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제위기에 따른 여성고용변화와 향후 과제

        민현주,임희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0 No.19

        1. 연구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경제위기를 전후로 우리나라 여성노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2000년 이후 우리나라 여성노동이 경험해 온 질적·양적 변화를 분석한다. 2008년 금융위기 전후시기만을 분석하기 보다는 경제위기 또는 경기변동이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의 경제활동상태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통계청이 수집한 경제활동인구조사 2000-2009년 자료와 한국노동패널 제1차 자료부터 제 11차 자료(1998-2008년)를 활용하여 여성노동의 변화추이를 분석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10년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두 차례의 경제위기를 경험하였다. 우리나라가 1997년에 경험한 경제위기는 노동시장 제도 뿐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서 사회적, 개인적 가치관의 변화까지 수반하여 사회가 전반적으로 재구조화되는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산업화이래로 전례 없는 대량해고와 이에 따른 높은 실업율과 내부노동시장의 약화,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국가경제와 기업의 생존력 확보를 위하여 우리나라 경제는 산업구조의 전면적인 재편이 이뤄졌다. 아울러, 가족의 해체와 개인들의 가치관의 변화는 개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변화 뿐 아니라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근로자들의 일에 대한 태도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1997년의 경제위기의 영향과 비교해서, 2008년 경제위기(또는 금융위기)가 우리나라 사회전반과 노동시장제도에 미친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2008년 경제위기가 우리사회에 미친 효과에 대한 평가의 한 측면에는 1997년에 이미 우리나라 노동시장이 획기적인 변화를 겪음으로써 전면적인 산업구조조정과 대량의 고용조정이 이미 이루어졌기 때문에 2008년 경제위기의 부정적 영향은 대체적으로 제한적이었다는 평가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제조업, 서비스업, 그리고 도소매업 등을 중심으로 고용의 불안정성, 특히 여성고용의 불안정성이 2008년 이전에 비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남성의 경우에는 20대 초반의 청년고용의 상황이 악화된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30대 여성의 고용불안정, 또는 노동시장 이탈율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30대 여성은 우리나라 여성노동의 경제활동참가유형을 전통적인 형태에 머물러 있게 하는 주된 정책대상 집단으로 주목받아오고 있는 가운데, 2008년 경제위기는 이들 여성집단에 집중되어 그 부정적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노동의 전반적인 고용실태 및 경제활동 유형 변화추분석하는 것과 아울러 경제위기나 경기변동과 같은 제도적 변화가 수반되는 변화가 여성의 인구학적 특성―연령별, 교육수준별, 그리고 결혼상태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둔다. 아울러 여성노동이 경험하는 노동시장의 실태 및 변화분석을 통하여 향후 급격한 경기변화에 대응하여 여성고용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본 과제의 목적을 둔다. 특히 우리나라 개별 여성근로자들의 노동의 상태변화를 집단화를 함으로써, 지난 11년간 우리나라 노동시장이 두 차례의 경제위기를 통하여 급격하게 변화하는 제도적 환경 속에서 여성고용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It is assumed that the economic crisis starting from 2008 has made worse women's labor market situation in that unemployment rates of women have increased and even the number of economically inactive women have rapidly grown. Scholars discuss that the impact of the economic crisis in 2008 on the employment for both men and women was not large compared that of the economic crisis in 1997, but it does not tell us that women's employment structure since 1997 has been stabilized or improved to endure the economic fluctuation. Rather the economic crisis in 1997 made women's employment in a limited situation such as contract-based employment so that women's employment can be easily replaced for employers' sake.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structure of women compared to women surrounding the economic crisis in 2008 using the data for Economically Active Persons 2000-2009. By analyzing the changes in employment by sex, age, education, industries, occupations, and employment statues, this study has aimed to present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 economic crisis on between men and women. Further, this study has investigated whether particular labour groups have consistently been vulnerable to the economic fluctua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at women are disadvantaged than men in employment stability and are more likely than men to fall into unpaid family business or unemployment. Finally this study has explored the strategies of corporate in adjusting to economic fluctuation with special attention to human resources management for women using FGD(Focused Group Discussion). The results emphasized that companies do not have any programs which target to women personnels, but have already restructured employment system which divides human resources into core and periphery. By doing so, companies could easily restructure human resources at any time. Unfortunately, the majority of the periphery consists of women in any compani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tability of female employment.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most companies already restructured their employment system

      • KCI등재

        4년제 대학생들의 졸업유예가 취업과 첫 일자리 임금수준에 미치는 효과분석

        민현주,한성숙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6 No.2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elayed graduation on the first job’s earnings among university graduates using 201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youth employment cliff, prior studies suggested mixed results regarding the effect of delayed graduation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mong college graduates. There are conflicting perspectives on why college students choose delayed graduation: one is that students delay their graduation unvoluntarily because they cannot find a job; the other is that they strategically choose delayed graduation for a better job which is commensurate with their expectation. This study focused on delayed graduation as a strategical choice of highly educated youth. The results have showed that delayed graduation among university graduate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and the earnings on the first job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자료를 활용하여 4년제 대학생의 졸업유예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청년고용절벽의 현실에 맞서 4년제 대학졸업자들이 선택하는 졸업유예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은 혼합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대학생들의 강요된 선택으로 졸업유예를 바라보는 시각과 더 나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자발적으로 전략적으로 선택한다는 논의들이 혼재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고학력 대졸자들이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졸업유예가 그들의 노동시장성과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Heckman의 선택적 편의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4년제 대학졸업자들의 졸업유예 경험은 취업확률과 첫 일자리 임금수준 모두를 유의미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빗- 일반선형모형과 Heckman의 선택적 편의모형 모두에서 졸업유예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 KCI등재

        한.양방 협진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변화 - 국내 문헌에 대한 체계적 고찰 -

        민현주,류지선,윤영주,Min, Hyun-Ju,Ryu, Ji-Seon,Yun, Young-J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2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6 No.1

        Background : With the increase of cooperative practices (CP) between conventional western 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re have been lots of researches on the status of CP and the attitude of doctors. Objective : Since most of the research is cross-sectional,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the attitude of doctors toward CP through systematic review. Method : Systematic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on several databases in Korea. The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and question items and analyzed by the context of questions, similarity of respondents and measurement scale. And we analyzed the changes of response regarding to doctors' awareness and attitude to CP. Results : Thirteen survey studies including attitude of doctors toward CP were selected.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between 1997 and 2009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of each study ranged from 20 to 702. There has been increasing awareness of CP among doctors ; however the positive responses on the necessity of CP has decreased. Regarding the type of illness effectively treated employing CP, there was a shift from neurovascular to musculoskeletal and immune diseases. Most of the studies listed different approaches to disease, prejudice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inadequate legal system as major obstacles against CP. Conclusion : In spite of the increase of CP in the last 20 years, there has not been marked positive change in the doctors' attitude toward CP. To promote CP, it is requir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CP through disease models and change the medical legislation policies on CP.

      •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분석을 통한 민속놀이의 지역별 특성 연구

        민현주 한국체육철학회 200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0 No.2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Play based on the Analysis of Korea National Folk Arts Contest Min, Hyun-joo(Kyunghee University) This study aimed at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play through category analysis of folk plays, performed in 'Korea national folk arts contest'. As a results, Korean folk play has been developed by Korean people cultivating the agrarian culture in proper form of play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e intervals of agricultural work in accordance with the agricultural subdivisions of the seasons in the religious ceremony taking a form sacrificial rites to pray for the abundant harvest and peace of agriculture. 국문초록본 연구는 1958년 제1회부터 2000년 제41회까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연행된 종목을 목적별 구분 틀에 근거하여 시도별 민속놀이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는 농경사회의 보편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노동지향 민속놀이와 태평기원 제례지향 민속놀이 그리고 사회비판지향 민속놀이가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동시에 지역별 특수성도 나타나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는 자연 지리적 여건을 꼽을 수 있다. 즉 농경지가 넓게 분포하는 지역에서는 勸農, 農, 사회비판을 목적으로 하는 민속놀이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다. 또한 제례지향 민속놀이의 경우 산이나 해양으로 인하여 고립성이 큰 지역에서는 토속신앙에 의존하는 생활양식이 민속놀이에 반영되어 있다. 아울러 도서지역의 경우에는 풍농기원 민속놀이의 비중이 상당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