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산 다람쥐(Tamias sibiricus) 정자의 미세구조

        이정훈,박기룡,Lee, Jung-Hun,Park, Ki-Ryong 한국현미경학회 2011 Applied microscopy Vol.41 No.2

        한국산 다람쥐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다람쥐 정자머리의 모양은 주걱 모양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정자의 전체 길이는 67.8 ${\mu}m$이었으며, 머리의 길이는 7.8 ${\mu}m$, 꼬리는 60.0 ${\mu}m$이었다. 꼬리는 경부(1.0 ${\mu}m$), 중편부(8.0 ${\mu}m$), 주편부(48.5 ${\mu}m$) 그리고 미부(2.5 ${\mu}m$)로 각각 구성되어져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정자의 중편부도 짧지만 미부의 길이는 다른 설치류 종보다도 매우 짧은 것이 특징적이다. 첨체 후 덮개는 핵의 약 1/5을 점유하고 있으며, 적도절은 핵 상단의 첨체 후 덮개와 첨체 덮개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9개의 분절주들은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었다. 중편부의 미토콘드리아의 회전수는 26개 이었다. 한 개의 분절주는 10~12개의 마디로 구성되어져 있었으며, 이들 경부의 각각의 분절주는 중편부의 9개의 외측치밀 섬유와 제각기 결합되어 있었다. 특히 경부의 분절주와 분절주 사이에는 수많은 satellite 섬유와 흡사한 물질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중편부의 9개의 외측 치밀 섬유는 Nos. 1, 5, 6의 섬유가 다른 섬유들(2, 3, 4, 7, 8, 9) 보다도 크다. 섬유초와 종 지주는 주편부에는 존재하고 있었으며, 미부에는 섬유초와 종 지주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정자두부와 꼬리의 구조적인 특징들은 정자의 진화와 더불어 종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여겨진다. Light microscope, and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fine structure of sperm of the Korea squirrel, Tamias sibiricus. The sperm head of T. sibiricus was paddle in shape. The total length of T. sibiricus sperm was 67.8 ${\mu}m$. The length of sperm head was 7.8 ${\mu}m$, and the tail (60.0 ${\mu}m$) was consisted of four major segments: the neck (1.0 ${\mu}m$), middle (8.0 ${\mu}m$), principal (48.5 ${\mu}m$) and end piece (2.5 ${\mu}m$), respectively. Especially, the length of the middle piece is short, and end piece was very shorter than those of other rodents. The post-nuclear cap was occupied about a fifth of nucleus. The equatorial segment is located between the post-nuclear cap segment and acrosomal cap on the nuclear surface. Nine segmented columns were surrounded by the mitochondria, and numbers of gyres of mitochondria were 26. One segmented column was consisted ten to twelve knobs, and each of segmented column in the neck region connected with the nine outer dense fiber in the middle piece. Numerous satellite-like fibers were scattered around the segmented columns. Nos. 1, 5 and 6 of the outer dense fibers in the middle piece were larger than the others. A fibrous sheath and longitudinal column of the principal piece were in evidence, but the fibrous sheath and longitudinal column was not seen at the end piece. In conclusion, the structural features of sperm head and tail may be useful information to patterns of sperm evolution and classification of species.

      • KCI등재

        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와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정자의 미세구조

        이정훈,박기룡,Lee, Jung-Hun,Park, Ki-Ryong 한국현미경학회 2005 Applied microscopy Vol.35 No.4

        본 연구는 개구리과 (Ranidae)에 속하는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와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에 대한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황소개구리와 참개구리의 정자 모두 두부의 형태는 긴 원통형이었다. 정자의 전체길이는 참개구리 ($51.2{\mu}m$)가 황소개구리($44.6{\mu}m$) 보다 더 길며, 이들 두 종 모두는 긴 머리와 매우 짧은중편부 및 아주 긴 주편부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두 종 모두 핵내에는 글리코겐 과립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경부 (Neck)는 잘 발달되어져 있지 않은 반면, 축사구조는 9+2 구조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중편부의 미토콘드리아 수는 포유동물 정자의 그것에 비해 매우 적으며, 축사를 중심으로 다소 불규칙하게 감겨져 있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황소개구리와 참개구리는 정자두부, 경부 및 중편부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의 위치와 축사구조가 매우 유사함으로 이들 두 종은 유연관계가 깊은 군이라 여겨진다. The sperm morphology of two Korean frogs, Rana catesbeiana and R. nigromaculata (Ranidae) was studied with the light microscope,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Sperm heads of the R. catesbeiana and R. nigromaculata were long-cylinder shapes. In the total length of R. nigromaculata sperm ($51.2{\mu}m$) was longer than those of R. catesbeiana ($44.6{\mu}m$). Both R. catesbeiana and R. nigromaculata had the long head and principal piece, and short middle piece, but the neck was undeveloped. The axonemal structures contain a 9+9+2 arrangement of microtubules.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middle piece have less than mammalian sperm, which irregular surrounded the axone of the middle piece. In conclusion, R. catesbeiana and R. nigromaculata shared many similar features in sperm heads, neck, middle piece, and a site of mitochondria and axial structure, and it suggests that these species should be closely related.

      • KCI등재

        대극속 Anthacantha절(대극과)과 근연분류군의 종자형태

        나희정,박기룡,Na, Hee-Jung,Park, Ki-Ryong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4

        대극과 대극속 Anthacantha절의 한계와 근연 분류군과의 유연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Anthacantha절에 속한 8종과 근연 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16종의 종자를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연구하였다. 측정된 형질 중 6가지 정성형질만을 이용한 수리분석을 바탕으로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Type I (sect. Anthacan 능선 주변에는 결절이 없이 표면이 매끈한 특징을 가진다. Type II (sect. Medusae+sect. Treisia-1군)는 사각형태로 배능선 주변에 돌출된 세포가 발달되어 있으며 표면에 결절이 있는 특징을 가진다. Type III (sect. Treisia-2군)는 전체적인 형태는 난형이며 배능선 주변에 돌출된 세포가 발달되어 Type II에 가까우나 세포표면에 종피세포가 여러 개 모여 솟아올라있어 Type I, II 에는 없는 특징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Anthacantha절에 속한 종과 Meleuphorbia절에 속한 종은 종자형태의 형질이 매우 유사하여 유연관계가 깊은 것으로 생각되며, 기존의 분자적, 화분분류학적 연구의 결과와 잘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Treisia절과 Medusae절에 속하는 분류군은 종자 형태적으로 Anthacantha절의 종들과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들과는 상대적으로 유연관계가 먼 것으로 추정되며 이와 같은 결과는 최근에 수행된 분자적 연구의 결과와는 상반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The seeds of 16 species from sect. Anthacantha and related taxa were examined using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illucidate the boundary of the section and their relationship among species. Using six qualitative characters clustering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hree types were recognized. Type I including species from sect. Anthacantha+sect. Meleuphorbia is characterized by the ovate shape, rounded at base and smooth along the ventral line. Type II including species from sect. Medusae+sect. Treisia-1 is squared in shape and are tuberculate. Tubercles are prominent along the ventral line. Type III (sect. Treisia-2 group) is mostly rounded, and as in type II, tubercles are prominent along the ventral line, but the unique crestae consisting of the grouping testa cells differed from the surface patterns of Types I and II. Based on the seed morphology, sects. Anthacantha and Meleuphorbia are closely related, which is well supported by the results from molecular and pollen morphological studies. Besides, sects. Treisia and Medusae are not closely related in terms of seed characters, and this is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recent molecular studies.

      • KCI등재

        대극과 대극속 Zigophyllidium절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이은덕,박기룡,Lee, Eun-Deok,Park, Ki-Ryong 한국현미경학회 2006 Applied microscopy Vol.36 No.3

        대극과 대극속 Zygophyllidium절의 한계와 종간 유연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의 Zygophyllidium절에 속한 8종과 유연관계가 깊은 Poinsettia아속의 5종을 포함하여 13종 화분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화분의 특징을 기재하였으며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화분 표면의 무늬와 화분형질의 수리분석을 바탕으로 13종을 다음과 같이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표면 무늬가 미세망상인 Type I(E. hexagona, E. lagunensis, E. hexagonoides, E. bilobata), 망상인 Type II (E. delicatula, E. extipulata, E. dentata, E. heterophylla, E. pulcherrima, E. cyathophora), 표면 무늬는 미세망상이나 망벽의 표면이 편평한 Type III(E. lacera),표면 무늬가 유공상인 Type IV (E. chersonesa, E. eriantha). 본 연구를 통해 Zygophyllidium절을 E. hexagona, E. lagunensis, E. hexagonoides, E. bilobata 4종으로 축소하여 절의 한계를 설정하는 것을 제안하며 기존의 Zygophyllidium절에 포함되었던 E. delicatula, E. exstipulata는 화분 형질로 보아 Poinsettia아속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유공상의 특징을 갖는 E. eriantha는 E. chersonesa와 함께 Agaloma아속의 종과 유연성이 깊어 보이며, 더 많은 후속 연구를 통해 이들의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Using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orphological studies of pollen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sectional boundary and the relationships among eight species of section Zygophyllidium and its five related species of subg. Poinsettia. Pollen characters of 13 species were described, and their diagnostic keys were presented here. Based on the sculpturing patterns and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using 10 pollen characters 13 species were divided into four Pollen types: type I, having micro-reticulate shaped pollen (E. hexagona, E. lagunensis, E. hexagonoides and E. bilobata), type II, having reticulate shaped pollen (E. delicatula, E. extipulata, E. dentata, E. heterophylla, E. pulcherrima and E. cyathophora), type III, micro-reticulate shaped pollen with platten muri (E. lacera), and type IV, haying foveolate shaped pollen grains (E. chersonesa and E. eriantha). The results of pollen morphological studies suggest that the sect. Zygophyllidium should be delimited based on only four species, E. hexagona, E. lagunensis, E. hexagonoides and E. bilobata, E. delicatural and E. exstipulata of sect. Zygophyllidium must be transferred to subg. Poinsettia based on pollen morphology. E. eriantha and E. chersonesa having forveolate sculpturing pattern of pollen grains seem to be closely related with species from subg. Agaloma, and additional studies of these spec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species relationships within Agaloma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