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

        박경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7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순환체제적인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최종 구성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구성과 관련된 연구는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프로그램 목적이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개발한 순환체제적인 프로그램 개발모형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1단계는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확인, 2단계 요구조사, 3단계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설정, 4단계 측정도구 선정, 5단계 프로그램 내용 구성 및 전략 선정, 6단계 비교 프로그램 선정, 7단계 프로그램 예비 실시, 8단계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9단계 프로그램 실시, 10단계 프로그램 평가, 11단계 프로그램 확정 및 관리이다.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확인’인데 이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대인관계 관련 이론, 척도, 프로그램 등을 살펴보고, 이론적인 측면에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데에 필요한 근거를 수집했고,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2단계는 ‘요구조사’인데 개발하고자 하는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에 대한 현실적인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여 프로그램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3단계는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설정’으로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사정을 거쳐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이 프로그램을 마친 다음 변화 또는 획득해야 할 태도, 사고 행동을 구체적이고 행동적인 용어로 제시하였다. 4단계는 ‘측정도구 선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대학생의 발달 특성과 대인관게 조화 이론에 따라서 제작한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척도(박경희와 김성회, 2008)를 선택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조화 증진을 측정하고자 하였고,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석균(1994)의 대인관계 척도를 선정하였다. 5단계는 ‘프로그램 내용 구성 및 전략선정’ 단계로 설정한 목표에 가장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경험이나 활동을 선정하고 선정된 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조직하였으며, 이러한 내용들이 대학생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전략을 선정하였다. 6단계는 ‘비교 프로그램 선정’단계인데 개발한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의 하위요소인 대인인지, 대인정서, 대인행동과 가장 유사한 하위요소로 구성되어 대인관계를 증진시킨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7단계는 ‘프로그램 예비 실시’인데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회기별로 실시하여 프로그램 진행상의 문제점이 있다면 사전에 발견하여 수정하기 위한 단계이다.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을 실시해보았다. 8단계는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단계로 예비실시 단계에서 발견된 미비한 점을 보완하고 수정하여 본 프로그램인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을 완결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예비 실시단계에서 진행해 본 결과 몇 가지 문제점들이 발견되어 이들을 수정, 보완하여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9단계는 ‘프로그램 실시’인데 수정보완 단계에서 완결된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을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K대학교 1, 2 ,3학년 남․여 학생 30명(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사전면담과 매주 1회씩 10회기를 실시하였다. 10단계는 ‘프로그램 평가’인데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척도’, ‘대인관계 척도’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진행과정과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척도’의 평가를 통해 발견된 문제점을 다시 피드백하여 프로그램을 최종 수정 보완하였다. 11단계는 ‘프로그램 확정 및 관리’ 단계로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을 내용을 최종적으로 확정하고 계속 유지 관리하면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계속해서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계속해 나가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밝힌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구성과 관련하여 결과와 논의를 근거로 대학생을 위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은 타당하게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는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집단의 대인관계조화 및 대인관계 향상 효과를 기존의 대학생용 대인관계 프로그램 집단 및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대인관계조화 및 대인관계 향상 효과가 기존의 대인관계 프로그램보다 우수함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K대학교 학생 중 대인관계조화 집단상담 실시 공고문을 보고 자발적으로 참가 신청을 한 3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에게 대인관계조화 척도(박경희와 김성회, 2008)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집단), 비교집단(주장훈련 프로그램 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총 10회기를, 비교집단에 대해서는 주장훈련 프로그램 총 10회기를 주 1회씩 10주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1회기 당 진행 시간은 120분이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게 프로그램 실시 직후에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척도와 대인관계 척도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이 끝난 4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제집단에 대해서도 실험집단과 같은 일정으로 사후검사 및 추후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의 대인관계조화 및 대인관계 향상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종 평가 대상인 30명(실험집단: 10명, 비교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에 대해서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척도(박경희와 김성회, 2007)와 대인관계 척도(전석균, 1994)의 사전․사후․추후 검사 점수에 대해서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에는 변량분석하였고, 변량분석한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에는 단순 주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단순 주 효과 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 및 시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경우 Tukey-HSD의 사후 개별 비교를 하여 집단 간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SPSS for Windows 15.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통계 처리한 결과에 의하면,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은 대인관계조화 전체와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 인지, 대인관계 정서, 대인관계 행동, 의사소통 전체, 대인관계 전체를 향상시켰다. 이상에서 밝힌 대학생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효과 검증과 관련된 결과와 논의를 근거로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은 경험적으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과 주장훈련 프로그램은 모두 대인관계조화 전체를 향상시키지만,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이 주장훈련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인관계조화 전체를 향상시킨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과 주장훈련 프로그램은 대인관계조화 하위 영역(대인정서, 대인인지, 대인행동)을 모두 향상시키지만,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이 주장훈련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인관계조화 하위 영역을 향상시킨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과 주장훈련 프로그램은 모두 대인관계를 향상시키지만,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이 주장훈련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인관계를 향상시킨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은 내용이나 구성, 효과 검증 방법에서 논리적으로 타당성이 있고, 실제로 대학생의 대인관계조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임이 경험적으로 검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기존 연구에서 개인의 인지, 정서, 행동의 변화를 통하여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주장훈련 프로그램(김성회, 1983)보다도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점이 경험적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추후 연구를 통해 수정․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IRHP)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needs and literature research on the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extracted sub-factors were interpersonal cognitions, interpersonal emotions, and interpersonal behaviors. In this study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s of the three factors asses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Scale(Park & Kim, 2008). The concep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is derived from Rogers(1961), Ruscher(1985), Tracy(2003), Corey(2005), HITS(harmony of individual, time, and space) theory(Kim, 2007). According to the HITS theory, a person can be explained in three dimensions, that is, individual, time, and space dimension. People can realize their ability at their maximum when they maintain harmony in these three dimensions. To maximize personal ability, harmony in the personal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n the present space should be integrated with others. The problem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ill the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be constructed properly? 2. Will the valid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be verified empirically? 2-1. Wil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increase the scores in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more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2-2. Wil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increase the scores in the subfactors(interpersonal emotion, interpersonal cognition, and interpersonal behavior) more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2-3. Wil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increase the score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re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procedures were as follows: confirmation of necessity for program development, survey of needs, formulation of goal and objective, sel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 construction of content and composition of strategies, selection of comparative program, implementation of preparatory program, adjustment and supplementation of program, implementation of program, evaluation of program, decision and management of program.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largely evaluated through a formative evaluation and a summative evaluation. Form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requiring subjects to complete a session evaluation at the end of implementation of preparatory program. Summative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two methods: first, the entire sessions were evaluated through expressions of participants' impression on the program; seco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measured through Scales for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most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the following metho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made up of 10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30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randomly alloted into three groups. the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group as a treatment group,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group as a comparative group, and no treatment group as a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0 university students. Each student in the treat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a total of 10 sessions weekly.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Th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rk & Kim, 2008)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Jeon, 1994) were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grams, a pretest before the program and a posttest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were administered A follow-up test was administered after 4 weeks to examine the durability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he statistical analysis 30 data were finally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programs, Multivariate repeated-measure analysis was conducted.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5.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f sub-factors such as the interpersonal cognition, the interpersonal behavior, and the interpersonal emotion.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level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properly.

      •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적 외상과 분노와의 관계 :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박경희 인제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63

        국 문 초 록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적 외상과 분노와의 관계: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박경희 지도교수 김영근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적 외상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검증하였고,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적 외상이 분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이 영향을 미친다는 이중매개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적 외상이 높으면 분노는 높아지며, 청소년이 지각한 정서적 외상경험이 많을수록 고통감내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정서조절이 낮아지면 분노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고통감내력이 낮을수록 정서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며, 분노를 경험할 때 이를 감내할 수 있는 내적 자원이 부족하여 역기능적으로 강화시키고 지속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담 현장에서 청소년에 대한 상담전략을 수립할 때, 정서적 외상과 관련한 변인 중에서 고통감내력을 높일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정서조절이 개선되어 분노에 보다 기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원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정서적 외상, 고통감내력, 정서조절, 분노

      • 부산지역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박경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innov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Busan, Korea. In order to address the above-mentioned research question, we pursue three research objectives: First, we examine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support on open innovation. We study the effects of the three variables on outward and inward innovation, respectively. Second,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open innova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We verify the effect of outward and inward innovation on new product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Third, we study the impact of SM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support in Busan on management performance. We employ survey measures to identify the impact of open innovation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Es in Busan. We construct the research model and develop hypothet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The dependent variable is management performance while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re entrepreneur's perspective,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support. This study has severa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ment performance research. The academic implication is that we study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open innovations faced by SMEs in Busan to reveal their distinct influence on management performance. There are two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we find that rather than directly leading open innovation, more efforts to induce innovation and increase performance through stimulati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hould be made. Second, we also find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future activities of SMEs in Busan.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make utmost effort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and receive realistic feedback from SMEs. In future studies, we wish to improve research model which can better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open innovation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Es in Busan. Keywords: Open innovation, Management performanc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평가인증을 통과한 40인 이상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박경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보육교직원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평가인증의 목적에 맞게 보육의 질적인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유지 관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 문제를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 관리 정도와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어려움과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은 어떠한가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거제시, 통영시, 창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중 40인 이상의 어린이집의 보육교직원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법을 통한 연구조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설문지는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 정도에 대한 4문항과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의 어려움에 대한 9문항과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개선방안 7문항으로 나누어 질문을 구성하였는데 이는 김동례(2007)의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관리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 장상란(2008)의 평가인증 후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및 사후관리 실태에서 사용한 설문지, 박경희(2009)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이후 사후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것이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검정, 일원배치 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에 관계없이 잘 유지되고 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국공립이 사후유지관리가 잘 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의 어려움에 대해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업무과중으로 인한 어려움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유지관리를 위한 재정 관련 문제에 대한 어려움도 많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후유지관리로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업무과중을 덜어 줄 대안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국가의 재정적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는 인식이 많았으며 특히 보육교직원의 초과보육수당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후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재정적 부담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국가적 차원의 어린이집 및 보육교사에 대한 체계적인 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In keeping with the objectives of the evaluation-certification of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seeks to improve qualitative child care services by analyzing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maintenance &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s following their evaluation-certification. The degree of maintenance &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s after evaluation-certification, post-maintenance and management difficulties, and potential improvement measures were identified as the main research concerns in the present study. 257 child care teachers from child care centers with 40 children or more located in Geoje City, Tongyeong City and Changwon City in Gyeongnam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revolved around the conduct of a survey. The survey was composed of four questions regarding the degre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s after evaluation-certification, nine questions regarding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 after evaluation-certification, and seven questions concerning measures to improv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 after evaluation-certification. The survey was a modified and supplemented version of others found in existing studies, namely the survey by Kim Dong-rye (2007) of the management process and the management of the evaluation-certification system as perceived by those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survey by Chang Sang-ran (2008) of perceptions of child care teachers of the evaluation-certification system and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after evaluation-certification; and the survey by Park Gyeong-hee (2009) of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s after evaluation-certification. The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test and a One-way ANOVA that we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s after evaluation-certification reveal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child care centers were well maintained, and this regardless of the types of child care facilities.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were found to have engaged in post-maintenance and management particularly well.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s after evaluation-certification revealed that the most pertinent difficulties were those faced by child care teachers due to work overload. Financial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post-maintenance and management were also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light the necessity to establish alternatives to heighten the quality of child care, which constitutes one of the main post-maintenance and management goals of child care centers, by easing child care teachers heavy work load.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measures needed to impro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hild care centers after evaluation-certification revealed that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in particular the need to support overtime pay for child care services, was regarded as the most urgent prio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financial burden constitutes the biggest post-maintenance and management issue for child care centers. In this regard, there is a need for organized financial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for child care teachers.

      • 국내 물류 기업의 할랄 시장 진입 방안에 관한 연구

        박경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 할랄 물류 기업의 할랄 시장 진입 방안에 관한 연구 박경희 IT유통 물류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이 연구는 할랄 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물류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시장이 필요한 한국 물류 기업들에게 미개척지인 할랄 시장의 가치를 알고 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했다. 연구 방범은 국내외 선행 문헌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해외 할랄 전용 물류기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할랄 물류 산업 분야의 전문가의 인터뷰와 국내 할랄 물류 시장에 대한 실태 및 수요조사를 실시했다. 사례조사에서는 일본 할랄 물류시장에서 나타난 과제를 중심으로 국내의 대응방안을 준비하려 하였고, 해외 할랄 선도 기업들의 특징과 공통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물류 산업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대기업이 6%, 중견기업이 14%인 반면에 중소기업이 8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할랄 전용 물류를 하기 위해 기업이 갖춰야 할 중요한 조건으로 네트워크, 할랄 전용 물류센터 그리고 시스템 구축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물류기업은 원활한 시장 진입을 위해서 제도 및 인프라 측면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물류기업이 할랄 전용 물류를 수행하기 위하여 할랄 물류의 핵심인 할랄 무결성의 공급 망 관리를 철저히 실행하면서,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일반 물류비 수준으로 제공해야하는 전제를 가지고 연구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 결과 대부분 중소기업 규모이므로 할랄 공동 물류센터를 조성하여 공동 설비와 공동 배송을 하고, IoT 기술을 활용한 할랄 물류 시스템의 개발 및 구축을 통해 국내 물류 기업이 할랄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현장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물류기업을 주체로 한 연구라는 측면으로 이론적이면서 실용적인 가치가 있다 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ways to enter the Halal Market for South Korean Logistics company Park Kyung-hee Department of IT Distribution and Logistics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halal industry, the growth potential total addressable market of the logistics sector is also expanding, and we tried to present a practical way for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that need a new market to enter the unexplored halal market.  We referenc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data; analyzed cases of overseas halal-only logistics companies; interviewed experts in the domestic halal logistics industry,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actual situation and demand of the halal logistics market.  86% were derived from the establishment of networks and halal-only logistics centers and systems as important requirements for companies to do exclusive logistics on a small and medium-sized scale. While thoroughly managing the supply chain of professional halal integrity, find out the difficult premise that it should be provided at the level of general logistics cost in terms of cost, finding out the premise that and create a halal cooperative logistics center to jointly utilize equipment and space and deliver jointly, IoT technology by developing and managing a halal system using In terms of research on logistics companies,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theoretical and practical values ​​for companies that want to enter the halal logistics market.

      • 孤山의 <漁父四時詞>硏究

        박경희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부사시사>는 고산이 65세 때, 보길도의 자연 경관을 배경으로 어부의 풍류생활을 노래한 것으로, 그의 인생이 縮約된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고산의 삶은 기구했다. 그의 仕官生活이 움직일 때마다 煩言과 積誇이 뒤따라 20여년에 걸친 유배생활을 겪어야 했다. 이러한 불우한 현실에서 자연과 친화함으로써 인간성의 좌절에서 초탈할 수 있었던 것이고 바로 이 자연을 관념하는 경지가 그의 誇歌의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는 <어부사시사>인 것이다. 이제 本 稿에서 고찰한 要旨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산은 전형적인 유자로서 충효와 인의예지인 유교이념을 표방하면서도 거기에 불·도의 사상을 조화롭게 수용하였는데, 이러한 사상적 조화는 그의 詩作과 문학관에도 반영되었다. <어부사시사>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춘·하·추·동 각 10수씩을 다시 4계절로 연결·체계화하여, 전체 40수를 한 제목 한 주제로 통일시킨 連形構造의 作品으로서 기존의 <어부가>가 생활체험과 유리된 음풍농월적 내용을 담고 있는데 비해 <어부사시사>는 철저하게 실제 漁翁의 생활체험을 토대로 한 실천문학이요, 생활문학이다. 둘째, 고산은 漢詩의 集句 形態를 과감히 탈피하여 우리 국어를 탁월한 솜씨로 시어화시켜 국어미의 彫琢에 기여한 점으로 보아 창의성을 중시했음을 알 수 있으며, 시조에서 볼 수 없는 餘音을 내용과 연관시켜 배열시킴으로써 實感과 感嘆의 효과를 주고 있으며 詩作에 있어서 음수율의 적절한 배치, 의성어와 의태어의 활용, 의문문과 댓구법의 사용, 유음 'ㄹ'과 모음 'ㅏ, ㅗ'의 활용이 두드러진 점으로 보아 고산은 문학에서의 음악성을 중요시했음을 알 수 있다. 즉 그는 창의성과 음악성을 지향하고 감정의 표출을 중요시하는 독자적인 시작 태도를 형성하였는데 <어부사시사>는 이러한 시 정신에 의해 산출된 것이다. 셋째, <어부사시사>는 강호생활 속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그 체험의 映像을 일상어의 나열과 평이한 어조로 표현한 작품이다. 그는 강호를 표면적으로는 물외한적의 풍류공간으로 즐기면서도 내면적으로는 현실과 이상세계를 향한 갈등 표출의 통로로 인식하였으며, 가슴에 쌓인 불만과 비분을 직설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자연속에서 승화된 내적 정서로 다스려 독특한 작품세계를 그리고 있다. 또한 <어부사시사>에서의 자연은 觀念的 自然이다. 자연은 관념이기 때문에 그 속에서는 인간과 대결하지 않고, 인간성의 좌절을 풀 수 있다. 그러나 고산은 자연을 無爲로 관념하여 마음을 즐겼을 뿐이지 그 無爲에 자기 삶을 맡기지는 않았다. 지금까지 <어부사시사>에 있어서 작품형성의 시대적·사상적·문학적 배경과 형식적 특징 및 차원높은 작품의 내용 등에 대해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나름대로 고찰해 보았으나 기존 논의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면도 없지 않다. 고산이 국문학사상 詩歌의 일인자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의 巨作 <어부사시사>가 조선조 강호가도의 極致이며 국어미의 발견이라는 점에서 지금까지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은데, 고산과 그의 문학이 이처럼 국문학상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재평가 노력도 계속되리라 생각된다.

      • 평생교육 강사의 직업적 배경과 자기주도성과의 관계

        박경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Lifelong education lecturers need self-direction more than anyone else to make themselves and their learners approach knowledge and attain strategies for using that knowledge and motivate themselves and inspect their behavior for change.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lecturers to look over self-direction among other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a difference and effect of self-direction according to their level of self-direction and occupational background targeting lifelong education lecturers that are register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refore, SPSS v18.0 statistical analsysis program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pational background and the level of self-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lectures, and the result putting the study result of descriptive analysis, test of mean differenc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gether are as follows. Among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background and general background that affect the self-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lecturers, firstly, self-direction according to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the self-direction according to age showed no difference sequentially but did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especially the age of 50 group showed high effect on self-direct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self-direction is developed at certain period by means of experiences such as career rather than developed according to congenital conditions such as age. Thirdly, academic background and self-direction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however, only the group of post-graduates or higher academic level showed significantly high self-direction compared with the group of high school graduates. This result supported the assumption that those who are highly educated did not show high self-direction, and the group of post-graduates and higher academic level solely showed high self-direction because graduate programs are pursued by choice and determined by the self-direction that responsibly leads his education for himself. Next, regarding self-direction according to occupational background, firstly, the self-direction showed no relations whether having or not having certification related with lecturing. Secondly, the self-direction according to types of lecture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vocational education lecturers showed the highest self-direction among all study groups and it had significant effect. It is assumed that vocational education lecturers are more initiative than other types of lecturer because their role as a facilitator and manager for their student to be active in their work life are as important as their role to impart their knowledge to their students. Thirdly, to examine the self-direction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the self-direction was considered according to the entire career, the career in the last five years, and the number of courses currently teaching, and the result showed that work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elf-direction through the entire analysis process and had significant effect. Lastly, regarding self-dire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of teacher’s training program, i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in some analysis but did not show great effec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elf-direction is not the characteristics that is born with but the one that can be developed enough through experiences and effort, and even a lifelong education lecturer who is having difficulty guiding, helping, and managing students on account of his low self-direction still have possibility to grow and develop to be a better lectur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