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호르몬 수용체 및 HER-2 수용체 양성 유방암 4기 다발성 전이 환자의 6년간의 한양방 병용치료 치험 1례

        박경주,이아람,김성수,성신,Park, Kyeong Ju,Lee, A-ram,Kim, Sung su,Seong, Sin 대한암한의학회 2019 大韓癌韓醫學會誌 Vol.24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nd observ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on stage IV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 Method : A right breast cancer patient diagnosed with metastatic lesions on liver, lung, spleen, multiple bones and skin on right breast April 2013. The patient received Herceptin + Docetaxel + Zometa from May 2013 and started to receive TKM since July 2013 to decreas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From December 2013 to November 2014, she had received Herceptin 18 times more. The clinical outcomes were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tumor markers (CEA, CA15-3), liver function test (AST, ALT), and numeric rating scales (NRS). Results : After 6 years of TKM treatment combined with standard chemotherapy, tumor size was partially decreased in lung, liver, right pleura and spleen. Levels of tumor markers also showed decrease. There were no severe adverse events induced by TKM based on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 (NCI-CTCAE) version 4.0. Conclusion : This case suggests that TKM combined with standard chemotherapy could be a promising method for treating metastatic stage IV breast cancer.

      • KCI등재

        학습자 주도적인 ‘비교’ 활동을 통한 고전문학교육의 새로운 길 찾기 -‘재미’ 찾기를 위한 대학 신입생 대상 수업의 사례 보고를 통해

        박경주 ( Park Kyeong-ju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1 No.-

        이 글에서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예전의 자료를 가르치고 공부한다는 고전문학교육의 기본적 속성에 의거하여, 고전문학 교육의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 주도하의 비교 활동’을 제안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갓 입학한 1학년 학생들의 첫 학기 수업에서 고전문학에 대한 재미를 찾게 하기 위해 ‘비교’ 활동을 진행한 사례 보고 형식을 갖추고 있다. 그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기획주제를 통해 고전문학교육, 혹은 고전문학과 재미를 연결시키는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었는데, 본고에서는 그 결과를 점검, 정리한 후 이를 대학의 국문과 수업에 적용하는 사례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비교’의 방식을 통해 고교 학습과 연계되면서도 입시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자발적으로 고전문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에서 ‘고전문학의 재미, 흥미, 의미’라는 기획주제 하에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하면서 ‘비교’가 지닌 ‘재미’와의 관련성을 밝혀내고, ‘비교’의 방식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했다. ‘비교’의 방식은 ①원형(패턴)을 활용해 구체적 작품을 창작하는 방식 ②고전 작품의 현대적 작품으로의 변용 ③고전 작품의 구체적 경험에 입각한 현대적 재해석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 가운데 ①유형의 경우 그 원형의 활용 기준이 되는 단위에 따라 고전문학 수업을 재미있게 이끄는 구체적 방법이 본고에서 제시한 수준 이상으로 더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 또한 ②나 ③유형의 경우 역시 새로운 비교항들을 통해 창의적인 고전문학 학습 방법을 만들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런 차원에서 볼 때 본고에서 제시한 수업 사례는 필자가 재직 중인 대학과 학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비교의 방식에 기초를 두면서도 수업 내용은 학습자나 수업 상황의 변화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학습자들이 느끼는 재미의 양상에 따라 고전문학이 가지는 시대적 의미 또한 달라질 것이므로, 그 재미의 수준이 하향화되지 않으면서 갈수록 수업의 질을 높여가는 동력이 될 수 있어야 하리라고 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allowing freshmen to learn cla ssic works with fun, using the comparison method, linking their lear ning with their high school day learning, and intriguing fun about cla ssic literature voluntarily away from the burden of education for coll ege entrance examination. Towards that end, Korean Classic Literatu re Education Association’s papers on Classic Literature, Its Fun, Inter est, and Meaning were examined so 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 tween comparison and fun and to define three comparison methods, a nd this method was applied to actual classes. Of three methods: ① th e specific method - which is designed to lead classic literature class es with fun according to units which are the standard for the prototy pe utilization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creating specific works us ing a circle (pattern) - can be further developed in diverse ways tha n proposed herein; and there are sufficient possibility of developing c reative methods of studying classic literature using new comparison items ② if classic works are modified into modern works, and ③ if classic works are re-interpreted based on specific experiences. Accor ding to learners’ perceived patterns of fun, classic literature’s meanin g of today can also be differentiated. Not to lower the fun level, the method is expected to upgrade the class quality.

      • KCI등재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가족 해체로 인한 자녀 교육 문제의 서술 양상과 그 해결의 모색-1990년대 이후 작품을 대상으로-

        박경주 ( Park Kyeong-ju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2 No.-

        중국이 개혁개방 정책을 쓰고 1992년 한중수교가 시작되면서 중국 내 교포 사회는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초기에 가족 상봉을 목적으로 했던 중국교포들의 한국행이 곧 이어 경제적 이윤 추구를 위한 것으로 본격화하면서 다수의 조선족 동포들이 중국 내에 가족을 남겨둔 채 한국행을 택했고, 이외에 연해지역의 대도시로 진출하는 조선족 동포들의 수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연변을 중심으로 한 조선족 민족공동체를 약화시키는 동시에 가족 공동체가 해체되면서 가족 내의 크고 작은 문제들을 양산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대표적인 것이 부부의 별거와 외도로 인한 이혼율의 증가인데, 이로 인해 아버지나 어머니 중 한쪽과 자녀만으로 구성된 가정이나 조손(祖孫)가정의 수가 늘어나고 나아가서는 자녀들만 남아 하숙 형태로 생활하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조선족이 떠난 빈 자리를 한족이 채워가는 새로운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양상에 관심을 가지면서, 특히 부모의 부재로 인한 자녀 교육 문제에 대해 1990년대 이후 조선족 작가의 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그 서술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정서 불안으로 인한 문제행동과 정신적 무력화와 소비지향성의 강화, 민족어의 단절 등을 문제적 양상으로 작품에서 짚어내고,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식을 통해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조선족의 이주에 대해 새롭고 더 나은 삶을 추구해가는 개척정신의 전통 아래 긍정적으로 보고자 하는 시각과 그러한 흐름을 부정하지는 않으면서도 그로 인한 가족 공동체와 나아가서는 민족공동체의 와해를 더 크게 우려하는 두 가지 상대적 시각이 충돌하면서 작품 속에서 노출되는 면에 주목했다. 가족 해체로 인한 자녀 교육 문제의 해결 방법은 이러한 상대적 시각을 절충시키는 방향에서 찾아져야 하며, 그 절충의 핵심은 조선족의 해외나 대도시로의 진출이 공동체의 와해가 아닌 재도약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될 때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As China has adopted reform and open-door policies an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in 1992, Korean residents` society in China has undergone great changes. At first, Korean residents in China visits to Korea aimed mainly for family reunion but led to the pursuit of economic profits soon after, and many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chose to leave their family in China for Korea, and increasingly advanced into the big coastal cities.Such social changes have weakened the ethnic Korean community around the Yanbian region and caused family breakdown, bringing about in many problems within families. The typical problems are increase in divorce rate resulting from separation and extramarital affairs, so the number of families composed of single parent or grand parent and children has increased, or there are cases in which only children live in the form of living in the boarding house. And there are also indications of new changes that Han Chinese people fill the vacancy left by the ethnic Koreans. Focusing on these circumstances, this thesis examined the narration aspects of the novels by the ethnic Korean writers after the 1990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education problems of their children caused by the absence of parents. Specifically, the problematic aspects such as problem behavior caused by emotional instability, mental incapacitation, reinforcement of consumption propensity, severance of the ethnic language were pointed out from the novels, and I attempted to explore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through the writer`s consciousness represented in the novels.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wo perspectives with regard to the emigration of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the positive perspective of regarding it as the pursuit of newer and better life under the tradition of the frontier spirit, and the perspective of not denying such trends, yet of worrying about family breakdown and the dissolution of the ethnic community, and I took note of the exposure of these two relative perspectives conflicting with each other in the novels. The solutions to the education problems of children caused by family breakdown should be found in the directions in which these relative perspectives are compromised, and the essence of the compromise is that the compromise is possible when the advancement of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to overseas or big cities is achieved in the direction of contributing to the take-off, rather than to the breakdown, of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화전가의 의사소통 방식에 나타난 문학치료적 의미

        박경주 ( Park Kyeong-ju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5 고전문학과 교육 Vol.10 No.-

        This thesis pointed on communication method of Hwajeonga(화전가)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therapy. Literary therapy is a process which restores a patient from abnormal mental state to normal state through literary works. Hwajeonga are written with a group play background, and often created group work or rotation work or series work. Therefore discordant circumstances often are described in Hwajeonga. Actually the process of dispute and compromise between two groups are described in Hwajeonga.: men group and women group, old women and young girls or one's husband's sisters and the wives of one's brother in women group. Generally this dispute is described very humorously and dispute often is ended by means of instructive gasa by an old women. Communication method of Hwajeonga a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in case of communication within one text. The second, in case of communication in series work. In the first case, < Dwendong's mother Hwajeonga(된동어미화전가) > < Hwajeonga 9 > < Hwajeonga 12 > < Hwajeonga 18 > are included. In the second case, < Johwajeonga(조화전가) > and < Banjohwajeonga(반조화전가) >(men versus women), < Hapcheon Hwayangdong Kyubanggasa (합천 화양동 규방가사) >, < Hwajeondapga(화전답가) >, < Hwasuga(화수가) > and < Hwasudapga(화수답가) >(women versus women) are included. The women expressed various troubles of their lives by Hwajeonga in 18-19th century. So Hwajeonga is very important on the upper-class women's live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period.

      • KCI등재

        규방가사가 지닌 소통과 화합의 문학으로서의 특성 고찰

        박경주(Park, Kyeong-ju) 한국어문학회 2013 語文學 Vol.0 No.119

        To date, studies on Gyubang Gasa (women’s traditional Korean poems) have been conducted from a feminism viewpoint. Recently, studies on Gyubang Gasa have been conducted from different viewpoints, drawing attention. These indicate that the existing feministic discussions helped understand Gyubang Gasa, and yet argue that a more developed discussion is needed to widen the understanding of Gyubang Gasa. These, although not all conducted in the same context, are considered agreeing that Gyubang Gasa is not a genre that was created and enjoyed only by women. This paper also examines Gyubang Gasa from this perspective. Gyubang Gasa as a genre of communication and unity is examined herein. A tradition was able to be confirmed by which conflicts were addressed through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Gybang Gasa, and by which mutual communication and unity were pursued. To this end, the scope of Gyubang Gasa was more widely defined, and Gyubang Gasa was classified into women’s works and men’s works, and thus their communication patterns were examined. First, the scope of Gyubang Gasa was widely set according to its authors, its enjoyers, and its themes, and its communication and unity patterns were examined in diverse dimensions. As a result, in women-authored Gyubang Gasa, it was confirmed how women communicated with the world and how they interacted and were united with one another. In men-authored Gyubang Gasa, it was confirmed that men and women in th nobility interacted and were united with each other, that women and men indirect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thus that women communicated with the world. Gyubang Gasa’s main enjoyers, women of the nobility in the 18th-19th centuries, looked at the world and nurtured their appreciative minds to look at the world, through Gyubang Gasa. Also, they presented their thoughts to the world. They were able to foster the method of presenting their opinions and their ability of discussion through Gyubang Gasa.

      • KCI등재

        경기체가의 형식미와 창작 원리 및 그 문학교육적 활용 시안 연구-고려시대 작품을 중심으로-

        박경주 ( Park Kyeong-ju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8 No.-

        이 글은 연구사적 검토에 의거하여 기존에 내용 중심으로 규정된 경기체가의 장르적 특성과 문학교육적 가치를 그 형식미와 창작 원리에 대한 검증을 통해 보강하고자 하는 목표를 지닌다. 특히 경기체가는 우리말 가사 중심으로 이루어진 여타 시가 장르와는 다른 특유의 형식 미학을 보여주는 까닭에 이에 대한 탐구가 문학교육적으로도 더욱 중요하다. 이를 위해 고려시대 경기체가인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의 세 편을 주 대상으로 선택했다. 경기체가의 형식미를 살펴본 결과 노래 가사의 언어적 측면에 기인한 결합적 특성이 율격과 악곡적 측면까지를 규정하며 경기체가 형식의 주된 코드로 자리잡고 있음을 밝혔고, 창작 원리로는 ‘장면서술화’의 원리가 장르 전체를 주도하는 가운데 <관동별곡>이나 <죽계별곡>에 나타나는 ‘배경 묘사/ 주체 등장’의 원리가 <한림별곡>에 나타나는 개별화와 포괄화의 원리를 포함하면서 ‘장면서술화’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세부원리로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형식미와 창작 원리에 대한 고찰을 통해 파악된 결과를 문학교육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작품 창작교육’과 ‘언어 활용능력’의 두 가지 측면에서 그 활용 방안을 강구해보고자 했다. 먼저 학습자들이 경기체가 형식미의 기본 코드로 파악된 결합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영문 가사와 국문 가사가 결합된 최근의 대중가요를 비교 대상으로 설정해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본격적으로 작품 창작교육에 대한 논의에 들어가서는 경기체가를 활용한 시창작교육의 학습활동을 순차적으로 정리했고, 이 활동 가운데 경기체가의 재현을 어느 정도까지 학습자에게 요구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다섯 단계의 분화된 방식을 소개하고 그 가운데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언어 활용능력은 작품 창작교육을 통해 부가적으로 신장될 수 있는데 이 부분까지 목표를 둔다면 작품 재현 방식을 약간은 난이도가 높은 쪽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국문가사만으로 작품을 쓰는가 아니면 한문가사까지 수용하는가 하는 데에 따라 언어 활용능력 신장의 목표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했다. The Gyeonggichega appeared as an alternative to Chinese writing songs in the middle of the Goryeo period. Hallimbyeolgok is evaluated as a successful work that maintains the dignity of the then Chinese writing song and yet that demonstrates the quality of Korean song. Its words has a linkage to Chinese writing phrases as its basic frame yet adopts Korean phrases or sometimes Korean sentences in its refrain. The last rhythm of the three-syllable stanza where a Chinese writing phrase ends is linked with Korean words or Korean endings of a Chinese writing phrase, leading Chinese writing phrases to be naturally linked with Korean phrases. This way, Gyeonggichega was able to be positioned as a unique literary style where both the Chinese literary style and the Korean literary style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awkward, differentiating it from pure Chinese poems and pure Korean songs.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Gyeonggichega offers significant considerations to be studied. In terms of versification, Gyeonggichega is a Chinese literary style, and unlike the Chinese poem, consists of the 3-stanza and 3-line style where one stanza consists of 3 or 4 words and a repetition of the 4 and 4 words, thus leading it to be similar to the Korean song. In terms of the poem style, the refrain verse led by the interjection "wi" is properly deployed in the fourth line and sixth line, thus taking over a variation of the traditional structure where the foregoing phrase is large and the following phrase is small. Also, it is noteworthy in the Gyeonggichega style that, in an attempt to describe one theme in one scene, subject matters mentioned in lines 1-3(from the first to third) are revealed as key words in the fourth line where ‘* * Gyeong (景)’ appears. In the genre of royal court songs (dangak), diverse styles and musical scores appeared according to a fixed verse, thus leading to a creation of various works; likewise, the series of Hallimbyeolgok, which contained new contents, could be produced according to its fixed style and musical score. Another lesson is the ability to create a subject conceived by the author into a scene. A conceived subject can be presented through an enumeration of numerous subject matters, or segmentation of sentences into phrases and paragraphs; then it can be expressed by concentrating on a key word. This training will remarkably enhance literary creativity ability and basic Korean language ability. The three works-Hallimbyeolgok Gwangdongbyeolgok and Jukgyebyeolgok-concern the politically rising echelon's display of pride and praise of higher powers; depending on who were the authors-literati of the military power period or newly rising politicians-, how the works developed, and how Hungu School's works and Sarim School's works revealed their authors' echelon characteristics, and praised the influential forces. Such issues can be handled to boost the students' ability to appreciate literary works.

      • KCI등재
      • KCI등재

        규방가사가 지닌 일상성의 양상과 의미 탐구 -여성들의 노동과 놀이에 주목하여-

        박경주 ( Kyeong Ju Park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에서는 규방가사의 향유와 창작, 그리고 작품 세계가 지닌 일상성의 의미를 노동과 놀이라는 관점을 통해 논의했다. 일반적인 규방가사에 노동이 고통의 대상으로 그려진다는 점에서, 여성이 일을 통해 결실을 맺음으로써 자아성취감을 드러내는 작품들은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가족간의 유대감은 여성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힘든 노동을 극복하는 원동력이 된다. 주체적 입장에서의 노동은 가문을 빛낸 후손을 길러내는 과정에서 겪은 힘든 과거의 일상을 회고조로 그려낸 가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향촌사족사회의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여성 노동의 의미가 재산 축적으로까지 확대되는데, <복선화음가>에서는 여성의 노동을 통한 재산 축적을 긍정하는 변화된 가치관이 나타난다. 규방가사의 창작과 향유는 중요한 놀이 중의 하나였다. 직접적으로 놀이를 배경으로 창작된 작품은 기행 가사와 화전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화전가에는 놀이를 통해 여성 간의 연대가 이루어지는 작품들과, 집단 간에 조롱 섞인 논쟁을 하면서 갈등을 해결해가는 작품들이 보인다. 가문 내에서 화전가를 주고받는 놀이는 소통과 화합의 한 방식이었다. 조선후기 여성들은 가족애와 가문의식에 기대어 노동 속에서 소중한 일상을 찾았고, 적극적인 경제 활동을 통해 자존감을 높였다. 노동의 고단함을 규방가사의 창작과 향유를 통해 이겨내고 화전놀이 등으로써 풀어내면서, 노동과 놀이의 균형을 맞추어 일상을 지켜나갔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appreciating and creating Gyubanggasa (women`s lyrics) as well as of its work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 and pastime games. Gyubanggasa generally describe labor as the symbol of pain, and from this viewpoint, works that describe that women bore fruits through work thus achieving self-realization offer special meaning. Family ties work affirmatively for women, inspiring women to overcome hard labor. Labor described from the subjective viewpoint can be found in lyrics that describe the recollection of the past hardworking routines for fostering descendants that shone their households. Also, amid the native tribal society suffering economic difficulty, the meaning of women`s labor expands to cover the accumulation of wealth, and one such example is <Bokseonhwaeumga> lyrics wherein such changes to values are described.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Gyubanggasa is one of major pastimes. Works that involve pastimes can be found in lyrics of travel and Hwajeonga lyrics. Hwajeonga lyrics are comprised of works that describe women`s unity through playing pastime games, and works that describe groups joking and arguing to resolve conflicts. The pastime games that involve reciting and singing Hwajeongga within households is one method of communication and unity.In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women looked for precious value of dailiness through labor by depending on family love and being conscious of their households. They also enhanced their self- esteem by conducting economic activities positively. They overcame the pain of labor by creating and appreciating Gyubanggasa, and consoled themselves through the Hwajeonnori game, thus balancing between labor and pastime.

      • KCI등재

        구촌(龜村) 이복로(李福老)의 <화산별곡(花山別曲)><구령별곡(龜嶺別曲)>이 지닌 16세기 경기체가로서의 위상 탐구

        박경주 ( Kyeong Ju Park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40 No.-

        경기체가 가운데 16세기에 창작된 작품으로는 지금까지 김구의 <花田別曲>, 주세붕의 <道東曲> <六賢歌> <儼然曲> <太平曲>, 그리고 권호문의 <獨樂八曲>을 들 수 있었다. 여기에 이복로의 경기체가 두 편이 추가로 발견됨으로써 16세기 사림에 의해 경기체가가 향유된 방식을 더욱 다양하게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화산별곡>을 보면 안동 지역의 勝地와 민풍을 찬양하면서 고향인 안동 지역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게 드러나는데, 이는 고려시대 안축이 지은 <죽계별곡>에서부터 시작된 경기체가의 일련의 흐름을 잇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안동의 승지를 유람하면서 풍류를 즐기는 면에서는 얼핏 처사적 강호자연의 취향이 나타나는 듯도 하지만, 주되게는 관직자가 자연을 활용하여 풍류를 즐기는 모습이 드러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비해 <구령별곡>은 사림파의 처사적 자연관이 비교적 잘 드러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표현 방식이나 세계상에 있어 일반적인 어부가 계열의 작품들과 유사한 측면이 많고, 6개의 장 모두에서 卜居와 吟風영月, 漁父의 삶, 踏靑浩歌, 江湖散人 등과 같은 어휘 등을 통해 隱逸之士의 풍모를 드러냈다. 김구와 이복로의 작품을 비교한 결과를 정리하면 구체적인 양상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작품에 향촌을 바라보는 처사적 자세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못한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상승하는 계층의 과시와 찬양``을 노래하는 경기체가의 본질이 아직은 유효했다는 말이 된다. 형식에 있어서 김구의 <화전별곡>에 약간의 글자 수 추가가 나타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세 작품 모두가 경기체가의 기본 형식을 비교적 잘 지키고 있는 사실 또한 16세기 초기까지는 사대부층 내에서 경기체가의 장르적 본질이 유지되고 있음을 아울러 드러낸다. 이복로의 경기체가를 살펴보면 15세기와 같은 수준의 악장적 미의식은 드러나지 않지만, "위"로 시작하는 관용어구에서 그 흔적이 얼핏 발견되는 듯 보이기는 한다. 또한 <화산별곡>에서는 관인문학적 분위기가 <구령별곡>에서는 처사문학적 분위기가 다분히 짙게 풍기지만, 두 작품 모두 경기체가의 본질인 ``과시와 찬양``에 충실한 양상을 보이는 까닭에 <화산별곡>에서는 물론이고 <구령별곡>에서도 강호자연은 인간과 조화를 이루며 긍정적인 차원에서 그려진다. 특히 <구령별곡>은 16세기 후반의 어부가들과 연결시킬 수 있는 처사적 미학을 보여주면서도 정치현실과 강호자연 사이에서 내부적으로 갈등하였던 사림파 어부가의 정서는 확인되지 않고, 강호자연 속에 귀일하여 조화로운 일상을 보내는 화자의 심정이 그려질 뿐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복로의 경기체가는 15세기 악장적 미의식에서 16세기 후반 사림파의 강호가도의 미의식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사대부시가의 양상을 경기체가의 형식을 통해 잘 드러낸다고 판단된다. As the two pieces of Lee Bok-ro`s gyeonggichega among the gyeonggichega created in the 16thcentury were additionally discovered, the manner in which gyeonggichega was enjoyed by sarim in the 16th century was able to be diversely examined. In Hwasanbyeolgok, he praised the scenic spots and custom in the Andong region and strongly expressed his pride in the Andong region, his native place, and this can be seen as succeeding to a series of the flow of gyeonggichega which began with Jukgyebyeolgok written by Ahn Chook during the Goryo Dynasty. Although the hermitlike taste of communing with nature seems to be represented in the sense that he enjoyed arts while traveling throughout scenic spots in Andong, it is considered that the aspect of a public official or a man of the upper class enjoying the arts making use of nature is revealed. In contrast to this, Guryeongbyeolgok is considered to be a work that clearly reveals hermitlike view of nature of sarim. There are many aspects similar to the works of general fisherman`s songs in the method of expression or in a picture of the world, and the appearance of a hermit was revealed through the words. When Kim Gu`s Hwajeonbyeolgok, the same 16th century work, is compared with Lee Bokro`s works,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re are common points in the works where hermitlike posture looking at country villages is not clearly revealed,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ed forms.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essence of gyeonggichega which sings ``the ostentation and praise of the rising classes`` was still valid. In terms of the form, except the fact that the number of letters are a little added in Kim Gu`s Hwajeonbyeolgok, the fact that all the three works generally maintains the basic forms of gyeonggichega relatively well also reveals that the genre essence of gyeonggichega was maintained within the nobility classes until the early period of the 16th century. Although Lee Bokro`s gyeonggichega does not reveal the aesthetic sense of the movement in the level of 15thcentury, its trace is momentarily discovered in the idiomatic expressions that begin with "Wi." Although Hwasanbyeolgok smells of the atmosphere of official literature, and Guryeongbyeolgok smells of the atmosphere of hermit literature, the two works all show faithfully ``ostentation and praise``, the essence of s gyeonggichega, so country village nature is described positively in harmony with humans not only in Hwasanbyeolgok but also in Guryeongbyeolgok. Particularly, Guryeongbyeolgok shows hermitlike aesthetics that can be connected with fisherman`s songs in the late 16th century but never shows the sentiments of fisherman`s songs of the sarim faction which wasinternally conflicted between political realities and country village nature, and it simply describes the feelings of the narrator who spendsharmonious life being unified into country village nature. In this sense, it is considered that Lee Bokro`s gyeonggichega fully reveals the aspects of nobility poetry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15th century`s motion aesthetic consciousness to the late 16th century`s country villag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arim through the form of gyeonggichega.

      • KCI등재

        정극인의 시가 작품이 지닌 15세기 사대부문학으로서의 위상 탐구

        박경주 ( Park Kyeong-ju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고전문학과 교육 Vol.29 No.-

        15세기는 본격적인 처사문학을 지향하는 강호가도의 흐름이 아직 형성되기 이전으로 관료생활을 지향하고 임금의 은혜를 송축하는 내용이 사대부시가문학의 주류를 차지하던 시기이다. 정극인은 15세기를 마치며 16세기로 나아가는 시기에 작품 활동을 하면서 관료문학과 처사문학으로의 양가적 지향성을 드러내었다. 장르 선택이나 표기상의 문제와 관련해서 볼 때 15세기는 아직까지 한시체 위주에 우리말로 토를 달거나 우리말 부분을 채워 넣은 형태의 시가가 일반적이었기에 경기체가나 한시체 중심 악장 등이 사대부 시가의 주류를 이루고, 시조의 경우에도 임금의 은혜를 칭송하는 내용이 드러난 작품들이 많이 보인다. 정극인의 <불우헌가>는 악장과 유사한 내용과 형식을 지닌 한시체 중심의 시가로, 15세기를 마감하는 시가 형식이다. 한편 <불우헌곡>은 전 시기 관료적 지향의 경기체가에서 뒷 시기 처사적 지향으로 넘어가는 경기체가의 변화를 선도하면서 영남지역 사림파의 경기체가에 영향을 준 만큼, 15세기 이전과 이후를 사이에 두고 변화를 이끌어낸 작품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춘곡>의 경우 정극인 만년에 지어진 한시와 시가 작품을 총체적으로 검토했을 때 처사문학으로의 지향성 역시 충분한 정도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기에 정극인의 작품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e 15th century, the movements of nature-praising poetry, which pursued retired officials' literature in full swing, were not yet launched, but the world view of pursuing public official life and praising the grace of kings prevailed in the Sadaebu poetic literature. Jeong Geugin, who wrote many literary works at the turn of the 16th century, pursued both official's literature and nature-praising literature.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genres or writing, in the 15th century, Chinese poems prevailed, only with them being transliterated into Korean words or Korean words added to then to complement them, so these poems, called Gyeonggichega songs or Chinese poems, formed the main stream of the Sadaebu poetry. In the case of Sijo (an ancient genre of Korean poetry), many works embraced the world view of praising the grace of kings. Jeong Geugin's Buluheonga poem is the typical Chinese poem-style song which expresse the 15th world view, and carries the poem style which wraps up the 15th century. On the other hand, Buluheongok song led changes to the Gyeonggichega poem style which transited from the earlier-period's bureaucratic-oriented Gyeonggichega to the later-period's nature-praising poetry style, and simultaneously influenced the Gyeonggichega style of Sarimpa School of Yeongnam region, so it is seen as a work that brought changes to the borderline period before and after 15th century. Sangchungok song is seen as Jeong Geugin's work as it has ample inclination to be nature-praising literature when his later-life Chinese poems and other-style poems are totally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