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 이후 현대시 교실의 복원 방향

        민재원 한국문학교육학회 2024 문학교육학 Vol.0 No.82

        이 연구는 팬데믹 이후의 상황에서 현대시 교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COVID-19 팬데믹이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었지만,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연구들은 그러한 변화 하나하나에 맞추어 새로운 지향을 제시하기보다 기존에 추구했어야 할 것들이 다시금 강조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문학 교육을 바라볼 때 여전히 강조되어야 할 지점은 문학이 가진 인식과 실천의 지향이 온전하게 복원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통해 기존의 질서가 가진 틈새를 발견하고 이를 재조정하면서도 자기진실성을 추구하는 활동이 교실에서 복원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며, 이는 문학 작품을 매개로 한 다양한 질문 활동을 통해 구체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작품과 이를 통해 다룰 수 있는 질문의 양상을 분석하여 작품과 작품을 서로 충돌시켜 발견할 수 있는 질문, 작품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질문, 작품이나 그 작품의 해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에 대한 질문들을 그 사례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in which modern poetry classrooms should move in the post-pandemic situation. Although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many changes to our society, many researches in the field of education have shown the perspective that what should have been pursued in the past classrooms should be re-emphasized rather than suggesting new directions in line with each of those changes. there was. When looking at literary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what still needs to be emphasized is the complete restoration of the awareness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literature. Activities that seek authenticity while discovering gaps in the existing order through literary works and readjusting them need to be restored in the classroom, and this can be materialized through various questioning activities using literary works. This study tried to present several peoms and the aspects of questions that can be addressed through them, including questions that can be discovered by colliding between works, various questions inherent in the work itself, and questions overlooked by works or its commentaries.

      • KCI등재

        문학 교실에서 청소년시의 역할 연구 - 청소년을 ‘위한’ 시와 청소년‘의’ 시에서 나타나는 현실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민재원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3

        This paper reviews points of contact and gaps which appears between poem for adolescents and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s extending the notion of critic so as to consider adolescents as critical subjects who evaluate the world on their own context and point of view. I am Red(Nan-Ppalgang), a book of poem for adolescents, and Teacher feels to cry again(Ul-Ppil), of adolescents show different realization to each other: the former, adolescents have something to do for their future and society; the latter, adolescents have little vitality to adventure the world and life. And learning activity about adolescent poetry, ‘Yellowish green yet (Ajikeun yeondu)’ in textbook leads learners to just be a listener in one-way-dialogue and the poem functions in transmitivity. Learners as adolescents should get a right to be a speaker in inter-dialogue for palpating literary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in our life and world and poem would function in productivity. 본 연구는 청소년을 ‘위한’ 시와 청소년‘의’ 시에 나타나는 접점과 간극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평의 개념을 확장하여 청소년 또한 자신의 맥락 위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비평 주체로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고, 『난 빨강』과 『울삘』에 나타난 현실 인식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서로 간에 놓여 있는 간극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수록된 청소년시 <아직은 연두>에 대한 학습 활동이 문학 교실의 생산성보다는 전수성을 강화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살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학교 문학 교실이 일방적 대화의 청자로 청소년을 호명하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고 청소년들 또한 동등한 비평 주체로 자신이 바라보는 세계와 자신의 삶에 산재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문학적으로 해결하는 권리를 가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현대시교육에서 초⋅중등 연계 가능성 연구

        민재원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78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Jung Hyeon-jong’s poem ‘Like a ball that bounces even if it falls’, which is included in the 6th grad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And, in relation to modern poetry education, sought to explor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link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hich the 6th grade learners’ responses have shown. For this purpose, ‘enrichment’ was presented as a criterion for appropriate appreciation, which goes beyond the level in which the content of the work exists only as objective information. Rather, ‘enrichment’ is aim at deep relation to the life of the reader, and through this, the reader can find a new voice hidden behind the work with a new perspective. The results of learning activities with 7 elementary school learners, examining their reactions, and conducting interviews about them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easily derived the theme of the work without any help of a researcher or a teacher. Second, they had the perception that the answer was guided to a fixed in the activities of the textbook, so they showed limited appreciations. Third, the exploratory attitude was not sufficiently expressed when the opportunity to freely express opinions was given. Fourth, when talking about their experiences, they showed considerable active initiative. Fifth, despite this, the learners did not advance to obtain rich appreciation by closely connecting their experiences with the world of wor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lusion that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the work in earnes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at the same time suggested that it is possible to deal with both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And we need to move the theory of grade from activity-property to several stages of reading depth.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정현종의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들의 반응이 현대시교육의 초⋅ 중등 연계와 관련하여 어떤가능성과 한계를 보여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적절한 감상의 기준으로 ‘풍요화’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작품의 내용이 객관적인 정보로만 존재하는 차원을 넘어 독자의 삶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관점으로 작품의 이면에 숨어 있는 새로운 목소리까지 듣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7명의 학습자들과 활동을 하면서 반응을 살피고 그에 대해 면담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어렵지 않게 해당 작품의 주제를 도출해 내었다. 둘째, 교과서의 활동에는 답이 정해져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찾기 위한 감상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셋째, 자유롭게 의견을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경우 탐색적 태도가 충분히 발현되지는 않았다. 넷째, 자신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에는 상당한 능동성을 보였다. 다섯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자신의 경험과 작품의 세계를 긴밀하게 연결하며 풍요로운 감상을 얻는 데까지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해당 작품이 초등학교 단계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에는 어렵다는 결론을 제시하였고, 이와 동시에 초등학교와 중학교 단계 모두에서 함께 다루는 방안도 가능함을, 동시에 교육과정의 위계화 원리가 ‘활동-속성’으로 이어지기보다는 읽기의 심도를 심화시켜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학습자의 시 읽기 반응 변화 양상 연구

        민재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4

        This paper explores some changes in a learner’s essays on poems which were chosen by him/herself and were written for an academic year. The essay represents the learner’s responses to poems, thus this paper approaches his/her essays through two layers, area of response and mode of response. At first, learner’s area of response was limited to personal experiences and mode of response was just telling his/her own experiences. So learner’s response was parallel with poems. But as time goes by and as reading and writing experience accumulating, learner’s area of response has broaden to the poem itself and the present being of him/herself and mode of response has included the expressional parts and critical mind of the poem. This paper calls the former isolated response and the latter mutual inter-response. For the mutual inter-response between poetry and learners, there should be an infrastructure that allows learners’ choice of poem and provides lasting chances to choose and read poem so that they explore their area of response and agonize their mode of response. 이 연구는 중학교 학습자가 한 학년 동안 작성한 감상문에서 나타난 반응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 이로부터 시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반응역과 반응 양식이라는 범주를 설정하여 각 범주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학습자의 반응역은 작품과 동떨어진 자신만의 경험 영역으로부터 작품 내용 및 표현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반응 양식은 회상된 경험을 진술하는 데에 그치는 고립적인 반응으로부터 작품의 내용 및 표현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자신의 사고를 담아내는 교섭적인 반응으로의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시 수업’과 ‘시 공책’이라는 인프라를 통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감상문을 작성하는 작품을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했다는 점도 변화의 한 가능성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학습자가 작성한 감상문에서의 유의미한 지점들을 바탕으로 하여 향후 시 감상문의 하위 요소로 설정할 수 있는 주요 내용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2) - ‘비유’의 조작적 정의와 활용의 전제를 중심으로 -

        민재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9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prepare new style of knowledge-statement in Modern Poetry Education, especially on metaphor.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mpared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essays of professional readers. The results of research are:National curriculum demands that effect of metaphor is related to enjoying a poem. But, in textbook of primary school and middle school, knowledge-statements about metaphor and its effect are rather generalized and abstract than connecting with a poem itself. Contrasting with these results, reading metaphor of professional readers is more detailed and plentiful. Because they have sufficient experiences about ‘tenor’ and ‘vehicle’ of metaphor in the poem. These results tell us that abstracted and generalized statement of metaphor-knowledge is not available to be tractive for learners to explore the world of poem; the invisible world. So this research suggested alternative style of knowledge-statement on metaphor. 1) Metaphor needs readers to palpate both tenor and vehicle. 2) Metaphor needs readers to build new contexts about tenor or vehicle. 3) Metaphor contrive effects that new thought or feature of tenor or vehicle which readers had not recognized in ordinary life. 4) Metaphor is what readers can evaluate. These alternative statements could make leaners’ reading poetry more active and grow leaners’ competencies of exploring the world and themselves.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시 읽기 활동이 활발해지기 위한 방법으로 ‘비유’와 관련된 지식의 새로운 진술 방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비유의 효과가 작품의 감상으로까지 이어질 것을 요청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교과서에 구현된 바는 일반적인 차원의 설명을 바탕으로 하여 추상적인 차원에서의 효과를 언급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소쉬르의 ‘연상관계’를 참고하여 전문 독자의 비유 읽기를 분석한 결과 비유 관련 지식의 조작적 정의로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1) 비유는 원관념이나 보조 관념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볼 것을 요구하는 표현 행위이다. 2) 비유는 원관념이나 보조 관념을 특정한 맥락 위에서 이해할 것을 요구하는 표현 행위이다. 3) 비유는 원관념을 통해 보조 관념의 새로운 측면을, 보조 관념을 통해 원관념의 새로운 측면을 바라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비유는 독자가 그것의 좋고 나쁨을 평가할 수 있는 표현 행위이다.

      • KCI등재

        교과서 학습 활동 기반 시 읽기의 분절성 연구- 2015 개정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현대시 제재 단원을 중심으로

        민재원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1 No.-

        본 연구는 시학적 개념들이 학습자들의 작품 감상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기존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현대시 제재가 처음으로 다루어지는 단원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 대상 교과서 모두 비유 표현의 효과를 바탕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성취기준을 다루고 있었지만 대부분 비유 표현을 다루는 부분이 작품에 대한 감상으로까지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분절성’으로 명명하였다. 분절성이 나타나는 원인으로는 성취기준 적용 과정에서 종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는 점과 학습 목표로 삼은 내용을 추상화된 지식으로 제시하려 한다는 점을 들 수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한 편의 작품을 읽고 이루어지는 학습 활동이 시론적인 차원에서의 개념적 지식을 습득하기보다 온전한 작품론적인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를 할 수 있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nalyses learning process of Korean languge textbooks, especially focusing on first chapters which students meet a modern poem for the first time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deal with a standard: appreciate a literary work based on effects of metaphor. But understanding processes about metaphors in learning activities are not connected to appreciation. This paper call this phenomenon ‘Segmentity.’ Causes of segmentity were two: ① Standards were not synthesized in learning process ② Learning activities used to privid poetical knowleges rather than to lead students get an experience about a poem as a whole. To get over these problems we need to provide much more chances in which writers of textbooks communicate about Korean Textbook Certification Standards. We also need to research alternative hierarchy of poetry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현대시 제재 단원의 도입 활동에 대한 비판적 점검

        민재원 한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 Vol.0 No.171

        This paper reviews the introductory activities of poetry units in high school textbooks by examining whether they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oetry reading. The focus is on units tackling themes about embodying genre methods, as well as organic relations with each method. In these units, introductory activities concentrate on delivering poetic concepts or teaching reading methods that are of no help, resulting in difficulties for students to fully appreciate the poetry. To address this issue, this paper focuses on four professional essays on poetry. All essays showed that authors started their appreciation by reading a poem before pondering their own life in light of cues obtained from within the tex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units should consider poetry reading as an introductory activity, since this drives the meaning of poetry in a more precise way. Thus this paper suggests alterna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reading poem(s) and making questions as a introductory step, discussing about the poem and questions and making knowledge about the poem as a development step 1, reviewing the poem and the knowledge and making additional questions as a development step 2.

      • KCI등재

        문학 독서에서의 자기 질문 생성 양상 연구 대학생 독자의 현대시 읽기를 중심으로

        민재원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질문을 언어 활동의 기본적인 조건 가운데 하나로 보고 현대시읽기의 반응 가운데 질문 생성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독서 과정에서 독자가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에 따라 질문은 독자 내적 층위, 독자 외적 층위,독자 잠재 층위에서 진행되며 자기 생성 질문은 독자 내적 층위와 독자잠재 층위의 긴장을 바탕으로 하여 독자 외적 층위로 나타나 독자와 세계의관계를 조회하게 한다. 대학생 독자의 현대시 읽기에서 나타난 자기 생성 질문 및 이를 통한 관계조회의 양상을 살펴보면 기존의 중등교육에서 접했던 작품들에 대한 질문은독자 잠재 층위에 머물러 있는 경향이 강했으며 독자 외적 층위로 강하게나타난 질문들은 주로 작품이 독자의 기존 정서 및 인식 구조를 흔들거나독자가 작품을 통해 자기 발화를 진행하는 기제를 통해 유도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문학 독서에서의 자기 생성 질문이 독자가 세계와 맺고있는 관계에 따라 다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비평장’에의 참여를 통해 보다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문학독서의 과정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문학 독서 이후의 활동에 보다 초점을두는 교육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gards question as a necessary condition of language activity and aimsto explore aspects of self generated question as response to poetry reading. Questionsappears in three horizons: in-reader, out of-reader and potential. And self generatedquestion is reader’s inquiry through the tension between in-reader and potential. Undergraduates show two results. First, poems which they learned in secondary schoolhardly generated question from readers. Second, self generated questions were arisenwhen works gave a crack to reader or triggered reader's speech about him/herself. These aspects show us self generated question has diversity because of reader’sdiversity and could be revitalized in accordance with participation in the critical-field. Thus this study suggests an education which focuses activities after rea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