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7가지 멀티미디어 기능을 만끽하라

        박남수,Park, Nam-Su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5 디지털콘텐츠 Vol.4 No.-

        지난 해‘PMP 열풍’으로 디지털 컨버전스라는 개념이 일반인의 머리 속에 깊이 자리 잡았다. 디지털 컨버전스하면 단연 휴대폰일 것이다. 휴대폰은 어떤 모바일 기기보다 기능이 많다. 현재 이러한 휴대폰의 인기에 편승해 휴대폰 형태로 디자인 된 MP3 플레이어와 디지털카메라가 속속 시장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웨이키안 DV-6500은 폴더 타입 휴대폰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에 7가지 멀티미디어 기능을 담은 최근 경향에 충실한 제품이다.

      • KCI등재

        논문(論文) : 신발견 박창화(朴昌和)의 『화랑세기(花郞世紀)』잔본(殘本)과 "향가(鄕歌)" 일수(一首)

        박남수 ( Nam Soo Park ) 동국사학회 2007 동국사학 Vol.43 No.-

        Hwarangsegi (花郞世紀) transcribed by Park, Chang-wha was found twice in 1989 and 1995. So the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ers have repeated the controversy about its genuineness for 18 year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國史編纂委員會) collected the manuscripts left by Mr. Park Chang-wha en bloc in 2001. Arranging his posthumous manuscripts, I found the manuscripts of Hwarangsegi which was presumed to be a different version(殘本) discriminated from that of 1995 and another Hyangga(鄕歌) included in the manuscripts. I ascertained the facts as follows by examining those material. First, the new version of Hwarangsegi found in this time falls under a sequel to 1989·1995 version of the already found Hwarangsegi in the contents. Second, the new version i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it`s the original version(底本) of 1989·1995 version in many ways, for example, the choice of terms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rebellion of Kim Heum-dol(金欽突), Boryong(寶龍)`s lineage and his marital relations, the origins of Taoist hermit group with supernatural powers(仙徒) and sect of Yeon(燕門). Third, the different version of Hwarangsegi is what Mr. Park wrote in 1930. After he arranged the description of both Samguksagi and Samgungnyusa in a chronological order, he made the ring to connect between the related material logically. Furthermore, it was a historical novel to creat fictitious characters and fanciful stories whenever it was needed. Especially, He corrected the contents of the newly found Hwarangsegi since he had fixed Okigong(吳起公) as the father of Kim, Dae-mun(金大問). And Hwarangsegi found in 1995 became a forged book by adopting the modified contents. Contrary to the controversy about its genuineness until now, moreover, Mr. Park obviously said that he had never seen Hwarangsegi in his other works himself.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 및 영역의 통합지도: 일본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생활단원학습을 중심으로

        박남수(朴南洙)(Nam-Su Park) 한국일본교육학회 2024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 및 영역 통합지도의 한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생활단원학습의 성격과 지도계획 작성 시의 주안점과 고려사항, 의의와 과제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의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과 실천사례, 그리고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단원학습은 학생의 생활을 중심으로 자립과 사회참여에 필요한 내용을 실제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습하는 형태이며, 지도계획은 각 교과의 목표와 내용을 생활상의 목표와 과제를 중심으로 조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생활단원학습은 학생의 생활을 중심으로 일련의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장애학생의 자립과 사회참여 능력 향상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생활단원학습에 대한 정확한 이해, 학생의 주체성을 강조한 지도계획의 수립. 활동의 정형화와 매너리즘에서의 탈피, 개인차를 반영한 수업 설계 및 전개 등의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셋째,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생활을 중심으로 실제 생활상의 목표나 과제에 주안점을 둔 통합지도의 필요성, 통합지도와 관련한 교육과정 차원의 구체적인 지침의 제시, 생활단원학습의 의의를 살리면서 제기되는 과제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의 필요성, 통합적 지도계획 수립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실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本研究の目的は、日本の特別支援学校学習指導要領で、教科及び領域の統合指導の一形態として提示している生活単元学習を中心に、その性格、指導計画作成時の主眼点と考慮事項、実践の意義と課題を探索し、韓国における特殊教育教育課程の開発及び実践のための示唆点を得ることである。このため、日本の特別支援学校学習指導要領と実践事例、先行研究を考察した。研究結果は、以下の通りである。第一に、生活単元学習は、学生の生活を中心に自立と社会参加に必要な内容を実際的で、総合的に学習する形態であり、指導計画は、各教科の目標と内容を生活上の目標と課題を中心に組織する必要がある。第二に、生活単元学習は、学生の生活を中心に一連の活動を経験することによって、障害学生の自立と社会参加能力の向上を指向するという点で意義があるが、生活単元学習に対する正確な理解、学生の主体性を強調した指導計画の樹立、活動の定型化やマンネリズムからの脱却、個人差を反映した授業設計や展開などの課題が提起されている。第三に、このような結果は、学生の生活を中心に実生活上の目標と課題中心の統合指導の必要性、教育課程に統合的指導に関する具体的な指針の提示、生活単元学習の意義を生かしながら提起される課題に対する解決方案の模索の必要性、統合的指導計画樹立のための教師の専門性の伸長のための方案の模索の必要性という側面で、韓国における特殊教育課程開発及び実践に示唆点を提示している。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the main points, and considerations when creating instruction plan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life unit learning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f special support schools in Japan. Furthermore, it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a in Korea based on this explora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urriculum and practical cases of special support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well as related previous research in Japa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life unit learning is a form of learning where students learn content necessary for independ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centered around their daily lives in a practical and comprehensive manner. Therefore, in planning instruction, there is a need to organize the goals and contents of each subject around the goals and tasks of daily life. Secondly, life unit learning aims to enhance the independ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experiencing a series of activities centered around daily life. However, challenges arise such as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life unit learning, the establishment of instructional plans emphasizing student-initiated activities, breaking away from formalism and mannerism in activities, and designing and implementing lessons reflecting individual differences. Thirdly, these results indicat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a and practice in Korea, particularly in terms of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integrated instruction focused on real-life goals and tasks centered around students' lives, providing specific guidelines at the curriculum level related to integrated instruction, seeking solutions to challenges while preserving the significance of life skills learning, and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in developing integrated instructional plans.

      • KCI등재

        신라 宗廟制의 정비와 운영 -중국 종묘제의 변천 및 운영 원리와 관련하여-

        박남수(Park, Nam-soo)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9

        신라 상고기에는 박·석·김 3성이 교차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러한 때에 단일 혈연 관념으로 만들어진 종묘제도를 어떻게 운영하였을까 하는 점은 큰 의문이었다. 본고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단초로서 역대 중국의 예제상에 나타난 종묘제의 변화와 운영원리에 주목하였다. 이에 『삼국사기』 제사지에서 종묘제도로 기술한 始祖廟와 神宮, 五廟制와 社稷壇, 그리고 七廟制로의 확대‧정비과정을 중국 역대 禮制의 변화와 관련하여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김씨 왕실이 종묘제를 운영한 기본 원리를 찾아냄으로써, 그것이 신라 정치사회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상고기 신라 국왕들은 즉위 후 의례적으로 시조 박혁거세의 陵廟에 제사함으로써 왕의 권위를 인정받았다. 지증왕이 즉위를 전후하여 『禮記』의 이념에 따라 시조가 태어난 나을에 신궁을 설립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박혁거세를 配享하였다. 무열왕은 즉위와 함께 오묘제를 수용하고, 문무왕대에 당과 대결하는 과정에서 7묘제를 지향하였지만, 신문왕대에 당과 화해를 서두르면서 5묘제로 환원하였다. 중대 왕실이 설행한 종묘는 일종 家廟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김씨왕실은 혜공왕대에 그들의 家廟인 종묘를 국가 종묘제로 정립하고, 다시 선덕왕이 사직단을 정비함으로써 『예기』의 국가 종묘·사직 체계를 완비하였다. 애장왕대에 이르러 다시 전통적인 天子七廟制를 채용하고, 아울러 사직단도 祗祭에 맞추어 개혁하였다. 이는 祖功宗德의 이념과 宗法의 원리를 따른 것으로서, 황제국으로서의 위상을 천명한 것이었다. 신라 하대 종묘의 소목에서 祖考의 신위를 함께 遷徙하거나 祔廟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이는 왕위 계승 쟁탈전으로 말미암은 것인데, 왕위계승쟁탈전은 원성왕의 손자인 인겸과 예영을 宗으로 하는 別子들간에 왕위 계승권을 두고 벌인 무력 충돌과정이었다. During the early Silla Period, three families, Parks, Seoks, and Kims, took turns to succeed the throne. It was a great question how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hich was installed based on the idea of single blood ties, was operated at the time. This paper noted the changes and principles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hich appeared in the ritual writings of the ancient China, as a starting point for solving such problems. The entries in the Jesaji of the Samguksagi about the Shrine of the Founders, Divine Palace, Five Shrine System, and the Altar of the Soil and Grain, which were recorded in the category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process of adopting the Seven Shrine System was compared and reviewed in relation to the changes of the Chinese ritual system. I also sought to find out the basic principles of the Kimsoperation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in order to understand its function in Silla"s political society. The kings in the early Silla period ritually offered sacrifices to the shrine of Park Hyeok-geose, the founder of the kingdom, in order to openly acquire king’s authority. Established at Naeul, where the founding father was born, by King Jijeung at around his enthronement, the Divine Palace embodies the teachings of the Book of Rites (C. Liji 禮記). It was a place to perform rites for heaven and the founder of the kingdom right at the birthplace of Park Hyeok-geose. Along with the accession of King Muyeol, the Kims accepted the Five Shrine System.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the Seven Shrine System was adopted amid the process of confrontation with the Tang dynasty. But the Five Shrine System was soon restored during the reign of the King Sinmun while the kingdom was in hurry of reconciliation with the Tang dynasty. The Royal Ancestral Shrine,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mid Silla period,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family shrine of the Kims. In the era of King Aejang, the traditional Seven Shrine System of the Son of Heaven was adopted again, along with the reformation of the Altar of the Soil and Grain. This measure was based on the fundamentals of giving posthumous investiture to the preceding kings according to the meritorious deeds of the ancestors and the virtue of the clan, and it also followed the agnatic principles in order to declare his status as an emperor.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it was common to move or enshrine spirit tablets of the deceased father and grandfather together in the ranges of spirit tables at the Royal Ancestral Shrine. This was due to the struggle for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at the time. The battle for the succession was a clash between Ingyeom, the grandson of King Wonseong, and the descendants of Yeyeong.

      • KCI등재

        南堂 朴昌和의 우리나라 疆域에 대한 論辨과 認識

        박남수(Park, Nam-soo)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41

        본고는 필사본 ≪화랑세기≫ 저자로 알려진 남당 박창화의 역사지리에 대한 8개 論辨을 개관하여 그의 우리나라 역사지리관의 특징과 성격을 살피고자 하였다. 나아가 그의 강역론을 한백겸과 안정복, 정약용 및 당대의 역사지리학의 경향과 관련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 의미와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의 모든 강역 관련 論辨은, 명나라 주원장의 의도에 따라 이성계가 朝鮮이라는 국호를 정하면서 비롯한 역사왜곡과 날조로부터 비롯하였다는 인식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 전기 관찬 사서와 지리지의 왜곡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기록까지도 개찬 산삭하였다는 인식으로 비화하였거니와, 이와 같이 우리 사서에 대한 불신과 단군을 부정하는 태도는 일본 학자들의 근대 역사학을 채용하면서 비롯된 인식이 아닌가 하는 혐의를 부인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우리 고대사의 활동 무대를 만주 일원에서 구하고, 부여-고구려로 이어지는 역사의 계통을 강조한 것은 조선 중기 북인학자들의 북벌론 등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8 arguments on Korean historical geography asserted by Namdang Park Chang Hwa, known as a writer of manuscript Hwarangsegi(花郎世紀), and examine characteristics of his historical geographic perspective. Furthermore, by comparing his theories on the territory of Korea with those of Han Baekgyeom, An Jeongbok and Jung Yakyong, I would determine the meaning and features of his arguments. All of his arguments on the territory of Korea were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existing territory perception started with the distortion and fabrication after Yi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dynasty, made the name of country Jose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by Zhu Yuanzhang of Ming. His such recognitions developed to the argument that eve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as well as historical books and geographical books by government must have been distorted and altered intentionally. It seems that his such an distrustful attitude to our historical literatures and the negation of Dangun(檀君) were resulted from the adoption of modern historiography from Japanese historians. Nonetheless, his arguments are highly evaluated in the aspect that he tried to trace the territory of ancient Korea in Manchuria and emphasized the historical succession lining from Buyeo and Goguryeo, which keeps in with the insistence on Northern expedition by Northerners(北人, a Korean political faction) in the middle of Joseon period.

      • KCI등재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

        박남수 ( Park Nam-su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은 다양성의 존중과 공존의 실현이라는 다문화교육의 관점보다는 민족이나 전통문화의 파악과 같은 문화적 특수성의 파악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둘째, 교과서는 단일 민족의 이념 및 특정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고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바람직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으로는 첫째,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반영한 교육과정 구성의 질적 전환을 통해 문화적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을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민족 혹은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문화집단의 경험이나 문화유산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밖에도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해서는 형식보다는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다문화교육의 접근과 다문화적 학교문화의 형성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 direc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I analyz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on the view poin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laid emphasis on understanding of cultural specificity. Therefore it is a necessary to keep a balance between cultural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through qualitative conversion of curriculum. Second, the textbooks were fostered homogeneous nationalism and prejudice about cultural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eat experience or heritage of cultural groups on various viewpoint.

      • KCI등재

        초기 사회과에 있어서 작업단원 학습의 수용과 그 성격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체험학습의 의미 탐색-

        박남수 ( Park Nam-su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체험학습의 기본 아이디어가 초기 사회과 시대에 도입되었던 작업단원 학습의 정신과 기본적으로 같은 맥락이라고 보고, 작업단원 학습의 수용 과정과 성격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통해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체험학습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했다. 초기 사회과 시대에 있어서 작업단원 학습은 이론적 차원에서는 아동 주도의 유목적적 활동과 사회적 맥락을 중시하는 문제해결 중심의 신교수법으로 이해되었지만, 실천에서는 단원 주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학습의 성과에 바탕을 두고 처음부터 완성도가 높은 노작활동의 전개를 요구하고 있어 아동이 주체적으로 배우고 행동하는 문제해결 과정으로서의 의미가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초기 사회과에서 지향했던 작업단원 학습의 본래의 의미에 충실한다면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체험학습의 의미는 아동들이 자신의 문제의식에 기초한 목적을 가지고 전심 전력으로 매진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회현상에 대한 지식, 능력, 가치·태도가 자연히 통일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데 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tial learning on the social studies through analysis of the acceptance and the practice of units of work in the early social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of units of work was understood that is new instruction method for wholeheartedly purposeful activity in social context. Second, a focus on the learning of units of work on the practice in early social studies was not the meaning of continual problem solving process but application process of knowledge and attitude acquired through learning on classroom. Third, the meaning of experiential learning on the social studies is wholeheartedly purposeful activity in social context, wholeheartedness,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rough persistent problem solving process.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사회과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목표 분석

        박남수 ( Park Nam S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단원목표의 분석을 통해 사회과에서 지향하는 시민성의 주요 요소인지식과 기능, 가치·태도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특수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2011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사회과와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성취기준과 단원목표에 목표행동영역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교육과정 초등사회과의 성취기준은 지식영역에 편중되어 있으며, 학년군에 따라서 기능과 가치·태도영역이 반영되지 않거나 매우 낮은 비중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단원목표는 지식영역>기능영역>가치·태도영역 순의 비중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가치·태도영역은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기본교육과정 초등사회과의 성취기준과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목표 간에는 일관성이 부족하였다. 이처럼 현행 기본교육과정 초등사회과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목표는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시민성 육성이라는 사회과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시민성 육성을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 및 수업의 지침이 되는 성취기준과 단원목표를 시민성의 주요 요소인 지식, 기능, 가치·태도영역을 적절히 반영해서 일관성 있게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nowledge, skills, value and attitude are reflected in social studies, which is the main element of citizenship through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basic curriculum and unit goals of teacher's guide.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goal areas ref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unit goals of the 2011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basic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basic curriculum are concentrated on the knowledge domain, and the skills, value and attitude domain are not reflected or reflected as a very low weight depending on the grade group. Second, the unit goals presented in the teacher's guide are reflected in the order of knowledge, skills, value and attitude domain, and value and attitude domain are reflected as a very low proportion. Third, there was a lack of consistency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ocial studies basic curriculum and the unit goals of the teachers' guide. Thu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basic curriculum and the unit goals of the teacher's guide are limited in achieving the goals of social studies for the promotion of citizenship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the citizenship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stently pres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unit goals reflecting the knowledge, skills, value and attitude domain.

      • KCI등재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차원의 지원 방향: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침을 중심으로

        박남수 ( Park Nam-s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차원의 지원 방향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통합교육 관련 지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교육과정에서는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침이 총론에만 제한적으로 제시되고 있어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에 도움을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일본의 교육과정에서는 총론에서의 개괄적인 지침과 더불어 각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과정 해설서에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침이 다양한 수준과 범위에서 제시되어 있어 교수적 통합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지침은 각 교과 및 교과외 수업에서 장애학생이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반적인 학습곤란 상황을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어 장애유형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의 교수적 통합과 관련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차원의 지원 방향으로 총론에서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방향 제시와 더불어 각론에서는 이러한 총론의 지침에 토대해서 각 교과나 교육활동의 성격과 학생의 장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통합을 위한 지침의 제시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해설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는 이러한 지침을 반영한 교육과정 수정 전략과 사례들이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upport on the curriculum-level for curricular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purpose, I analyzed the guidelines present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n the curriculum of Korea, guidelines for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briefly presented in the general part only, so there is a limit to practical assistance for the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ach subject class. On the other hand, in the curriculum of Japan, guidelines on the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in detail in the general part, as well as in the subjects and extra subject, and they provided practical support in each class. However, these guidelines focus on the learning difficultie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face in situation of each class, and thus they have limitations in presenting practical directions related to the curricular inclu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ability area.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necessity of guidelin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nd disability area in the curriculum for the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grated into the general class.

      • KCI등재

        신라 聖德王代 浿江鎭 설치 배경

        朴南守(Park Namsoo)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10

        신라의 浿江鎭설치와 경영 과정은 성덕왕대 동북아시아의 정세뿐만 아니라 신라의 북방 영역 개척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금까지는 발해가 아직 패강유역까지 진출할 만한 여력을 갖추지 못했고, 당시에 패강유역이 발해와 신라간의 일종 군사적 완충지였던 것으로 보아왔다. 그러나 당이 나당전쟁 당시에 전략적 요충지로 꼽았던 패강 이남의 땅을 신라군 출병의 반대급부로 선뜻 내어주었다는 것이나, 신라가 당으로부터 이들 지역에 대한 점유를 공인 받은 지 13년여 동안 방치하였다는 것에 대한 의문이 있었다. 이에 발해의 등주 공격 시기와 경로, 공격 이후의 향방을 추적함으로써, 당나라의 신라에 대한 청병 및 신라군의 출병 경과를 분명히 하고, 신라군의 출병이 패강 이남의 땅에 대한 공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또한 당나라의 청병으로부터 신라의 패강진 설치까지 신라와 당나라 간에 내왕한 國書를 분석함으로써, 등주 공격에서 물러난 발해군이 황해도 서해 연안 지역에 근거하여 나?당간의 해로를 위협하였으며, 이를 축출하는 것이 당시 나?당간의 현안이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로써 발해군을 축축하고 설치한 패강유역의 수자리[戍]가 ?三國史記? 地理志권 4에 보이는 高句麗漢山州조 말미의 14개 군현에 상응하며, 浿江鎭의 관할 구역을 지칭하는 것임을 상정할 수 있었다.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aegangjin by Silla was deeply related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north-east Asia and pioneering the northern territory in the reign of King Seongdeok. Up to date, it has been assumed that Balhae was not enough to extend its power to the area of P’ae river and this area was a sort of military buffer zone at that time. However, some doubts has been raised about why Tang willingly offered the southern area of P’ae river, which was a strategic location in Silla-Tang War, to Silla as a benefit in return for the dispatch of Silla’s forces and why Silla had neglected it for 13 years since gaining the official approval of the occupation of this area from Tang. Through tracing the attack time and the route to Dengzhou by Balhae and the process after the attack, this study tried to make clear the request for a dispatch of Silla’s troops by Tang and the process of its dispatch. In addition, it focused on how the dispatch was related with the official approval of the southern area of P’ae river. At this, by analysing the diplomatic documents between Tang and Silla in the period of the time from asking for the dispatch of the troops by Tang to the establishment of Paegangjin by Silla,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 that Balhae’s forces had blocked the sea route between Silla and Tang in West Sea after stepping back from Dengzhou and it was the issue of Silla and Tang to drive out them. On this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assumed that the military garrison(戍) established in the area of P’ae after driving out Balhae’s forces corresponded to 14 Gunhyeon shown in the record of Goguryeo(高句麗) Hansanju(漢山州) in Jiriji 4, Samguksagi (History of Three kingdoms) and indicated the jurisdiction of Paegangjin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