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체 의식과 개인적 동기가 지식관리시스템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명숙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individual motivations on us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KMS). Specifically, we investigates that sense of community as a contingency factor and internal rewards and external rewards as a individual motivation factor have significant impacts on KMS user's system commitment and knowledge sharing. We also attempt to reveal that both user's commitment to KMS and knowledge sharing on KMS influence individual job performance. To start, we reviewed literature on knowledge management and its process and research into the sense of community and individual motivation reflecting on social capital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s among commitment,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w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suggested 9 hypotheses in total.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KMS users from a public institution, collected 341 responses of its employees, and used 24 responses in the final analysis after eliminating 317 responses with insincere data. Before testing the proposed hypotheses, this study perform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using SPSS 12.0. After the completion of such exploratory tests, we tested the proposed model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LISREL 8.52. As a result, we found firstly that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r's commitment to KMS, while it did not influence knowledge sharing of KMS users. However, the sense of commun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hrough user's commitment to KMS. Secondly, both external rewards and internal reward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user's commitment to KMS and knowledge sharing,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direct impacts of individual motivations on knowledge sharing, they had an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hrough user's commitment to KMS. Especially, the indirect impact of external rewards on knowledge sharing was larger than the direct impact of them on it. Thirdly, user's commitment to KMS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User's commitment to KMS also had an indirect impact on job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sharing, which means that knowledge sharing plays the role of a partial mediation between user's commitment to KMS and job performance. Finally, job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knowledge sharing. From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had sever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ly, as inspiring the sense of community of employees impacts their commitment to KMS, which leads to their knowledge sharing, managers should focus on building organizational culture for improving such the sense of community as employees' membership and emotional connection. Secondly, motivational factors such as external or internal rewards are effective in developing commitment to KMS and knowledge sharing, which means that managers should deploy new incentive systems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ensure fairness of rewards to motivate their employees to share knowledge through KMS Finally, as knowledge sharing through KMS leads to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job performance, managers should develop strategy to increase the usage of KMS by their employees. The results, however, have to be carefully interpreted due to some limitations which this study has, and are needed the following researches to resolve them. Firstly, this study has a disadvantage to apply our results to general use of KMS in organizations because we collected the data from one institution, Korea Post in charge of postal services and financial services by post offices. Secondly, the study has not included other important variables such as trust, openness of communication, which may improve the explanatory power on user's commitment to KMS and knowledge sharing. Thirdly, the items to measure the sense of community are not the absolute instruments. This study measured it with limited items focusing on emotional aspects such as membership and emotional connection. However, the above shortcomings may stimulate others to perform further empirical studies in the knowledge management related area.

      • 동화활용 언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능력과 의미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박명숙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using the fairy tales on the preschoolers' reading ability and meaning comprehension. 1. How is the preschoolers' home language environment? 2. Does the program using the fairy tales influence preschoolers' reading ability? 3. Does the program using the fairy tales influence preschoolers' meaning comprehension? The subjects were 26, six-year old preschoolers selected from two kindergartens in Gwangyang, Jeollanamdo. They were assigned two treatment conditions: experiment and control. Before the intervention, the child reading ability test by Seok-Soon Yee, the test for language comprehension by Hae-Won Jeong, and the home language environment test by Seok-Soon Yee were used for pre-test. Foe six-week period, the program based on six fairy tales, three of which were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two of which were western stories, and one traditional western fairy tales. The program lasted about 30 minutes five days a week for six weeks for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all the subjects were tested for post test. The data were analysed in SPSS WIN 12.0 program, by frequencies,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t-test,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schoolers' home language environment was moderately good, but the parents should be informed by the teacher to participate the preschoolers' enjoyable reading activities in home. 2. The reading ability test results were not different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before the program was conduct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preschoolers' in the experiment group had higher reading ability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3. The comprehension test results were not different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before the program was conduct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preschoolers' in the experiment group had higher meaning comprehension sco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at is, the program using the fairy tales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preschoolers' reading ability and meaning comprehension.

      • 한국 노인과 젊은이의 정서기억에서 긍정성효과

        박명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노인과 젊은이의 정서기억을 긍정성효과 중심으로 고찰했다. 다양한 부호화와 인출맥락에서 연령증가에 따라 정서기억이 어떻게 변하는지, 한국노인은 어떤 조건에서 긍정성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정적, 부적, 중립 그림으로 이루어진 48장의 슬라이드들을 보는 동안 세가지 부호화과제-통제조건(단순히 그림만 봄), 정서초점조건(각 그림의 정서가를 평가하도록 함), 인지초점조건(각 그림의 구도를 평가하도록 함)-가 노인과 젊은이의 정서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젊은이뿐만 아니라 노인들도 정서 그림을 비정서그림보다 많이 기억함으로써 정서 현출성 효과가 있음을 보고했다. 정서초점조건에서는 노인뿐만 아니라 젊은이들도 정적 그림을 부적 그림보다 많이 기억해서 긍정성효과를 보였지만, 통제조건과 인지초점조건에서는 젊은이들은 부적 그림을 정적 그림보다 많이 기억했으며, 노인들은 정적 그림과 부적 그림을 비슷하게 기억함으로써 긍정성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긍정성효과가 부호화시에 기억과제의 평가가 정서정보에 대한 주의나 생각에 초점을 두는 것을 제한한 정도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2에서는 반복인출이 기억에서 노인들의 긍정성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또한 인지통제 과제에서의 수행 정도가 반복인출에서 기억한 정적 그림의 증가 정도와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노인들과 젊은이들은 각성가를 통제한 48장의 정서-비정서 그림을 본 후, 즉시회상검사를 받았다. 이어서 20분 동안 기억 방해과제를 한 후, 반복 회상검사를 받았다. 그 결과, 즉시회상에서 노인들은 정적 그림과 부적 그림을 비슷하게 기억했으나 젊은이들은 부적 그림을 정적 그림보다 많이 기억했다. 젊은이들이 반복인출에 의해서도 부적 그림을 정적 그림보다 많이 기억하는 데 반해, 노인들은 반복인출에 의해 긍정성 효과의 경향성을 보였다. 이는 인출단계에 노인들이 부적 정보보다 정적 정보에 더 많은 주의를 주고 더 정교한 처리를 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인지 통제능력이 높은 노인일수록 더 큰 긍정편향을 보였다. 본 연구 2는 정서기억에서 연령차는 인지감퇴와 관련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또한 노인들이 보여준 긍정편향은 자신들이 가진 인지자원의 많은 부분을 정서조절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적응적인 현상임을 시사한다. 연구 3에서는 정서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 정서그림에 대한 언어정교화가 젊은이뿐만 아니라 노인의 기억을 증진시키는지와 노화관련 긍정성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했다. 정상노인들과 젊은이들이 정서그림과 함께 적합한 정교화 문장이 제시된 조건(적합 정교화조건)과 정서그림과 함께 부적합한 정교화 문장이 제시된 조건(부적합 정교화조건)에 무선으로 배정되어 32장의 정서그림과 문장쌍에 대해 의미 부합정도를 평가한 후, 자유회상검사와 단서회상검사를 받았다. 단서회상에서만 젊은이뿐만 아니라 노인도 적합한 정교화 조건에서 부적합한 정교화조건보다 더 많은 그림을 기억했다. 자유회상에서는 젊은이와 노인 모두 언어정교화에 의해 기억이 증진되지 않았다. 학습시와 검사시의 언어정교화가 젊은이와 노인 모두의 기억을 촉진 시킨다는 결과는 인출맥락의 일치여부가 기억혜택을 위한 중요한 제한 조건임을 시사한다. 노인들은 자유회상에서는 긍정성효과의 경향성을 나타냈으며 단서회상에서는 긍정성효과를 나타냈다. 젊은이들은 자유회상에서는 정적 그림과 부적 그림을 비슷하게 기억했으며 단서회상에서는 정적 그림을 부적 그림보다 많이 기억했다. 정서에 초점을 맞추라고 외부적으로 지시한 연구 1의 정서초점조건과 연구 3에서 한국 노인들이 긍정성효과를 보인 것은 연구 1의 통제조건과 연구 2의 결과와 함께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정서조절양상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흥미롭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정서와 인지 상호작용을 검증한 것이다. 둘째, 다양한 부호화 조건에서 노화에 따른 긍정성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셋째, 정서정보의 반복인출이 노인들이 보이는 정서기억에서의 긍정성효과와 관련이 있음을 검증한 것이다. 넷째, 노인들도 정서에 의해 기억혜택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교화에 의해서도 기억혜택을 볼 수 있음을 검증한 것이다. 다섯째, 한국 노인들은 외부적으로 정서에 초점을 맞추도록 허용한 조건에서만 긍정성효과를 보였으며 나머지 조건에서는 서양 노인대상 연구와 달리 정적 그림과 부적 그림을 비슷한 정도로 기억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른 정서조절 양상의 차이가 인지처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한 것이다. 끝으로 노화에 의한 인지능력에 대한 관점을 피할 수 없는 감퇴에서 적응을 위한 변화로 바라볼 수 있는 증거를 제시한 것이다.

      • 자기점검법이 ADHD 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명숙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관리 기법 중의 하나인 자기점검법을 적용하여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중재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단일 대상 연구로 2명의 ADHD 아동에 대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법을 사용하여 문제행동 발생률과 학업관련 참여행동 발생률을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나누어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재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기점검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24회기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점검법은 대상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법은 대상아동의 학업관련 참여행동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점검법을 통해 나타난 학급 내에서의 문제행동 감소와 학업관련 참여행동의 증가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문제행동을 보이는 ADHD 아동의 학업관련 참여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자기점검법이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DHD 아동 개개인의 문제행동 특징을 잘 파악하여, 자기점검법 절차에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한 것이 ADHD 아동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과 중재에 따른 행동 변화가 가정에서도 일반화가 이루어진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who have ADHD and the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DHD were selected. The research design was applie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self-monitoring activity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ubject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effective on the decrease of the problem behavior of the students. Second,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Third, the effect on the decrease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he increase of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were still maintained after intervention was ended. In conclusion,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one of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ADHD who has problem behavior. Therefore, this result implies that self-monitoring activity with visual materials can be a powerful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ADHD and the generalization toward the home can be a possibility of the behavior change.

      • 보험 상품의 구매를 주저하게 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명숙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금융시장에서 보험사 간의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으며, 출혈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와 효율성 저하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핵심 경쟁력을 갖추어 잠재 보험소비자의 보험 상품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 문제의 제기로부터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가 어떠한 이유로 보험 상품의 구매를 주저하는가를 밝혀내어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실질적으로 핵심요인을 밝혀냄으로서 학계와 보험실무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된 국내외 학위 논문, 연구자료 및 전문서적, 정기간행물 및 연구조사 보고서, 인터넷 들을 통하여 금융감독원의 현황 및 특징, 설문조사 등의 전반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설문지의 항목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기존보험가입고객과 미가입고객들의 주저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지각된 불확실성, 매체/채널혁신요인, 정황적 요인, 소비자의 특성요인들이 보험가입주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소득자를 기준으로 총 12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수도권의 D화재보험사와 A생명보험사의 고객을 중심으로 2008년 1월부터 3월 사이에 보험 상품의 구매를 권유받았으나 아직 구매하지 않은 잠재적 소비자를 대상으로 7점 척도, 50문항의 설문지를 통해 표본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SPSS 15.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분석을 기본으로 하여 신뢰성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Competition between insurance firms is getting more and more tense in the financial market causing low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from cutthroat competition. The current study began trying to find how to obtain core competition and expedite insurance purchase of latent consumers. The study wanted to find out why consumers hesitate to buy insurance and suggest on how to solve the situation. In substance, revealing the main reason gives great meaning academically and in the insurance business.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internal and external thesis's, study cases, specialty publication, periodicals, study reports and the internet were researched to find out about the current location, character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background of the surveys done presently to set clause on the questionnaire. Wanting to know the hesitating reasons of existing and latent customers, research was done on preceptive uncertainty, media/channel innovating causes, circumstantial causes and consumer characteristic causes by reviewing past studies. Also, the study collected sample data by surveying latent consumers from D fire insurance firm and A life insurance firm in the capital area with 7point measure and 50 questions. Analysis was done on reliability and stepwise Regression based on frequency through SPSS 15.0 statistics program.

      • 기억을 통한 자아성찰에 관한 연구 : 본인작품 중심으로

        박명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work of the author who tried to recall her past memory of the accumulation of her life and experience and through it to comprehend and thought about her past life. It sought to show in the form of art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of her past that have great effects on her present life. The memory digested into the author’s work are the traces of her life or deposits of her personal past experience. The time carved into the memory does not vanish. Henri Bergson’s view on ‘time as duration’ shows an insight that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coexist among themselves. He argued that the past is not a thing gone by, but a thing that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cessantly influencing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that even though a burden on the present life, it is a force that works on our life in a positive and creative manner. Viewing Bergson’s memory in connection with the work of the author, her memory collecting work can be said to be an effort to live a more active present life and to use the past in the present more wisely by reinvestigating the memory that fetters her present life. John Dewey said that an artist does not avoid the resistance and tension resulting from his/her experience, but rather nurtures them because of his/her desire for an empirical situation where a certain combination is made. He also said that our real world, though an early experience of the past, can become an aesthetic outcome. This description by Dewey allowed the author’s insignificant experiences to become an aesthetic outcome, and it could be recognized that need and desire as an artist enabled her to reveal them in the form of the art even though they were not particular experiences. The author’s work was aimed at collecting and reconstructing in the forms of fragments of pottery the pieces of her life existing as memory and experience. Similarity and difference manifested themselve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with the author’s work the plate paintings by Louise Bourgeois and Julian Schnabel who previously created such work.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act that Bourgeois’ work showed his scar of the past turning into ‘forgiving and reconciliating’ after being expressed as wrath and hatred, while the author’s signified an emotional transformation from ‘understanding and embracing’ to ‘reconciliating.’ Meanwhile, the similarity was identified when it was revealed that efforts were made to heal his scar of the past through the art and that the author’s main object of the healing was the memory of her father. In addition, the similarity was fou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uthor’s work with the work of Schnabel in the way that they both revealed what they intended with the fragments as an instrument, and that they highlighted sharpness of the fragments and overlapped them. Howev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act that Schnabel, by means of the direct fragments, tried to passionately express the emotion in which historic and personal elements were entangled with each other, while the author sought to reveal and embrace her personal experiences with the shapes of the described fragments as an instrument. Through this study, a theoretical clarification was made of the author’s work based on her personal memory and experiences, and her work was found to have discrimination against other previous works. Based on this study, we seek to perform more in-depth work and research. 본 논문은 연구자의 삶과 경험의 축척인 지나간 기억을 불러내어, 그것을 통해 과거의 삶을 통찰하고 사유하고자 했던 연구자의 작업에 관한 연구로서, 현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과거 기억과의 소통을 예술의 형식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에 소환되어온 기억은 삶의 흔적들이기도 하고, 연구자 개인의 과거 경험의 퇴적물이기도 하다. 그 기억에 각인된 시간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 1859-1841)이 말한 ‘지속으로서의 시간’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서로 공존한다는 통찰을 보여준다. 그는 과거는 단순히 지나가버린 것들이 아니라, 팽창하고 수축하여 현재와 미래에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며, 현재의 삶에 짐이 되는 기억일지라도 그것은 우리의 삶에 긍정적이고 창조적으로 작용하는 힘임을 역설하였다. 베르그손의 기억을 연구자의 작업과 연결지어 볼 때 연구자의 기억 수집 작업은 현재의 삶에 족쇄로 작용되는 기억들을 재탐색하여 보다 적극적인 현재를 살기 위함이고, 과거를 현재에 현명하게 이용함이라고 할 수 있다. 존 듀이(John Dewey,1859-1952)는 예술가는 어떠한 결합이 행해지는 경험적 국면의 갈망 때문에 경험에서 비롯된 저항과 긴장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들을 키운다고 하였다. 또한 우리의 현실세계는 과거의 초기적인 경험일지라도 미적 소산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듀이의 이와 같은 설명을 통해 연구자의 사소한 경험은 미적 산물이 될 수 있는 것이고, 특별한 경험이 아닐지라도 예술가로서의 욕구와 갈망 때문에 그것들을 예술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연구자의 작업은 기억과 경험으로 존재하는 삶의 조각들을 도자기 파편들의 형태로 수집하여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작업을 선행했던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1911-2010)와 줄리앙 슈나벨(Julian Schnabel, 1951~ )의 플레이트 페인팅(Plate Painting)을 연구자 작업과 비교하고 분석해본 결과 유사점과 차이점이 드러났다. 부르주아의 경우 과거의 상처를 분노와 증오로 표출한 후 용서와 화해의 단계로 접어들었지만 연구자의 작업은 이해하고 수용하는 단계에서 시작되어 화해에 이르렀음이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예술을 통해 상처받은 과거의 경험을 드러내어 치유하고자 했음과, 치유의 주된 대상이 아버지의 기억이었음이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슈나벨의 작품과 비교하여 발견한 유사점은 파편을 도구로 하여 각자가 의도한 바를 드러냈으며 파편의 날카로운 단면들을 부각시키고 파편들을 중첩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슈나벨의 경우 직접적인 파편을 수단으로 하여 역사적 요소와 개인적 경험이 얽혀 있는 감정을 격정적으로 표출하고자 하였으나, 연구자 경우 묘사한 파편의 형태들을 도구로 하여 사적인 경험을 드러내어 수용하고자 하였음이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사적인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연구자의 작업에 대해 이론적 규명을 하게 되었으며, 연구자의 작업이 선행작업에 대한 변별성을 갖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앞으로 보다 심도있는 작업과 연구를 하고자 한다.

      • 반복 학습-검사 과제에서 경고가 노인과 젊은이의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박명숙 전북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DRM(Deese-Roediger-McDermott)목록을 학습하고 검사하는 시행을 4회 반복하는 동안 경고가 노인과 젊은이의 오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정상 노인 36명과 젊은이(대학생) 3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노인 반과 젊은이 반은 DRM목록의 학습 전에 오기억 발생 가능성에 관한 경고를 받았고 나머지 반은 학습 전에 경고를 받지 않았다. DRM목록은 특정 유의어에 대한 연상단어들로 구성되며 유의어 자체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각 시행마다 4개 목록(발, 의사, 잠, 도둑)의 연상단어 60개를 들은 다음, 그 직후 자유회상 검사를 받았다. 경고조건에서는 유의어를 오기억 할 위험을 미리 실험 참가자에게 주지시켰으며, 비 경고조건에서는 지시가 없었다. 비경고 조건에서 노인들은 시행의 반복에도 불구하고 오기억이 줄어들지 않았으며, 젊은이들은 오기억이 줄어들었다. 경고조건에서 노인들은 오기억이 줄어들었지만, 경고조건에서 반복될수록 오기억이 줄지 않았다. 젊은이의 경우는 경고에 의해 오기억이 줄어들었으며, 시행이 거듭될수록 오기억은 점차 사라져서 나중에는 거의 없어졌다. 이 결과는 노인의 경우에 반복에 의해 오기억이 거의 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자발적인 내적(self-initiated) 소스 모니터링체제가 붕괴되었지만, 경고조건에서는 오기억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외부전략을 사용할 능력은 보존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안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