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IL-10 유전자 단일염기유전자다형과 아토피 사이의 연관성

        민소정,최성식,허은희,이근혜,김헌,강종원,윤형진,한윤수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5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5 No.4

        목 적 : IL-10은 아토피 질환의 발생 과정에서 생성되는 여러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조절하여 아토피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IL-10 유전자 promotor 부위에서의 단일 염기 유전자 다형과 아토피 발생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방 법 : 아토피 소아 174명과 비아토피 소아 130명을 대상으로 IL-10 유전자 promotor 부위 -1082(G/A), -819(C/T), -592(C/A)에서의 단일 염기 유전자 다형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haplotype과 유전자형(genotype)을 Taqman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특정 genotype 보유와 혈중 총 호산구 수 또는 혈청 총 IgE 농도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결 과 : IL-10 유전자 promotor 부위 -1082 (G/A), -819(C/T), -592(C/A)에서의 단일 염기 유전자 다형을 분석한 결과 대상이었던 모든 소아들에서 ATA, ACC, GCC 세가지 haplotype이 확인되었다. ACC haplotype은 아토피 소아에 비해 비아토피 소아에서 보유 빈도가 높았다.(P=0.04) ATA haplotype은 아토피 소아에서 비아토피 소아에 비해 보유 빈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99) Haplotype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자형은 6가지였으며, 이 중 ATA/ATA와 ATA/ACC 유전자형이 전체의 약 80%로 주된 유전자형이었다. ATA/ ATA 유전자형은 아토피 소아에서 보유 빈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ATA/ATA 유전자형을 보유한 소아에서 혈중 총 호산구 수와 혈청 총 IgE 농도의 중앙값이 ATA/ACC 유전자형을 보유한 소아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본 연구에서는 IL-10 유전자 promotor 부위에서의 단일 염기 유전자 다형에 따라 아토피 발생에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Purpose : There has been accumulating evidence that interleukin-10(IL-10) influences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regulating the development of atopic disease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genetic association between IL-10 haplotype polymorphism and the development of atopy. Methods : The frequency of thre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s) at positions- 1082(A/G), -819(C/T), -592(A/C) and corresponding haplotypes in the promotor region of the IL-10 gene were analysed in 174 atopic and 130 non-atopic children using Taqman method. The data were assessed for correlations with the eosinophil count and total serum IgE concentration. Results : Three haplotypes(ATA, ACC, GCC) were identified without any ambiguous phasing due to linkage disequilibrium among SNPs. The frequency of IL-10 haplotype ACC was higher in non-atopic children compared to atopic children.(P=0.04) The frequency of IL-10 haplotype ATA was higher in atopic children compared to non-atopic children, but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P=0.099) ATA/ATA and ATA/ACC accounted for 80 percent of six different genotypes. Although the frequency of ATA/ATA genotype was higher in atopic children,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lthough medians of serum IgE level and total eosinophil count were higher among atopic children with ATA/ATA genotype than in atopic children with ATA/ACC,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10 promotor polymorphism may be associated with a genetic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atopy in Korean children.

      • KCI등재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of Typha angustifolia in the development of cattail stands

        민소정,김재근,김흥태 한국생태학회 201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35 No.1

        Typha angustifolia ha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lonal growth similar to Phragmites australis. The plant spreads by clonal growth and seed dispersal. In this study, for the three stands which have different settlement age at the Baksilji wetland in Korea, genetic diversity was estimated by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analysis to evaluate the change in genetic diversity of T. angustifolia during stand development in the same population. Stand (ST) 1 was the oldest and ST 4 was the youngest. ST 5 was in a small ditch out of the Baksilji. Although the ST 1, ST 2, and ST 3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vegetational or physical environment, the genetic diversity estimated according to Nei’s gene diversity (h) and the Shannon index (i) increased in the order of ST 1 < ST 2 < ST 3 contrary to formative age. The genetic diversity of ST 4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hree stands. ST 4 has similar abiotic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 slight T. angustifolia dominance, and seems to be in the early establishment stage. ST 5 differed from the other stands in vegetational and soil environments, which can result in stressful cattail conditions. Even though the ST 5 stand was not younger than the ST 4 stand, ST 5 showed the highest genetic diversity. Our results indicate that after early settlement of the T. angustifolia population, genetic diversity within the species decreased over time and that the decreasing pattern of genetic diversity within T. angustifolia stands is not likely to occur under stressful conditions.

      • KCI등재

        단일증상성 야뇨증의 일차치료로써 야뇨경보기-Desmopressin 복합요법

        장익,민소정,강미란,김대경,우승효 대한비뇨의학회 2005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Vol.46 No.1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ombination of enuresis alarm- desmopressin compared with a desmopressin-based combined pharmacotherapy as the first line in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MNE).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8 MNE children. Of these, 20 enuretic children were included in the alarm-desmopressin group(AD group) and 28 in the combination pharmacotherapy group(CP group). In the CP group, patients were given desmopressin based combination therapy with imipramine or oxybutynin for 6 months. In the AD group, patients were administered an enuresis alarm associated with an initial 3-month desmopressin combination. The response rates of each therapy were analyzed after 1, 3 and 6 months. After cessation of the 6 month treatment course, the initial and lasting cure rates were analyzed 1 and 6 month later.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tiation in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drop-out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reatment. The mean response rates in the AD and CP groups were 91.8 and 93.7%, respectively. The initial cure rate was higher in the AD(92.3%) than the CP group (52.4%)(p=0.024). The lasting cure rate was also higher in the AD(76.9%) than the CP group (33.3%) (p=0.032). Most of the relapses occurred within 2 month in the CP group and within 4 month in the AD group. Conclusions: In MNE, a combination of enuresis alarm-desmopressin showed a similar response rate, high initial and lasting cure rates, with a delayed relapse, compared with combination pharmacotherapy. Therefore, a combination of enuresis alarm-desmopressin can be considered a useful tool as the first line in MNE.

      • 21C 새로운 거버넌스를 위한 리더십 연구

        배귀희,민소정,문명재,유민봉 한국행정연구원 2006 기본연구과제 Vol.2006 No.-

        본 연구는 21세기 새로운 거버넌스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십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 기존의 지배적인 리더십과 비교해 보는 것이다. 국내외 많은 학자들은 명령과 통제위주의 국정운영 패러다임에서 거버넌스 패러다임으로 바뀌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제 거버먼트(government)에서 거버넌스(governance), 즉 통치(統治)가 아니라 협치(協治)가 국정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국정운영패턴이 변화되는 이러한 상황에서 공공부문의 효과적인 리더십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최근까지, 가장 강력한 리더십의 형태는 변혁적 리더십일 것이다. 그러나 변혁적 리더십은 실제로 조직의 비전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 간의 협의를 통한 공동의 비전을 창출하기보다는 자신의 직관 혹은 카리스마에 의존하는 등 잠재적 위협요소를 가지고 있다. 21세기 거버넌스 시대에 적실성이 있는 리더십 형태는 서번트 리더십일 것이다. 이러한 서번트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거래적 리더십의 행태와 조직의 성과를 분석하고 공무원들에게 나타나는 바람직한 형태의 리더십에 대해 살펴보았다.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서번트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은 공공 조직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효과적인 조직유형으로 밝혀졌다. 공직봉사동기와 조직몰입도 요인 중 정서적 몰입도와 규범적 몰입도는 조직성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조직시민행동 요인 중 이타적 행동, 비불평성(스포츠맨십)과 지속적 몰입도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가 가지는 리더십에 대한 정책적 함의는 서번트리더십과 변혁적리더십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상황요인에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이 효과가 있을 경우가 있고, 서번트 리더십이 더 효과적일 경우가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서번트 리더십이 새로운 거버넌스 하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함께 중요한 리더십의 형태로 부각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21세기 거버넌스 환경 하에서 공공부문의 리더십의 핵심은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을 토론의 장으로 끌어들여 그들과 함께 사회문제에 대한 최적의 대안들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합의를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변혁적 리더십과 함께, 서번트 리더십이 새로운 거버넌스 환경 하에서 강력하게 요청되는 리더십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new style of leadership suitable to the situation of the 21st century. So far, there are many theories regarding leadership. They can be organized into several distinct categories: trait theory, behavior theory, situation and contingency theory,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theory. Out of the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y is of particular impor tance. However, the ques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still effective has been raised in era of governance of the 21st century sin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the public sector organization including the private sector organization.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 zational performance and various styles of leadership, com pari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 ship. Various empirical analysis such as ANOVA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his study using 305 samples collected by random sampling method. Based on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a couple of policy implications. Servant leadership as well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powerful for the organi zational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of organi zations. Effective style of leadership should be dependent upon the context or situation which organizations has been embe dded. Furthermore, servant leadership is also significant to the increas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urrent situation of government reform movement in Korea. This implies that the main role of new leadership requires the coordination, consensus-building throughout the discourse.

      • 총액인건비제도의 합리적 정착방안

        최순영,민소정,김근세,진재구 한국행정연구원 2006 기본연구과제 Vol.2006 No.-

        총액인건비제도는 행정의 생산성과 인건비 예산을 연계시킴으로써 보수의 동기부여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며, 더불어 각 부처의 정원관리, 직급조정 등 인적자원관리의 권한을 확대하는 것이다. 총액인건비제도는 부처 업무수행의 효율화를 위한 관리전략의 하나로 도입된 제도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총액인건비제도의 연구의 틀을 구성하기 위해 총액인건비 제 내용의 구성요소들을 갖고 있는 선진국 개혁의 사례와 성과, 그러한 개혁의 이론적 배경 등을 검토해봄으로써 바탕이 되는 이론을 귀납적으로 이끌어내었다. 영국의 총괄경상경비제도(running costs)는 정부의 보다 시장친화적인 재무관리기법을 도입하고 의사결정권을 부처 또는 프로그램 관리자에게 위임하는 정부의 재무관리개혁의 산물이다. 영국의 경상경비통제의 이론적 근거가 우리나라 총액인건비제도에 주는 시사점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앙통제가 아니라 부처의 우선순위에 의해서 자원을 배분하는 것이다. 북유럽국가에서 총액인건비제도는 분권화개혁의 일환이었다. 외국사례를 토대로 하여 총액인건비제도의 이론적 기반을 도출해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권화와 성과책임의 강화이다. 둘째, 신공공관리론과 성과관리, 관리유인체계이다. 신공공관리 이론은 현장에서 일을 담당하는 공무원과 관리자들이 그들의 생산물을 가장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식에 관해서 가장 잘 안다는 전제하에 이들에게 자원의 사용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돌려주자는 주장이며, 이러한 점에서 총액인건비제의 논리와 연계될 수 있다. 셋째, 주인-대리인 이론이다. 이는 총액인건비제의 운용당사자들이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의사결정을 할 개연성이 있는 현실 속에서 효율적인 인건비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유인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게 됨을 시사한다. 설문조사에서는 현재의 문제점과 총액인건비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총액인건비제도에 대한 찬성정도, 관리자임용과 성과관리체계의 합리성, 바람직한 자율성 범위에 대한 의견조사, 총액인건비제도의 도입효과로서 성과와 (예상)부작용에 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할 설문항목을 총액인건비제도도입의 시범기관을 대상으로 한 예비설문조사와 인터뷰를 거쳐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이론적 논의와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총액인건비제의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도출하고, 각 변수별 측정항목을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재구성하고 개발하였다. 총액인건비제 성공의 영향요인 변수는 조직 신뢰, 조직구조(분권화와 공식화), 성과급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절차적 공정성을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로서 총액인건비제 성공은 `총액인건비제도에 대한 긍정적 기대`로 측정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총액인건비제를 시범실시하고 있는 주관부처, 농림부와 노동부의 기타 부처, 통계청과 특허청의 청조직, 2개 책임운영기관이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성과급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조직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총액인건비제도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높다. 이들 영향 요인 중 정책변수가 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조직신뢰변수이다.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절차적 공정성, 분권화(β=0.210), 기관장과 팀장임용공정성의 순이었다. 조직신뢰 영향요인 분석결과의 시사점은 절차적 공정성과 분권화, 기관장과 팀장 임용공정성이 조직신뢰의 긍정적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을 개선하기 위한 조직관리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총액인건비제의 합리적 정착을 위한 과제는 먼저 분권화 개혁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총액인건비제도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북유럽국가 인사개혁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중앙인사기관의 인적자원관리책임을 각 중앙부처나 기관으로 이양하고, 또한 각 부처와 기관에서는 기관장의 인사권한을 각 부서장에게 다시 재위임 하는 분권화현상이다. 이러한 경향의 기본가정은 관리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관리자로 하여금 실질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성과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자율을 부여하기 이전에 책임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던 영국정부는 결국 먼저 자율을 부여함으로서 개혁의 정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했다. 자율성에 부응하는 성과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인센티브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대리인의 도덕적 해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요하다. 부처별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성뿐만 아니라 고객만족과 형평성, 장기적 효과 등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 다양하고 정교한 평가방법 개발을 통해, 대내외적으로 인정받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이러한 성과평가 결과를 총액인건비의 보상함수에 포함함으로써 총액인건비제 도입기관의 최대 노력을 간접적으로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총액인건비제하에서 각 부처는 보수가 동기부여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성과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연봉의 20%이내에서 기관에 따라 기관장의 재량으로 성과급의 비중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안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총액인건비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율과 재량증진에 상응하는 감독기능 강화와 성과관리가 필수적이다. 성과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기획예산처에 상시적인 효율성 평가기구를 설치하고, 감사원에 외부감사기구(external audit body)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감사원의 외부감사기구는 적절하고 효과적인 자원의 사용에 대한 일반국민의 관심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될 것이다. 총액인건비제도를 도입하면, 조직 및 정원관리, 보수결정에서 기관장과 팀장의 재량범위가 커지기 때문에, 구성원들이 이에 대해 이의제기를 하고, 고충을 토로할 수 있으며, 익명성을 보장받으면서 조직의 불합리성을 진정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을 감사원에 설치한 총액인건비제 감사기구에서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재량권과 자율성 증가에 따른 도덕적 해이 가능성에 대한견제장치로서 명확한 재량한계를 설정함과 동시에 제도의 경직성은 완화할 필요가 있다. 분권화 개혁으로서의 총액인건비 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조직신뢰의 확보, 참여관리, 절차적 공정성 등 조직 관리의 발전이 전제되어야 한다. 아울러 총액인건비제 도입기관이 직급조정 또는 직급별 정원의 변화가 향후 연도별로 인건비소요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 수 있도록 재정영향분석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otal payroll costs system is not only to strengthen the motivational function of pay by linking productivity of public administration with the use of total payroll costs budget, but also to enlarge such authorities and flexibilities of other departments as the change of the number limit of personnel and grades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Total payroll costs system in Korea can be seen to have been introduced by means of management strategy for more efficient policy implementation of departments, so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research on total payroll costs system was induced from the case of running costs under Financial Management Initiative of Thatcher administration in British central government and the cases of total payroll costs in such Scandinavian countries as Denmark, Finland, and Sweden. The introduction of running costs control in British government was presented by the Treasury both as an efficiency measure and an innovation designed to give departments greater freedom to allocate resources according to departmental, rather than central, priorities. Accountable management in running cost regime requires a capacity to carry out internal evaluation independent of line management and an external audit body capable of safeguarding the public interest in the proper and effective use of resourc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duction from the cases of running costs control or total payroll costs in developed countri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research on total payroll costs system is the devolution of power and the delegated responsibility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Methodology in this study includes literature study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elivered to civil servants who belong to some departments and agencies which are introducing total payroll costs system prior to the overall introduction. Impact variables for success of total payroll costs system were derived based on the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higher positive recognition on performance based pay, organizational trust, the level of grade, the higher the positive expectation on total payroll costs system. Of these impact variables, the variable which gives us policy implication is organizational trust.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trust, procedural equity, devolution of power from central personnel agencies to other departments or agencies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the fair appointment of the heads of departments or agencies as well as teams is required.

      • 참여정부 정부혁신의 보편성과 독자성 : 해외 정부혁신사례와의 비교

        은재호,민소정,구광모,김응운,원준호 한국행정연구원 2005 기본연구과제 Vol.2005 No.-

        정부혁신은 참여정부가 출범한 이래 가장 중요한 국정과제의 하나로 추진되었다. 정부혁신은 논자에 따라 다양한 함의를 가지지만, 정부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함과 아울러 정부가 생산하는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그 전달체계를 개선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국민들이 누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겠다는 보편적 가치를 지향한다. 참여정부 역시 기존에 선보인 해외 선진국 정부들의 다양한 혁신 방안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며 이같은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곧, 신공공관리와 정책네트워크로 대별되는 세계 정부혁신의 조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이념적 순수성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정부현실에 가장 적실성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정부의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효율성과 능률성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다각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참여정부가 정부혁신의 목표로 추구하는 `효율적인 정부`, `봉사하는 정부`, `투명한 정부`가 신공공관리 개혁의 일단을 이룬다면 `분권화된 정부`, `함께하는 정부`는 정책네트워크 개혁의 일단을 이루는 것으로 실용주의적 개혁의 면모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참여정부 정부혁신은 대부분의 해외 정부들이 지향하는 `작은 정부`가 아니라 `적정규모의 정부`를 지향하는 독자성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곧 정부의 역할과 기능을 최소화하여 시장의 경쟁원리를 근간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서구 복지국가 정부들의 관점이 한국 정부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관측아래, 오히려 정부의 역할과 기능을 보다 강화하여 `반드시 해야 할 일을 제대로 하는 정부` 즉, 시장과 시민사회의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정부`를 추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참여정부는 단순히 공공서비스의 품질 제고를 넘어 정책품질 제고를 위한 정책인프라 구축을 주요 과제 가운데 하나로 선정하고 있으며, 나아가 공무원들의 행태와 문화를 혁신하고 혁신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는 총체적 혁신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 주요 특징으로 부각된다. One of the major agendas set by and for Participatory Government is the Government Innovation. The connota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is very variable according to authors and actors, but one thing clear is that its ultimate goal is to promote State`s competitiveness and Citizens` life quality.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shares also this universal goal and collective value. As it is revealed by the five goals of Government Innovation (efficiency, service first, transparency, decentralization, participation),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employs multiples standards of government reinvention strategies: New Public Management and Policy network. It seems that this first choice permit to find or construct a meaningful path maybe unique to Korean governmental practices. But, it may not be useless to note here that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s aiming at a `better government`, denying a `small government` that prevailed both in past Korean governments and Anglo-saxon or American governments (UK, New Zealand, USA, etc). On the contrary, it seeks vigorously to play an active role of `coordinator` between civil society (citizens) and enterprises (market). It seems that this second choice relies on the observation of Korean historical background: Korea has never constructed a welfare State which caused financial deficit and, therefore, never known a big government; the actu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notably the impartial distribution of richness, are not due to government failure, but market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