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양인의 예술과 윤리: 한·중·일의 인성과 예술

        민주식 ( Min Joo Si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38 No.-

        이 논문은 한국 중국 일본의 인성과 예술에 대한 비교고찰을 통하여, 동아시아인의 예술과 윤리의식을 해명할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흔히 비교고찰을 행한다고 할 때 양자의 비교를 염두에 둔다. 하지만 한·중·일과 같은 삼자의 비교고찰은 그리 단순하지가 않다. 어떤 기준이나 척도를 잠정적으로 마련한 다음, 각각이 그 좌표 가운데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정도의 차이를 발견하면서 그 특징을 찾아낼 수밖에 없다. 한국인의 심성과 예술에 관해서는 ‘한국인’, ‘한국 병’, ‘한국인의 의식구조’, ‘한국 인의 미의식’ 등의 논제 아래 산발적으로 논의해 왔다. 이러한 논의를 한층 더 심화 시켜나가기 위해서는, 한·중·일 삼국에 특정 의식이나 사항의 유무에 따라 세밀하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오랫동안생각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이 고유성이고 독창성이라고 하는 사고에 갇혀있었다. 좀 더 열린 시각에서 우리에게 없는 것, 즉 결여된 것도 특색일 수가 있고, 또 이웃 나라와 함께 공유하면서도 그 특색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들은 예술사에 이름을 남길만한 걸작이라면 그 작품에 품격이 있을 것을 요구한다. 이과 마찬가지로 우리들의 생활에도 품격이 있기를 요구한다. 우리가 한·중·일의 인성과 예술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비교 정리한다고 할 때, 결국 ‘품격론’의 체계를 끌어들여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한·중·일 삼국의 성격을 비교할 경우, 비교의 잣대는 인물론이나 예술론에서 다루었던 품격의 유형 개념으로 귀결 될 것이다. 한·중·일이 지향하는 예술과 인간의 품격에 대한 의식과 그 선호는 의미 있는 비교고찰의 성과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art and ethics of East Asian people by reviewing the comparis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ersonalities or characteristics. It is often said that comparative research is given to the comparison of two items. However, the comparison of the three items like the cul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is not so simple. It is necessary to temporarily establish a criterion or scale and then discover its personality, finding a degree of difference depending on where each is located among its coordinates. So, researchers need to review the human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nations and the ideas referenced in their art forms in more depth. And then, from there, the standard for comparison is based on which they can estimate and measure the difference. The Korean personality and art has been discussed intermittently under topics such as ‘Korean’, ‘Korean Disease’,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Korean Consciousness Structure’. To further deepen such discussions,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three nations in detail,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certain consciousness and items. Our thoughts were preoccupied with the notion of uniqueness and originality that existed only in our country. We need to recognize from a more open point of view that what we don't have - or lack - can be characteristic and what we have can share with our neighbors. We ask that the work should have ‘decency’ or dignity for a masterpiece worthy of the annals of art. Similarly, we are required to have dignity in our lives. When we compar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ersonalities and art from a macro-positional point of view, we can finally explore ways to utilize the system of decency. In other words, when comparing the personalities of the three countries, the standard of compar ison will result in the concept of the type of decency that was addressed in the theory of personality or art. I think the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for the type of decency in human personality and art will be the meaningful result of comparis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특별 학술대회 팔표논문 : 예술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민주식 ( Joo Sik Min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인간의 예술 활동에는 생명이 발하는 소리가 있고 그 균열로부터 생겨나는 외침이 있다. 예술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이란 예술을 통해 이러한 생명이 숨 쉬는 근원에 접하는 것이다. 예술해석은 객관적 사실의 개별적인 의미 분석으로부터 작가의 인격성과 세계관 나아가 시대정신을 읽어내는 활동으로 발전해간다. 예술이라는 개념 자체가 역사적 문화적 관점에서 다양성을 갖는 것이며, 따라서 예술 용어 역시 다의성을 갖는다. 특히 근대 이후의 서구적 예술 개념을 수용하고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유발되는 예술문화 현상의 변용에 관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들이 사물을 파악하는 눈의 습관과 그것을 표상하는 언어는 역사적 문화적인 배경으로부터 분리될 수가 없다. 예술작품은 역사적 경과 가운데에서 작자나 시대·사회가 상상해낸 새로운 기능과 형태, 의미와 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특수한 존재이다. 물질적 번영 가운데에서 또 획일화와 규격화라고 하는 태풍 속에서, 사람들은 능률과 스피드에 눈을 뺏겨 자신의 내면의 심연을 응시하는 일을 망각해버렸다. 이러한 위기의 시대에 직면하여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인간과 자연·기계·사회와의 관계를 다시 검토하고, 인간 자신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인간정신의 지향점을 캐묻는 일이다. 이러한 통찰이야말로 실리적인 학문 분야와 더불어 인문학이 존립하게 되는 바람직한 이유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20세기에 전개된 계몽이성비판과 가다머의 ‘인문학’의 전통에 관한 논의는 좋은 시사를 가져다준다. 가다머의 주장은 교양, 공통감각, 판단력, 취미와 같은 인간의 능력은 인문주의의 기본요소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인식으로부터 배제되었다는 것이다. 가다머가 열거하는 인문주의의 요소들은 인간에게 아프리오리하게 구비된 능력이 아니다. 그것들은 실천적인 활동 가운데에서 배양되는 능력이며, 이들 모두가 실천적 지, 즉 도덕적 인식과 관계하고 있다. 나아가 거기에는 인간성의 자각과 인간의 존엄의 문제가 연결되어 있다. 미학과 예술학이 예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를 도모한다고 할 때, ‘실천적 지’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We can hear the sounds of human inner life and the shouts of its chasm in artistic activities. Humanistic reflection on arts is to touch with the root of breath of life. Art has manifold layers of existence from the physical sensual to the higher spiritual dimension. Therefore, interpretation of art should analyse individual meaning of objective facts and read the personality and view of world of the author and the period spirits. The concept of art has shown the variety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then the usage of the term art is polysemous. Thereupon we need give attention to the transformation of artistic phenomena since we received and established the modern Western concept of art. Both of our habits of seeing to grasp the things and the languages representing them cannot be separated from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 Human life is confused with frivolity and turbidity in the torrent of uniformity and standardization, in spite of having material prosperity. The requirement for us confronting the crucial moment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machine, and society and to drive a question for the direction of human consciousness. This insightful discernment is the reason why humanities subsist along with the practical learning. In this context, Gadamer`s argument on the tradition of humanities and critique of enlightenment reason offer us good suggestions. According to him, human abilities such as cultivation, common sense, judgement and taste were basic elements in humanities, but were excluded from theoretical cognition in consequence of enlightenment reason. Humanistic studies cannot be grounded on the rational proof to the theoretical reason. Humanistic elements enumerated by Gadamer are not simply abilities endowed with a priori. They are bred abilities in the practical activities, relating with practical knowledge and moral cognition, and further with awakening of human dignity. Therefore, the problems of practical knowledge should be reflected substantially in aesthetics studies which contrive humanistic research.

      • KCI등재

        작품과 인품: 동양예술에서의 예술과 인격의 관련양상

        민주식 ( Joo Sik M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8 No.-

        동양의 미학과 예술론은 작품과 주체의 관계에 주목하고 시, 서, 화는 그 사람과 같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동양에서는 인물을 품평하는 일련의 이론이 그대로 직접 예술비평에도 운용되었다. 시는 그 사람과 같고, 시는 시인의 생명을 표현하며, 시인의 인격을 표현한다고 하는 견해야말로, 동양예술의 표현을 중시하는 자세이다. 하지만 이것은 서구에서 말하는 표현 중시 예술관과는 다르다. 동일하게 표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서구 근대미학에서 말하는 작가의 ‘감정’이나 ‘정서’의 표현이 아니라, 시인의 ‘생명’과 ‘인격’을 표현한다는 점에 바로 동양미학의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생명과 인격을 표현한다고 하는 동양미학이 현대예술의 상황에 과연 얼마만큼 부합하고 있는지를 생각해보면, 양자 사이에는 상당한 거리가 있음을 알게 된다. 동양예술의 인격성은 현대예술의 상황에서 보자면 ‘결여’이고, 전통의 맥락에서 보자면 ‘단절’이다. 그래서 논자들은 인격과 인품의 개념이 편협하다고 비판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역사적 인격’과 ‘예술적 인격’을 개념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있다. 역사적 인격이란 한 인간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행하고 겪는 다양한 행위와 체험의 양상들을 총체적으로 통합한 전체적 인간상이다. 이에 반해 예술적 인격이란 작품을 창작하는 주체로서의 인격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작품을 통해 그것을 만든 역사적 인격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예술적 인격을 이해하고 공감한다. 작품은 인격에서 생겨나지만 ‘독립된 존재’가 되며 공공성을 갖는다. 인격에 밀착한 ``행위``가 곧잘 그 인격성을 표현함에 반해서, ``작품``이 드러내는 것은 역사적 인격성이라기보다는 창조하는 주체이다. 창조의 주체와 역사적 인격성 간의 차이는, 후자가 있는 그대로의 나임에 반해서, 전자는 그 나를 넘어서려고 하는 데에 있다. 사적성격을 버리고 작품을 자립시키는 것이 바로 창조 주체의 명예이다. Traditionally eastern aesthetics and art theory notic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f art and subject and emphasized the identity of art and person. Accordingly, the principle of evaluating person was adopted in the realm of art criticism. Eastern attitude showed the theory of expression that poetry is the same as the poet, and that poetry expresses the life or the personality of poet. But the expression of life and personality in the East was different from the expression of feeling and emotion in the West. However, the traditional eastern aesthetics of expressing personality is substantially remote from the circumstances of contemporary art. The personality has double meaning of the lack in contemporary art and the disconnection from tradition. And so some researchers criticize the narrowness of the concept. Here, we need to distinguish conceptually the historical personality from the artistic personality. The former means the total aspect of human being who integrate various behaviors and experiences. On the contrary, the latter means the subjective human being who create work of art independently. Therefore, from work of art, we don``t grasp the historical personality, but we comprehend and sympathize with the artistic personality. Although work of art is made from person, it becomes an independent being with public character. What the work of art disclosure is not the historical personality but the creative subject. The difference is in that the former is just me as it is and the latter strives to surpass me. The honor of creative subject is to throw away private bonds and to make the work of art self-sufficient.

      • KCI등재
      • KCI등재

        ‘창조성’의 개념 구조와 그 현대적 의미

        민주식(Min, Joo si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본 논문은 예술과 과학 나아가 인간의 활동 전 영역에 걸쳐 우리 시대의 핵심적인 과제이자 동력으로 거론되고 있는 ‘창조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연구이다. 창조성 개념의 구조와 원리를 검토하고, 나아가 그 현대적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창조란 ‘한층 더 높은 가치’의 실현을 지향하여 주어진 현실에 작용해서 그것을 바꾸는 역동적인 현상을 말한다. 여기에서 ‘창조’란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활동 그 자체이며, ‘창조성’이란 이러한 지향성이 보이는 현상 일반을 말한다. 따라서 좁은 의미에서 창조적이라는 것은 산출의 ‘활동’에 해당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산출의 주체인 ‘사람’이나 그 ‘소산’도 창조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창조적인 사람이 있고, 창조적인 활동이 있으며, 창조적인 결과물이 있다. 창조성은 현대에 이르러 매우 넓은 영역을 가진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예술가뿐만 아니라 과학자와 기술자에게도 해당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인간적 행위와 제작이 그 영역에 포함된다. 창조성에는 색다름과 정신적 에너지가 있다. 왜 우리는 창조성에 가치를 부여하는가? 여기에는 적어도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창조성은 새로운 것을 제작함으로써 우리의 삶의 틀을 확장시키기 때문이고, 또 창조성은 인간정신의 독립성, 개별성, 독창성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창조성은 이로 인해 이로워지는 사람들과 창조자 자신 모두를 축복한다. 많은 사람들에게 창조성은 생명력을 지탱하고 활기를 불어넣는 힘이다. This paper is a theoretical study on the meaning of creativity which is highly estimated in these days as a core task and a dynamic force in all human affairs including art and science. We are willing to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further to illuminate its significance in contemporary society. Creativity is called a dynamic appearance which strives to realize a higher value in reality of life and to change the reality. Creation means the activity in itself to realize new values, and creativity means the phenomena in general which have the intention to realize them. In a narrow sense, the creative is applicable to the activity to produce, but in a broader sense, the person who is the subject to produce and the product can be called creative. Therefore, there are creative man, creative activity and creative product. In present time, creativity is understood as an important topic in various field. Most of the human activity and product, undoubtedly of the artist as well as the scientist and the technician could be included in the sphere of creativity. There are strangeness and spiritual energy in creativity. Why do we grant high value to the creativity? We can enumerate two reasons at least. Because creativity expands our frame of life by producing new things, and it is expression of independence, individuality an originality of human spirit. Creativity gives its blessing to the person who become favorable owing to it as well as to the creator. For the most of the people, creativity is a vital power to sustain liveliness and to inspire vigorous energy.

      • KCI등재
      • KCI등재

        창조적 행위의 미적 기반 - 과학과 예술의 경계횡단 -

        민주식 ( Joo Sik Min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주요한 창조적 활동으로 간주 되어온 과학과 예술이라고 하는 두 영역 사이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미적인 것’의 역할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창조적 행위의 총체성을 새롭게 인식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미학에 대한 몇 가지 규범적인 선입관에 대하여 그리고 과학의 잘못된 관념에 대하여 비판적 검토를 행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과학과 예술, 인식과 감정, 정밀성과 표현성, 진리와 미, 등 서로 대조적이며 배제적인 용어위에 구축된 이원론(dualism) 의 개편을 이룩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고는 전문가의 특화된 관점과는 대립되는 전체론(holism)적인 견해의 실천을 요청한다. 우리의 전략은 환원주의적이 아니라 인간학적이다. 과학과 예술간의 상관성에 대한 통념은, 이들 상이한 영역간의 통약 (通約)불가능한(incommensurable) 상징 언어가 상이한 정신에 의해 연출되는 창조성의 두 개의 별개 영역에 속하고 있다는 가정이다. 그러나 주의할 점은 이러한 경계설정이나 양극화가 결코 미리 주어진 것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는 사실이다. 과학자는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활동에 인격을 개입한다. 과학자 역시 자신의 개인적인 문체(文體) 또는 필적(筆跡)을 갖고 있다. 과학적 논증과 미적 태도는 서로 제휴하며 상호 보완해나가고 있다. 미적인 것의 범위와 역할은 매우 광범하며 근본적인 것이다. 미적인 것은 그것을 나타내는 상징 언어의 유형이 무엇인가에 관계없이, 즉 예술이든 과학이든 관계없이, 인간의 창조적인 행위 가운데에 깊이 뿌리박고 있다. ‘미’의 의미와 사용은 단순히 쾌적하며 매력적인 것과의 참조관계를 넘어서고 있다. 미학은 정당하게도 ‘인간정신의 가장 복잡한 응답’에 개입되어 있 다. 미학은 과학적 프로세스 및 생산을 동기지우고, 지도하며, 분절화 하는 능력이다. 미학은 이성과 감정, 논리와 직관, 정밀함과 아름다움, 과학과 예술 사이의 단절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행한다. This article pleads for the revision of the usu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art. Traversing the border of science and art, the leading human creative activities, we pay attention to the aesthetic which took firm hold in those activity, and then we try to recognize the totality of human creativity. We raise some question to the normative preconception and incorrect idea about science. We reorganize the dualism of science and art, namely the incommensurable competitors. The mutual exclusion has lead in the past to the establishing of a polarity between the rationality of science and the irrationality of art. According to this exclusive dualistic scheme, aesthetics has its place solely in art and is not connected with scientific thought. There is a different view illustrated by many examples which could help in our revision of the long lasting stereotype. We need the training of holistic view into practice. Aesthetics in the sense of ``cognitio sensitivae``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reason. We could consider it a kind of cognitive ability and as an element of cognition, therefore also as an element of scientific cognition. Our strategy is not reductive but humanist. Draw a line of demarcation and polarization of science and arctic are not given a priori but artificially made by human. Scientists intervene his personality in his activity likewise artists. They also forme their own style. Scientific demonstration and aesthetic attitude cooperate and complement each other. The Range and role of the aesthetic are broad and fundamental. The aesthetic takes root deeply in human creative activity regardless of the types of symbolic language. The meaning the aesthetic and its usage transcend the reference of agreeableness or fascination. It is included rightly in the most intricate response of human spirit. Aesthetics is the ability to motivate, guide and articulate the scientific process. It plays the role to build a bridge of reason and feeling, logic and intuition, exactness and beauty, science and art,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