유학은 물론 불교, 도교와 기타 일상과 관련한 다양한 지식에 열려 있었다. 그의 독서범위는 당대 최고수준 이었고 이것은 조선 초기의 지식인들이 어떤 책을 읽으면서 자신들의 생각을 성숙시켜나갔는가를 알 수 있게 한다. 그를 통하여 우리는 조선 후기 주자학 중심의 정치사상과 구별되는 조선 초기 정치사상의 독특한 지형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그의 정치사상은 조선조 유교정치가 어떤 경로를 거쳐 극단적으로 주자학화 된 정치적 사유로 귀결되어 갔는지를 살펴보는 출발점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Byon Gye-ryang is a noted scholar-official in the early Chosun era. His early life was marked by tumultuous social and political events as a result of turbulent politics during the Koryeo-Chosun dynastic transition. Byon therefore not only concerned himself with mainstream scholarship (Neoconfucianism), but also visited and exchanged ideas with persons in the highest ranks of the officialdom responsible for policy and administration. Byon's ideas thus offer us a glimpse into the political views of all scholars and intellectuals of note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Chosun Dynasty. Byon's tolerance towards Buddhism and Taoism, thoughts open reorganization of various institutions for Confucian rule, and ideas about achieving political stability to enhance royal authority is a window through which all of us can understand the politics and society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3rd King of Chosun). Byon was keen on reconciliation between Confucian ideals and prevailing social realities in Chosun, and he was open to learning not only from Confucian canons, but also Buddhism, Taoism, and other types of texts. The diversity and range of his erudition can only be described as encyclopedic, a testament to the types of works studied by early Chosun intellectuals as they brought their ideas to full maturity. It is a also a reflection of early Chosun's unique political philosophy scene and it's marked contrast compared to the Neoconfucian orthodoxy in the later part of the dynasty. Byon's political idea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mark a starting point, of the evolution of Chosun's Confucian politics from diverse and open political thinking to rigid and extreme Neoconfucian orthodoxy.

      • ‘사라진 계보’의 복원을 통해 본 지방사림세력의 변화 -인조반정 후 밀양지역 점필재(佔畢齋)-송계(松溪)-내암(來庵) 학맥의 부침(浮沈)을 중심으로-

        박병련 ( Park Byung Ryun ) 한국계보연구회 2019 한국계보연구 Vol.9 No.-

        본고는 점필재 김종직의 고향인 밀양지역에서 점필재 김종직-오졸재 박한주(朴漢柱)-송계 신계성으로 대표되는 점필재 학맥의 쇠락 원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점필재 이후, 조선전기에는 한훤, 일두, 오졸재, 탁영(濯纓)에서 남명(南冥), 송계(松溪)로 이어지는 조선 도학의 거장(巨匠)들이 나타나 밀양, 창녕, 현풍, 청도, 함양, 진주, 합천, 산청 등으로 이어지는 학문벨트를 형성하고 영남유학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조반정과 더불어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이 정치적으로 패퇴하자, 영남유학의 헤게모니가 밀양・산청권에서 예안・안동권으로 옮겨가게 되면서, 점필재 학맥의 강력한 기반이었던 밀양권 유림의 쇠락을 불러오게 되었다. 더구나 ‘주자학=정학(正學)’이라는 도학(道學)에 관한 관점이 좁아지면서, 점필재가 창도한 조선적 도학(道學)은 정통성을 위협받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인조반정과 ‘역반정’ 사건으로 몰락하거나 사라진 가문들은 대부분이 과거를 통해 중앙에 진출했던 가문이거나, 부(富)와 명성(名聲)을 갖추었던 가문으로 보이는데, ‘정변’으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밀양의 많은 선비들은 남명(南冥), 송계(松溪), 박재(璞齋), 내암(來庵), 동계(桐溪)정온(鄭蘊) 등으로 이어지는 학문벨트를 버리고, 한강(寒岡) 정구(鄭逑)를 매개로 퇴계학파로 연원을 전환했으며, 그 과정에는 취원당(聚遠堂) 조광익(曺光益)의 창녕조씨 가문과 오한 손기양의 밀성손씨 가문이 매개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고, 국담 박수춘이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대 상황은 송계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 발전시킬 후속세대를 사라지게 했고, 이것은 동시에 조선후기 내내 점필재의 학문과 사상을 제대로 계승하고 천양(闡揚)할 수 있는 세력의 쇠락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paper considered the cause of the decline in the academic circle of Gim Jong-jik, Park Han-ju and Sin Gye-seong in Miryang, the hometown of Gim Jong-jik. In the early Joseon period, after Gim Jong-jik. masters of Learning of Dao in Joseon, such as Gim Goeng-pil, Jeong Yeo-chang, Bak Han-ju and Gim Il-son to Jo Sik and Sin Gye-seong appeared, forming an academic belt that led to Miryang, Changnyeong, Hyeonpung, Cheongdo, Hamyang, Jinju, Hapcheon and Sancheong, dominated the Hegemoni of Yeongnam Confucian School. However, when Jeong In-hong was defeated politically along with Injo Restoration, Hegemoni of Yeongnam Confucian School moved from Miryang and Sancheong to Yean and Andong, which brought the decline of the Confucian scholarship in Miryang region, which was a strong foundation of the school ties of Gim Jong-jik. Moreover, as the view of Learning of Master Zhu considered as correct learning has narrowed, the legitimacy of the Joseon Learning of Dao was threatened which was founded by Gim Jong-jik. In particular, families that have collapsed or disappeared due to Injo Restoration and "reverse" incidents are believed to have advanced to the center through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or have had wealth and fame, which have been seriously hurt by ‘coup’. As a result, many scholars of Miryang abandoned the academic belt that led to Jo Sik, Sin Gye Sung, Gim Yu, Jeong In-hong, and Jeong On, and switched to Toegye School under the medium of Jeong Gu. The Changnyeong-Jo family of Jo Gwang-ik and Son's Milseong-Son family of Son Gi-yang are believed to have played medial roles in the process, and Park Su-chun is believed to have led. This period situation has led to the disappearance of a follow-up generation that will succeed and develop the academic and thought of the Sin Gye-seong. At the same time, this signifies the decline of the power that can properly inherit Gim Jong-jik's studies and ideas throughout the late Joseon Dynasty.

      • 기획논문 : 인조반정(仁祖反正)과 남명학파(南冥學派) ; “인조반정(仁祖反正)”과 남명학파의 재인식

        박병련 ( Byung Ryun Park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조선조 정치사에서 ‘인조반정’은 매우 복합적인 함축성을 가진 정치적 사건이다. ‘인조반정’은 지금도 논쟁이 일어날 수 있는 역사상의 핫이슈다. 따라서 복합적 해석이 가능한 ‘인조반정’을 여러 측면에서 분석해 보는 것은 조선 정치사의 전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핵심적 과업일 것이다. ‘인조반정’은 두 가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치적 사건이었다. 첫째 조선 후기 정치엘리트 지형을 왜곡시켜 특정지역 특정집단이 정치를 전담하는 구조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들 수 있고, 둘째로는 국가의 공적 성격을 당연시하던 ‘충’ 중심의 사상사적 흐름을 가족질서를 우선하는 ‘효’중심의 사적 성격 중심으로 전환시켰다는 점이다. ‘인목대비 폐모’문제는 조선 개국이래로 사상적 흐름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종묘사직(=국가)을 위하여’ ‘살제’를 감행했고 ‘택현’의 논리를 앞세워 장자인 양녕대군을 폐세자하고 충녕대군을 후계자로 내세웠다. 세조 역시 ‘종묘사직을 위하여’ 김종서 등을 척살하고 조카인 단종을 폐위시켰다. 모두 국가와 종묘사직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멸친’한 것이었다. 이 시기에는 제왕은 가족을 초월한 ‘만백성의 어버이’이기에 부모와 형제를 초월한다는 관념이 어느 정도 통용되었다. 그런데 군주권 강화의 입장에 서서 폐모론을 주장했던 사람들을 오늘 날에까지 ‘강상죄인’으로 볼 수 있을까? 적어도 정치사상의 입장에서는 철저한 재검토가 필요한 부분으로 보인다. 이렇게 보면, 광해군과 함께 ‘강상죄인’으로 몰린 북인계 사상가들이나 언관들을 단순히 권력투쟁에서 패한 ‘폐륜아’들로 낙인하는 것은 조선 정치사상사의 흐름을 제대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시론적으로 제시하면서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논의가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어 나갔으면 하는 바램을 갖고 있다. ``King Injo restoration`` is the historic event which has very complex implications in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King Injo restoration`` is a controversial hot issue even now in history. Therefore, it is the key task that analyzing ``King Injo restoration`` in a number of respects is for understanding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King Injo restoration`` is a very important historic occasion on two counts. First, the political structure was changed in that a particular group from a specific region was fully in charge of politics by distorting the configuration of political elite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Second, the ideological flow focused on loyalty(Chung) taking a national public feature for granted was converted into the private feature focused on filial duty(Hyo) which put a family order first. ``Mother deposal of Queen In-mok`` is the case that indicates how the ideological flow had changed from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King Taejong killed brothers for Chongmyo Sajik(=nation) and disposed the Prince Yangyeong and erected Chungryeong as a heir on the ground of appointing a wise figure. King Sejo also stabbed Jong-seo Kim into death and dethroned his nephew Danjong for ``Chongmyo Sajik``. They annihilated relatives in the name of nation and Chongmyo Sajik. In that times, the king was regarded as ``the parent of all the people, so he was generally beyond common parents and brothers. By the way, could those who were on side of consolidating monarchy and insisted disposal of mother were considered as ``sinner of morality``? At least, thorough reconsideration is necessary in light of politics. In brief, stigmatizing Kwanghaegun as well as northernist thinkers and remonstrance officers driven into ``sinner of morality`` as ``immoral people`` defeated in the power struggle is not right understanding the flow of political idea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expects more discussion on this to progress actively, suggesting problem consciousness in the current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