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남성과 연애결혼한 몽골 여성들의 한국 문화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바타르자우 뭉흐자르갈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263

        ABSTRACT A Study on Adaptation Experiences to Korean Culture of Mongolian Women who had Love Marriage with Korean Men Baatarjav Munkhjarga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ife experiences of Mongolian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through ‘dating' and are living in Korea, and essence of adaptation experiences and its meaning by using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10 Mongolian women who married with Korean men after dating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for about 3 months from June, 2010 to September, 2010, to find meaning and essence of adaptation experiences though in depth interview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articipants of the study met their husband at work and school as they came to Korea as international students or workers, or some of them met their husband in their native country, fell in love, got married, and came to Korea. All participants met their husband in a condition to communicate in Korean naturally, and they learn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professional way from their native country, going to an international language school in Korea, or watching drama or entertainment programs from TV.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confusion at the early stage of life in Korea as knowledge, values, culture, and lifestyle were different from what they knew. They felt social cultural differences such as food, climate, and lifestyle, they suffered from physical․mental pains due to difference in culture of Korea and Mongolia in process of pregnancy․childbirth․nurturing children, or they experienced conflict with their husband's family because of difference in nurturing children. In relationship with a family, they had same conflicts between wife and husband and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s normal couples excluding small cultural difference that comes from their attribute as 'foreigner'. Participants complimented diligent, attentive, and strong responsibility for family sides of Korean men, but on the other hand, they also criticized indifference and no participation in 'dividing housework' of Korean men who prefer patriarchal culture. Most of participants feel uncomfortable about excessive interference and privacy violation of mother-in-law and there were many cases of being exempted or disregarded as they are perceived as 'a person who came from undeveloped country, or a dull person'. However, they were naturally accepting cultural differences as time passed and finding solutions for conflicts that occur in relationship with in-law family and husband in concession and understanding through conversatio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maintaining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back home through communication mediums like phone, email, and video chat and through this, they asked for consolations or advices about relationship with husband or in-law family, or process of nurturing children. Participants had formed proper relationship with friends from their native country, college friends, and colleagues from the work and they obtained many knowledge about Korean culture through its relationship. However, there were some cases to be close with surrounding Korean people due to excessive amount of interest that is close to violating one's privacy and Korean people's conversation behind people's back. They are receiving civil convenience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civic group, public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ternet and neighbors and they were mostly satisfied. Participants were maintaining cultures of their native country through various ways as living in Korea. They taught and shared food, traditional culture, living custom, and traditional games to their family and friendly including in-law family. Interest of spouses of the participants were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There were some husbands who actively learn about native cultures of their wife, sometimes taking gifts on holidays or special days of Mongolia, or trying to experience living or doing business in their wife's native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husbands who do not know much about their wife's native country or do not have interest. Moreover, interest of in-law family on foreign daughter-in-law wa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ut most of them did not know about native culture of daughter-in-law. Participants pointed out 'communication' as the most helpful thing for them to adapt to life in Korea, and selected husband, friends from their native country, various services for residents by the government of Korea, and benefits of policies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in order. ‘Communication' for them was a valuable fruit that lead them to meet their husband and taught them about culture and people of Korea. They pointed out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prejudice against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difficulty of employment as the disturbance factors for adapting to life in Korea. In particular, discriminative treatment receiving from the reason that 'they are from underdeveloped country', perception as 'uneducated person who came from a poor country, a dull person', and generalization of thinking married women immigrants have 'married Korean men just to live well in Korea' are giving negative awareness about Korean society to married women immigrants. This prejudice existed even among people who are working at multi-cultural institutions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Meanwhile, prejudices of native people in Korea or people from their native country on them are affecting their adaptation on Korean life negatively. Korean press and Mongolian press are covering bad cases about married women immigrants recently, and Mongolian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are perceived to be beaten by their husbands, and Korean men are perceived as 'abuser, alcohol addict, and mental patient', which leads to deterioration of images of Korea. Lastly, it was difficult for participants to find jobs that can nurture their aptitude even though they had high academic background, speak Korean fluently, and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from their native country or Korea. They do not agree with the fact that they have to give up their nationality to work in regular Korean compan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worthy of notice as they are Mongolian women who had 'love marriage' with Korean men. The precedent studies are concluding the reason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to marry Korean men is 'to escape from poverty' by emphasizing the native countries of them are 'underdeveloped countries'. However, as it is shown in this study, international marriage can be achieved due to 'love', not economical reason, and adaptation experiences and processes of married women immigrant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form of marriage. Necessity of reinforcement of monitoring about negative lopsided report of the press, preparation of a systematic device, enhancement of openness and positive perception on multi-culture of the Korean society, improvement of employment policy for the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occupations for successful adaptation of married women immigrants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국문초록 한국 남성과 연애결혼한 몽골 여성들의 한국 문화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과 바타르자우 뭉흐자르갈 지도교수 김경미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해서 ‘연애’를 통해 한국인 남성을 만나 결혼하고 한국에서 살아가는 몽골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생활 경험은 어떠하며, 그들의 적응 경험의 본질과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약 3개월간 한국인 남성과 연애 결혼한 몽골여성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적응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은 유학생이나 노동자로 한국에 들어와서 직장 및 학교에서 남편을 만나거나 모국에서 장기간으로 체류 중이던 남편을 만나 연애를 통해 결혼하고, 이후 한국에서 살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하는 상태에서 남편을 만났으며, 한국말을 전문적으로 배우거나, TV를 즐겨 시청하면서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들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한국 문화를 독학으로 배웠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생활 초기에 자신들이 알고 있는 지식, 가치, 문화 그리고 생활양식이 달라서 혼돈을 겪었다. 그들은 한국에서 음식, 기후, 전통, 생활 습관 등 사회문화적 차이를 느꼈고, 임신․출산․자녀 양육 과정에서 한국과 몽골의 문화 차이로 인해 신체적․심리적인 고통을 겪기도 하고, 또는 양육 방식의 차이 때문에 시댁가족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가족과의 관계에서는 참여자들이 ‘외국인’이라는 특성상 작은 문화적인 차이를 제외하고는 일반 부부들이 겪는 부부간의 갈등과 고부간의 갈등을 겪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한국 남자들의 부지런하며, 자상하고, 가족에 대한 책임감이 강한 면을 칭찬하고 있었으며 한편, 가부장적 문화를 선호하는 한국 남성들의 ‘가사분담’면에서의 무관심, 불참여에 대해서 비판하기도 했다. 시댁과의 관계에서는 참여자들의 대부분이 시어머니의 지나친 간섭과 사생활 침해를 불편해 하고 있었으며 시댁가족들에게 ‘후진국에서 온 사람, 모자란 사람’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가족 내에서 중요한 문제 결정 등에서 제외되거나 무시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문화적인 차이를 편안하게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시댁 및 남편과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서로 대화를 통한 양보와 이해 속에서 해결점을 찾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국에 있는 친정가족들과 전화나 이메일, 화상 채팅 등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통해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남편 및 시댁과의 관계나 자녀 양육 과정에 대해서 위로나 조언을 얻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모국의 친구, 대학 동기, 직장 동료들과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관계를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얻고 있었다. 하지만 한국 사람들의 사생활 침해에 가까운 지나친 관심과 뒷담화 때문에 주변 한국 사람과 관계 맺기를 부담스러워 하는 경우도 있었다. 참여자들은 인터넷이나 이웃을 통해 얻은 정보들을 통해 정부나 시민단체, 공공기관,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민원편의 및 서비스들을 잘 받고 있는 편이었으며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한국에 생활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모국의 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들은 모국의 음식, 전통 문화, 생활 풍습, 전통 놀이에 대해서 가족이나 친구들뿐만 아니라 시댁식구들에도 전수하여 공유하기도 하였다. 참여자의 배우자들은 아내의 모국 문화에 대한 관심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아내의 모국 문화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배우거나, 몽골의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 먼저 선물 등을 챙겨 주기도 하고, 아내의 모국에서 사업이나 생활을 경험하고자 하는 남편이 있는 반면에 아내의 모국에 대해서 잘 모르거나 관심을 안 갖는 남편도 있었다. 또한, 외국인 며느리의 모국 문화에 대한 시댁식구들의 관심도 개인에 따라 달랐지만 대부분은 며느리의 모국 문화에 대해서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었다. 참여자들의 한국 생활적응에 도움이 되는 지지 요인은 ‘의사소통’, 남편, 모국 친구, 그리고 한국 정부의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이었다. 참여자들은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많이 강조하고 있었으며 한국말을 배웠기 때문에 남편을 만날 수 있었고, 지금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그들의 한국 생활적응에 방해가 되는 장벽은 외국인에 대한 차별,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대한 편견, 취업의 어려움 등이었다. 특히 ‘후진국에서 온 사람’이라는 이유로 받는 차별적인 대우와 ‘가난한 나라에서 온 모자란 사람’이란 인식과, 이러한 인식 때문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을 ‘한국에서 잘 살기 위해 한국 사람이랑 결혼했다’고 일반화시키는 것은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하였다. 이러한 편견은 일반 사람들뿐만 아니라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해 종사하는 다문화 관련 기관에서 일하는 실무자들에게도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의 한국에 있는 모국 사람들이나 모국에 있는 사람들의 자신에 대한 편견들이 그들의 한국 생활 적응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한국이나 몽골의 언론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안 좋은 사례만 다루고 있어, 한국으로 시집간 몽골 여성들은 무조건 남편한테 매 맞고, 폭력을 당하는 여성으로 인식되며, 한국 남자들은 ‘폭력자, 알코올 중독자, 정신병자’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아무리 학력이 높고, 한국말이 가능하고, 모국이나 한국에서 대학교, 대학원까지 나왔지만 국적이 ‘한국인’이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자신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일을 찾기 쉽지 않았으며 취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한국인 남성과 ‘연애결혼’을 한 몽골 여성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선행 연구들을 보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모국이 ‘후진국’이란 점을 많이 부각시켜서 그들의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는 이유를 ‘가난에서 탈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국제결혼도 경제적인 이유가 아닌 ‘사랑’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 사회 적응 경험 및 과정은 결혼과정과 형태에 따라 매우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고 생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성공적인 적응을 위해 언론의 부정적 편파보도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및 제도적 장치 마련, 한국 사회의 다문화에 대한 개방성 및 긍정적 인식 증진,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취업 정책 개선 및 다양한 직종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