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학부(史學部) : 근대 학술체계에서의 동아시아 인문전통(人文傳統)에 대한 접근 방식과 “중국학(中國學)”

        민병희 ( Byounghee Min ) 한국중국학회 2015 中國學報 Vol.71 No.-

        This article discusses “Chinese studies” as an approach to East Asian humanistic traditions in the modern academic system. Since the modern academic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the Western traditions, it is very difficult to approach East Asian humanistic traditions which have their own framework as a knowledge system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Western traditions in modern academic system. It explores three different ways of approaching to East Asian humanistic traditions in the contemporary Korean academic environment: Approach in modern academic disciplines; preserved traditional approach; and “Chinese studies.” Those approaches have discretely their own problems as an approach to East Asian humanistic traditions. This article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pproach of “Chinese studies” because of the current popularity of “Chinese studies” in Korea and its potential as the an alternative to those two aforementioned approaches.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approach of “Chinese studies” in two different categories: one is Chinese studies developed from traditional sinology and the other is that from “area studies.” The possibilities of “Chinese studies” as an approach to East Asian humanistic traditions depends on how it facilitates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overcomes the pitfalls of ambiguity as an academic discipline and methodology, and liberates itself from the ideologically shadowed past as a strategically developed academic field.

      • KCI등재

        지성사의 귀환과 도전 - 최근 영미 지성사학계의 동향을 중심으로 -

        민병희 ( Min Byoungh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4

        역사학계에서 한동안 주변화 되어왔던 지성사 분야가 최근 다시 활성화되고 있다. 역사학, 더 나아가 인문학이 현실과 미래에 대하여 목소리를 내는 본연의 역할을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은 지성사의 귀환의 배경이 되고 있다. 지성사는 특히 지나친 전문화와 세분화로 인해 파편화된 분과학문 체계에서 학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독특한 장을 제공하고 있다. 지성사 분야는 연구대상과 방법론에서 그 영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엘리트, 관념, 고급문화 위주라는 비판을 넘어서서, 민중, 현실,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였고, 인접 학문 분야의 영향도 적극 수용하였다. 인접 분야에서도 지성사에서 다루었던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쌍방이 접근해가며 상호간 접점이 넓어졌다. 그동안 지성사에서 연구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던 심리, 감정, 경험 등도 지성사의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다. 최근 역사학계는 전지구화, 디지털 인문학의 발달, 시공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 등의 영향으로 확장된 시공간에서 역사를 바라보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지성사에도 반영되어, 글로벌 히스토리가 거의 적용되지 않았던 지성사 분야에서도 “글로벌 지성사”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역의 확대가 안이한 절충주의적 태도로 인해 딜레탕티즘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지성사가 가진 `학제성`의 특성을 장점으로 살리면서도 딜레탕티즘으로 전락하지 않고 학문분야로서의 정체성과 수준을 유지하는 방법은 학제성에 대한 본질적 성찰과 학제적 작업이 실제로 행해지는 과정을 개선하려는 노력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Intellectual history, which had been marginalized in the field of history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has been recently revitalized. The context of the return is the spread of the conviction that the humanities including historical studies should take their responsibility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the world. Intellectual history provides a special space of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for the academia and universities which are suffering from the fragmentation of the highly specialized discipline system. Over the past few decades, intellectual history has expanded its realm of research. It has overcome the criticism of elitism and idealism and stretched its research subjects over the people, real life, and popular culture. Intellectual history has been influenced by diverse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in the related disciplines. Other disciplines have developed interests in the subjects of ideas, knowledge, and high culture which have been the traditional realm of intellectual history. Now the realm of research is largely overlapped between intellectual history and other related disciplines. The new objects such as psychology, emotion, experience are also expanding the realm of intellectual history. Globalization, digital humanities, and the epistemological turn for the space and time recently change the landscape of historical studies. Consequently “global intellectual history” has emerged in the field. Despite the rosy description of the field, some intellectual historians are concerned about eclecticism which could obfuscate what unites intellectual history as a sub-discipline and fall into dilettantism. Intellectual historians should reflect on the nature of its interdisciplinarity and improve the real procedures of interdisciplinary works in order to develop intellectual history as a vital field par excellence.

      • KCI등재

        朱熹의 사회ㆍ정치적 구상으로서의 “學”

        閔丙禧(Min Byounghee) 동양사학회 2008 東洋史學硏究 Vol.104 No.-

        We can find the most systemic discussion of Zhu Xi's sociopolitical agenda in his criticism of the "Learning of Achievement and Profit(gongli)" and the "Learning of Void and Empty (kongxu)" and contrast between his own and those two approaches. The "Learning of Achievement and Profit" generally points to the way of ordering the world only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means, which, he argued, is grounded in a wrong assumption of human nature. The "Learning of Void and Empty" mainly targets to attack Buddhism and Daoism, of which the major problem results from their incorrect view of li as void and empty not as real. Zhu Xi believed that such a view of li cannot provide any real ground to be shared in society so that society become a total anarchy. In contrast to those wrong ways, he presented his learning as the only right way to order the world, through which we can find the ground to be shared in society and order can be brought to society, based on individual's moral autonomy. This paper analyzes Zhu Xi's sociopolitical agenda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Southern Song society when a new paradigm for political power and social organization and management was urgently pursued. Zhu Xi's sociopolitical agenda historically constructed 'literati society' of which understanding often evades the analytical frameworks based on the western models.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Zhu Xi's learning as a sociopolitical agenda and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it was formulated helps us to explain social structures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East Asian societies since the Song from a fresh perspective.

      • KCI등재

        朱熹(1130-1200)에있어서 形而上學과 經世의 관계

        민병희(Byounghee M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8 No.-

        朱熹(1130-1200)에 있어서 形而上學과 經世의 관계: 太極 개념과 太極圖의 해석을 중심으로 민 병 희 이 논문은 朱熹의 太極과 太極圖에 대한 해석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이해함으로서, 그의 形而上學 체계가 이후 동아시아의 사회와 정치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한 방식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試論이다. 儒敎는 宋代에 佛敎와 道敎의 형이상학에 영향을 받아 新儒家 사상체계를 수립함으로서 전통적인 유가의 윤리와 실천주의에 존재론적, 우주론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되어지곤 한다. 신유가의 형이상학은 기존의 仁義禮智信과 같은 유가적 덕목 또는 民本主義라던가 仁治, 德治 등으로 표현되는 유가적 經世觀에 理氣論, 心性論 등의 논의를 도입하여 형이상학적 기반을 제공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유가 經典으로 대표되는 문헌적, 문화적 전통이 새로운 형이상학 체계와 어떻게 결합하였는가에 대하여 유기적인 설명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주희의 태극과 태극도에 대한 해석을 지성사적인 관점에서 재분석함으로서 經世的인 "原始儒敎"의 전통이 과도하게 空理空談의 형이상학으로 경사하게 됨으로서 유교는 신유가에 이르러 그 실천주의적 정신을 잃고 내향화했다는 비판 등의 신유가의 형이상학에 대한 기존의 비판에 대해 再考해보고, 신유가에서 형이상학이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그리고 형이상학과 그들의 사회정치사상과는 어떤 관계가 있었는지에 대하여 새로운 설명을 제시하였다. 주희는 태극 개념과 태극도의 도입을 통하여, 어떻게 作因 이 특정한 기원을 상정하지 않고도 각각의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어떻게 하나의 중앙이 없이도 다양성을 지닌 개별적 존재가 보편적인 원칙을 공유하여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가를 설명해 내었으며, 모든 것의 궁극적 목표로서 生을 지속시키는 生生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이는 당시의 역사적 맥락에서 본다면, 지역화 되었으나 天下之士 로서의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았던 송대의 사대부들의 사회정치 참여의 욕구를 만족시키면서도, 公共善을 지향하고 질서를 추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식을 보여준 것이다. 따라서 결국 주희에 있어서는 형이상학이 곧 경세를 위한 사회정치사상과 동일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Metaphysics and Ordering the World in Zhu Xi's Learning: Through Examining Zhu Xi's Notion of the Supreme Ultimate and His Interpretation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Byounghee Min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how metaphysical discourse was interrelated to the discourses about “ordering the world” in Neo-Confucianism through the examination of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Supreme Ultimate and his interpretation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in the historical context. Zhu Xi redefined the cocept of li by introducing the notion of the Supreme Ultimate.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explains how agency can be generated without any particular center and origin and also how diversity and unity can coexist. It also describes how the world can keep life going on. This is closely interrelated to the issues of how the literati without any official title in local society can find a way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politics and how to legitimize it. Also it reveals the nature of the unity Zhu Xi envisioned for the society. Furthermore, this also shows Zhu Xi's belief that the unity and order of the society is guaranteed as long as the process of generation and regeneration of agency is taking place without interruption. This article challenges a conventional explanation of metaphysics in Neo-Confucianism in the Song. Zhu Xi's metaphysics not merely provided the cosmological and ontological ground for the pre-existing Confucian doctrines, but his metaphysics is itself sociopolitical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