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시대 창조 담론의 제도화 과정: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박경환 ( Kyong Hwan Park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6 No.2

        본 논문은 창조도시 및 창조경제 등 이른바 ‘창조성’ 담론이 어떻게 특정한 로컬 상황에서 부상하여 권위를 획득한 후 새로운 로컬 상황으로 정책이전 되는지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입각하여 민족기술지적으로 풀어내고자 한다. 우선, 본 논문은 ‘글로벌화’라는 용어가 그 자체로서 거대 담론이 되어 버렸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글로벌-로컬’과 같은 이분법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서사 틀로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유용성을 제시한다. 둘째, 창조 담론이 부상하게 된 과정을 추적하기 위한 시작점으로서 창조성의 간략한 계보학을 그려본다. 셋째, 1990년대 후반 이후 선진 자본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행위자-네트워크가 창조 담론을 중심으로 동맹을 구축하고 해체되며 다시 새로운 형태의 동맹을 구축하는 과정을 검토한다. 특히, IT 부문 등 신경제 중심의 창조경제 담론에서 창조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 성장론으로, 그리고 최근 한국의 경우 다시 정보통신 등을 중심으로 창조경제 담론이 새롭게 부상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This paper, based on actor-network theory and ethnographic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discourse of creativity could acquire global authority and be transferred to other local economies. First of all, by critiquing the discursive nature of the term ‘globalization,’ I introduce how actor-network theory can be a relevant approach to overcome global-local dichotomy. Second, I briefly examine the genealogical trajectory of the term creativity so as to historically contextualize it. Third, this paper reviews how diverse actor-networks construct and reconstruct development coalition through the discourse of creativity since the late 1990s. It particularly argues that the discourse shows certain transitions from the discourse of ‘new economy’ based on creative economy to the policy-making discussions on the growth of city based on creative cities. And I will address that the discourse of creative economy, in the process of global policy transfer, re-mobilizes diverse political and economic actors for revitalizing the ITC sector in South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글로벌, 로컬, 스케일

        박경환(Park Kyong-Hwa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5

        지난 20여 년간 ‘글로벌화’는 자본주의의 종국적 승리에 대한 강렬한 메타포였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학술적, 대중적 서사를 생산하는 데에 핵심적인 모티브가 되어 왔다. 그러나 글로벌화라는 용어는 상이한 층위의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 동원되면서, 그 자체로서 오늘날 모든 사회?공간적 변화를 일으키는 결정 요인이자, 불가항력적인 결정론적 구조이며, 모든 정치경제적, 문화적 현상을 해석하는 전지전능한 신적인 지위를 부여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글로벌화는 설명과 이해의 대상으로 머물러 있기를 그만둔 대신, 많은 상이한 관점, 이론, 개념과 상호연결하고 통합하는 구심점으로서 자신을 끊임없이 재생산하는 담론 자체가 되어 버렸다. 글로벌화를 하나의 객관적 현상보다는 ‘담론’으로 인식함으로써, 우리는 이의 이분법적 대립물인 ‘로컬’이라는 용어가 왜 항상 모호하고, 다의적이며, 때때로 기만적일 수밖에 없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지리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스케일’에 관한 최근에 논의가 ‘글로벌-로컬’ 그리고 공간과 장소에 대한 정치적 논의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고 로컬에 의한 글로벌화의 사회적 구성에 대해 살펴본 후, ‘글로벌-로컬’의 관계가 뚜렷이 구분될 수 있는 존재론적 사실이나 인식 틀이라기보다는 상호 연결된 복잡한 사회관계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For the last two decades, the notion of ‘globalization’ has been popularly used not only as a metaphor to describe the ultimate victory of capitalist development over place, but also as a key leitmotif in producing academic and popular narratives on current geographic transformations. Yet, having been employed for these various purposes, the term now seems to have taken a kind of omnipotent and omnipresent God position: it is regarded as a deterministic factor that engenders all socio-spatial transformations, and as an insurmountable structural power-grid in which people are powerlessly subordinated. For this reason, the term ‘globalization’ can be viewed in itself a discourse, which connects, intermingles, and incorporates a wide range of theories, concepts, and approaches. By viewing ‘globalization’ as a discursive construct, we can have a vantage position on which to understand why the term ‘local’, which is its other, is frequently ambiguous, multimeaning, and delusive. Based on this problematic,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scale’, which is one of the key geographic concepts, so that we could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and the local. Also this paper introduces Andrew Herod’s investigation on the historical and social production process of ‘globalization’ by the local. This paper conclusively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global and the local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clearly separated, but rather it is an inter-constructive set of complicated socio-spatial processes and power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샌디에이고 대도시권의 산업 클러스터와 도시 거버넌스

        박경환 ( Kyong Hwan Park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샌디에이고의 산업 클러스터를 살펴보고 도시정부의 거버넌스가 이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미국 남서부에 위치한 샌디에이고는 매우 역동적인 도시 성장 과정을 거쳐 왔다. 샌디에 이고는 18세기에 스페인의 선교 및 군사 거점으로 개척된 후, 20세기 초반부터 미국의 태평양 연안 군사 거점으로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연방정부의 방위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다가 1970년대에 경제 불황에 직면했지만, 1990년대부터는 정보통신기술, 생명공학 및 제약, 바이오메디컬 부문을 중심으로 한 클러스터의 성장에 힘입어 비약적으로 성장하였다. 샌디에이고의 클러스터가 발전될 수 있었던 요인에는 방위산업에서 출발한 산업적 경로의존성과 기업의 분사나 합병 등에 따른 기업 생태적 역동성도 들 수 있지만, 기업 활동의 기반 구축은 지역 내 가장 강력한 경제 행위자인 샌디에이고 도시정부연합이 도시 클러스터의 발전을 형성해 온 도시 거버넌스의 결과에 따른 것이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industrial clusters in San Diego are formed and how urban governance influences clusters’ development. San Diego, located in the southwest coast of the US, has shown a dramatic history of urban growth. In the 18th century, Spanish colonizers first established military and missionary centers in the region. Subsequently the US government propelled massive urban constructions for defense and military purpos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ity experienced rapid growth influenced by increasing expenditure of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after the World War II. Although San Diego was faced with recession and government budget-cut in the 1970s, it has gained the economic revival since the 1990s, propelled by industrial clusters of such sectors as telecommunications, bio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and bio-medical research. While it is certain that the city’s clusters were possible both through their pathdependency on US defense industry and by inter-firm ecological dynamics, the establishment of their economic ground was realized by urban governance of the San Diego Association of Governments, which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economic actors in the region.

      • KCI등재

        조기유학을 매개로 한 ``분절가구 초국적 가족``의 부상: 동아시아 개발국가 중상류층 가족의 초국가적 재생산에 관한 논의 고찰

        박경환 ( Kyong Hwan Park ),백일순 ( Yil Soon Paek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5 No.1

        글로벌화와 그에 따른 민족국가의 신자유주의적 재구조화라는 거시적 틀 속에서, 자본주의적 민족국가의 분자적 집단으로서 가족은 자신의 사회적 재생산을 크게 위협받고 있다. 한국과 같은 동아시아 개발국가의 경우, 산업 자본주의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남성 가장 중심의 안정적인 가부장적 가족 제도의 경제적, 사회적 토대는 점차 취약해지고 있다. 아울러 교육 부문에 있어서 개인주의의 번성과 시장주의의 확대로 인해 민족국가-교육-가족의 연결고리가 침해되고 있다. 조기유학은 동아시아 엘리트 집단 및 중상류층이 가족적 지위의 사회적 재생산과 상향이동을 위해 취하는 글로벌 전략 중 하나이며, 이에 따른 사회·공간적 결과는 ``분절가구 초국적 가족``의 부상으로 요약될 수 있다. 분절가구 초국적 가족은 사회·경제적 위험 회피와 가족의 사회적, 문화적 자본 축적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는 동아시아의 유교적, 가족중심주의적 이데올로기와 가족의 안정적인 물적 토대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그러나 분절가구 초국적 가족의 네트워크는 가족 내 여성의 희생과 억압이라는 불균형적 젠더 관계에 기반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가족 구성원의 일상적 삶이 특정 도시나 장소에 뿌리내림에 따라 다양한 양식의 타협과 저항에 의해 유동적인 특성을 띤다. 이는 가족의 초국가적 전략과 네트워크가 전통적인 거리 마찰 효과와 장소화의 과정과 접합하고 있음을 함의한다. The family is the molecular basis of the capitalist nation-state. Yet its own reproduction is threatened by the stream of globalization and nation-states` neoliberal restructuring policies. The erosion of socio-economic ground in male-headed patriarchal family is especially conspicuous in East Asian development states. In these states, family-centered, market-oriented education policies gradually encroach the conventional trigonal structure of state, education, and family, The emergence of ``split-household transnational family`` is a socio-spatial consequence of family-based global strategy through which to minimize socio-economic uncertainties and to embody social and cultural capital to family. The split-household transnational family is based on strong familial bonds, generated by family-centered Confucian ideologies and affluent material basis. The early overseas education is a key global strategy for elites and upper-middle classes to socially reproduce and push up the family`s social stratum. However, such transnational maintenance not only accompanies enormous sacrifices and difficulties of their female spouses, but it is also transformed by internal resistance and negotiation among family members. The global strategies and networks of split-household transnational families are articulated with the emplacement of migrants` everyda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