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육피로도를 고려한 하반신 마비환자의 보행 자동제어 FES 시스템에 관한 연구

        민병관,김종원,김성환,Min, Byoung-Gwan,Kim, Jong-Weon,Kim, Sung-Hwa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4 의공학회지 Vol.15 No.2

        In this paper, a DSP and microcomputer-based EMG controll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system, for restoring walking of paraplegics at the patients' own command, is presented. The above-lesion EMG is a time-varying nonstationary signal and its autoregressive (AR) parameters are identified by the nonstationary identification algorithm using a DSP chip. The identified AR parameters are used for the cloassification of the function and the control of the movement. The below-lesion response-EMG signal is used as a measure of muscle fatigue. This FES system is designed to measure muscle fatigue and control the stimulation intensity according to the amplitude of the response-EMG signal. While the automatic electrical intensity control is obtained by identifying the movement, the proposed FES system is suitable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paraplegic walking.

      • KCI등재

        선정주 시조에 나타난 기독교 세계관

        민병관(Min Byeong-Kwan) 한국시조학회 2010 시조학논총 Vol.33 No.-

        선정주(宣珽柱)는 지금까지 6권의 시집을 발간한 시조시인이며 목회자이다. 그에 관한 평가는 주로 사설시조의 현대적 변용, 기독교적 신앙 고백 등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선정주 시조에 기독교 세계관이 어떠한 양상으로 형상화되어 있는지 분석했다. 기독교 세계관의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세 가지 틀인 ‘창조 (創造) - 타락(墮落) - 구속(救贖)’이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선정주 시조에는 창조주가 천지만물을 창조한 것에 대한 경이로움이 드러나 있다. 아울러 천지창조의 목적에 절대적으로 순응하는 태도를 현대적인 배경과 정서를 바탕으로 형상화했다. 둘째, 선정주 시조에는 하나님의 창조세계가 인간의 타락 때문에 본 모습을 잃었음에 대한 안타까움이 드러나 있다. 인간의 죄와 타락으로 인해 왜곡된 현실상황을 투철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개탄하는 심정을 형상화했다. 셋째, 선정주 시조에는 예수의 희생을 통해 인류를 구원한 구속(救贖)이 드러나 있다. 타락한 현실 세계를 창조 목적에 부합하는 모습으로 회복하고자 하는 간절한 열망을 형상화했다. 이와 같이 선정주 시조에는 기독교의 기본 교리이자 기독교 세계관의 중요 요인인 창조 - 타락 - 구속이 모두 드러나 있다. 특히 현실 상황, 현대 문명 등 현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기독교 세계관을 성직자로서의 사명감이나 고뇌와 함께 현대적 감수성으로 형상화했다. 이것은 현대시조의 주제 영역 확장은 물론 현대시조의 현대성 확보라는 점에서 의미있는 문학적 성과일 것이다. 이것은 선정주 시조가 단순한 기독교적 소재 차용이나 기도조의 표현 등 일반적인 기독교 문학의 차원을 벗어나 있다는 반증이며 기독교 문학사 혹은 기독교 시문학사의 한 지점을 차지할 수 있는 시적 성취일 것이다. 한편 이 연구가 보완해야할 남은 과제와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정주 시조에 나타난 기독교 세계관을 시기별, 시집별로 구분해서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윤동주, 박두진, 김현승 등의 기독교 관련 자유시와 비교 연구를 함으로써 문학사적 맥락 안에서 선정주 시조의 고유성과 위상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Seon Jeong-Joo is a writer of Korean traditional verse, or sijo and pastor who has so far issued 6 collections of his poems. His poems have been evaluated mainly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thematic consciousness, the attempt of new poetic styles and Christian faith conf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s reflected in his sijo. The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ree concepts that are considered fundamental and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that is, 'creation - depravity - redemption'.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on Jeong-Joo's sijo reveals awe for the creation of the heaven and the earth by God. Modern backgrounds and emotions depicted in the poet's sijo represent an absolute adaptation to the purpose of the Lord's creation. Second, the poet's sijo reveals he feels sorry about the fact that the world created by God lost its original state due to humans' corruption. He deplores the distortion of the reality which was caused by humans' sin and corruption from his own perception of the situation. Third, Seon Jeong-Joo's sijo suggests the redemption of the mankind through Jesus Christ's sacrifice. He expresses a strong desire for turning the corrupted reality to the state that can comply with the purpose of the creation by God. Thes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ll of the three basic concepts of theChristian world view, or creation - depravity - redemption are reflected in Seon Jeong-Joo's sijo. Based on the depiction of modern backgrounds and senses, the poet represents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and his feeling of duty or ago as a pastor. Seon Jeong-joo's sijo may be said as a meaningful literal achievement in that it broadened a range of theme for modern sijo and clearly demonstrated the mondernization of sijo itself. Now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Seon Jeong-Joo's sijo should be further studied as follows. Above all,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found in the poet's sijo needs to be analyzed in more detail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periods of his poem writing and different collections of his poems. Next, Seon Jeong-Joo's sijo needs to be firmly positioned as a Christian literature through its comparison with Christianity-based poems by Yoon Dong-joo, Park Doo-jin and Kim Hyeon-seung.

      • KCI등재

        현대시조의 종장에 나타난 특성 연구

        민병관(Min, Byeong-Kwan)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이 연구는 시조학계에서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정형성 문제와 정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현대시조의 정형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현대시조의 종장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대시조 중 대표적인 작품을 모아 엮은 현대시조 100인 선집에 실린 101편의 시조(종장 330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대시조 종장의 배열 형태는 고시조에 비해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1연에서 5연, 1행부터 6행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하고 있다. 또한 초장, 중장과 독립된 연으로 배열한 경우가 30% 가까이 된다. 이것은 초장과 중장에 비해 종장의 의미를 더 부각시키고자 한 의도의 산물이다. 둘째, 종장의 제1음보는 모두 3음절로 이루어졌으나, 2~4음보는 1음절부터 10음절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다. 고시조에 비해 현대시조에서는 음절 과잉 현상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사회의 다양화와 다변화, 현대인의 복잡한 정서 등을 작품에 반영한 결과이다. 셋째, 종장의 종결어는 서술형과 명사형이 65% 이상이고, 연결형도 15.5% 가량 된다. 고시조의 종결사는 의문형이나 감탄형이 대부분인데 반해, 현대시조는 5.7%에 불과하다. 이것은 고시조가 청자 지향적이고 관계성을 중시한 문학이라면, 현대시조는 화자 중심적이고 개인성을 강조한 결과일 것이다. 넷째, 종장에 쓰인 문장부호의 숫자는 0개~8개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고시조에 비해 문장부호를 많이 사용한 것은 문장부호가 의미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문장부호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보충하고 시각적 효과, 여운의 효과 등을 드러내고자 한 의도의 산물이다. 다섯째, 종장의 의미구조를 분석한 결과, ‘00/00, 0/0/00, 0/0/0/0, 00/0/0’ 형태와 같이 구(句)에 대한 인식이 분명한 것이 95% 가량이었다. 반면에 ‘0/00/0, 000/0, 0/000’ 형태와 같이 구에 대한 인식이 불분명한 것이 5% 가량이었다. 이것은 대다수 현대 시조시인들이 시조의 각 장이 2구로 구성된다는 정형성에 대한 인식을 창작에 반영한 결과이다. 다만 일부 종장에서는 시조의 정형성에서 벗어나 실험정신에 입각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현대시조의 종장을 여러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그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현대시조의 종장은 고시조의 정형성을 인식하고 그것을 유지하려는 노력의 결과물이다. 둘째, 현대시조의 종장은 고시조와 변별되는 형식상의 새롭고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대시조의 종장은 고시조의 정형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창조적으로 계승하고자 하는 노력의 산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that the last line of the modern sijo has as a basic step to determine the very identity of that sijo.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er selected and analyzed representative 101 pieces of the modern sij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dern sijo has more diverse arrangements of the last line than the ancient sijo has. For example, that line is arranged in 1 to 5 stanzas, 1 to 6 rows or in many other ways. By the way, nearly 30% of the analyzed verses have the last line separately arranged from the first and the second lines. What is implied here is poets’ intent to make the last line more meaningful than the two others. Second, the first foot of the last line usually consists of 3 syllables, but the 2nd to 4th foot, 1 to 10 syllables. In other words, the overuse of syllables are found in the modern sijo in comparison to the ancient sijo. This may be because the modern Korean verse reflects various, diverse aspects of the modern society and emotional complexities of modern people. Third, 65% of the surveyed pieces have the ending words of the last line that are predicative or noun and 15.5%, connective. Among the pieces of the ancient sijo, more than 50% are interrogative or exclamatory in the ending words of the last line. These types are found in only 5% of the modern sijo.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ancient sijo is listener-centered and relation-oriented, while the modern sijo, speaker-centered and personality-oriented. Fourth, the modern sijo has many punctuation marks, or 0 to 8 in the last line. The reason why those marks are more found in the modern sijo than in the ancient one is because there’s a recognition that punctuation marks have the effect of strengthening meanings. In other words, underlying the frequent use of punctuation marks is an intent by writers of the modern sijo to supplement meanings they wished delivering and present some visual and suggestive effects. Fifth, among the pieces of the modern sijo surveyed here, 95% are ‘00/00’ in semantic structure and 5%,‘0/000’. This suggests a notion that sijo is a fixed form of verse each of whose lines consists of 2 phrases was reflected in the creation of those pieces.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may be seen a new attempt that is experimental. When all these findings are considered, it is possible to reach a conclusion that the last line of the modern sijo largely have the following two charac teristics. First, the last line of the modern sijo is an outcome of efforts to recognize and maintain the formal fixity of the ancient sijo. Second, that last line shows new attempts in style to be discriminated from the ancient sijo. Thus, the last line of the modern sijo is the outcome of struggles to keep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sijo on one hand and creatively succeed them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도가적 회귀주의

        민병관(Min Byeong-kwa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0 No.-

        정완영 시조에 대해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양적 사유세계가 잘 드러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학문적 성취를 계승하고 심화ㆍ확대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도가적(道家的)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정완영의 작품 중에서 도가적 특정이 두드러진 작품을 찾아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정완영 시조에서 도가적 색채가 표출된 작품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양상으로 유형화시킬 수 있다. 첫째, 정완영의 시조에는 상실감에서 비롯된 고향회귀의식이 드러나 있다. 예전의 모습과 달리 변해버린 고향, 고향에 돌아갈 수 없는 처지에서 느끼는 상실감을 극복하기 위한 방면으로 고향회귀를 꿈꾸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들 속에서 고향 의 의미는 상실감을 극복하기 위해 설정된 근원적 본래적 의미의 고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노장사상(老莊思想)에서 추구한 ‘복귀기근(復歸基根)’의 개념과 상통할 것이다. 둘째, 정완영의 시조에는 순수성 추구를 통해 동심 회복을 열망하는 작품들이 있다. 봄을 통해 동심 회복을 노래한 작품, 유년의 꿈을 통해 동심 회복을 추구한 작품, 엄마에 대한 그리움을 통해 동심회복을 표현한 작품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작품은 도가에서 지향한 ‘소박함, 연약함, 부드러움’을 추구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정완영의 시조에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파악하고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지향한작품들이 있다. 자신을 잊고 자타(自他)의 구별을 초월한, ‘물아양망 (物我兩忘)’을 통해 자연과 인간과의 합일을 추구하고 있다. 이것은 도가에서 궁극적 도달 대상으로 설정한 자연으로의 회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 연구가 앞으로 보완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도가적 경향을 그의 생애 및 살아온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분석해야 할 것이다. 그의 도가 관련 서적을 탐독한 독서 환경과 1960~ 70년대 근대화의 불결,1980년대 시대 상황 동을 분석한 역사ㆍ전기적 방법에 의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동양사상적 특정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academically recognized that Jeong Wan-Young's sijo better represent Oriental id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aoistic characteristics of Jeong Wan- Young's sijo. This is an effort to succeed and further deepen and extend previous relevant research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categorized the poet's sijo in accordance with such characteristics as above 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Pieces of Jeong Wan-Young's sijo which are based on Taoistic idea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First. some pieces of Jeong Wan-Young's sijo represents an orientation of return to hometown which is brought by the sense of loss. His sense of loss is attributed to the facts that his home is not what it was any longer and that he can't return to the old home. To overcome the sense. nevertheless. the poet is dreaming of return to home. The home found in Jeong Wan Young's sijo is something fundamental and original that he purposedly provided against the feeling of loss. It complies with the concept of 'Bokgwigigen (復歸基根)’, a pursuit of Taoism. Second, other pieces of Jeong Wan-Young's sijo are seeking purity to retrieve childish innocence. Their subjects include the season of spring, dreams of childhood and longing for mother all of which represent the poet's strong desire for such retrieval as above mentioned. It may be said that pursued by that pieces are 'Purity. Feebleness and Smoothness' that are sought by Taoism. Third. other pieces of Jeong Wan-Young's sijo are considering human as a part of nature and seeking human life in harmony with nature. In other words, they are seeking union between human and nature which means going beyond discrimination between self and external objects. that is, 'Mulayangmang(物我兩忘)'. This may refer to return to nature which is the ultimate destination of Taoism.

      • KCI등재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유가적 인본주의

        민병관(Min Byeong-Kwan)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8 No.-

        정완영은 지금까지 13권의 시조집과 전집을 간행한 현대시조계를 대표할만한 시조시인이다. 그의 문학사적 위상에도 불구하고 작품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다소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는 이같은 기존 연구의 당면한 과제에서 출발하며, 정완영 시조의 주제를 총체적으로 규명하는 연구의 한 부분으로 그의 작품에 드러난 인본주의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정완영은 한학자인 조부에게 유가 경전을 배우면서 자라는 등 유가적 분위기에서 성장했기에 그의 작품에도 유가사상이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유가적 인본주의가 정완영 시조에 어떤 양상으로 표출되고 있는지 전집에 실린 작품을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몸과 마음을 닦는다는 의미의 ‘수신(修身)’은 유가 사상에서 인간 생활의 기본으로 삼는 덕목이다. 정완영의 시조에서 자기 수양의 의미를 지난 ‘수신(修身)’은 사리사욕에서 벗어나 순수한 태도로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는 ‘자아성찰’로 표출되어 있다. 둘째, 유가적 인본주의는 인간과 삶을 중심에 둔 사상이기에 다분히 현실지향 적이다. 또한 만물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적 삶을 이상향으로 추구한다. 정완영의 시조에서 이러한 태도는 현실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바탕을 두고 세상 만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공동체를 지향하고 있는 모습으로 표출되어 있다. 셋째, 유가의 선비정신은 시대현실에 대한 올곧은 자각과 신념을 잃지 않는 존재로서의 모습을 의미한다. 정완영의 시조에서 선비정신은 현실에 대한 냉철한 인식 아래 조국의 현실과 미래를 염려하는 애절한 정서인 조국애로 표출되어 있다. 한편 이 연구가 보완해야할 남은 과제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인본주의를 그의 생애나 시대 상황 등과 구체적으로 관련지어 분석해야 할 것이다. 유가적 분위기에서 성장한 그의 가정환경과 일제시대, 한국전쟁 등을 경험하면서 발현된 혈육애, 조국애 등을 분석한 역사ㆍ전기적 방법에 의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밝힌 인본주의적 경향을 포함하여 정완영 시조에 드러난 총체적인 주제의 양상들을 정리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Jeong Wan-Young is a representative poet in modern sijo. having yielded up to 13 sijo collections and complete works. Regardless of his literary stature. the study in his works lacks. Confronting the proble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umanistic characteristics in his works as part of revealing his subject as a whole. Confucianism could naturally influence his works in his peculiar growth of learning Confucian canon by a Confucian scholar. his grand father. Examining how Confucian humanism is expressed in Jeong Wan-Young's sijo from the works in the collections in that aspect. the study draws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Confucian 'susin(修身:training body and mind)' is a basic human virtue. But Jeong Wan-Young's Moral training is sort of ‘introspection: looking back on oneself free from self-interest. Secondly, Confucian humanism is bound to be reality-oriented focusing on human and life. pursuing a Utopia of communal living. But he is pursuing harmonious communal living on the basis of positive recognition of reality. Thirdly, a Confucian scholar represents being right-minded and keeping a faith in a turbulent period. And also. a Confucian scholar he represents is a pathetic patriotism concerning about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country.

      • KCI등재

        현대시조의 기독교적 상상력 연구

        민병관(Min, Byeong-Kwan)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3 No.-

        현대시조에 나타난 기독교적 상상력에 관한 연구는 양적으로 영쇄한 편이다. 이 연구는 기독교 문학의 심도있는 이해와 기독교 시조문학사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이다. 현대의 시조시인 중에서 기독교적 상상력을 드러낸 시조를 가장 많이 쓴 선정주 시조시인과 장순하 시조시인의 시조를 텍스트로 삼고자 한다. 먼저, 선정주 시조시인(1935~2012)의 시조에 드러난 기독교적 상상력을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선정주 시인은 목회자로서 생전에 6권의 시조집과 1권의 시조선집을 발간하였다. 그가 발표한 시조의 대부분에는 기독교적 상상력이 침윤되어 있다. 특히 그의 시조에는 기독교 관련 내용들을 역설적 상상력을 활용하여 시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이 다수 있다. 역설적인 표현을 통해 목회자로서 가지게 되는 종교적 번뇌와 구도자적 열망을 드러낸 시조가 다수 있다. 아울러 역설적인 표현을 통해 부활신앙에 대한 시인의 확고한 믿음을 표출한 시조도 다수 있다. 다음으로, 장순하 시조시인(1928~)의 시조에 드러난 기독교적 상상력을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순하 시인은 12권의 시조집과 1권의 전집을 발간하였으며, 현재까지 시조 창작을 하고 있는 현대시조계를 대표할만한 원로 시조시인이다. 그는 1996년 기독교에 입문하여 시조집사랑학 입문에 있는 210편을 포함하여 200편이 훨씬 넘는 기독교 관련 시조를 발표하였다. 그의 기독교 관련 시조에는 성경 구절 등을 인용하거나 성경 속의 예화를 차용한 작품들이 대다수이다. 인유적 상상력을 통해 그는 신앙고백을 하고 있으며 종말사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시조가 다수 있다. 이와 같이 살펴본 결과 두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에 나타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선정주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는 목회자로서의 사명감과 갈급한 심정 및 부활신앙을 역설적 상상력을 통해 형상화하였다. 장순하 시조시인은 성경 구절을 그대로 인용하거나 변용하는 방법인 인유적 상상력을 통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고 종말사상을 형상화하였다. 두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에 나타난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선정주 시조시인과 장순하 시조시인은 기독교적 상상력을 표출한 시조를 다수발표했으며, 각자 개성적인 기독교 시조의 한 영역을 구축하였다. 두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에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와 기독교에 대한 절실한 신앙심을 표출한 작품이 다수 있다. 두 시인의 기독교 시조는 나름의 시적 성취를 이루었으며 기독교 시조의 양적, 질적 심화에 기여를 했기에 기독교 시조문학사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확보할 만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기독교 관련 시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보완해야 할 과제와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창작을 한 다른 시조시인의 작품을 대비하여 고찰함으로써 기독교 시조의 정체성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창작을 한 다른 자유시와의 대비 연구를 통해 한국 기독교 문학의 위상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about Christian imagination reflected in modern sij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helpful to deeply understand Christian literature and clarify the history of Christian sijo literature. For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d on pieces of sijo written by Seon Jeong-ju and Jang Sun-ha both of whom put out lots of sijo based on Christian imagination. The two poets are common in that they were bor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tarted their career as a poet at an almost same time. First of all, how a sijo writer, Seon Jeong-ju applied Christian imagination to his pieces of sijo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poet and paster, Seon Jeong-ju wrote and published 6 volumes of sijo collection. His pieces of sijo were all written based on Christian imagination. Many of the pieces contain Christianity-related stories that were poetically represented through paradoxical imagination. Among pieces of sijo written by Seon Jeong-ju, some reveal enthusiasm for seeking after truth that he kept in mind as a clergyman and others, the poet’s strong belief in the Resurrection. Next, Christian imagination that another sijo writer Jang Sun-ha reflected in his works can be briefed as follows. The poet published a sijo collection of his own in 2010. As one of the best representatives of the modern sijo circles, he is a veteran poet who is still creating pieces of sijo. Since he became a Christian in 1996, he has released more than 200 pieces of Christianity-based sijo including those contained in his sijo collection, 『Introduction to Love Studies』. Most of the Christian poets quoted words from the Bible or borrowed episodes described in the Book. In those poets, he uses imagination that is allusive to the confession of his faith and, in some cases implies his own views of eschatology. In conclusion, both Seon Jeong-ju and Jang Sun-ha wrote and published lots of sijo works on the basis of Christianity, and each of them built up his own world of Christian sijo. In many of the two poet’s pieces of sijo, critical doctrines of Christianity and their desperate devotion to that religion are found. Both of them made remarkable poetic achievements, so they deserve being recognized as second to none in the history of Christian sijo literature.

      • KCI등재

        장순하 시조에 나타난 동학적 생명사상

        민병관(Min, Byeong-Kwan)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5 No.-

        장순하(1928~)는 1957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한 이후 2010년 전집(총 8권)을 발간한 시조시인이다. 그에 관한 평가는 주로 시조의 실험적 시도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장순하 시조에 동학사상이 어떠한 양상으로 형상화되어 있는지 분석했다. 특히 동학의 토대가 되는 생명사상의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세 가지 개념인 ‘시천(侍天, 모심)-양천(養天, 기름)-체천(體天, 살림)’이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순하 시조에는 생명의 근원과 탄생에 대한 내적인 인식을 형상화한 작품이 있다. 이것은 동학사상의 기본 토대인 ‘모심(侍天) : 생명의 질서를 인식하고 경이롭게 생각하는 단계’를 드러낸 것이다. 둘째, 장순하 시조에는 인간은 물론 세상의 모든 동식물 등 일체의 사물을 공경해야 한다는 인식을 형상화한 작품이 있다. 이것은 동학사상의 주요 개념인 ‘기름(養天) :인간생명과 다른 동식물이나 사물들과의 유기체적 관계를 자각하고 그 개성적인 속성을 공경하는 단계’를 드러낸 것이다. 셋째, 장순하 시조에는 억압받고 소외된 인간 존재와 파괴된 자연을 회복하고자 하는 열망을 형상화한 작품이 있다. 이것은 동학사상의 주요 개념인 ‘살림(體天) : 인간을 주축으로 모든 생명체가 생명력을 발휘하고 하나가 되기 위해 실천하는 단계’를 드러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 본 결과 장순하 시조에는 동학적 생명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학사상의 주요 개념이자 그 발전 단계인 ‘모심(侍天)-기름(養天)-살림(體天)’ 이 모두 드러나 있다. 특히 동학적 생명사상이 추구하는 궁극적 이상세계가 우주생명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라고 볼 때 장순하의 시조에는 이 같은 점이 잘 드러나 있다. 그의 시조가 지닌 문학적 의의는 오늘날 인류사회의 생명 위기문제를 인식함은 물론 그 회복에 대한 간절한 열망까지 표출한 것에 있다. 앞으로 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장순하 시조에 나타난 생명사상을 시기별, 시집별로 구분해서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생명파 시인을 비롯해 생명사상을 담고 있는 다른 시들과 비교 연구를 함으로써 생명문학으로서의 위상을 올곧게 정립해야 할 것이다. Jang Soon-Ha is a senior writer of Korean traditional verses or sijo. Lately, the poet released an eight-volume collection of his sijo. He has been evaluated mainly in terms of extended theme consciousness and newly attempted 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Donghak is reflected or represented in the poet's sijo.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poet's sijo in accordance with the ideas of life as a key of Donghak.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ow Jang Soon-Ha has internalized the origin and creation of life is suggested in some works of his sijo, complying with one of the basic ideas of life found in Donghak, that is, ‘attendance’ which may be regarded as becoming aware of the order of life and feeling wonder about life itself. Second, others of Jang Soon-Ha’s Korean traditional verses imply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respect all existences of the world including human beings, plants, animals and any other objects. Here, the respect is associated with Donghak's another basic idea of life, 'rearing' which may be understood as recognizing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s, plants, animals and any other objects and appreciating the peculiarities of each of those living or non-living things. Third, other works of sijo by Jang Soon-Ha reveal desires for restoring humanity and nature which were lost or destroyed. Here, the desires comply with the other basic idea of life, suggested by Donghak, that is, 'revitalization' which may be understood as reviving the vitality of all living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and uniting them into one. Thus, the ideas of life that are rooted in Donghak, or specifically, 'attendance', 'rearing' and 'revitalization' are all implied in Jang Soon-Ha's sijo. These ideas ultimately orient an ideal world, or so-called a life community of the universe. This ultimate destination is fully implied in Jang Soon-Ha's sijo. From the standpoint of literature, his sijo is considerably meaningful since it reveals not only the awareness of life crisis that the mankind is facing today, but also strong desires for return to the state prior to the crisis. This study needs to be further develop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ideas of life found in Jang Soon-Ha's sijo should be further analyz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periods of his career and different collections of his poems. Next, his sijo needs to be analytically compared with other poems based on the idea of life, including works by poets who belongs to the School of Life. This would contribute to make Jang Soon-Ha's sijo really positioned as what represents so-called lif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