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물플랑크톤 색소의 형광 특성과 lifetime 측정

        박미옥 한국수산학회 199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4 No.6

        남조류와 crytomonads를 포함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적 형광특성을 in vivo 상태에서 조사하였다. 형광과 exciatation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약 580∼640㎚ 영역에 걸친 형광 스펙트럼이, 조사된 모든 식물플랑크톤으로 부터 얻어졌다. 관찰된 형광 스펙트럼의 λ_(max) 값은, Synechococcus sp.(SYN)을 제외하고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3㎚) 관찰된 형광 스펙트럼의 형광소(fluorophore)를 밝히기 위하여, 식물플랑크톤의 형광 스펙트럼의 세기와 모양, λ_(max)를 식물플랑크톤에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의 표준용액의 것과 비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fluorescence lifetime(τ)과 fluorescence decay curve를 식물플랑크톤에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의 표준용액의 τ값과 비교하였다. 580㎚의 형광 파장을 사용하여 얻은 식물플랑크톤의 fluorescence decay는 monoexponential과 biexponential decay를 보였으며, 식물플랑크톤의 τ(1.39-1.95ns)값은 b-phycoerythrin의 표준용액의 τ(3.23ns)값보다 현저히 작게 나타났다. 이는 이미 알려진 광합성 능력을 가진 intact cell내부에서 엽록소 a와 biliprotein간의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 체계에 의한 τ값의 단축으로 여겨지며, 580㎚의 형광특성이 biliprotein에 의한 것임을 보여준다. The steady state and decay characteristics of primary fluorescenece of phytoplanktons including Cyanophyceae and Cryptophyceae were investigated in vivo. At 580∼640㎚ region, fluorescence emission spectra were obtained from all algae examined. The observed fluorescence emission maxima were similiar(±3㎚) except Synechococcus sp.(SYN). Considered λ_(max) of emission spectra of phycobiliproteins and the excitation spectra with λ_(max)=540∼560㎚, it seems to be originated from biliproteins. Fluorescence lifetimes (τ) and decay curves were compared with standard solution of candidate organic compounds, b-phycoerythrin. The τ values obtained for phytoplankton with λ_(max)=580㎚ were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species of algae. The observed τ values were ranged from 1.39 ns to 1.95 ns. These are considerably shorter than τ(3.23 ns) for standard solution of b-phycoerythrin. The reduction of τ for phycoerythrin in vivo seems to be originated from effective energy transfer system between Chl. a and phycobiliprotein in intact cell. There are subtantial differences in fluorsecence spectra and lifetimes at the class level. At the species level, differences seems to be much smaller. The result of experiment suggests that measurement of fluorescence lifetimes may be helpful in the rapid characterization of algae. Direct application will likely be found in combination with the measurement of other luminescence parameters.

      • 數種의 藥劑가 배나무의 落果 및 에틸렌 發生에 미치는 影響

        朴美玉,李載昌,具滋馨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3 農業技術硏究報告 Vol.10 No.1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fruit abscission and ethylene evolution in 'Jojuro' and 'Imamuraaki' pear trees, the thinning chemicals, β-naphthalene acetic acid (NAA), O, O-dimethyl-O-(3-methyl-4 nitrophenyl) posphorothioate (MEP), 1-naphthyl N-methyl carbamate (carbaryl), and 2-chloroethyl phosphonic acid (ethephon) were applied. Concurrently the effect of calcium acetate on the control of fruit abscission were examined when calcium acetate was added to ethephon and carbaryl. 1. All the applied chemicals (MEP, NAA, carbaryl and ethephon) was effective to abscise fruits in 'Jojuro', and MEP and carbaryl in 'Imamuraaki's. 2. The application of ethephon increased the ethylene evolution but other chemicals did not increase it.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ugar contents of fruits by MEO, NAA, carbaryl and ethephon treatments. 4. When the calcium acetate was added to the ethephon and carbaryl, the thinning effects were offsetted. 5. The rate of defoliation due to ethephon treatment was controlled by addition of calcium acetate at 0.1∼0.25 M. It was clarified that fruit abscission induced by thinning chemicals except etheph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ethylene production and that degree of fruit thinning can be regulated by addition of calcium acetate to thinning chemicals.

      • KCI등재

        지형환경에 따른 묵논습지 분포 특성 분석

        박미옥 한국습지학회 2022 한국습지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wetlands according to topography and land cover. In Seosan-si, Dangjin-si, Boryeong-si, and Taean-gun, Chungcheongnam-do, abandoned rice wetlands were found through GIS and field surveys, and the distribution status according to slope, elevation and land cover 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106 abandoned paddy wetlands were identified, and the average elevation of each abandoned paddy wetlands was 38.85m (S.D.32.76), the average slope was 6.27˚ (S.D.5.39), and the total area was 24,200km2. 90 sites (84.9%) of abandoned paddy wetlands were distributed on flat land with less than 5˚ slope, 63 sites (12,121.07km2), and 27 sites(9,524.15km2) at 5-10˚ (9,524.15km2) on flat land with less than 10˚. The area is 21,645.22km2(89.5%) of the total area of abandoned paddy wetlands. 48 sites(12,326km2) in the lowlands with an altitude of less than 25 m, 29 sites(4,909.4km2) below 50m. It accounts for 71.2% of the total area of abandoned paddy wetlands. Among environmental factors of abandoned paddy wetland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ope and altitud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it was widely distributed in artificial grasslands (38), paddy fields (33), and fields (22). 본 연구는 지형 및 토지피복에 따른 묵논습지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충남도 서산시, 당진시, 보령시, 태안군을 대상으로 GIS와 현장답사를 통해 묵논습지를 찾아내어 경사도와 고도 및 토지피복유형에 따른 분포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시군의 묵논습지는 총106개로 확인되었고, 각 묵논습지가 위치한 지점의 평균 고도는 38.85m(S.D. 32.76)이고평균 경사도는 6.27˚(S.D. 5.39), 총면적은 24,200km2로 나타났다. 경사도 5˚ 미만의 평지에 63개(12,121.07km2), 5~10˚ 27개(9,524.15km2) 등 10˚ 미만의 평지 또는 완경사지에 90개(84.9%)의 묵논습지가 분포하고 있었다. 면적은 21,645.22km2로서전체 묵논습지 면적의 89.5%에 이른다. 고도 25m 미만의 저지대에 48개(12,326km2), 50m미만 29개(4,909.4km2) 등으로서, 모두 77개(72.7%)의 묵논습지가 고도 50m 이내의 저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면적으로는 17,235.8km2로서 전체 묵논습지면적의 71.2%에 이른다. 묵논습지 환경요인 중 경사도와 고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피복분류에 따라서는 인공초지(38), 논(33), 밭(22) 등에 많이 분포하였다.

      • 영국 환경식품농촌부(DEFRA)의 목표

        박미옥 농업협동조합중앙회 2005 농협조사월보 Vol.573 No.-

        영국 정부는 2001년 6월 '지속가능한 개발' 을 위하여 정부 정책을 대폭 개혁하겠다는 목표로 농림부와 환경부, 여러 산하 기구들을 통합하여 환경식품농촌부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 : DEFRA)를 신설하였다. DEFRA의 신설은 환경보호와 식품안전, 농촌개발에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농촌공간과 농촌지역사회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더욱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DEFRA가 2002년 3월 DEFRA의 비전과 정책 목적을 주제로 발간한 "working for the essentials of life" 중에서 식품과 농업·농촌개발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 KCI등재

        극지 식물플랑크톤의 유색 용존 유기물의 생산과 광반응성에 대한 자외선 영향

        박미옥,하선용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5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roduction and photoreactivity of CDOM of two polar phytoplanktons - Phaeocystis antarctica and Phaeocystis pouchetii, in order to find out UV effects on phytoplanktons. In visible region, CDOM in media of both phytoplanktons under UV-R decreased during 48hrs incubation period. However, in UV region CDOM decreased 30% in the media of P. antarctica, but increased 10% in media of P. pouchetii, compared to CDOM concentrations of control after 48 hr incub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biota in polar environment would not well protected from UV-R harmful effect when P. antarctica is dominant because of loss of CDOM, but when P. pouchetii is dominant species, production of UV absorbing organic matter could play more efficiently for UV screening for marine biota. Also we confirmed that FDOM of humic substance (C-peak) produced by these phtoplanktons under UV-R stress were well matched with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the UV-protecting compound, MAAs. This finding shows that Phaeocystis pouchetti with low photoreactivity would contribute to DOM pool of polar marine environment under stratification by global warming. 본 연구는 극지 식물플랑크톤의 자외선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Phaeocystis antarctica와 Phaeocystis pouchetii를 대상으로 유색 용존 유기물의 생산과 광반응성을 평가하였다. 강한 자외선에 노출 배양 시, 가시광선 파장대에서 유색 용존 유기물의 흡광도는 두 식물플랑크톤 모두 배양 초기에 비해 48시간 동안 감소하였다. 반면, 자외선 파장에서는 P. antarctica는 48시간 배양 후, 유색 용존 유기물의 흡광도는 초기 농도에 비해 약 30% 감소하였지만, P. pouchetii의 흡광도는 오히려 10%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들은 강한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P. antarctica이 생산한 유색 용존 유기물은 광분해에 의한 감소로 인해 해수 중 수중 생태계에 자외선 차단 효과는 감소하는 반면, P. pouchetii가 생산한 유색 용존 유기물에 의한 광보호 효과가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외선 영향 하에서 배양된 P. pouchetii의 배양액에서 시간에 따라 증가한 유색 용존 유기물의 형광 특성이 지구 거대물질로 알려진 humic-like (C-peak)와 일치하여, 이는 자외선 차단 물질로 알려진 MAAs 생물 생산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후변화에 의한 성층화가 강화되는 극지 해양환경에서, 광반응성이 낮은 P. pouchetti가 용존 유기물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