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numerical range of the Jordan block on 3-dimensional space

        박미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어떤 작용소 T의 numerical range의 여러 가지 성질들에 대하여 공부한다. 특히, 3차원 공간상에서 작용소 T의 Jordan form에 대한 numerical range를 특성화 한다. In this paper, we study some properties of numerical range for any operator T .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numerical ranges of Jordan forms of an operator T on a 3-dimensional space. This characterization depends on the diagonalization of an operator T on a 3-dimensional space. In fact, if T ∈ M_(3) and T_(J) is the Jordan form of T , we show that W(T_(J)) = conv(σ(T_(J))) when T is diagonalizable. Moreover we calculate several forms of the numerical ranges of a non-diagonalizable operator.

      • 북한체제 전통미술의 변용과 보존 : 단청과 불화를 중심으로

        박미례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민족의 전통미술인 단청과 불화가 남북한 간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북한체제에서는 어떻게 계승되고 보존되었는지에 대해 규명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전통미술이 정치적, 역사적, 지역적, 사회적, 환경적 특성으로 인하여 계승되고 보존되는 것은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보편적인 현상을 넘어 북한의 특수한 정치이념인 주체사상이 전통미술의 계승과 보존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라는 의문이 들기 시작했고, 그러한 의문은 북한에서는 전통미술인 단청과 불화도 정치적 목적에 의해 계승되고 보존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전통의 계승과 변용, 보존과 상실, 사이에 정치적 요소가 어떻게 작용되었는가? 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어떠한 정치적 요소가 작용하여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인가를 설명하는 것이 가장 설득력 있을지, 또한 어떤 요소들을 조합시켜 설명하는 것이 더 좋을지는 앞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보다 분명해지리라고 보다. 단지 여기서는 전통의 변용과 보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북한의 정치문화라고 할 수 있는 주체사상에서 찾고자 했다. 그러나 주체사상은 그 작용범위가 워낙 넓고 방대하여 여기에서는 불화와 단청에 영향을 주고있는 ‘주체문예이론’, ‘종교정책’, ‘민족문화정책’과 관련하여 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북한을 피상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실재 문화변화 현상을 통하여 좀 더 깊이 이해하여 통일을 전제로 한 민족의 사회문화적 통합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의 단청 및 불화 변용과 보존에 주목하게 된 계기는 1992년 출판된 김정일의 ‘주체문학론’의 “민족문화유산을 옳게 계승발전시키는 것은 ‘주체적문학예술건설’에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어느시대의 문학예술이든지 빈터에서 발생발전 할 수 없다. 선행세대가 이룩하여 놓은 민족문화유산을 디딤돌로 삼고 그의 진보적이고 인민적인 내용과 형식을 옳게 이어받을 때에만이 문학예술을 자기 민족의 지향과 요구에 맞게 발전시킬 수 있다”(p. 57)와 “민족문화유산에는 후대들이 계속 이어받아야 할 것과 보존해두기만 할 것이 있으며 없애버려야 할 것도 있다. 여기서 이어받아야 할 유산이 바로 전통을 이룬다”(p. 61), “혁명적 문학예술전통은 질적 내용에서 민족문화유산의 최고봉을 이룬다”를 접하고 나면서 부터이다. 북한정치체제의 특성은 늘 최고지도자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김정일의 민족문화에 대한 인식은 바로 북한 문예정책의 목적과 방향을 뚜렷히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있다. ‘민족문화유산을 옳게 계승발전시키는 것은 주체적문학예술건설’ 이라는 대목은 민족문화정책의 목표이고, ‘계속이어받아야 할 것, 보존해두기만 할 것, 없애버려야 할 것’을 판단하는 것은 민족문화정책의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북한에서의 민족문화정책은 민족문화유산의 올바른 계승과 발전이라는 명분으로, 전통의 계승은 변용을 가져오게 했고, 보존은 그 자체가 전통의 상실로 이어지고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보았다. 북한체제의 특성상 민족문화정책은 문예정책의 하위 정책이고, 문예정책은 당의 하위정책으로 문예적측면에서 당의 목표를 실천하기 위한 정책이이라고 할 수 있다. 당의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계승되고 보존되는 민족문화유산은 북한이 민족의 전통미술을 순수한 목적과 의미를 갖고 계승 발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차원에서 인식하고 있는 데서부터 변용과 상실을 초래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정치적 맥락에서 살펴본 북한 단청과 불화가 ‘주체혁명문학예술건설’ 과정에서 어떻게 변용되고 계승되었는지를 관련정책과 상관관계에서 살펴보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우선 전통의 계승과 보존은 변용과 상실로 이어졌다는 것을 규명하기 위해 보존과 계승에 관련된 배경이론과 정책 등에 대하여 고찰해 본 후(2장) 이를 바탕으로 북한체제에서 주체사상이 내포된 ‘주체문예이론’에 영향을 받은 ‘국제친선전람관 단청’이 ‘민족적형식과 사회주의 내용’으로 변용된 단청이라는 것을 규명하고자 했다. 여기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부분은 변용의 핵심으로 작용된 ‘주체문예이론’과 ‘국제친선전람관단청’의 상관관계를 찾아 변곡점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국체친선전람관단청은 ‘주체문예이론’의 주체사실주의 창작방법인 ‘민족적형식과 사회주의 내용’으로 창작된 북한의 개인숭배적인 단청이라 할 수 있다. 즉, ‘주체단청’은 전통단청과는 별개의 것으로, 전통이 보편적 계승을 이루지 못하고, 전통단청에 내포된 정신적인 부분을 제거하고 주체사상을 적용시킴으로써, 완전한 변용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그동안 종교가 인정되지 않았던 북한에서 종교미술인 불화가 보존되고, 실재 제작되고 있음에 주목해 보았다(4장). 이러한 현상이 있게 된 주된 원인이 무엇인가?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는 장이었다. 첫째, 이러한 현상을 가능하게 했던 원인을 북한의 최고지도자의 종교인식에서 찾게 되었고, 북한의 최고지도자의 종교인식은 매우 부정적이어서 종교정책은 그 자체가 종교의 단절로 이어졌다고 보았다. 북한는 분단 직 후부터 시대별 종교정책의 변화에 따라 불화가 쇠퇴하고, 불화의 전통이 단절되고, 단절된 전통을 살리지 못하고 수요의 필요에 따라 법식이 무시된 채 제작되기에 이르러 변용을 가져왔다는 것을 밝혀 보았다. 그러나 현 시기를 여명기로 봄으로서 북한불교의 실재 존재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하였다. 북한불화의 변용근거를 찾기 위한 것으로 첫째, 종교정책관련 문헌사례는 시기별 종교정책과 관련된 법제도 등의 분석과 둘째, field-work 자료를 이용한 불화제작과정과 비교를 시도하였으며, 셋째, 북한사찰에 봉안된 불화현황을 조사하여 분단 후 제작된 불화의 양태를 살펴보는 순서로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북한의 종교정책은 최고지도자의 종교인식에 의해 종교의 말살정책이었다고 할 수 있었으며, 북한헌법에서 종교를 인정하고 있으나, 당 규약 및 교시의 중요성을 헌법 제11조에 규정해 둠으로서 최고지도자의 교시(종교는 일종의 미신, 반동적이며 비과학적인 세계관-김일성저작전집 제 5권 p. 154)가 초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어 결국 북한의 종교는 단절되었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북한이 실재신앙이 없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불화를 제작하고 있는 현상은 불화변용과 어떻게 관련있나?를 살펴본 결과 북한이 외부세계에 종교가 있다는 것을 알려야 되는 전시행정의 결과를 보았다. 따라서 현재 제작되고 있는 불화의 변용근거을 찾기위해 남한불화와 비료분석을 해 보았다. 남한의 중요무형문화재 제 118호 불화장 석정스님 작품과 마곡사 화승계맥의 병진스님과 함께 제작한 연구자의 작품제작 사례를 부분별로 비교분석해 각 부분별 차이점을 도출하여 변용된 부분을 근거로 삼았다. 남한불화제작기능을 기준으로 한 이유는 북한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도가 없고 실질적으로 확인되는 계보가 없다는 점과 남한은 불화제작기능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전통이 계승된다는 것이 전제되었다. 이를 통해본 북한불화의 특징은 종교의식부재와 전통제작기법의 부재 등을 근거로 변용되었다고 보았다. 셋째, 북한전역에 분포된 사찰불화의 현황을 파악하여 분단 후 제작된 불화의 변용된 사례를 화기와 종교의식 등 두 가지 측면에서 변용근거를 찾았다. 3가지 측면에서 변용근거를 찾으려고 했던 중요한 이유는 북한 불화제작과정을 직접확인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되도록 정확한 변곡점을 찾기 위한 시도였다. 그러나 현 시기를 여명기로 봄으로서 북한불화의 변화를 예고했다. 이는 북한이 1992년과 1998년 개정헌법에서 종교를 인정하고 있고 관련조항의 기술이 전향적으로 바뀌었다는 점과 1990년대 들어오면서 북한법이 엄연한 사회운영시스템으로서 작동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고 밝힌 박상철교수의 한국 정치법학론(p. 364)에 근거하여 여명기로 가정한 것이다. 일반단청인 일반건축물과 사찰건축물단청의 보존에 대하여 북한의 민족문화정책 및 ‘문화유물보호법’과 관련하여 실태분석을 시도했다(제5장). 일반건축물 단청은 유교건축물 및 문루건축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실재 실용적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문화유물 및 유적의 가치로써 보존되고 있는데, 이는 남한도 동일한 현상이다. 그러나 사찰건축물단청은 종교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실재활용측면이 고려된다. 남한은 종교가 계승되면서 자연스럽게 보존이 계승으로 이어지고 있는 반면, 북한은 종교건축물이 문화유적의 보호 목적으로만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보존 그 자체는 전통의 상실과 변용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규명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북한에서의 전통미술인 단청과 불화는 북한의 정치문화형성에 중심에 있는 주체사상으로 인한 ‘주체문예이론’(문예정책과), 종교정책, 민족문화정책으로 인하여 계승은 변용으로 이어졌고 보존은 전통의 상실로 이어져 ‘3대혁명’ 중 사상혁명과 문화혁명을 통한 ‘민족문학예술건설’의 목표에 부합되어 있다. 따라서 북한단청과 불화의 변용과 보존은 그 자체가 ‘정치문화의 반영’일 수 있으며, ‘정치이념을 전달하는 수단’ 및 ‘상황논리에 따른 전시행정의 일환’인 정치적 부산물이라는 것을 규명해 보았다. 이는 민족전통의 심각한 왜곡을 초래하여 통일을 전제로 한 민족의 ‘사회문화적통합’ 측면에서 보면 매우 위협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사회문화교류를 통하여 극복해야 될 과제라고 본다. 그러나 북한이 2002년 ‘7. 1 경제개선관리조치’후 김정일의 ‘신사고’에 의한 ‘실리사회주의정책’은 그동안 정치적 이념에 편도 되었던 문예정책, 종교정책, 민족문화정책 등에 내포된 이념적 부분이 약화되어 전통미술의 계승과 보존의 목적이 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

      • 사회적 지지가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미례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노인들의 삶의 질 정도와 사회적 지지의 실태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가 여성노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원시와 화성시 소재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9일에서 18일까지 10일 동안 수원시 내 복지관 1곳과 경로당 5곳, 화성시 복지관 1곳과 경로당 5곳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20부를 배포하여 114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08부를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은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며,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속성 중 알고 지내는 사람은 평균 5.94명이고, 접촉빈도(만남)은 일주일에 3회 정도로 나타났으며, 접촉빈도(통화)는 일주일에 2-3회로 나타났다. 지리적 접근성은 평균 차로 30분 이내에 살고 있었고, 친밀도는 보통 친한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속성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는 모두 중간 이상 수준에서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삶의 질은 건강상태와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친밀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중 신체적 건강영역에서의 삶의 질은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속성과 기능적 속성은 신체적 건강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영역은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연령이 많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영역은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속성과 기능적 속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환경 영역은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친밀도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 영역은 건강상태와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정서적 지지를 받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자 및 대상지역을 확대하여 친밀도와 삶의 질 관계에 대한 반복연구를 해볼 것과 삶의 질을 좀 더 세분화해서 접근할 것을 제언한다.

      •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조절력과 내면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박미례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단지 있는 그대로 지켜보는 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조절력과 내면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박 미 례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지도교수 김 승 환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조절력과 내면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자기조절력과 내면화 문제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미술심리치료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Kabat- Zinn(1990)의 마음챙김 명상 기본 태도 7가지 요소인 비판단(non-judging), 인내(patience), 초심(beginner's mind), 신뢰(trust), 애쓰지 않음(non-striving), 수용(acceptance), 내려놓음(letting-go)을 바탕으로 마음 열기- 마음 모으기-마음 속 좋은 경험 기억하기-마음 간직하여 지속하기-마음 내려놓기-마음 흘려보내기-마음 받아들이기의 순서로 프로그램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 본 활동 시작 전에 실시하는 명상은 ‘이인실의 청소년을 위한 마음챙김 명상(2013. 5. 22)’ 을 대상 아동 수준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마음챙김 명상을 통해 주의 집중하여 자신을 인식하고 자기탐색, 자기 몰입으로 자기조절의 향상과 내면화 문제의 감소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위치한 D복지관 주변 지역아동센터 이용하는 4-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2명과 대기집단 12명, 총 24명을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2016년 7월 12일-2016년 9월 20일까지 매 회기 80분씩, 사전검사 포함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력 척도를 이용하여 하위요인 자기조절과 충동성을 살펴보았고, K-YSR의 하위요인 우울/불안, 위축, 신체증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의 회기별 행동관찰을 실시하여 초기, 중기, 말기로 행동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 실험집단의 회기별 과정 분석과 자기조절력 및 내면화 문제의 하위요인을 작품을 통해 분석하여 변화의 과정을 제시하고, 질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야기 그림검사(DAS)를 실시하여 양적 연구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대기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프로그램 실시 후의 자기조절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대기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프로그램 실시 후의 내면화 문제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동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고 내면화 문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엔 무리가 있지만,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아동을 대상으로 한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조절력과 내면화 문제를 실증적 검증 연구를 통해 효과를 보여준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 마음챙김 명상, 집단미술치료, 아동의 자기조절력, 아동의 내면화 문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integrated with mindfulness on the self-regul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of the children. The group art therapy integrated with mindfulness was recomposed of the program with open, focus, remind of the good experience, patient, non-strive, letting go and accepts the mind based on the 7 element of Kabat-Zinn’s mindfulness meditation : non-judging, patience, beginner's mind, trust, non-striving, acceptance, letting-go, which was coached by art therapist. The mindfulness meditation was practiced with the children to enhance the self-regulation and to reduce the internalizing problems through aware and explore the self before group art therapy, which was modified with the version of Lee in-sil’s mindfulness meditation for adolescents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is study, 24 children wh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 to the participation and were seni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used the W local child-care center in G C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 group or control group, then conducted the group art therapy integrated with mindfulness. The intervention group was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applied with mindfulness 80 minutes per session, during 12 sessions administered from July 12 to September 20. It was administered the pre-and post-test using the scale of the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and impulsivity) and internalizing problems scale(depression, anxiety and somatization) of K-YSR. To tes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integrated with mindfulness with the children, it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d ANCOVA were to test by SPSS 23.0 version. And it analyzed qualitatively the change of behavior observed on the initial, middle, and terminal session and the art. Also it analyzed qualitatively the DAS. The results obtained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elf-regulation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enhanced the self-regulation and subscales, self-regulation and impulsivity of the experi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internalizing problem and subscales, specially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experi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omatization. To be summarized, the group art therapy integrated with mindfulness has effects on the enhancing the self-regulation and reducing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children. Finall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 Also, the suggestion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provided key word :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rt therapy, the self-regulation, internalizing problem

      • 분자생물학적 기법(PCR 및 NPA-SH)을 이용한 미세조류 검출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icroalgae Detection Technologies Using Molecular Methods (PCR and NPA-SH)

        박미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세조류는 단세포 혹은 체인으로 존재하는 광합성 미생물이고, 해양생태계에서 1차생산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은 여러 가지 유용물질을 생산하고 빠르게 생장한다는 특징 때문에 건강보조식품 및 의약품의 생산과 같이 산업적으로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자연환경에서 일부 미세조류는 Harmful algal bloom, 즉 유해조류 대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연의 유해조류 대 발생은 부영양화를 해소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양식업자에게는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에 해양에서의 미세조류 모니터링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분류 비전문가도 미세조류를 검출할 수 있는 2가지 분자생물학적인 검출기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을 바코드 유전자로 하는 species-specific PCR primers를 14종의 미세조류에 대해 개발하였다. 또한 Cochodinium polykrikoides와 Heterocapsa triquetra 두 종에 대해 large subunit of ribosomal RNA (LSU rRNA)을 타깃으로 하는 nuclease protection assay sandwich hybridization (NPA-SH) probes를 개발하였고, PCR, NPA-SH 두 방법 모두 통영 연안에서 채집한 미세조류에 적용했을 때 성공적으로 각 종을 검출 및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Microalgae are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that exist as single cells or chains, and function as primary producers in marine environmental. The microalgae character of rapid growth and produce use substance could potential use for the production of commercial products like health foods and medical products. But some microalgae can also cause harmful algal blooms in natural ecosystems. It has positive effect to solve eutrophication in ecosystem. However, the blooms led to marine ecosystem disturbances as well as economic losses in fish farms. Therefore microalgae monitoring is important. To monitoring microalgae with genomic information by layman, this study developed 2 molecular detection methods. First, developed species-specific PCR primers used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gene as a DNA barcode to identify 14 species of microalgae. And, developed nuclease protection assay sandwich hybridization (NPA-SH) probes that targets the large subunit of ribosomal RNA (LSU rRNA) to detect Cochodinium polykrikoides, Heterocapsa triquetra. Both microalgae detection methods were tested in Tongyeong region of the South Sea of Korea.And the microalgae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직무능력과 초등교원양성기관 학업성적의 관계 분석

        박미례 충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beginning teacher's job capabilities and grad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improve suitability of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s purposes, the questions that this study seeks to answer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beginning teacher's job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how about the awareness of the begining teacher for the beginning teacher's job capabilities for grad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ird, ho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eginning teacher's job capabilities and grad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 sample group of this study wa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of 300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Korea.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t-test, F-test, Scheffe'-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by SPSS statistic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elementary teachers showed an above-average level of job capabilities. The high level of job capability are consciousness as a teacher, class management and job performance, and the low level is lesson. Second, the awareness of the begining teacher for the beginning teacher's job capabilities for grad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 has shown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y teaching experienc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beginning teacher's job capabilities and grad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s low.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as follows : Firs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re trying to success their goals. With the result that beginning teachers have an above-average level of job capabilities Second, varios attemptions for improvement of beginning teacher's job capabilities, inside and outside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re needed. Third, plans to increase relationship between beginning teacher's job capabilities and grad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re needed in order to increase the teacher's job capabilities. 별다른 인턴과정을 겪지 않고 임용고시에 합격하면 곧바로 정교사로 임용되는 우리나라 교원수급제도상, 초임교사에게 있어 초등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은 교사로서의 역할을 배우고 준비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원양성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및 운영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하는 이도 적지 않다. 우수한 초등교원양성을 위해서는 초등교원양성기관의 학업성적이 교사의 직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운영 결과로 나타나게 되는 학업성적과 실제현장에서 초임교사의 직무능력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초등교원양성교육과정이 초임교사의 직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고 향후 초등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들의 직무능력은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3.38)으로 나타났다. 세부영역별로 살펴보자면 교사로서의 자질, 학급경영능력, 업무수행능력, 학습지도능력의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네 항목 모두 3점대의 평균을 보였으며, 가장 평균이 높은 세부영역(교사로서의 자질)과 가장 평균이 낮은 세부영역(학습지도능력)의 차이는 0.27이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초임교사의 직무능력의 차이는 평균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일 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다. 배경변인별 초임교사의 세부 직무능력의 차이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부분은 학습지도능력이었다. 다른 배경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에 비해 유일하게 출신학교에 따라 0.05의 유의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배경변인별 초등교원양성기관 학업성적이 초임교사의 직무능력에 도움을 준 정도에 대해서 초임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초등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직무능력 요소에 도움을 준 정도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학습지도능력이 가장 높은 평균점수(3.46)을 나타내었으며, 업무수행능력이 가장 낮은 평균점수(2.44)를 보였다. 대체적으로 경력 5년 이내의 초임교사 중에서도 경력이 많은 쪽일수록 초임교사 초등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교사로서의 자질, 학급경영능력, 업무수행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직에 갓 입문한 초임교사일수록 초등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직무능력에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직무능력 세부 영역별로 도움을 준 정도에 대해서는 초등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초임교사의 직무능력 세부 영역 중에서 교사로서의 자질(평균 3.46)이나 학습지도능력(평균 3.32)에 대해서는 도움을 준 정도가 보통 정도라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학급경영능력(평균 2.80)이나 업무수행능력(평균 2.44)에 대해서는 도움이 되지 않은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세부교육과정이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에 도움을 준 정도에 대해서는 교육실습(평균 4.10)이 도움이 된 편이라고 응답한 반면에 교양과목(평균 2.86) 이수에 대해서는 도움이 되지 않은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낮은 점수를 주었다. 셋째, 초임교사 직무능력과 초등교원양성기관 학업성적의 상관관계는 낮게 나타났다.(r=.15) 직무능력 세부 항목과 초등교원양성기관 학업성적의 상관관계도 상관계수가 .01~.21 사이로 나타나 상관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등교원양성기관 세부 교육과정과 초임교사의 직무능력 간의 상관관계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교사의 직무능력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 초등교원양성기관 세부 교육과정은 심화과정으로 .35의 상관계수를 보였고, 가장 낮은 상관을 보인 것은 교양교육으로 .19의 상관을 나타냈다. 목적형 교육기관으로서의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역할을 생각해 볼 때, 초등교원양성기관이 기본 능력을 갖춘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데 어느 정도 역할을 다하고 있음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교사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초등교원양성기관 내외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초임교사의 학습지도능력,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별도의 대책이 필요할 것을 보인다. 또한, 초등교원양성기관 학업성적과 초임교사의 직무능력 간의 상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 티나라 교육용 웹사이트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만족도 분석

        박미례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 소재한 H초등학교와 J초등학교의 재직중인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교육현장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온라인 교육용 웹사이트 중 하나인 티나라 웹사이트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만족도 분석 설문지는 Maryland 대학의 HCI 연구실에서 개발된 QUIS(Questionnaire for User Interaction Satisfaction) 번역본을 입수하여 교육용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만족도 측정에 알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다. 측정하는 주요 항목들은 교육용 웹사이트의 사용 경험, 티나라(Tnara)의 사용정도, 학습자료의 반응정도, 사용자의 전반적인 반응, 화면의 구성, 전문용어와 웹사이트의 정보, 웹사이트의 성능 등 7개의 항목 을 사용하였다. 우선 티나라 교육용 웹사이트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만족도 조사 결과는 신뢰계수 Cronbach α=0.89로 대체로 설문결과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만족도는 중간 값 3.00보다 약간 높은 3.26으로 65.2%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설문 문항의 결과를 보면 평균 이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항3의 “학습자료의 반응 정도”, 항6의 “전문용어와 웹사이트의 정보”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만족하지 못한 부분이 나타났으나, 항4의 “사용자의 전반적인 반응 정도”, 항5의 “화면의 구성”, 항7의 “웹사이트의 성능” 부분은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검증 결과 분석에서 능력별 만족도와 성별 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년별 만족도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면담조사의 내용에서 티나라 교육용 웹사이트 시스템은 객관적으로 좋은 자료이긴 하지만 교사들의 전문성과 수준별 교육면에 있어서는 좋지 않는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한다. 또한 학생들의 주의집중 면에서도 전체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는 의견이 나와서 수업자료로서 전체적인 활용보다는 교사들이 필요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의도적으로 자료를 재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교육현장에서 수업에 자주 활용하는 교육용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교사들의 만족도를 평가해봄으로서 수업에 활용하기에 앞서 사전에 교육용 웹사이트에서 교사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웹사이트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는지에 대한 만족도 측정을 해볼 수 있다. 웹사이트 만족도 조사를 실시해봄으로서 웹사이트 사용시 특별히 티나라 교육용 웹사이트가 아니더라도 이러한 교육용 웹사이트를 기초로 하여 웹사이트 만족도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고 분석해봄으로서 실질적인 티나라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를 알 수 있었고 면담조사를 통해 교육용 웹사이트 웹 활용 수업방법과 향후 웹 수업 활용방안을 파악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현장에서 좀더 우수하고 효율적이며 교사의 만족도가 높은 또 다른 교육용 웹사이트의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과학영재를 위한 웹기반 수준별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박미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에 특별한 재능을 가진 과학영재들에게 있어서 과학교육의 목적은 현대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을 가지는 것과 더불어 과학전문인-과학자-로서의 목적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이렇게 과학영재들을 위한 특별한 교육목적이 주어진다고 할 때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환경은 일반학생들과 차별된 교육환경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지금 현재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들과의 차별성을 어느 정도 인정받고 있어 나름대로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환경이 제공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에 대한 의식은 개선되었으나 개별 과학영재들을 위한 수준별 교육 코스에 대한 인식은 부재하며 따라서 과학 영재 집단 내에서 또 다른 획일적인 교육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각 과학영재들의 수준별 교육을 위해 웹을 활동하여 과학 영재들의 능력과 수준의 현 지점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과학 영재들의 개인별 흥미와 수준에 맞는 교육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교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과학 영재들을 위한 온라인 시스템은 과학 영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다. 과학영재들은 주제나 학습 유형에 따라 다른 관심과 의욕을 보였는데 그 기반은 과학 영재들의 능력의 수준이나 교육환경의 고려, 그리고 개인의 호기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웹 기반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과학영재들이 자신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교육내용과 방법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하였고 그룹 속에서 해소하기 힘든 개별 영재와 교사간의 상호작용, 그리 고 같은 관심사를 가진 영재들 간의 상호작용이 더욱 활발하게 했고 이는 과학영재들이 자신의 탐구주제에 대한 흥미와 의욕을 더욱 깊이 있게 보이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들을 위한 적절하고 타당한 온라인 교육시스템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크게 3가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첫째, 온라인상에서 과학영재들의 현재 능력과 수준이 명확하게 판단될 수 있는 진단문항이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정확한 진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수준별 교육코스가 제시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셋째, 각각의 교육코스들은 수직적, 수평적 연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개별 영재들의 다양한 관심과 탐구의욕을 고려하여 다양한 주제와 심화된 내용으로 구성되어져야 한다. 위에서 제시한 3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수준별 교육코스를 연구 개발하여 우리나라 과학영재들이 시간적 장소적 제약을 극복하고 웹을 통해 수준별 능력별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시된다면 그것은 과학영재들을 위한 수준별 교육과정으로서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학영재들을 위한 수준별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해서는 우선 과학영재들을 위한 특별한 교육 시스템의 필요성이 널리 확산되어져야 하고 정부의 제도적, 경제적, 기술적 지원 등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과학영재들을 교육하는 교사들의 수준과 교육의 질이 더욱 향상되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is building a scientific attainment, and there has to be a different teaching method and purpose when reaching to an individual student This is especially advised if the student is a science gifted child Also in this case, the instructor should aim not only to help him gain knowledge but also to motivate him to be a science specialist, or a scientist Specially adapted teaching program and education environment can be given to each gifted child, after carefully examining each student's unique needs and interest Nowadays,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science gifted children should receive special programs The awareness has been uplifted,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systematic teaching courses constructed to meet individual children's knowledge level Talented children are participating in special teaching programs, but they are not properly assigned to classes or courses upon their academic levels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y sign up for special classes, they again have to receive another standardized and unified teaching program This study developed an on-line education system for science gifted children, then examined the feasibility This web-based program provides level test and diagnoses children's prominent interests and learning capacity The system goes further a s of analyzing which curriculum is the most suitable to motivate children's interest and which is the most appropriate way to educate them The on-line system could induce wide participation by science gifted children Students showed different interests and had different fields of interests, moreover, they reacted differently upon specific teaching methods The variables were children's learning capacity, academic level, learning environment, and individual curiosity A strong feature of this on-line teaching program is the self-selecting system that enables children to choose and construct a teaching program and method that meet their interests, learning capacities and knowledge levels Moreover, this also gives more active discussion and solid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individual student and an instructor, which was not possible when the students were taught in groups Furthermore, this program boosted mutual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ho share similar interests In addition to this, the program also stimulated students to scrutinize entitled subject matter in depth with much more enthusiasm

      • 과학 우수아의 자기주도적 자유 탐구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학생들의 탐구 경험에 따른 효과 분석

        박미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measures that can successfully facilitate open inquiry in students by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that ensure students to enhance inquiry ability on their own. To this end, the study was based on the inquiry model actually used by scientists for research, and based on a preceding study on what was the most difficult process for students when they carried out an open inquiry, a total of eight inquiry processes were established, which in turn were developed to a program of eight sessions: selecting inquiry subjects; concretizing the subjects; building a hypothesis; designing an inquiry method; executing inquiry activities; analyzing results and drawing conclusion; writing a report; presentation and evaluation. Eleven students in fifth grade who were determined as gifted in science went through the program to learn and understand each inquiry process in class before application effect was measured, and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application effect of the program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ith more inquiry experience and the other with less experienc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students was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that they were asked to fill out and through reports of the individually conducted open inquiry.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deemed the program effective in conducting a self-directed open inquiry because the difficulties they had felt during the previous research were resolved. The report of the individually implemented open inquiry showed that their inquiry ability improved after they learned the program. More specifically, improvement was observed in concretizing subject by exploring given materials; in building logical hypothesis during subject selection; and in considering condition control during experiment design. Reports written by both groups following open inquiry were compared in order to study how inquiry experience affects performance capability. The comparis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group with more inquiry experience had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than its counterpart in inquiry processes of subject selection, scientific principle, hypothesis generation, and inquiry design. An inquiry ability assessment was also carried out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the group of students with more inquiry experience showed higher average scores. The group with more experience carried out inquiry with more ease since they incorporated what they had learned from the programs to their own inquiry experience when carrying out their open inquiry activities, while the group with less inquiry experience had some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program in their open inquiry activities.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scores on the individual processe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re was a narrower difference i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inquiry process” and the “hypothesis generation” stages, while there was a large margin in the scores on the “topic exploration” and “data interpretation” stages, and the group with less experience earned relatively higher scores in the “experiment design” stage. This seems to be attributable to the students’ experience: More experience allowed them to predict the success of experiments and made the students anticipate difficulty with experiments that entailed higher chances of failure, encouraging the students to exclude them. Given the result of the study, if students are continually provided with a variety of programs that allow them to learn through each inquiry step in order to successfully facilitate self-initiated inquiry activities without any help or intervention from their teachers, the programs are expected to provide an excellent teaching strategy for open inquiry activity. Moreover, if diverse open inquiry curriculums are further developed, not limiting the subject to experimental inquiry, students are expected to experience more diverse forms of inquiry in an open, self-directed manner.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 스스로 탐구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훈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좀 더 성공적으로 자유탐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과학자들이 실제로 연구를 수행하는 탐구 모델을 기초로 하고 학생들이 자유탐구를 스스로 수행할 때 가장 어렵게 느끼는 과정에 대한 사전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총 8개의 탐구 과정 -탐구문제선정, 탐구문제 구체화, 가설설정, 탐구방법 설계, 탐구활동 수행, 결과분석 및 결론도출, 보고서 작성 , 발표 및 평가-을 설정하였고 이 과정을 총 8차시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과학우수아라고 평가되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각각의 탐구 과정을 이해하고 학습하도록 한 후 적용 효과를 알아 보았으며, 학생들을 탐구 경험이 많은 그룹과 탐구 경험이 적은 그룹으로 분류하여 프로그램 적용 효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에게 나타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설문지와 개별적으로 실시한 자유탐구 보고서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사전 연구에서 느꼈던 탐구 과정에 대한 어려움이 극복되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인 자유탐구를 할 수 있게 하는데 있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적으로 실시한 자유탐구 보고서에서도 프로그램을 학습하기 전보다 탐구능력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주제를 선정할 때 주어진 자료를 탐색하여 주제를 구체화시키는 부분이나 논리적인 가설을 설정하는 부분, 그리고 실험설계를 할 때 조건통제에 대한 고려를 하는 부분에서 향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탐구 경험에 따른 탐구 수행력을 알아보기 위해 그룹별로 자유탐구를 실시한 후 작성한 두 그룹의 보고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탐구 과정중에 주제 선정의 단계, 과학적 원리의 단계, 가설 설정의 단계, 탐구 설계의 단계에서 탐구 경험이 많은 그룹이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탐구 수행력을 보여 주는 것을 나타났다. 그리고 탐구 능력 평가를 실시하여 두 그룹간의 점수를 비교분석 해본 결과 탐구 경험이 많은 그룹의 학생들의 평균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탐구 경험이 많은 그룹의 경우 자유탐구를 실시할 때 프로그램을 학습한 효과와 자신의 탐구 경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탐구를 수월하게 한 것에 반해 탐구 경험이 적은 그룹은 자유탐구를 실시할 때 프로그램을 적용시키는 능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그룹간에 개별 과정에 대한 점수를 비교 분석해보면 ‘탐구 과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가설설정’ 단계에서는 큰 점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주제 탐색’ 단계와 ‘자료해석’ 단계에서는 비교적 큰 점수 차이를 보여 주었고 ‘실험설계’ 단계에서는 오히려 탐구 경험이 적은 학생들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히려 학생들의 경험이 실험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게 하여 실패할 확률이 높은 실험은 배제시키다 보니 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떄 학생들이 교사의 개입이나 도움이 없이 스스로 주도적인 탐구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학생들에게 탐구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면 자유탐구에 대한 훌륭한 교수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실험탐구에 국한되지 않고 훨씬 더 다양한 유형의 자유탐구 과정이 개발된다면 학생들이 훨씬 더 다양한 형태의 탐구를 자율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 통번역대학원 통역수업에서 형성적 피드백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성, 정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미례 韓國外國語大學校 通飜譯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cademic self-regulation formative feedback(instructor feedback, peer feedback) and goal achievement orientation(mastery goal and performance goal), affective characteristics(perceived competence, self-efficacy, interpretation anxie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self-regulation. The theoretical study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recedent studies. It was assumed that the instructor feedback, as formative feedback may have direct effect on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nd the peer feedback, as formative feedback, may have direct effect on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self-regulation. In addition, it was assumed that the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 feedback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nd th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would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 feedback,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self-regulation. Among academic self-regulation theories, formative feedback,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with special refence to the motivation area related theory. Academic self-regulation, formative feedback,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concepts and components of 9 variables of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survey tools were examined. In order to establish a hypothesis, the relationship with each variable was examined.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300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the master’s studies at the Graduate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convenience sampling was made from them. To establish observable variables,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a representative diagnosis tool for measuring the learning motivation was utilized. With a concept of variables such as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which are internal motivation, test anxiety was modified to interpretation anxiety, and perceived competence was additionally observed as a sub-concept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by using Mimi Bong, et., al.(2012), Student Motivat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cales”, a localized version of MSLQ, was used to compose the questionnaire that sec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ontext of interpretation class, in which formative feedback, an independent variable, was categorized into instructor feedbacks and peer feedbacks,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 parameter, was divided into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go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was divided into perceived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erpretation anxiety. In addition, those sub-concepts were set as observable variables. Th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s a moderating variable was applied for an observable variable. In order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ormative feedback,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cademic self-regulation, survey tool that secured reliability in relation to th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demographical questions were used. As a preliminary survey, the content validity survey was carried out to 12 experts (instructors), followed by the face validity survey with 12 learners.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to 300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the master’s studies at the Graduate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otal 212 copies were collected (collection rate 70.6%) and analyzed. As the result of the main survey, the inter-item consistency was academic self-regulation with .873, peer feedback with .893, instructor feedback with .885, perceived competence with .861, mastery goal with .817, performance goal with .822, self-efficacy with .891 and interpretation anxiety with .715.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all variables, it was confirmed to be an appropriate level with SRMR=.077, RMSEA=.057, TLI=.908 and CFI=.916. For data analysis, the basic hypothesis verification was used to verify the casual relationship per latent variables using SPSS 22.0 and AMOS 22.0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atent variables,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ultiple 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 is 0.5.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direct effect analysis between formative feedback(instructor feedback, peer feedback), goal achievement orientation(mastery goal, performance go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perceived competence, self-efficacy, interpretation anxiet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while instructor feedback affected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self-regulation, peer feedback did not. Secondly, as a result of direct effect analysis between formative feedback(instructor feedback, peer feedback), goal achievement orientation(mastery goal, performance go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perceived competence, self-efficacy, interpretation anxiet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instructor feedback affected mastery goal(β=0.322, p<.01), performance goal, (β=0.251, p<.05), mastery goal affected perceived competence(β=0.497, p<.001), self-efficacy(β=0.530, p<.001) and interpretation anxiety(β=-0.440, p<.001) and self-efficacy affected academic self-regulation(β=0.264, p<.01). While performance goal affected perceived competence(β=0.258, p<.001) and self-efficacy(β=0.435, p<.001), it did not affect interpretation anxiety directly. While self-efficacy affected academic self-regulation(β=0.264, p<.01), perceived competence and interpretation anxiety did not affect academic self-regulation. Thirdly, as a result of mediating effect analysis between formative feedback(instructor feedback, peer feedback), goal achievement orientation(mastery goal, performance go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perceived competence, self-efficacy, interpretation anxiet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mastery goal and self-efficacy had mediating effect in the course between instructor feedback and academic self-regulation (β=.062, P<.05). In the course between instructor feedback and academic self-regulation, performance goal and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β=.040, P<.05). Fourthly, assumption by bootstrapping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mediating effect. About structural models, when the moderating effect of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was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 feedback(instructor feedback, peer feedback), goal achievement orientation(mastery goal, performance go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perceived competence, self-efficacy, interpretation anxiet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 feedback, mastery go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was partially significant. In the effect relationship of performance goal upon perceived competence, the group whos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is lower than average, is positively (+) significant, but the group whos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is higher than average, is negatively (-) significant, which demonstrated the control effect of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In the effect relationship of performance goal upon self-efficacy, the two groups had positively (+) significant, which demonstrated the control effect of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rstly, as the academic self-regulation of learners at Graduate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was examined, academic self-regula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cademic grade, major department, entrance exam preparation period, whether they had experience of residing the second language country(major language) for more than 5 years before becoming 12-year-old or not and whether they had experience of studying the 2nd language(major language) for more than 3 years or not. Secondly, while instructor feedback forecasted academic self-regulation, peer feedback did not forecast academic self-regulation. While instructor feedback affected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peer feedback did not affect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Thirdly, the facts that interpretation anxiety and mastery goal had negative relationship, and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to performance goal indicate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circumstance special anxiety that the learners had in the interpretation class was not from the peer and instructor feedback which was pointed out by Hyekyung Park (2018). Fourthly, the significant variable that had direct effect on academic self-regulation is self-efficacy. Fifthly, peer feedback had no direct effect on learners’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self-regulation. Sixthly, for the group whos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is higher than the average, th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here instructor feedback had effect on performance goal and mastery goal, however, it was not the case for the group whos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is lower than the ave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