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로봇의 눈동자를 통해 표출되는 감정에 따른 사용자 인식 및 선호도 연구

        박다솜 ( Park Da-som ),반영환 ( Pan Young-hwa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7 No.-

        현대 사회는 산업의 무한한 발전과 더불어 로봇 기술은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양한 분 야에서 로봇을 활용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다 양한 분야에서 로봇이 활용되는 만큼 HRI(Human-Robot Interaction)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로봇의 감정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로봇과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요소로 소셜로봇의 눈동자를 감정 전달의 매개체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로봇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정전달이 이루어지는 수단으로서 눈동자의 형태를 구조화하고자 하며, 이 과정을 통해 로봇의 눈동자가 표현하는 감정 요소들이 사용자 공감대와 수용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인간이 느끼는 기본적인 감정에 대해 분류하고, 그 감정 분류에 따라 감정 단어를 추출하였다. 감정 단어 추출 및 평가 모델로는 Russell의 Circumflex 모델(1980)을 적용하였다. 감정 눈동자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해 표본 선정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눈동자 요소를 도출해 눈동자 표현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감정 분류를 위해 평가 모델에 해당하는 감정과 시각적으로 표현한 눈동자의 관계를 맵핑하였고, 이후 눈동자 프로토타입 유형 별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가 생각하는 소셜 로봇의 눈동자 유형은 동그란 형태를 연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셜 로봇의 눈동자가 의도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에 대해 대부분은 의도한 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 로봇과의 인터랙션에서 감정적 반응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내기 위해 로봇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 중 하나인 눈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소셜 로봇의 눈을 매개체로 하는 감정 전달과 교류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감정적인 영향에 대해 밝혀냄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 In modern society, along with the infinite development of industry, robot technology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and at the same time, there have been cases where robots are used in various fields. Human-Robot Interaction (HRI)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robots are used in various field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motional communication of robo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the social robot 's pupil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the social robot and the us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motional elements expressed by the robot's pupils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r consensus and acceptance 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of structuring the pupil shape as a means of conveying emotions in robot communication. To understand this, we classify the basic emotions felt by humans and extract emotional words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categories. Russell 's Circumflex model (1980) was applied as emotion word extraction and evaluation mod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he selection of emotional pupil prototype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pupil elements were derived and a pupil expression prototype was constructed. For the emotion class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model and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pupil was mapped, and then the preference of each pupil prototype type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shown that the type of social robot 's pupil is reminiscent of a round shape, and most of the social robot' s pupils perceive the intention and intention to convey as intended. This study investigated one of the physical elements that constitute a robot to draw empathy for emotional reaction in interaction with social robot. It also has significance by revealing the emotional influence of social robot's eyes on the emotional transmission and interaction of users.

      • KCI등재

        소문에 대한 복수, 복수로서의 소문-이청준 소설의 소문 연구-

        박다솜 ( Park Da-so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7 No.-

        이 글은 이청준의 소설에서 소문이 기능하는 양상을 살피고, 나아가 소문과 이청준 고유의 문학관과의 연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소문에 관한 논의들은 거짓/진실이라는 이분법적 틀 안에서 다루어져 왔다. 소문의 내용이 전적으로 허구인지 혹은 모종의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지가 중요하게 여겨졌던 것이다. 그러나 거짓과 진실의 대립은 소문에 선재하는 실체가 아니며 소문 이후에야 비로소 중요해진다. 거짓과 진실, 사실과 허구라는 대립 구도는 소문의 효과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거짓/진실이라는 이분법적 대립 구도에서 벗어나 소문이 현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청준의 소설은 소문의 진위 여부에 연연하지 않는다. 소문의 내용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며, 심지어는 거짓임을 알면서도 소문에 충실하는 인물들도 있다. 이청준 소설에서 소문은 ‘상징적 진실’로서 기능한다고 말할 수 있다. 비록 그것이 허위인 경우에도 소문은 인물들의 현실을 통제하고 구조화하는 것이다. 진위 여부와는 무관하게 기정사실처럼 작용한다는 것이 소문의 본질적 특성이다. 이청준의 소설 「뺑소니 사고(1974)」에서는 소문의 이런 특성과 대결하려는 의지가 드러난다. 하지만 「용소고(1990)」에 이르면 이 의지는 좌절되고 만다. 소문으로 인해 살인을 하는 이야기(「소문과 두려움(1971)」)에서 소문에 대한 대결 의지(「뺑소니 사고」)와 그 좌절(「용소고」)을 거쳐 소문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이야기(「이상한 선물(2007)」)까지, 소문을 바라보는 작가의 인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차츰 변화했다. 소문에 대한 이러한 인식 변화를 이청준 고유의 문학론인 ‘복수로서의 문학’과 연관시켜 읽을 수 있다. 소문의 의미 변화와 ‘복수로서의 문학론’의 호응 양상을 살피는 일은, 세상에 복수하기 위해 소설을 쓰게 되었다는 이청준의 문학론이 ‘소문에 대한 복수’에서 ‘복수로서의 소문’으로 깊어져 갔음을 알 수 있게 한다. Discussions about rumors have been handled within the frame of the dichotomy of false/truth. However, the contrasting composition of false and truth, fact and fiction is only the effect of rumors. Therefore, when discussing rumors appearing in literary works, it is necessary to have an attitude not to focus on the authenticity of the contents. This paper aims to break away from the binary opposition of false/truth and examine how rumors affect reality. For this purpose, analyzed the rumors of Lee Cheong-jun’s novel. In Lee Cheong-jun’s novel, rumors function as ‘symbolic truth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rumors is that they act as if they were established fac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true or not. In “Hit-and-Run Accident(1974)”, the will to confront this characteristic of rumors is revealed. However, when you reach “Yongsogo(1990)”, this will is frustrated. From the story of murder caused by rumors(“Rumors and Fears(1971)”) to the will to fight the rumors(“Hit-and-Run Accident”) and its frustration(“Yongsogo”), and the story of find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 rumors (“Strange Gift(2007)”), the author’s perception of rumors has gradually changed over time. This change of perception can be read in connection with Lee Cheong-jun’s own literary theory, ‘literature as revenge’. Examining this relationship shows that Lee Cheong-jun’s literary theory that he wrote a novel to revenge on the world has changed from ‘revenge for rumors’ to ‘rumor as revenge.’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및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비교

        박다솜(Park, Dasom),정가윤(Chung, Kayo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유아교사 286명과 중국 유아교사 234명 총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Window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χ²검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관련하여 교실 내 비치된 그림책의 양과 교체 시기, 읽기 집단 구성, 자주 읽어주는 장르, 확장 활동에서 한국과 중국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하여 한국과 중국 교사들은 그림책 읽기를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림책 읽기의 목적, 개별적 및 대․소집단 읽기 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국가 변인 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그림책 읽기 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중국 교사가 한국 교사에 비해 풍부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현황과 이를 둘러싼 교사의 인식 및 상호작용의 세 요소를 통합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and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preschool teachers’ practice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their perceptions on picture-book reading, and interactions for picture-books read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their practice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in preschools. Chinese teachers had larger amount of picture-books in their classroom than Korean teachers, but Korean teachers changed their books more frequently than Chinese teachers. Reading picture-books for a large group or small group is relatively common in Korea, but that for an individual is relatively common in China. Second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perception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Both teachers in Korea and China considered picture-book reading as important. Many of Korea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hildren’s imagination and creativity. However Chines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to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their linguistic abilities. As barriers to reading activity with picture-books, regardless of the size of group, Korean teachers said that it was hard to have various types of picture-books in the classroom’s and they didn’t have enough time to read picture-books to their students. Regardless of the size of group, Chines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thought they lacked understanding of how to interact with children when they were reading.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their interactions of picture-book reading.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in China were more abundantly interacting with children in terms of both the total score of interaction and four kinds of sub-types than the teachers in Korea.

      • 한국 전통마을 공간 특성을 적용한 공동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

        박다솜(Park, Da-Som),김경순(Kim, Kyoung Soon)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3 No.1

        The most important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in the past was community. By looking at overseas cas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wit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s in the efforts to revive the sense of community. Even though the main industry has changed and the value pursued has changed, many efforts are still being made to restore the sense of community abroad. It is impossible to practically apply the traditional village composition of the past to modern apartments. In addition, since apartments are closely related to economic problems, there will be many problems in grounding. However, the concept of community in the traditional village will become fixed, and modern apartments will be able to become an important reference with zone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소셜 로봇의 눈동자 움직임을 통한 인간-로봇의 감정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박다솜 ( Da Som Park ),반영환 ( Young Hwan P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2

        연구배경 개인의 일상 속에서 로봇을 어렵지 않게 접하는 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HRI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로봇과 인간간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정적 교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RI에서 발생하는 감정 커뮤니케이션을 소셜 로봇의 눈동자 움직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즉 감정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매개체로 소셜 로봇의 눈동자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소셜 로봇의 눈동자 움직임은 감정을 내포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로봇이 의도한 감정을 인식할 수 있고, 감정 눈동자를 위해 도출된 컴포넌트의 조합에 따른 사용자 선호도가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소셜 로봇의 영상을 Type A, Type B를 바탕으로 감정 눈동자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각 눈동자는 Ekman의 FACS(1977)에서 정의한 기쁨, 슬픔, 놀람의 감정을 기준으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Type A가 Type B보다 로봇이 의도한 감정을 느끼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이는 Type B의 눈동자 요소의 조합이 명확한 감정 전달이 어려운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각 Type에 따른 선호도 조사에서 Type A와 Type B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이를 통해 눈동자를 통한 감정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것에 긍정적인 반응이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소셜 로봇은 인간과의 사회적 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상호간의 교류와 인간이 로봇을 통해 경험하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산업용 로봇 중심의 과거와는 달리 현재 소셜 로봇 시장의 성장으로 일반사용자들은 점차적으로 로봇을 접할 기회가 빈번해지고 있어 감정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의 활용은 더욱 커질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s the robot changes into an environment that makes it difficult to see the robot in everyday life,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HRI. Therefore, research on emotional interactions in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robot and humans is actively conducted. In this study, emotional communication in HRI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pupil of the social robot. In other words, we will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social robot's eyes as the main mediator of emotional communication. Methods The movement of the pupil of the social robot has emotions,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tention of the robot and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user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omponents derived for the emotional pupil. For this purpose, the emotional pupil prototype was created based on Type A and Type B images of the existing social robot, and each pupil was derived from the feelings of joy, sorrow, and surprise defined by Ekman 's FACS (1977). Result Type A had no difficulty in feeling the robot's intended emotion than Type B. This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the pupil elements of Type B is due to the difficulty of conveying clear emotions. However, both Type A and Type B were found to be preferred in each type of preference survey.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reaction to emotional communication through the eyes. Conclusion As social robots can not exclude social relations with humans, mutual exchanges and human experiences through robots are important. Unlike the past, which is centered on industrial robots, the growth of the social robot market is likely to increase the use of emotional communication.

      • KCI등재

        영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박다솜(Da-Som Park),신지연(Ji-Youn Shi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영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실행역량간의 관계에서 놀이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의 방법은 pearson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실행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영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높을수록 놀이실행역량도 높았다. 둘째, 영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이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영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놀이실행역량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으로 나타났다. 놀이신념은 놀이성보다 놀이실행역량에 더욱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으며,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쾌활성은 영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에 큰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놀이성은 놀이신념과 놀이실행역량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ant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on play execution competenc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infant teachers play execution competency. To this end, a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to 231 infant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according to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ep-by-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s playfulness, play belief, and play execution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variables. The higher the playfulness and play belief infant teachers, the higher the play execution competen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infant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 on play execution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infant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 were the main variables predicting play execution competency. Play belief is a variable that has a greater influence on play execution competency than playfulness, and among the sub-variables of playfulness, pleasure has a greater influence on play execution competency of infant teacher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playfulness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beliefs and play execution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