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리프로필렌과 탄소섬유그리드를 보강한 친환경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특성 연구

        민종일,노영민,전형순 한국환경기술학회 2019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20 No.6

        This study is easy to use, economical, and indestructible paving effect of concrete generated b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pavement materials or structures for the purpose of building and managing pavement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ation in the landscaping area. The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to identify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lexural strength and toughness index by mixing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P fiber into granulated concrete and the grid. A measure was proposed to demonstrate effective reinforcement by comparing the results of each test.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조경식재공사의 근원직경 측정기준에 대한 조경식재 실무자들의 의식

        한용희,민종일,김도균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description of the conflicts on the measurement of the root collar diameter of the landscape trees that are currently being produced, distributed, and planted in S. Korea, and for determination of the standard for root collar diameter measurement. The difference in consciousness of appropriate measurement of root collar diameter among different ages of landscape practition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05 level. It seemed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ield experiences among different age groups. On “the ambiguity of measuring the root collar diameter' of landscape trees”, the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level among job positions. On “Improvement of measurement criteria for landscape trees,”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level among job types. This was thought to be due to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client and the contractor. On “prevention of topsoil removal” when excavating landscape trees, the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01 level among different age groups, and different at p<0.01 level among different occupations, and different at p<0.05 level among different working area. The consciousness on “removing top soil when excavating landscape trees and rooting after transplant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nsciousness on the conflict caused by “ambiguity in root collar diameter measurement criteria” was high with an average of 3.85 for job type, occupation, jop position, and work experience. It was higher for landscape contractors than public institutions. The higher job positions and more experiences, the more conflicts. The consciousness on the appropriate position of root collar diameter measurement for landscape trees revealed that measuring at above-ground part (66.5%) was prefered to the underground part (33.0%). During the excavation of landscape trees for transplant, topsoil removal up to average depth of –2cm to –4cm was favored by 84.0%, and the purpose of removing topsoil was recognized as ‘to increase the size and unit cost’ by 59.7%.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 생산․유통․식재되고 있는 조경수목의 근원직경 측정에 따른 실무자들의 분쟁실태와 합리적인 근원직경 측정위치 설정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조경 실무자들 연령에 따른 ‘근원직경 측정기준 적정성’에 대한 의식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한 결과,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었다. 조경실무자들의 연령에 따라 조경수목의 근원직경 측정에 대하여 적정성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은 나이가 적을수록 현장경험 차이 등 세대간 의식 차이로 생각되었다. 조경수목의 ‘근원직경 측정의 모호성’에서는 통계학적으로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결과,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직위별이었다. ‘조경수목 측정기준 개선’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직장유형별이었다. 조경수목 측정기준개선에 대하여 직장유형별로 차이가 있는 것은 발주처와 시공사간 수직적 관계로 분쟁이 많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조경수목 굴취 시 ‘표토층 제거방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수준 p<0.00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연령별이었고, 유의수준 p<0.01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직종별이었으며,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근무지역별이었다. 조경수목 굴취 시 ‘표토 제거와 이식 후 활착’에 대한 의식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조경수목 ‘근원직경 측정기준 모호에 따른 분쟁 발생’은 직장별, 직종별, 직위별, 근무경력별 전체 평균이 3.85점으로 높았고, 공공기관보다는 조경업체가 더 높았으며, 직위가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분쟁 정도가 높았다. 조경수목 ‘근원직경 측정의 적정 높이에 대한 의식’은 지하부(33.0%)보다는 지상부(66.5%)의 직경측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을 위한 조경수목 굴취 시 표토 제거는 지하 평균깊이 -2cm~-4cm가 84.0% 정도로 많았으며, 표토 제거 목적은 ‘규격과 단가를 높이기 위하여’가 전체의 59.7%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