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송당사자 표시정정의 법리에 관한 검토

        박병대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성균관법학 Vol.29 No.4

        Courts have acknowledged the correction or rectification of the names of the lawsuit parties in many cases. Those cases can be categorized in three types. The first is the type of error correction, the second is the type of supplementation of the lack of requisite for proceedings like the qualification for a party, and the last is the type of party substitution. The party who is already dead before the filing of a suit can be substituted to his or her heir and heiress. Theoretically, it can be comprehended as the modification rather than the substitution of the parties. Such understanding would be good for the cost economy and efficiency of the process. But when the dead is plaintiff, the party rectification is principally not allowed because the action is unsuitable for a lawsuit. But it is exceptional on occasion of the action followed by the relevant contentious cases. This exception can be interpreted with the fair and equitable principle provided by the Code of Civil Procedure. The theory of the party rectification has an underlying assumption of the existence of the de facto party or the real party in interest behind the party indicated in the written complaint. But regretfully, there is a limit to making a clear explanation on the party recognition by any of the existing relevant theories. It can be understood as the court’s guardianship to ensur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access to courts. But because the court’s guardianship should not go beyond the basic limits of the adversary system, the party rectification should be restricted to the backup of deficiencies in the requisite for proceedings. Therefore the alteration of parties may not be allowed under the name of the party rectification. Nonetheless, on the basis of the party rectification, the Supreme Court has allowed the alteration of the parties who is the heirs of prior ranking to the subordinated heirs. But the validity of the precedent's grounds should be scrutinized and reconsidered. And there are some precedents which the trial court's judgement is void if it is rendered without the party rectification in the dead party case. But those precedents seem not to have sufficient logical grounds. In view of the protection of right, cost efficiency and the stability of proceedings, the petition for party rectification does not have to be always rejected only for the reason that it is filed in the process of the appellate court trial. Considering the main axis in the theory of the party rectification is the type of supplementation of the lack of requisite for proceedings,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cognize the logic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target and zone limits are not deviated from the category. 당사자표시정정은 법원의 소송실무를 통하여 광범위하게 인정되어 이제는 판례법으로 확립되었다고 평가될 정도에 이르렀다. 이 논문에서는 종래 판례에서 인정된 당사자표시정정의 사례를 유형화하여, ① 명칭 변경이나 오기 정정의 범주에 속하는 오기수정형 표시정정, ② 당사자능력이나 당사자적격의 흠결을 보완하는 소송요건형 표시정정, ③ 당사자 동일성의 한계를 넘는 당사자변경형 표시정정으로 구분하였다. 어느 유형의 표시정정인가에 따라 허용 여부와 한계 및 요건을 달리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세부적인 쟁점 중, 소 제기 이전에 이미 사망한 자를 상속인으로 정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표시정정설과 피고경정설이 있지만, 판례가 오랜 동안 견지해온 표시정정설로 규율하더라도 법리적으로 무리가 없고 소송경제 등 당사자의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본다. 사망자가 원고이거나 제소 당시에 당사자가 사망한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경우라도 당사자표시정정을 일괄 부정할 것은 아니고, 개별 사건의 사정에 따라 민사소송법상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한 견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당사자표시정정은 소장 등에 기재된 당사자표시의 흠결에도 불구하고 그 표시가 표상하는 실질적 당사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관념적으로 전제하고 있다. 그 경우 실질적 당사자의 확정은 소송당사자 확정 이론의 영역에 속하지만, 의사설, 표시설 등 기존의 어느 이론에 의하더라도 명료한 설명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는 관점을 달리하여 보면, 제소된 사건이 소송요건을 갖추어 청구 본안의 심리에 들어갈 수 있도록 법원이 후견적 역할을 다하게 하고 그로써 국민의 기본권인 재판청구권을 두텁게 보장하려는 데 본질이 있다. 그러므로 그 논리의 연장선상에서 당사자표시정정은 법원의 후견적 역할이 수긍될 수 있는 영역 한계를 지켜야 하고, 당사자능력이나 당사자적격 등 소송요건의 흠결을 보완하는 차원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 소의 적법성에 관한 흠결을 구제하는 정도가 아니라 청구의 당부에 닿아 있는 당사자의 변경은 당사자표시정정이 허용되는 영역이 아니다. 그 선에서 당사자주의와 사이에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상속포기가 개재되어 있는 사건에서 1순위 상속인을 2순위 상속인으로 교체하는 것을 피고경정이 아닌 당사자표시정정으로 보는 판례는 재고되어야 한다. 사망자 상대 사건에서 당사자표시정정이 안 된 채로 1심 판결이 선고되면 그 판결은 당연무효이고 항소심에서는 표시정정을 할 수 없다고 하는 판례도 근거가 박약하다. 당사자의 권리구제, 소송경제, 절차의 안정성 등 어느 면에서 보더라도 항소심에서의 표시정정이라고 하여 무조건 배척할 것은 아니다. 당사자표시정정은 소송요건형 표시정정이 본류이므로 적용 대상과 영역 한계가 그 범주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되, 당사자확정 이론의 도그마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 소송요건의 보정이 항소심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상대방의 심급의 이익을 해치지 않는 등의 사정이 있다면 이를 마냥 거부하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

      • SCISCIESCOPUS
      • KCI등재후보

        Horizontal Density Distribution in Medium Density Fiberboards with Different Thicknesses

        박병대,강은창,박상범 한국가구학회 2010 한국가구학회지 Vol.21 No.6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nel thickness on the horizontal density distribution (HDD) of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in a destructive way. Full size MDF panels with five different thicknesses such as 2 mm, 4.5 mm, 9 mm, 18 mm and 30 mm were cut into two different specimen sizes, i.e., 500 x 500 mm and 120 x 120 mm to measure the HDD . In general, the overall density of MDF panel diminished as the thickness increased, showing the highest density for the thinnest MDF panels. The HDD variation was significant for the samples of smaller specimen size (120 mm x 120 mm). MDF panel thick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HDD, which increased as the thickness decreased. In addition, the thinner panels showed much wider range in the HDD than those of thicker panel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OV) of HDD also followed a similar trend to the panel density as the thickness increased. In summary, MDF panel thick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DD within a panel. The sample size also showed a considerable effect to the HDD of MDF panels.

      • Acid hydrolysis of cured urea-formaldehyde resin adhesives assessed by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박병대,( Arif Nuryawan )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hydrolytic degradation of ureaformaldehyde (UF) resins that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formaldehyde emission (FE) from UF resin-bonded wood panels,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UF resins with two different formaldehyde/ urea mole ratios (i.e., 1.6 and 1.0) were cured by adding hardener at two levels (0.1% and 3%), and then were hydrolyzed by exposing them to dilute acid etching at different periods of time. We also measured mass loss of the cured UF resins to obtain supporting the results of CLSM. Factors affecting the hydrolytic degradation of cured UF resins will b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CLSM results and mass loss measu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