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rancis Poulenc의 연가곡 <Air chantés>의 음악 분석

        박누리 추계예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Francis Poulenc은 프랑스 예술가곡의 전통을 계승한 20세기의 대표적인 작곡가 중에 한사람으로써 신고전주의자들의 모임인 ‘프랑스 6인조’의 일원으로 그 중 가장 젊고 뛰어난 작곡가이다. 그는 특히 가곡 분야에서 대중적이고 친밀한 작곡가로 평가되었으며, 사람의 목소리를 사랑한 그는 가곡만 150여 곡의 많은 작품을 남겼다. 자신의 방식대로단순하면서도 대담하고 솔직하게 작곡하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더 큰 인정을 받았다. 또 같은 시대의 시인들과 깊이 있는 문학적 교류를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연가곡 형태의 가곡을 주로 작곡하였다. 본 논문은 그의 가곡 중 가장 잘 알려진 <Airs chantés>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상징주의 시인 Jean Moréas (1856-1910)의 시로 자연과 인간을 주된 소재로 하여 그것의 내면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Airs chantés>는 Poulenc의 창의적인 화성적 특징이 뛰어난 작품이며, 신고전주의의 특징인 감정의 절제와 균형, 형식, 간결한 선율과 리듬 등의 음악적 특징이 잘 나타나있어 아름다운 매력을 가진 작품이다. Francis Poulenc, as the typical composer of the 20th century, inherited the tradition of French art song. He is a member of 'Les six' group of neoclassical. He especially has been evaluated as intimate composer and popular in the field of song. He left many works more than 150songs because the way he loved the voice of the people. He compose in his own way which is straightforward, simple but also bold. After the Second world war, He was even large recognized, The literary exchanges with poet and depth of the same era, which was mainly composed the songs of the original to cycle song form. In this paper, the author was analyzed for the most well-known <Airs chantés> in his song. Jean Moréas(1856-1910), a Symbolism poet represents the nature and human beings in the main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Airs chantés> is a well-known work of creative harmony and of the neoclassical feature which is moderation of feeling, balance, format, simple melody and rhythm so that this work is beautiful.

      • 역기능적 신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초점적 주의와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박누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De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307 data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Jeolla-do a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PSS 20.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lso, SPSS PROCESS macro and a bootstrap approach were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Anxie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focused attention,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Anxiety. Thirdly, Decenter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Anxiety respectively.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Self-focused attention and Decentering mediated the influence of Dysfunctional beliefs on Social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next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역기능적 신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탈중심화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30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SPSS 20.0를 사용하여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부트스트랩 방법으로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불안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초점적 주의는 역기능적 신념, 사회불안과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탈중심화는 역기능적 신념, 사회불안과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탈중심화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신속한 급성 백혈병 진단을 위한 림프구와 아세포의 광학 회절 단층촬영 분석

        박누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iagnosis of acute leukemia depends on a logical sequence of several tests, combining morphological features, immunophenotyping, cytogenetics and molecular biological features. The tests classify acute leukemia and determine the direction of prognosis and treatment. Although these are accurate routine analyses of acute leukemia diagnosis, they are time consuming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se various steps. Furthermore, reactive lymphocyte, lymphoblast, and myeloblast are often difficult to distinguish their morphology with stained blood smear analysis, thus making it difficult to diagnose diseases due to interobserver variation. Optical diffraction tomography (ODT) microscope is capable of capturing a living cell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out chemical treatment such as fixation,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d cell sorting. Besides, it can be measured volume, mean refractive index (RI), surface area, dry mass, protein concentration, sphericity, projected area and threshold RI of each cell. In this study, new parameters of lymphocyte, lymphoblast and myeloblast were analyzed and volume rendered 3D images were used to show cells, thereby analyzing various information of cell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with the blood film examination. As a result, lymphocyte was the smallest, followed by lymphoblast and myeloblast in the volume, dry mass, surface area and projected area. The mean values wer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same order as the cell diameter. And when visualized in 3D, the nuclei of mature lymphocytes were clearly visible, but the nuclei were not well distinguished from the cytoplasm in blast cells.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objective information of lymphocyte, lymphoblast and myeloblast was newly identifi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rough standardization of these new parameters, ODT is possible to be used for the diagnosis of leukemia quickly after blood collection without staining to overcome time consuming and reduce interobserver variation. 급성 백혈병의 진단은 세포의 형태학적, 면역학적, 세포 유전학적, 분자 생물학적 특징을 종합하여 급성 백혈병의 아형을 분류하고 예후 및 치료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는 급성 백혈병 진단에 대한 정확한 routine tests이지만, 여러 단계의 결과를 확인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더욱이 반응성 림프구, 림프아구, 골수아구는 형태상 구분이 어려워 판독자 간의 견해 차이로 질병의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Optical diffraction tomography (ODT) 현미경은 세포의 고정, 염색, 세포 분류 등의 화학적 처리 없이 단시간 내에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고, 3D image로 구현하여 각 세포의 volume, mean refractive index(RI), surface area, dry mass, protein concentration, sphericity, projected area(투영면적), threshold RI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DT 현미경을 통해 림프구, 림프아구, 골수아구의 parameter를 새롭게 분석하고, 3D image를 사용하여 세포를 분석함으로써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림프구, 림프아구, 골수아구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Volume, dry mass, surface area, projected area에서 림프구의 평균이 가장 작고, 그다음이 림프아구, 골수아구가 가장 크게 관찰되어 알려진 세포의 직경과 같은 크기 순서에 부합하여 평균값이 측정되었고, 3D로 시각화했을 때 성숙한 림프구는 세포의 핵이 세포질과 명확하게 구별이 되었지만, 미성숙 백혈구의 핵은 세포질과 잘 구별되지 않아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면 림프구와 비슷한 형태를 가져 판독이 어려운 아세포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ODT 현미경으로 림프구, 림프아구, 골수아구의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학적, 생화학적 지표를 확인하였고, 세포 간에 통계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세포를 관찰하여 세포에 따라 차이가 있는 parameter의 범위를 지정하여 진단을 표준화시키면, 판독자 간 편차를 줄일 수 있고, 채혈 후 염색과정 및 추가 검사 없이 신속하게 급성 백혈병을 진단 할 수 있어 각 진단에 적합한 치료를 더욱더 빠르게 시작하여 환자의 예후가 더 좋아질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과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

        박누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research whether the internalized shame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hav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isplaced aggress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e research, this study measur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nalized shame,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displaced aggression, focusing on 305 people in four-year course colleges, including both enrolled students and students on a leave of absence. It utilized SPSS 2.6 and SPSS PROCESS Macro 4.0 progra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n every relation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nalized shame,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displaced aggression. Second, it found that internalized shame has simpl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isplaced aggression. It means that, as student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much more, internalized shame was higher and displaced aggression more increased. Third, it found that displaced aggression has simpl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isplaced aggression. It means that, as student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much more, hostile attribution bias was higher and displaced aggression more increased. Fourth, it found that internalized shame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hav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isplaced aggression. It means that students who perceiv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much more showed higher internalized shame and higher displaced aggression due to increased hostile attribution bias. By researching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parental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displaced aggress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expand recognition on the displaced aggression. Based on problems of displaced aggression, which not only causes severe ‘social crimes’ but also appears in daily life,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적대적 귀인편향이 순차적으로 매개효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및 휴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적대적 귀인편향, 전위공격성을 측정하였고, SPSS 2.6과 SPSS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적대적 귀인편향, 전위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단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크게 지각할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고 전위공격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의 단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크게 지각할수록 적대적 귀인편향이 높고 전위공격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적대적 귀인편향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크게 지각하는 대학생들은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게 나타났으며, 적대적 귀인편향이 증가하여 높은 전위공격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외적 요인(부모요인)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전위공격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전위공격성으로 심각성을 초래하는 ‘사회적 범죄’와 더불어, 우리의 일상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전위공격성의 문제점을 토대로 그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

        박누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oundations on which social anxiety occurs and investigated the sequentially mediating rol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in the path from self-concept clarity to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424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completed self-questionnaires. The result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anxiety, but self-concept clar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anxiety.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depression, the correlation among these factors were still remained significant. Also, the sequentially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has been found i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The same results have been found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depression. Overall, the result suggests that people with lower self-concept clarity tend to have more lack of tolerance of uncertainty inducing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refore, they are more likely to feel social anxiety.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발생하게 되는 기저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으로 가는 경로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이 순차적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 424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SCCS),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단축형 척도(IUS-12), 사회비교 경향성 척도(INCOM),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사회공포증 척도(SPS), 한국판 우울증 선별 척도(CES-D)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 사회불안은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개념 명확성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 경향성, 사회불안과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각각의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또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자기개념 명확성이 낮을수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하며, 이로 인해 타인과 사회적 비교를 많이 하게 되고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베이지안 및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사고위험 상황 정의 및 예측에 관한 연구

        박누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afety management strategy is needed to reduce road traffic accidents because crashes cause deaths and great losses i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the past, safety management strategies focused mainly on reactive safety management by using historical data such as crash data, roadway geometric structure data, and hazardous section data such as congestion sections. However, recently, the need for a proactive safety management strategy that detects the precursor of a crash before a crash occurs, responds to crash risk situations, and prevents crashes has been raised. Accordingly, research to predict real-time crash risk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previous studies attempted to derive a real-time crash risk prediction model using various methodologies such as statistical technique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this study, a real-time crash risk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by using Bayesian methodology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proactive safety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real-time crash risk situation on the highway and the crash risk level.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model by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ffic flow cluster in the crash risk prediction, a hazardous traffic flow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Multilevel Bayesian Modeling was constructed. In this study, the available data were divided into dynamic data and static data and collected for crash risk prediction, and integrated data combined with historical crash data was constructed. In the case of dynamic data, it is data with real-time characteristics that change over time, such as highway vehicle detection system (VDS) data and weather data. In the case of static data, it is historical data at a fixed point in time built in the past, and includes data on vulnerable sections and road geometry. In this study, various factors affecting crash risk were included in the crash risk definition and crash risk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by using integrated data including real-time performance and historical data. After constructing the integrated data for analysis, the crash risk situation was defined by dividing the crash risk cluster using K-means clustering, a representative unsupervised learning cluster classification method, and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uster. After defining the crash risk situation, Multilevel Bayesia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build a crash risk prediction mod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of hazardous traffic flow were applied to the model. The predictive performance was compared by develop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hich is one of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a support vector machine-based crash risk prediction model, which is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s a result of defining the crash risk situation,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In the case of cluster 1, the traffic flow at risk of crashes in the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lanes, the traffic volume, and the difference in traffic volume and speed are relatively small, in the case of cluster 3, the traffic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cluster 1 As a situation, in the case of cluster 2, it was defined as a crash risk traffic flow showing characteristics between clusters 1 and 3. After defining the crash risk situation, a multilevel model was developed to reflect each crash risk situation cluster in the model. In this cas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to which a random slope was applie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ultilevel Bayesian logit model to which a random slope was not applied. The results were derived. The final model is a Multilevel Bayesian logit model with a random gradient, which showed the highest predictive performance when compared with the crash risk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support vector machine and the basic logit model, thus proving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multi-level model. Using the real-time crash risk prediction model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prepare responses according to real-time crash risk when establishing preemptive safety management measures for highway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to cope with the risk of crashes and further to prevent crashes. 교통사고는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큰 손실을 야기하고 사망을 초래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안전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과거 안전관리 전략은 주로 교통사고 자료, 기하구조 자료, 상습 지정체 구간 등 위험 구간 자료와 같이 이력 자료를 활용하여 교통사고에 대한 사후대처(Reactive Safety Management)에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교통사고 발생 전 사고발생 징후를 포착하고 사고위험 상황에 대응 및 사고를 예방하는 선제적 안전관리 전략(Proactive Safety Management)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도로 교통 사고위험을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기존 연구들에서는 통계기법과 머신러닝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실시간 사고위험 예측모형을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서의 실시간 사고위험 상황 도출과 사고위험도를 바탕으로 하는 선제적 안전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 연구로, 베이지안 추론 기법을 활용하여 실시간 사고위험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사고위험 예측 시 교통류 군집 별 특성을 포함해 모형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층 베이지안 방법론 기반의 사고위험 교통류 분류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위험 예측에 앞서 구득 가능한 데이터를 동적 데이터와 정적 데이터로 나누어 정리하였으며, 사고 데이터와 결합한 통합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동적 데이터의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실시간성이 있는 데이터로, 고속도로 차량검지기 데이터와 기상 데이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적 데이터의 경우 과거에 구축된 고정 시점의 이력 데이터로, 취약 구간 데이터와 도로 기하구조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성과 이력 자료가 포함된 통합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사고위험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사고위험 정의와 사고위험 예측모형 개발에 포함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통합 데이터 구축 후 대표적인 비지도 학습 군집 분류 방법론 K-means Clustering을 사용하여 사고위험 군집을 나누고 군집의 특성을 정리하여 사고위험 상황을 정의하였다. 사고위험 상황 정의 후 사고위험 예측모형 구축을 위해 다층 베이지안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사고위험 교통류 군집 별 특성을 모형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모델 성능 비교를 위해 이항 분류에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통계기법 중 하나인 로짓 모형과 머신러닝 기법의 하나인 서포트벡터머신 기반의 사고위험 예측모형을 개발하여 예측성능을 비교하였다. 사고위험 상황 정의 결과 총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군집 1의 경우 차선 수가 적고 교통량이 적으며 교통량 차이와 속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에서의 사고위험 교통류, 군집 3의 경우 군집 1과 정반대의 교통상황으로, 군집 2의 경우 군집 1과 군집 3 사이의 특성을 보이는 사고위험 교통류로 정의 내렸다. 사고위험 상황 정의 후, 각 사고위험 상황 군집을 모형에 반영할 수 있도록 다층 모형을 개발하였고, 베이지안 모형 개발 결과 전체적으로 핵심 변수에 사전 분포를 부여한 모형의 예측성능이 높게 도출되었으며, 다층 모형의 경우 무작위 기울기를 부여한 모형의 성능이 무작위 기울기를 부여하지 않은 모형에 비해 높게 나타나 모형 구축 시 모형 내에서 각 군집의 기울기가 다르게 설정되도록 무작위 기울기를 부여해주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최종 모형은 무작위 기울기를 부여한 다층 베이지안 로짓 모형으로, 서포트벡터머신과 기본 로짓 모형 기반의 사고위험 예측모형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예측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다층 모형의 예측성능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사고위험 상황 정의와 사고위험 예측모형을 사용하여 향후 고속도로 선제적 안전관리 대책 수립 시 실시간 사고위험에 따른 대처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사고위험도 기반의 선제적 안전관리를 통해 사고위험 대처와 나아가서는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주제별 영어 글쓰기를 통한 6학년 영어학습자의 언어적 능력향상과 정의적 태도 연구

        박누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현재,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 시, 공간을 초월하여 의사소통 하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럽다. 많은 사람들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글로 써서 표현하고 이를 수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며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따라서 음성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문자로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잘 전달하는 능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고 이로 인해 쓰기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7차 영어교육과정에 따르면 초등학교 영어는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 주는 교과로서 음성 언어를 중심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바탕이 되는 언어기능교육에 중점을 둔다. 또한,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와 중학교 1학년 학습자에게 요구하는 성취기준의 차이가 너무 크다. 초등학교 때 음성 언어 중심의 영어교육에 익숙해져 있던 학생들이 1년 만에 높아진 문자 언어 성취기준을 따라잡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 특히 6학년 학생들에게는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쓰기 교육보다 심화된 쓰기교육을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단원별 주요 단어와 문장을 익히고 4차시에 단원 주제와 관련된 Writing Project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각 단원과 관련된 주제별 글쓰기를 순환적인 방법으로 했을 때 학생들의 쓰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J초등학교 6학년 7개 학습 중 사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영어 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가 가장 비슷한 2개의 학급을 선정하여 약 4개월 간 교과서 각 단원과 연계된 주제별 영어 글쓰기를 통한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의 정도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주제별 영어 글쓰기를 통해 영어 글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6차시로 구성된 수업시간에 각 단원별로 1차시에 주요 단어 10개, 3차시에 문장 5개를 제시하여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이를 익히도록 하였다. 3~4차시에는 교과서 내 쓰기 활동과 모둠별 쓰기 활동을 실시하여 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Writing Project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있게 하였다. 4차시에 과제로 Writing Project Worksheet를 학생들에게 배부하였는데 주제는 각 단원의 내용적, 언어적 목표에 맞게 교사가 구성하였다. 학생들이 Write칸에 1차로 작성한 글을 5차시 수업 전 제출하고 교사가 실험반, 비교반 모두에게 문법오류를 고쳐주고 실험반 학생들에게만 내용에 대해 긍정적 코멘트(Comment)를 적어주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Rewrite 칸에 다시 수정하여 적어서 제출하였다. 실험 후, 교사는 학생들이 실시한 사전․사후 쓰기 능력 검사와 정의적 영역 사전․사후 쓰기 설문지를 양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글쓰기 결과물과 쓰기에 대한 의견이나 소감 적은 것을 분석하여 하였다. 다음은 이를 통해 얻은 결과이다. 첫째, 피드백 방식에 상관없이 주제별 글쓰기를 한 학생들 모두 유의미한 수준의 쓰기 능력 향상을 보였다. 쓰기 능력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반의 경우 사전이 38.80, 사후가 41.70으로 유의확률 .000이다. 이는 주제별 글쓰기 활동에 의해 실험반 학생들의 사전과 사후 쓰기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비교반 역시 사전 35.19, 사후 41.17로 주제별 글쓰기에 의한 쓰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습자들이 교과서 텍스트 중심의 학습을 할 때보다 자신의 생활과 연관된 글쓰기를 통해 주요 표현을 익힘으로써 유의미하고 맥락적인 학습이 가능하였고 이로 인해 쓰기에 대한 유창성과 정확성이 높아졌다. 또한, 주제별 글쓰기를 통해 신장된 쓰기 능력을 바탕으로 좀 더 심화된 쓰기 활동이 가능하였다. 실험 후, 학생들이 일일계획표 세우고 설명하기, 영웅을 소재로 영어 만화 만들기와 같은 심화된 글쓰기 활동을 잘 수행하였다. 둘째, 문법적 오류만 수정해준 반보다 문법적 오류 수정과 더불어 내용에 대한 긍정적인 코멘트를 받은 반이 영어 글쓰기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돋보였다. 실험반, 비교반 두 집단의 정의적 영역 사후 검사지 평균을 비교해 본 결과 동기영역은 10점 만점에 실험반이 8.39, 비교반이 7.96로 나타났다. 동기영역에서 두 집단의 평균에 대한 유의확률이 .022로 .05보다 낮아 동기가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자신감 영역에 대한 평균점수는 실험반이 8.48, 비교반이 8.08로 역시 유의확률이 .05보다 작아 실험반 학생들의 자신감이 비교반보다 유의미하게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태도 영역의 평균점수 역시 실험반 4.30, 비교반 4.13으로 실험반이 더 높았다. 셋째, 주제별 글쓰기를 하기 전. 후를 비교해본 결과 전반적으로 영어 쓰기에 대해 가지고 있던 두려움과 어려움이 글쓰기 활동을 하면서 줄어들고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학습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글쓰기를 하게 함으로써 글쓰기를 좀 더 친숙하게 느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중대한 문법 오류를 수정해주고 내용에 대한 코멘트를 적어줌으로써 글쓰기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생기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일상생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의 주제별 글쓰기와 교사의 피드백은 쓰기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정의적 태도 변화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내린 결론과 제한점을 바탕으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영어 쓰기 교육과정과 중학교 영어 쓰기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편성이 필요하다.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쓰기 교육에 충분한 시간이 배정되지 않고 성취기준 역시 중학교 쓰기 교육에 비해 매우 기초적이다. 근본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영어 쓰기 교육이 좀 더 발전되기 위해서는 교육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초등 영어 교육 전문가와 중등 영어 교육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의견을 공유하여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위한 주제별 글쓰기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초등학교 영어 쓰기 활동은 단어와 문장을 단순히 베껴 쓰거나 매우 통제적이고 단순한 글쓰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자신의 경험이나 일상생활을 바탕으로 좀 더 자유로운 글쓰기를 할 때 글쓰기에 더욱 흥미를 느끼고 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제별 글쓰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사가 지도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배워야 한다. 문법적 오류를 고쳐주는 정도와 내용에 대한 코멘트를 주는 것은 교사에게도 처음부터 쉬운 일은 아니다. 영어 쓰기 교육을 위한 연수와 워크숍을 통해 교사들이 쓰기 교육에 대한 확실한 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런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많은 교사들이 실제 쓰기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일반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진화하는 소프트 크리처의 형상 및 움직임 최적화

        박누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기존의 관절 기반 로봇과 달리 소프트 로봇은 자유로운 형태를 가지므로 별도의 디자인 기법이 필요하다. 최근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진화 알고리즘을 통한 소프트 로봇 디자인 기법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기존 기법은 대부분 한 가지 형상에 대해 한 가지 움직임만을 가질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 가지 형상에 두 가지 움직임을 가질 수 있는 진화 알고리즘 설계 방식을 제안한다.

      • 주제 분류별 한국형 담뱃갑 경고그림의 낙관적 편견이 (간접)흡연에 대한 건강 위험인식과 예방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누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Cigarette packages in most countries carry health warnings. Health warning labels on tobacco products constitute the most cost-effective tool for educating smokers and non-smokers alike about the health risks of tobacco use. In many countries, It is to be said that large number of smokers are much more likely to get information related to health issue of smoking from warning labels than any other sources. Additionally, it has been reported that non-smokers, including children, have high level of awareness from warning labels. Theories in social and health psychology, supported by empir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using picture and imagery over text-only messages in health communication. Since the 1950s, many research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fear appeals” are effective in motivating health behaviour change (e.g. quitting). Moreover, it has been experienced that pictorial warnings are; more likely to be noticed than text-only warning labels; more effective for educating smokers about the health risks of smoking and for promoting smokers’awareness about the health risks; and associated with more powerful motivation for smokers to quit smoking. As explained above, the pictorial warning labels on cigarette ensure of effectiveness to decrease smoking rates. However, some people are apt to ignore the cigarette warning pic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ormulate communication strategies based on theories for maximisation of cigarette warning picture effect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pplied ‘optimistic bias’ for recipients analysis which will play a role of critical tool in developing effective cigarette warning picture campaign strategy.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effects of 'optimistic bias' on toward risk perception of health risk and attitude of prevention. The main health issue for this study is pictorial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age, and the method was survey.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n on-line convenience sampling is 138. According to the survey, 66 people out of 132 participants are identified to have optimistic bias on 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and 38 people out of 132 participants are to have optimistic bias on non-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Chi-Squar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ptimistic bias on (non)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also had negative effects to risk perception. Optimistic bias on 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had no effects on attitude. On the other hand, non-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effect on attitude. Also, the finding showed that high risk perception influence to positive attitude for prev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anti smoking health campaign to decrease optimistic bias. Moreover, it is also important to find the way to make people be highly involved in the health issue to lead the positive attitude for preven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at optimistic bias influence not only on 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but also on non-lesion pictorial warning labels group. These are meaningful results because it is possible to apply them to other health issue with this research model.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6백만 명의 흡연자가 담배의 폐해로 사망에 이르고, 약 6십만 명의 비흡연자가 간접흡연의 영향으로 사망하고 있다(WHO, 2015). 2003년 세계보건기구(WHO)는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의 위험을 줄이고자 담배규제기본협약을 제정하고 담뱃갑에 경고그림 부착을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금연 건강 캠페인에서 수용자들이 기피하는 예방태도의 이유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수용자들은 다양한 위험 군에 대하여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건강 위험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는 발생되지 않은 사건에 대해 수용자들 이 높은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위험에 대한 비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고 한다. 흡연율 저하와 (간접)흡연피해를 줄이고자 국가는 다양한 금연 캠페인을 사회·문화적으로 펼치고 있지만, 흡연율의 저하는 날이 갈수록 둔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새롭게 실행하는 한국형 담뱃갑 경고그림 부착 캠페인을 통해 수용자들의 낙관적 편견 형성이 (간접)흡연의 위험인식과 예방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 낙관적 편견은 위험에 대한 중요한 심리적 요인으로 수용자의 심리학적 현상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제 분류별 한국형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낙관적 편견이 (간접)흡연의 위험인식과 예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교차비교분석, 상관관계 분석, t 검증, 이원분산분석 과 다중회기분석의 통계 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수용자들은 주제 분류별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해서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수용자들은 한국형 담뱃갑 경고그림에서도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였으며 신체 피해위험을 표현한 병변그림과 비교하여 간접흡연 피해위험을 표현한 비병변그림보다 약 4배 높은 낙관적 편견을 형성하였다. 추가적으로 확인한 인구통계학적 낙관적 편견의 빈도비율 차이에서는 성별만이 낙관적 편견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성별에 따른 담뱃갑 경고그림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담뱃갑 경고그림의 낙관적 편견은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연구 결과는 병변관련 경고그림과 비병변관련 별로 서로 다른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담뱃갑 경고그림의 낙관적 편견이 예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결과는 병변그림, 비병변그림의 정도 차이는 있었지만 모두 예방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위험인식만이 예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는 금연 캠페인을 계획하고 실행함에 있어서 수용자들에게 위험인식을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금연 캠페인의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수용자들에게 담뱃갑 경고그림의 낙관적 편견을 줄일 수 있는 그림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위험인식과 신뢰를 추가로 포함 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울러 연구 대상에 더 다양한 연령 군을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점,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모든 종류의 담뱃갑 경고그림을 포함하지 않은 것은 연구의 한계로 지적된다. 하지만, 향후 담뱃갑 경고그림의 원만한 시행과 경고그림 개발에 본 연구의 유의미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장소개념의 재설정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해운대구 우1동을 중심으로

        박누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the architectural extension of place and its cognition methods. Placeness are generated from topography and historical culture. If some cities keep neglecting their context, the placeness is not formed and architecture is degenerated as an objets. Therefore the paper reinterpret and classify into places and how they works in the city. Pla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recognition methods as topos, locus and topos·locus. Again classified as form, figure and form·figure, place classification is as follow: topos place with form, topos place with figure, topos place with form·figure, locus place with form, locus place with figure, locus place with form·figure. The debates about place have started since ancient time, scholars have tried to define the meaning of place. But their definitions are so plane that architecture can’t use the definition. The paper add the concept of form and figure to extend concept of place as three dimensions. The word Topology comes from Greek word for “Topos.” Topos is organic system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The spatial layout is harmonious with nature. Topos has connotations of mythical landscape, this is diametically opposed to Euclidean geometry. It offers that small motif of place and arrangement motifs widely. Topos is continuing to reproduction, converging to notion of geomorphology; external expressions, signs, symbols. So topos generate isomorphism. Where place share context, that more show isomorphism. Place metaphor is strongly with the result that several elements reproduce through isomorphism. The plural of 'loci' is 'Locus.' Locus is about object as incident and act. Locus is composed of urban formation substance with various feature. Substance formed by time and space distinguishes place from the other place. Locus is expressed building and monument in city, accumulated experience and memory with time. Place of locus has certain meaning previous nature reveal figure, that shows placeness. Place in architecture and urban is live notion with quality exceeded concept of Cartesian space. Existing notion of place staying superficial. When we experience and recognize place, we perceive not only locational property but also architectural feature. Alan Colquhoun mentioned architectural feature through form and figure. Form means configuration that is held to have natural meaning and figure means a configuration whose meaning is given by culture. The origins of what I call figure lie ine the classical tradition of rhetoric. The word “figure,” together with the word “trope,” is quite precise as a technical term within classical poetics. The figure, therefore, is a condensation, the immediate effect of which is to suggest the richness and complexity of reality. The concept of figure which I am using is general and can be applied to both Gothic and Renaissance architecture, despite their fundamental differences. The concept of pure form, posed as something external to style, probably comes from certain theoreticians of late eighteenth century, for whom “type” was an entity distinct from the “model.” Form is characterized by a degree of abstraction, a simplicity and purity, of profile, and an absence of detail and ornament. I classified above place using Cognitive psychology. Figure-Ground is the first phase of classifying. We can divide place to topos and locus through figure-ground. And then its proceed Prototype matching, template matching, feature analysis. The architecturally extensive concept of types of place is applied to Haeundae-gu U 1-dong in order to analyze and classify the quality of it. To conclude, I recreated the notion of place to architectural expansion. Place is formed not location but experience. Topos and locus are draw a conclusion from geography and architecture. We need to maximize value of place, strengthen placeness. We planning to educe geological original form. Things of ordinary are making history of individual community, society. It need to make architecture and urban connected past and present, future. Developing urban image with fuse topos and locus is method to make and reinforce urban identity. I hope to search for value of place not emphasize appearance without contents and meaning but content meaning and expect these study of placeness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