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돈 저감제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라돈 방출 저감 연구

        박경북,이상혁,Park, Kyung-Buk,Lee, Sang-Houck 한국환경보건학회 2014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0 No.6

        Objectives: A radon emission reducing agent was prepared using charcoal and zeolite, and the amount was measured after coating construction materials with the agent. The availability of the radon emission reducing agent was evaluated. Methods: Construction materials (red brick, cement brick, and gypsum board) coated with reducing agent were placed in a chamber to measure radon emissions. The construction materials were coated one through three times. The spread volume for brick and gypsum board was 50 mL and 75 mL per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amount of radon emitted was measured by RAD-7 after 48 hours. Results: The reduction ratio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coatings, and the reduction ratios for red brick, cement brick, and gypsum board were 63.3, 73.6, and 58%,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ree coatings of RA-1. The reduction ratios for red brick, cement brick, and gypsum board were 42.8, 58.1, and 26.2%,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ree coatings with RA-2. RA-1 was slightly better than RA-2 in radon emission reduction. Conclusions: Radon emissions from construction materials decrea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reducing agent coating, and it was more effective than existing methods.

      • KCI등재
      • 택배 등 유통포장재의 재사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마련 연구

        이소라 ( Sora Yi ),임혜숙,김영희,신용승,윤영섭,박경북,오정아,이종원 한국환경연구원 2019 수시연구보고서 Vol.2019 No.-

        최근 온라인 구매가 점점 활성화됨에 따라 택배 등 유통포장재의 사용량도 늘고 있다. 2017년 국내 택배물동량은 23억 1,900만 개로 전년 대비 13.3% 증가했으며, 국민 1인당 연간 택배이용 횟수는 44.8회이다. 이에 유통포장재의 감량 및 재활용 활성화와 더불어 재사용 가능한 유통포장재의 도입 가능성을 살펴보고 관련 정책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유통포장재 사용 추이 분석과 사례 조사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택배 등 유통포장재의 도입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규제 및 법령 검토를 토대로 한 유통포장재 재사용 활성화를 위한 법적 관리방안 마련 및 공유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필요한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유통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재 중 특히 택배에 이용되는 유통포장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국내 판지의 택배상자 소비추정량의 증가와 택배물동량의 추이를 비교했을 때, 택배물동량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국내 판지의 택배상자 소비추정량은 증가폭이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택배물동량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판지의 택배상자 소비추정량이 증가하지 않은 것은, 종이 상자 외에 플라스틱 봉투 등 기타 유통포장재 사용량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택배물동량과 온라인쇼핑몰 거래액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온라인쇼핑몰 거래액이 높은 폭으로 증가할 때 택배물동량도 같이 증가한다. 또한 온라인쇼핑몰 거래액을 분석한 결과 온라인쇼핑몰과 택배물동량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택배 거래시 포장재의 보호성능(파손 우려 제품, 신선 유지 제품)을 기준으로 온라인쇼핑 상품군을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재분류하였다. A그룹은 도서, 패션, 생활과 같이 유통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파손 우려가 낮은 물품, B그룹은 음식료품, 농축수산물, 음식서비스와 같이 유통과정에서 신선 유지가 필요한 물품, C그룹은 컴퓨터, 가전·전자·통신기기와 같이 유통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파손 우려가 높은 물품으로 분류했다. A그룹의 전년 대비 거래액 증감률은 15.1~19.8% 증가율을 보였다. B그룹의 전년 대비 거래액 증감률은 29.8~57.8%로 다른 그룹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2017년 증가율이 57.8%로 두드러졌다. 이는 주로 음식서비스 거래액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C그룹의 전년 대비 거래액 증감률은 12.0~21.7%였다. 국내 유통포장재 관련 법규 및 제도는 유통포장재 감량 지침(유통포장재 감량 가이드라인, 2019.1.16),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9조(포장 폐기물의 발생억제) 및 10조(1회용품의 사용 억제 등),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물류정책기본법」 제59조(환경친화적 물류의 촉진), 냉동식품 택배배송 가이드라인(2019.6.26) 등이 있다.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9조는 포장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고 재활용을 촉진하며, 불필요한 이중포장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 횟수를 제한 하고 포장공간비율을 한정하는 규정을 담고 있다. 그러나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포장재질 및 포장방법에 대한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법률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국내에서 재사용 유통포장재는 폐쇄계 시스템(Closed Loop System)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그림 1> 참조). 그러나 해외의 경우 리팩(RePack)과 같이 개방계 시스템(Open Loop System)으로 운영되거나 Loop Platform와 같이 결합계 시스템(Hybrid Loop System)으로 운영되는 사례가 있다(그림 2 참조). 폐쇄계 시스템에서는 정해진 규격과 성능기준에 맞게 유통포장재가 설계되고 정해진 보증금과 회수 체계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한 반면에 다른 유통업체가 기존의 폐쇄계 시스템에 참여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다양한 유통업체가 언제든지 진출입할 수 있는 개방계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규격과 성능 기준에 맞게 유통포장재를 설계해야 하므로 다양한 제품군을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반면에 유사제품군을 판매하는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재사용 유통포장재를 도입하고 확대해 나갈 수 있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재사용 유통포장재에 대한 의식 조사 결과(그림 3 참조), 유통포장재 재사용이 환경보호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에는 대다수(89.7%)의 소비자가 동의했고, 재사용 유통포장재를 사용할 의사 또한 90.9%로 높게 나타났다. 원활한 유통포장재 재사용을 위해 소비자가 보증금을 납부/환불 받는 제도에 대한 참여의사는 전체 응답자의 84.1%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희망하는 택배포장재 종류별 보증금 단가를 살펴보면 ‘재사용 택배상자(전자제품용 등)’ 1,869원, ‘재사용 보냉박스 또는 보냉가방(식료품용 등)’ 2,084원, ‘재사용 택배봉투(의류용 등)’ 1,450원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95.6%가 재사용 택배 유통포장재의 도입이 가능하다고 답변했으나, ‘파손 우려가 높은 제품’(45.0%)보다 ‘신선 유지가 필요한 제품’(29.7%)에서 재사용 유통포장재 사용에 대해 좀 더 부정적인 의식을 나타냈다. 정부 및 지자체에 대한 제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정책 및 규제 강화로 전체의 약 44.8%를 차지하였으며, 유통포장재 재사용 캠페인 및 교육의 강화와 관련한 내용이 27.8%, 수거거점 및 재사용시스템 구성에 대한 내용이 14.2%로 뒤를 이었다. 유통포장재 쓰레기 저감을 위한 실천 아이디어로는 구매처와 택배기사를 통한 유통포장재 즉시 반환을 다수 제안하였으며, 주문 시 유통포장재를 재활용제품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학계 등 관련 전문가의 의견은 우리나라의 인당 택배 이용 건수가 타 국가 대비 높은 만큼 택배포장재의 재사용 시스템 확보 시 유용성이 높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택배의 경우 해외 택배에 비해 택배포장재의 부피배율이 높은 편이므로 택배포장재의 과대포장 억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통·물류업계는 택배 등 유통포장재의 재사용 활성화를 위한 추진 노력과 이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 및 정부 지원사항에 대해 제안하였다. 유통포장재의 친환경성과 재활용, 재사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재료, 접합재, 완충재, 보냉재, 내부포장재, 송장, 인쇄, 기능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제품의 보호성능과 함께 평가하여야 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재활용, 재사용의 키워드를 충족할 수 있는 유통포장재 친환경성 판단 기준을 제안하면 <표 1>과 같다. 친환경 유통포장재 정책에서 가장 우선시해야 할 것은 감량을 통한 폐기물 발생 저감이며, 요소마다 적용 가능한 범위에서 재사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재사용 유통포장재의 공유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배출, 수거, 회수처리, 재공급으로 나누어 체계를 수립하고, 각 단계에서 참여 주체별(생산자, 유통업자, 소비자 등) 역할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사용 유통포장재 보증금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일회용유통포장재의 부담금 도입과 참여 주체별 인센티브 도입 등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통포장재 재사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1) 법적 개선방안, 2)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방안, 3) 산업계의 참여방안, 4) 소비자 참여방안, 5) 기술개발방안으로 나누어 제언하였다. 1) 법적 개선방안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조에서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대한 예외 규정을 검토하고,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대한 기준을 추가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수송을 목적으로 하나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택배배송용 유통포장재의 경우 단서 조항을 마련하여 감량 및 포장재질·포장방법 지침을 제시하였다.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개선안)」 제2조(적용범위) 이 규칙은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포장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만 파손 우려*가 적은 택배 포장 제품에 대해서는 포장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한 포장공간비율과 포장횟수**를 적용할 수 있다. * 생활용품, 잡화류, 도서문구류, 완구류, 정보통신 주변기기 등 ** 포장공간 비율 50% 이내, 포장횟수 1차 이내 또한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부처 간에 상충된 정책방향을 제시하면 산업계가 식품위생 관점과 환경적 관점에서 어느 쪽을 따를지 혼란을 줄 수도 있으므로 부처 간에 협의하여 가이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감량 및 재활용 촉진뿐 아니라 재사용 촉진을 위한 법안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고시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2)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방안 재사용 유통포장재 제작 및 인프라 구축 등 초기 투자비용과 안정적인 운영체계를 갖추기까지 1회용 포장재 사용에 대한 법적인 규제 또는 계도를 통해 재사용 유통포장재로의 전환을 도모하고, 재사용 유통포장재에 대한 경제적인 인센티브(세제혜택 등)를 제공함으로써 산업계의 비용부담을 경감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산업계와 함께 자발적 협약을 통해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현장적용성을 평가한 후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다른 업체로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3) 산업계의 참여방안 유통포장재의 친환경성과 제품의 보호성능 등 관점에서 요건을 검토 및 개발하여, 소비자참여 제고를 위해 다양한 마케팅에 활용하고, 참여에 따른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재사용 유통포장재 시스템으로 전환해 나갈 수 있다. 또한 유통포장재의 규격화를 통해 다양한 제품 및 다수 업계가 참여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4) 소비자 참여방안 소비자의 올바른 참여를 위해서는 인센티브라는 경제적 지원과 보증금이라는 경제적 부담을 적절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인센티브와 같은 경제적 지원은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에 대한 보상이 될 수 있으며, 보증금과 같은 경제적 부담은 참여자가 친환경 행동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이끄는 유인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5) 기술개발방안 포장재 제조업체와 포장재 사용업체, 물류업체 간의 협업을 통해 자원순환형 포장 및 친환경 포장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포장 시스템 전 과정(포장재 제조 ⇒ 1차 및 2차포장 ⇒ 물류포장 ⇒ 소비 ⇒ 폐기 후 재활용 및 처리)에 걸쳐 자원순환 및 친환경 관점에서 포장재를 설계하고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포장 폐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감량기술을 우선 검토하고 이후 재활용성과 재사용성을 고려한 기술 개발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at the growing preference for online shopping in recent years has led to the increasing uses of packaging materials, such as cardboard boxes used in parcel delivery services. In 2017, domestic parcel deliveries increased by 13.3% from the previous year to 2.319 billion parcels, and annual usage of parcel deliveries was 44.8 times per capita. This trend points to the need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for reducing and recycling packaging materials at the distribution and logistics stages, introducing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and investigating how such efforts can be supported through policy measures. This study prepares for the introduction of new packaging materials such as reusable packaging based on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and case studies in logistic packaging materials. In conjunction, this study proposes plans for establishing a legal basis to promote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regulations and laws as well as management strategies for transitioning to a sharing system.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ertiary packaging, that is, the packaging materials used for parcel delivery services. The comparison between growth trends in the estimated consumption of cardboard boxes for parcel deliveries and the volume of parcel deliveries in Korea reveals that the consumption of cardboard boxes shows a relatively slow increase against the rapid rise in parcel deliveries. This difference in growth trends may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d use of packaging materials other than cardboard boxes, e.g., plastic bags. Meanwhile, the volume of parcel deliveries and that of online shopping mall transactions show a proportional correlation where parcel deliveries increase with a sharp increase in online shopping mall transactions. The analysis of the volume of online shopping mall transactions also reveal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online shopping malls and the volume of parcel deliver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categorized online shopping products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protection provided by their packaging materials (e.g., fragile products, perishable products). Products which were unlikely to be damaged in the delivery process such as books, clothes and accessories, and household products were categorized under Group A; perishable products, which need to be kept fresh throughout the delivery process, such as food and beverages, fresh produc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and packaged food were put under Group B; and fragile products which have a higher risk of damage during delivery such as computers, electronics, and IT products were classified as Group C. The volume of transactions for Group A products increased 15.1-19.8% year-on-year, while Group B products showed higher growth than the other groups with an increase of 29.8-57.8%, notably, 57.8% in 2017. This growth is mainly due to an increase in purchases of packaged food. Meanwhile, Group C products showed a year-on-year increase of 12.0-21.7%. The use of packaging materials in logistics in Korea are dealt with by the following laws and regulations: the Guideline for Reducing Logistic Packaging Materials (January 16, 2019); Article 9 (Control of Generation of Packing Wastes) and Article 10 (Control, etc. of Use of Disposable Products)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the Rules on the Standards for the Materials and Methods of Packaging Products; Article 59 (Promotion of Eco-Friendly Logistics) of the Framework Act on Logistics Policies; and the Guidelines for Parcel Delivery of Frozen Foods (June 26, 2019). Article 9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stipulates provisions to repress the generation of packaging waste, promote their recycling, and prevent unnecessary double packaging by limiting the number of times a product can be packaged and the space volume ratio of packaging. However, the standards for packaging materials and packaging methods are not applied to products intended for transportation, thus requiring an amendment to the law. In Korea, reusable logistic packaging materials are mainly circulated through a closed loop system. In other countries, however, open loop systems such as RePACK or hybrid loop systems such as the Loop Platform are in operation. In closed loop systems, packaging materials are designed according to specified size requirements and performance standards and are reused by charging a deposit fee and recollecting the packaging through a designated recollection system. However, it is difficult for other distributors to participate in existing closed loop systems. In the case of open loop systems that enable various distributors to enter and exit the system at any time, the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need to be designed according to general size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thereby limiting their application to diverse product groups. However, open loop systems can be expanded the use of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gradually by centering on distributors who sell similar product groups. A consumer awareness survey on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consumers agreed to the environmental benefits of using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89.7%) and were favorable toward using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90.9%). 84.1%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are willing to pay refundable deposit fees to facilitate the reuse of packaging materials. The amount of deposit fee by type of parcel packaging preferred by consumers was identified as 1,869 won for reusable parcel boxes (for electronics, etc.), 2,084 won for reusable cooling boxes or bags (for food products, etc.), and 1,450 won for reusable parcel bags (for clothing, etc.). 95.6% of the respondents viewed it possible to introduce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Consumers responded more negatively about the use of reusable packing materials for perishable products (29.7%) than fragile products (45.0%). Also, when asked to give suggestions to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44.8% of the respondents suggested strengthening relevant policies and regulations, followed by more campaigns and educational programs about reusing packaging materials (27.8%), and the implementation of recollection sites and packaging materials reuse systems (14.2%). As for practical ideas to reduce packaging waste, many of the respondents proposed the immediate return of packaging materials to the product seller through parcel delivery person, followed by the idea of providing consumers with the option to choose reusable packaging.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related experts such as those in academia,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reusing parcel packaging materials can be highly effective in the case of Korea considering the high usage of parcel delivery services per capit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ince parcel packaging methods used in Korea’s logistics have a higher space volume ratio than those used overseas, the need to suppress over-packaging was highlighted. The suggestions from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dustries included various efforts to promote the reuse of packaging materials as well as anticipated problems and areas which require governmental support.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eco-friendliness of packaging materials and their recycle and reuse potential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s used (e.g., base materials and the materials used for bonding and cushioning, cooling materials, internal packaging materials, as well as the materials used for invoices), printing methods, and the functions of the packaging. The level of protection provided by the packaging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Based on research, the suggested criteria for assessing the eco-friendliness of packaging materials that can satisfy the keywords of recycling and reuse are given in < Table 1 >. Eco-friendly packaging policies should place priority on reducing the generation of waste by restricting usage. Also important is to design packaging materials considering their reusability in each applicable aspect. For a sharing system of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it is vital to establish a system for each of the stages of disposal, collection, recovery processing, and redistribution and to determine the roles of the stakeholder at each stage. Various aspects need to be review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deposit system for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disposal fees for single-use packaging materials and incentives for each stakeholder involved in the system (manufacturer, distributor, consumer, etc.).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reuse of packaging materials in logistics in terms of 1) improvements in laws and regulations, 2)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upport, 3) industry participation, 4) consumer participation, and 5) technology development. 1) Improvements in laws and regulations There is a need to review Article 2 of the Rules on the Standards for the Materials and Methods of Packaging Products, which stipulates exceptions for products intended for transportation, and to prepare additional standards for products intended for transportation. If the policy direction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re in conflict, industry stakeholders may become confused as to which policy direction to follow, e.g., the perspective of food safety or the environment. Thus, guidelines need to be improved through discussions between ministries. Also, measures to promote reduction and recycling as well as the reuse of packaging materials should be reviewed to prepare specific proposals. 2) Support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transition to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through instructive guidelines or laws regulating the use of disposable packaging materials until the initial investment in manufacturing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and constructing the infrastructure for their implementation is completed and a stable operation system is established. Financial incentives, such as tax incentives, can help reduce the burden on the industry to implement reusable packaging materials. The government may start with a pilot project which involves an industry based on voluntary agreements, then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ject and make necessary improvements for expanding the scope to other companies. 3) Industry participation The transition to a sustainable system for reusable packaging can be accomplished by reviewing and developing the requirements for packaging materials in terms of their eco-friendliness and the level of protection provided, etc., and by utilizing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and incentives for inducing consumer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standardization of packaging material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more companies and a larger range of products to be a part of the system. 4) Consumer Participation For active consumer participation, economic support (i.e., incentives) and economic burden (i.e., deposit fees) should be utilized appropriately. Economic support can reward the consumers for their eco-friendly behavior, while economic burdens can induce the completion of participation in eco-friendly practices. 5)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resource recycling and eco-friendly packaging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packaging material manufacturers and the distributors and logistics companies that use such packaging materials, so that packaging material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based on the considerations of resource recycling and eco-friendliness throughout their full lifecycle (manufacture of packing materials ⇒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 packaging for logistics ⇒ consumption ⇒ recycling and processing after disposal). In this regard,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reducing packaging waste, and afterward, technologies for recycling and reusing packaging materials.

      • KCI등재

        무인 석면도포공법을 이용한 석면비산방지에 관한 연구

        김형진,이갑수,김상식,조진규,강형석,박경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1 No.5

        The mock-up tes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unmanned coating method to prevent asbestos scattering from fiber insulation board in same vibration condition of school. Fiber insulation boards were cut into uniform size and attached in checker figure. Bang machine and rubber hammer were used to scatter asbestos sufficiently. Sodium silicate was used as a asbestos scattering inhibitor. The asbestos concentration was counted by PCM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sbestos concentration was 0.014 (1st day) and 0.021 (14th day) f/cm3, respectively in case of without coating. Asbestos concentration was 0.006 (1st day) and 0.008 (14th day) f/cm3, respectively in case of unmanned coating method. It was satisfied the standard of asbestos concentration i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law. So unmanned coating method was applicable to prevent asbestos scattering from fiber insulation board in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