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대학수학능력시험 도입후의 고교교육 변화에 관한 연구

        박병량,변영계,한대동,성병창 교육연구소 1994 敎育硏究 Vol.4 No.1

        Under the current school system in which secondary schools aim at the preparation for college entrance,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has a crucial impact on high school education. The forme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has been accused of causing many problems in high school education such as training students, in a recital mode, by giving fragmentary knowledges and skills picked up by teachers largely for the college entrance emanination. Under the examination system students were not recommended either in school or at home to pursue their own interests and concerns which are supposed to enhance higher order thinking including creativity. In order to reform this change-resisting high school education a new typ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called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SAT, hereafter) replaced the former one in 1990 in the worldwide tide of educational reform toward the quality educa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d/or to what extent the newly introduced CSAT has brougght changes to high school education. This study began with two concrete research problems. First, to what degree did the CS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attitudes toward school, classroom learning and instruction, and study habits? This refers to personal effects separated from school education. Second, to what extent did the CSAT make changes in high school education? This refers to institutional effects. As a survey, this study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from 1,600 male and female high school third graders from 33 high schools locatedin Pusan City and its surrounding KyungNam-Do province. The CSAT was firstly introduced in 1990 when the survey respondents were then high school freshmen. The sample method is a systematic cluster random sample. After schools had been randomly selected about 60 students(2 classes) were sampled from each schoo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sking largely whether any changes were made in the areas such as individual student's studying strategies and their perceptions of schooling. The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ncrete research problems using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students' responses they evaluated that CSAT was somewhat successful in measuring higher order thinking and somewhat conducive to lessening social problems cuased by excessively competitive high-cost private lessons. The new exam, however, unexpectedly did not have affirmative effects on such areas as: undesirable operation of high school; measurement of learning ability; selection of college qualifiers; and test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Second, the effects of CSAT on school-based tests were found to be both slightly positive and negative. For the positive side of the effects, the test content was not confined to textbooks but taken either from other non-text sources or from what was taught in classrooms beside textbooks; in solving the test questions not only correct answers were not required but also the problem-solving processess were also emphasized in schools. In following areas, however, there were almost no changes made: the dominance of multiple-choice test items; anxiety of testers; the utilization of test results for own learning improvement; and the frequent school testing. Third, since the introduction of CSAT there have been almost no improvements in school organizational practices, management, and climates such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mmunications with teachers, guidance and discipline, teachers' expectations of students, grouping of students according to ability and talent, and friendship among classmates. One exception was that classroom climate has become somewhat open and democratic than before. Fourth, with regard to classroom activities some improvements have been detected. The classroom instruction has been somewhat changed into one emphasizing higher order thinking. It was revealed through teachers' efforts to employ new teaching methods and to carry out curriculum in a regular basis, to try to upgrade expectations of students, and to make classroom learning more explorative. On the other hand, in other areas of classroom activities it was hard to find any noticeable improvements. Finally, it was the area of individual student's studying methods and attitudes that the most noticeable changes were found since the introduction of CSAT. To mention some of them, the dependency on private lessons and private academic institutes was much lessened; the learning materials were varied beside school textbooks; the students' autonomy has been increased in the area of learning need and motivations, studying strategy from memorizing to understanding, and selecting educational or occupational careers based on one's own character and talent.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CSAT seems to give student more confidence in studying and learning. Compared to these changes in individual-based studying attitudes, perceptions and learning methods connected to schooling did not change noticeably. This contrasting finding is in a sense a main point of this study. All in all, and in short, the introduction of the new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SAT) were somewhat effective in changing individual students' studying or learning attitudes, methods, and strategies in preparation for college entrance, but it was found to be unexpectedly ineffective in improving institutionally school organizational practices, instructional methods, guidance and disciplines, curricular implementation, and other school management and operations. This result reminds us a fact that and educational policy could not be easily rooted in the practical soil.

      • KCI등재

        敎育自治制의 原理와 構成

        朴炳樑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86 교사교육연구 Vol.13 No.-

        This study reviewed the principles of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nd presented the recommend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Korea. The principles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es the principle of decentralization, the principle of local participation and control, the principle of educational autonomy, and the principle of professional management. Viewed from these principles,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Korea is continually confronted with organizational problems, that is, the system has not been a well-defined organization in respect to the principles. In order to realize the principles of educational autonomy system,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reorganizing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Korea: 1. As to the size of an educational autonomy unit, it is desirable that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Korea takes the Two-tier system which consists of Special City and Province as an intermediary unit and city and county as a basic unit. 2. As to the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t is desirable to take the seperate organization pattern which consists of Board of Education as a legislative organ and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s an excutive organ. 3. For choosing members of the Board of Education, the board member should be composed by a proper election system. It is recommended that, at the intermediary unit (Special City and Province), the board members consist of members elected by local assembly, representative members appointed by basic unit's Board of Education, and the chief of local government. At basic unit (City and County), the board members consist of members elected by local assembly and the chief of local governmment. 4. Superintendent of education should be appointed by Board of Education at each local level. And the qualification of Superintendent should be strengthened.

      • 학교 훈육문제에 대한 관련 요인 고찰

        박병량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00 敎育硏究 Vol.10 No.1

        오늘날 학교의 훈육문제는 심각한 교육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훈육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훈육문제의 발생 원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훈육문제의 원인은 두 가지 접근방식으로 이해된다. 하나는 문제행동의 인과관계를 추론하여 설명하는 이론적 접근이며, 다른 하나는 문제행동과 관련되는 또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전자는 이론적 모형(행동주의, 인본주의, 체제이론 등)으로 제시되고, 후자는 행동과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주로 상관관계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다. 이 두 가지 접근방식은 모두 훈육문제를 이해하고 그리고 대처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하다.

      • 학교조직의 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박병량,주철안,성병창 釜山大學校 敎育硏究所 1995 敎育硏究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structuring options for the schools in Korea. The study draws basic directions for the school restructuring by reviewing the literature which cover school restructuring works. It also analyzes structural and managerial problems of Korea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Finally, it suggests restrcturing op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educational reforms from the middle of the 1980s focus on the change of school organization. The main approaches of the reforms have been strengthening of central bureaucratic control, strengthening of community participation, school-site management, teacher empowerment, and restructuring centered on teaching-learning. Recent reform literature tend to emphasize the four approaches except strengthening of central bureaucatic control. 2) In general the recent literature on school restructuring, on school organization, and on educational reform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seemed to recommend the following: the basic directions of school restructuring should be toward client-centered education, self-managing school management,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professional school management, teaching & learning centered school management, school management relevant for the future in which information technology is important. 3) Schools in general consist of three structural parts: a teaching & learning organization, academic affairs management, and student management organization. The analysis of ou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organization shows that schools are management affairs oriented rather than teaching & learning oriented. Therefore, the organizations should be restructured to have more flexible and organic teaching-learning organization. Academic affair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rganization should be restructured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more effectively. In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our shcool organization be restructured to upgrad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 learning, to raise the autonomy & professionalism of school management, and to respond to the educational needs of clients.

      • KCI등재

        대학진학의 관련요인 분석

        박병량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1984 교사교육연구 Vol.8 No.-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대학진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며 이들 상호간에는 어떠한 영향력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밝혀 보려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다음 세가지 연구문제의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첫째, 대학진학여부와 관련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진학여부와 주요 관련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세째, 대학진학여부와 관련되는 주요 변인들은 어떠한 관계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이 연구의 의의는 우리 사회에서 고등교육의 기회획득의 성격을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교육기회균등의 이상을 실현하는데 정책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접근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대학진학과 관련되는 변인을 1) 개인배경변인, 2) 가정생활 환경변인, 3)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변인, 4) 교육과 직업에 대한 포부·기대변인, 5) 출신학교 배경변인, 6) 개인능력변인으로 분류하여 묶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대학에 진학하고 있는 대학생집단과 대학생집단의 연령층에 해당되는 고교졸업의 취업 혹은 미취업상태의 대학비진학집단이다. 표집은 전국표집을 원칙으로 하여 대학생표집은 4개 도시 6개 대학에서 성, 학년, 계열이 고려된 체계적 무선표집을 하였고 대학비진학집단의 표집은 같은 도시에서 성, 연령, 학력, 취업상태가 고려된 체계적 무선표집을 하였다. 표집된 대상에 대하여는 설문지가 실시되었으며, 회수된 자료는 SPSS 유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전산통계처리 되었다. 이와 같이 조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각 개별변인 분석 1) 개인배경 변인에서는 주성장지가 대학진학여부의 관련변인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비율이 비슷한 서울을 제외하면 대학진학집단의 주성장지는 대부분 중소도시이며 비진학집단의 주성장지는 읍면 이하의 시골이다. 이는 주성장지가 지리·문화적 요소로서 대학진학여부에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가정생활환경 영역에서는 부의 생존여부, 형제자매수, 부모의 학습에 대한 관심도가 대학진학의 관련변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 가족수, 본인, 출생순위, 모의 생존여부, 가족종교, 부모의 별거 혹은 이혼여부, 가정화목도, 주거형태 등은 비관련변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부의 생존여부와 형제자매수는 가정의 경제적 사정과 관련된 요소로, 부모의 학습에 대한 관심은 교육에 대한 심리적 요소로 대학 진학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하겠다. 가정의 교육적 분위기가 부모의 별거 혹은 이혼여부나 가정화목도와 같은 가정의 결손요인보다 학교진학에 더욱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하나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3) 가정의 사회·경제적 변인에서는 부모의 직업, 부모의 교육, 수입, 문화도구 구비수준, 그리고 복합요인인 경제력등이 대학전학의 관련변인으로 되어 있고 또한 이들 변인들은 대학진학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결과는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학교진학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많은 선행연주들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4) 교육과 직업기대 및 포부 영역에 거는 부모의 교육기대, 본인의 교육포부, 부모의 직업기대, 본인의 직업포부 등 모든 변인들이 대학진학여부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관련변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학진학집단에서는 모의 교육기대가 부의 교육기대보다 약간 앞서고 있으며 비진학집단에서는 부의 교육기대가 모의 교육기대보다 약간 앞서고 있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라 하겠다.또한 부모의 교육기대 수준 결정에는 직업적, 경제적, 이유가, 본인의 교육포부 수준 결정에는 적성과 능력이 고려되고 있다. 부모의 교육기대와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이 사회·경제적 요인과 더불어 대학진학의 중요한 관련 변인군을 이루고 있어 대학진학집단의 부모나 본인의 교육기대수준이 비진학집단보다 높지만, 그러나 비진학집단의 부모의 약 40% 이상이 자녀가 대학이상의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지만 주로 경제적 이유로 자녀가 그 기대에 부응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사실이다. 5) 출신학교배경 영역에서는 학교계열과 대학 진학률이 높은 상관을 가지면서 대학진학의 관련변인이 되고 있다. 이는 학교성적, 교육과정운영, 졸업후 진로포부 등 학교교육내용이 대학진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6) 개인능력 영역에서는 고교성적, 지능, 그리고 복합변인인 능력(학습)이 대학진학과 관련변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에서 능력변인은 높은 상관을 지니면서 대학진학에 영향을 주고있다. 즉, 대학진학집단이 능력면에서 전반적으로 비진학집단보다 높다. 그러나 주관적 판정에 의하여 측정된 고교성적이지만 비진학자의 약 60%가 고교성적에서 중상위권에 속하고 있다는 것은 대학진학에 능력외의 변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영역별 개별변인들의 분석 결과는 대학 진학여부에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 사회·심리적 변인 학교변인, 능력변인 및 지리·문화적 변인들이 대학진학여부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말하여 준다. 주요 관련변인의 상대적 영향력 분석 주요 관련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관련변인이 대학진학여부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들의 상대적 비중을 분석한 결과는 대학진학에 부모의 교육기대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그 다음으로 출신학교의 질, 본인교육포부, 본인능력, 주성장지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사회·심리적 압력, 출신학교성격, 본인의 심리적 동기요인, 능력, 지리·문화적 요인들이 대학진학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한편 가정의 경제력, 교육적 분위기, 부의 교육 및 직업, 직업에 대한 기대와 포부, 고교성적 같은 변인들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포함되거나 또는 이들에 영향을 미쳐 간접적으로 대학진학에 영향을 비치고 있다고 하겠다. 성별분석은 남자는 여자보다 능력변인에 더 많은 영향력을 받고 있고, 여자는 출신학교의 질과 주성장지가 능력변인 보다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2) 주요변인의 영향관계를 보면 대학진학에 대하여 부모의 교육기대, 본인의 교육포부, 출신고교의 질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있고 이들 변인들은 사회·경제적 지위변인과 능력변인의 영향을 받아 이들 변인을 매개하여 대학진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위변인은 능력변인보다 직접적인 변인인 부모의 교육기대와 출신고교의 선택에 더많은 영향력을 미치면서 대학진학에 더 큰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미치고 있다. 3) 중개매개변인을 통제하고 SES와 능력의 두 변인이 대학진학여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두변인은 비슷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는 남자는 SES 보다 능력에 여자는 능력보다 SES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