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병리적 언어행위의 형식적 특징규명을 위한 기초연구

        민형원,홍성기,정승아,이장한,양병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정신분열병집단과 정상집단의 사고형태의 차이를 언어철학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고형태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 법 : 1997년의 예비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중심으로 새로운 작품사진(具象, 抽象의 彫刻과 繪畵)을 약 50장을 선정한 후 반응의 용이성과 다양성을 기준으로 최종 10개의 작품을 실험도구로 결정하였다. 피검자는 1999년 2월부터 동년11월까지 대학병원 신경정신과에 입원한 24명(정신분열병)과 정상대조군으로 19명의 일반인들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피검자들은 제시되는 작품의 제목을 붙이도록 요구받았으며, 피검자의 세 가지 반응측면 즉 반응의 방식, 반응이 지칭하는 작품의 범위, 그리고 반응이 지칭하는 대상의 구체성 혹은 추상성 여부로 구분하여 전체 7가지 양상으로 기호화하였고 각 반응를 직접과 간접으로 구분하였다. 피검자에게 실험을 실시한 후 기호화하여 집단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1) 정신분열병집단이 정상집단보다 직접속성, 단순기술의 반응이 많은 반면에, 정상집단의 경우 투사가 결합된 직접속성, 간접속성, 간접연상, 그리고 개념의 형성에 필요한 일반화가 많았다. 2) 제목과 이 제목이 지칭하는 작품의 범위관계에 대한 정신분열병집단과 정상집단의 반응빈도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작품의 부분보다는 전체를 보고 제목을 정하는 경향이 높았고, 비교적 정신분열병집단이 제목을 작품전체를 보고 단순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정상집단은 작품의 일부분을 보고 이를 일반화하는 경향이 많았다. 3) 정신분열병집단과 정상집단 모두 제목의 추상성보다는 구체성이 우세한 경향을 보였으나, 정신분열병집단(95.3%)이 정상집단(71.4%)에 비해서 보다 더 제목의 구체성이 두드러졌으며 정상집단(28.6%)은 정신분열병집단(4.7%)에 비해서 전체 반응빈도에서 제목의 추상성이 더 우세하였다. 4) 정신분열병집단이 정상집단보다 사고의 직접성이 더 높았고(73.5%), 정상집단은 사고의 간접성이 더 높았다.(58.7%). 결 론: 1) 정신분열병집단이 정상집단에 비하여 추론과정과 사고의 단계성이 없는 직접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사고형태나 언어표현이 확연히 드러났다. 또한 정신분열병집단이 사물을 지각하고 이를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사물의 전체를 보고 단순하게 반응하거나,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표현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2)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실험도구를 좀 더 넓은 범위의 대상자에게도 반복 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지속적인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별적 차이에 대한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개인간의 혹은 동일한 인물의 시간경과에 따른 사고방식의 차이를 검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착될 필요가 있다. 3) 비록 양집단 사이의 확연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실험도구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사고형태 및 언어적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적능력, 교육연한, 그리고 문화적 경험을 좀 더 고려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inking betwe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with linguistic-philosophical approach an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pathological thinking. Methods : Approximately 50 cards(pictures of either representational or abstract sculptures and paintings) from the previous experiment(1997) were carefully examined and 10 ca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variety and promptness of the response. Twenty-four schizophrenic patients and 19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give a title to each picture. Their responses were analysed based on the forms of thinking, abstractness(or concreteness) and the category of the title. Each response was also coded either direct of indirect. Results : 1) Schizophrenic patients emitted more direct and simple descriptive responses whereas healthy subjects showed projection-related direct traits, indirect traits, indirect association and generalization. 2) Both groups tended to utilize the whole rather than parts. Schizophrenic group depended more on the whole pictures than healthy group. Healthy subjects showed more generalization tendency with parts. 3)Both groups preferred concrete titles to abstract ones. Schizophrenic group(95.3%) used more concrete titles than healthy group(71.4%) and healthy group(28.65%) used more abstract titles than schizophrenic group(4.7%). 4) Schizophrenic patients(73.5%) showed more directness in thinking than healthy subjects, whereas healthy subjects(58.7%) more indirectness. Conclusions : 1) Schizophrenic patients clearly showed direct and simple forms of thinking and expressive language, lacking reasoning, and systematic processing. Additionally, schizophrenic patients simply responded to the whole and used concrete and direct expression. 2) Replication study is warranted to improv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 we developed. Research on individual differences needs to be conducted to measure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and change over time in an individual. 3) Further study on the factors which might be related to forms of thinking and language expressions, such as intelligence is warranted.

      • <자연에 대한 미적 판단>의 역사철학적 지평: 프리모던의 <세계상>과 프리모던의 <자연에 대한 미적 판단>을 예로

        민형원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15 No.-

        Es gab kaum solche Zeit wie heute, wo sich die wichtigste Diskurse in allenwissenschafltichen Bereichen um die Problematik der <Natur> dreht. Diese Trend ist auch für die Ästhetik kein Ausnahme. Aber es ist umso spektakulärfür die Ästhetik, weil die Problmatik <Natur> -die ästhetische Kategorien <dasErhaben>, <die Naturschönheit>- bevor Adornos 『Ästhetik』(1969) wieder insLeben rufen seit Hegel lange von jeglichen ästhetischen Betrachtungenverschwunden war. Ferner die Theorien allerei ästhetischer Couloer -sograr auf diegegensätzliche theoretischen Grundlage stehenden- zeigen in bezug auf dieProblematik der Schönheit der Natur übereinstimmend bejahnende Position. Aber es ist umso überraschender, weil im Gegensatz zu den breit anzulegendenBejahungen bleiben die notwendigen überzeugenden Erklärungsversuche aus. Daher hegt der Verfasser einen leisen Zweifel gegenüber dieser übersinstimmendenBejahung. Ob diese Bejahung steht auf die wackligen Füssen, nämlich denselbstverständlich scheinende psychologische Anachronismus, die seelenruhige,falsche und blinde Gewißheit, daß die Menschheit seit unermesslicher geraumer Zeitdie Natur <schön> empfunden bzw. beurteilt hat. In dieser Hinsicht bietet die Premoderne -die die Natur aufgrund apokalytischenEschatoloigie, die angesichts der diversen Katastrophen biblisch legitimierteweltbildliche Deutungsmuster fungierte, moralisch verfallen, ästhetisch häßlichempfunden bzw. beurteilt hat- ein lehrreiche Beispiel an, um jetztige Situation zureflektieren. 인류의 계속적 존속의 문제가 걸린 중대한 문제인 <환경위기>의 문제와 맞물려서인지, 현대의 학문적 지형 가운데서 <자연>의 문제는 모든 학문의 영역가운데서 핵심적인 문제로서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미학>의영역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나 사실 헤겔의 미학을 경계로 200년 이상 미학 영역에서 사라졌던, <미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의 문제가 아도르노의『미학』가운데서 <자연미>라는개념을 통해서 새롭게 부활한 것이 겨우 1969년이었음을 감안한다면, 이러한현상은 다른 어떤 학문 영역에서보다도 놀라운 변화일 것이다. 그리고 더욱 놀라운 것은 현대 미학의 -심지어는 상반된 이론적 전제에 근거하고 있는- 여러 다기한 이론들이 <미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의 문제에 있어서는 어떤 심각한 이론적 갈등과 대립이 없이 모두 일치되게 <미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의 아름다움>, <자연미>를 긍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외의사실에 직면해서 필자가 갖게 되는 의문은 이러한 <미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에 대한 현대이론의 압도적 긍정이, 혹시 의외로 너무나 안이하게 ‘자연은 아름다운 것이라는 미적 판단은 모든 시대와 문화권의 차이를 넘어서 인류가 공유하고 있는 초월적인 것’, ‘자명한 것’으로 예단하고 있는 일종의 <심리적 아나크로니즘>에 근거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문을 검토함에 있어, ‘성서의 묵시록적 종말론이 제공하는 역사철학적 세계상에 근거하여 자연을 도덕적으로 타락하고, 미적으로 추한 것’으로판단했던 -루터에 의해 대표되는- 서양의 <프리모던>의 <미적 대상으로서의자연>에 대한 <미적 판단.평가>의 성립과정을 해명하는 작업이 유익한 반면교사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아도르노의 부정변증법에 있어서의 총체성의 문제 : Kant, Hegel, Adorno

        민형원 한국미학회 2003 美學 Vol.34 No.-

        Das allgemeine Programm der Negativen Dialektik bewegt sich innerhalb einem Spannungsfeld, dessen extremen Ploe durch Kants Lehre vom Ding an sich und Hegels absolutem Begriff gekennzeichnet sind. Es la¨ßt sich auf das wechselvolle Spiel zwischen den weithin als unvereinbar geltenden Positionen von Kant und Hgel ein. Adorno akzeptiert weder die Zwei-Welt-Theorie Kants noch die Identita¨tstheorie Hegels einseitig. Er denkt die beiden eher in einem zwar komplimenta¨ren aber konfliktgeladenen Zusammenhang. Fu¨r ihn stellt die Negative Dialektik die Einarbeitung des Kantischen Theorems der Nichtidentita¨t von Subjekt und Objekt in die identita¨tsphilosophische Dialektikkonzeption Hegels dar. Einerseits will Negative Dialektik mit Kantischer Idee der Andersheit u¨berHegels Identita¨tstheorie hinaus. Andererseits will Negative Dialektik mit Hegelscher Dialektik Kantisches Block sprengen. Diese Arbeit will die Idee der Negativen Dialektik klar machen, indem sie es darstellt sie es dar stellt, was Adorno mit Kant und Hegel verbindet und ihn zugleich von ihnen trennt, konkret im Detail zeigt.

      • KCI등재

        현대철학의 글쓰기의 형식으로서의 에세이

        민형원 한국미학회 2001 美學 Vol.30 No.-

        Seit Nietzsche setzt sich ein großer Umbruchsprozeß in der Philosophie in bezug auf Denk- und Darstellungsweise ein, die wesentlich von der jungeren Genaration, namentlich von G. Simmel, G. Lukacs, W. Benjamin, Th. W. Adorno getragen ist. Es kommt inhaltlich in der Widerlegung der idealistischen Systemphilosophie und fo¨rmlich in dem Aufstieg der sogenannten kleinen Form des philosophischen Schreibens, wie der Aphorismen, der Dialogen, vor allem des Essays, klar zum Ausdruck. Diese Arbeit will ero¨rtern, aus welchen gedanklichen Gru¨nden dieser Umbruch notwendig war. Und welch ein inniger Zusammenhnag besteht zwischen diesen beiden Seiten des Umbruchs in der Philosophie. Und es wird sich durch diese Ero¨rterung herausstellen, daß der von dem Bnuch und der Diskontinuita¨t charakterisierte Essay eine der geeignetesten Darstellungsform der von dem Hang zur Antisystematik gepra¨gten gegewa¨rtigen Philosophie is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