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성립과 불교사적 의의

        민명숙(벽공) ( Min Myung - Soo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1 No.-

        본 논문은 세종이 저작한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성립과 그 내용의 특징 등을 불교적 입장에서 살펴본 글이다.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의 부인 소헌왕후가 승하한 후 그의 아들인 수양대군이 지은 『석보상절』을 기반삼아 훈민정음으로 그 내용을 요약·압축해 찬술된 것으로, 상·중·하 3권이 있다. 『월인천강지곡』은 석존의 일대기를 다룬 장편의 찬가로서, 형식은 저본인 『석보상절』의 구조를 따라서 팔상의 구조를 기본바탕으로 편찬되었다. 전체적인 구조는 서사 ②전생 ③탄생 ④궁중생활 ⑤출가 ⑥수도 ⑦성불 ⑧전법교화 ⑨열반 ⑩아육왕의 불교홍포 ⑪결사의 순서로 전개되었다. 상권의 내용은 첫째는 석존, 즉 불교의 위대함, 둘째는 교화를 통한 갈등 해소, 셋째는 불사의 필요성과 타당성 강조, 넷째는 인륜도덕적인 삶을 지향, 다섯째는 진정한 효의 의미에 대한 강조, 여섯째는 출가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해석 등이다. 『월인천강지곡』에서 석존은 지극히 윤리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의 덕행 중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이 바로 효행이다. 석존의 성불은 그대로 대효도에 해당되며, 보시, 인욕, 사욕(捨慾)은 중생들에게 모범이 되는 윤리적인 삶의 모습인 것이다. 그리고 아들 라운의 출가를 통하여 출가수행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불교를 믿지 않았던 많은 부류에게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들을 이해시키고 불교에 귀의하게 한다. 세종은 이와 같은 석존의 모습을 정치 이념으로 삼았으며, 『월인천강지곡』을 통하여 승려들에게는 수행자의 모습을, 백성들에게는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삶을 살도록 가르치고자 했다. 세종은 『월인천강지곡』의 서사와 결사에서 노래하는 것처럼 석존의 가르침은 유교와 불교가 갈등이나 대립의 상대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친불교적인 세종의 입장을 나타내준다. 이 같은 검토에 의거하여 본 논문에서는 세종의 『월인천강지곡』 저작과 간행 그리고 세조로 이어지는 유통의 과정이 지닌 불교사적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월인천강지곡』 자체가 『용비어천가』와 짝하는 군왕의 통치에 있어서 정당성, 곧 왕조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작업의 일환이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숭유억불의 정책 기조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로부터 이어지는 불교적 분위기를 부정하기에 쉽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월인천강지곡』은 직접적으로 유학자들의 불교 비판을 반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내용상 실제로는 유학자들의 불교 비판에 대한 대응의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첫째와 둘째의 결론을 고려할 때, 『월인천강지곡』은 단순히 석존 전기의 훈민정음에 의한 간행이라는 의미를 넘어서서, 세종이 지향한 유불 관계의 새로운 정립 시도라는 의도가 담긴 것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동시에 그것이 성리학 관료계층이 아닌 백성을 직접적 대상으로 삼는다는 관점에 입각한다면, 유불에 통하면서 동시에 불교적 군주로서의 세종 자신을 부각시킴으로써 신권의 제약과 왕권의 강화를 의도했던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Wolincheongangjigok an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olincheongangjigok is comprised of a set of three volumes and is an abridged version of Seokbosangjeol written by the Prince Suyang after the death of the queen Soheon, the wife of King Sejong. Wolincheongangjigok is a long piece of epic dealing with the Buddha`s life, the form of which basically is eight events(八相) following that of Seokbosangjeol. The development of this book are ①preface, ②previous life, ③birth, ④life at the palace, ⑤renunciation, ⑥practice, ⑦enlightenment, ⑧transmission and edification, ⑨nirvana, ⑩spreading Buddhism by Ashoka, and ⑪concluding. The contents of the first volume are - first Buddha, namely the greatness of Buddhism, second the disentanglement through the edification, third the emphasis of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things for Buddhism, fourth the morality-oriented life, fifth the true filial piety, sixth the interpretation of true renunciation meaning and so forth. Buddha in Wolincheongangjigok appears to be an extremely moral being. The filial piety is the most emphasized one of his virtues in it. Buddha`s enlightenment itself is the very great filial piety. And His life of charity, endurance and relinquishment of all desires can be a role model for human beings. It shows also us the true meaning of renunciation and practice through the story of Rahula, Buddha`s son. He made many sorts of people who didn`t believe in Buddhism understand and convert to Buddhism through the various methods. Thus King Sejong regarded Buddha as a political ideology and wanted to present the monks the true priesthood and taught his subjects to live a moral life through Wolincheongangjigok. As it appeared in the preface and conclusion of Wolincheongangjigok, the teachings of Buddha showed us that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not confronted or opposed to each other. It indicates his pro - buddhist stance. The Buddhistic meaning of Wolincheongangjigok, showing in the process of its compilation by King Sejong and its distribution by King Sejo,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ilation of Wolincheongangjigok like Yongbieocheonga was a part of claiming the governing legitimacy,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It seems that it was not easy for them to deny the Buddhism which had lasted from Korea Dynasty in spite of the political basis of oppressing Buddhism for confucianism. Second, Wolincheongangjigok show that it retains the character of responding the criticism of confucians, even if it did not directly act against it. Considering the first and second assertions, Wolincheongangjigok is not simply a book of Buddha`s life story written in Hunminjeongeum. But it show that King Sejong tried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from an angle of Wolincheongangjigok aiming at the subjects not the government officials as the readers, the purpose of compiling Wolincheongangjigok was intensifying the royal authority and undermining the rights of the courtiers through stressing Sejong as pro - buddhist King.

      • KCI등재
      • KCI등재

        암환자에서 TPN투여의 적정성 평가

        홍수연,민명숙,이영미,손기호,최경업,김화정,신완균,서옥경 한국병원약사회 2003 병원약사회지 Vol.20 No.4

        TPN(total parenteral nutrition) not only supplies nutrition but also works as a therapeutic drug since improving patient's nutritional status causes remedy of dise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use of TPN for appropriateness in cancer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PN in 111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in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uly 1, 2000 to December 31, 2001. The standard criteria published by ASHP(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nd ASPEN(American Society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were modified and applied. The indications were appropriate in 82.9% of 111 cancer patients and in 13 patients(11.7%) TPN lasted for ≤5 days. All the laboratory monitoring before starting TPN was done appropriately in over 90% of patients except for Ca^(2+), PO₄^(3-), Mg^(2+), glucose tolerance, lipid tolerance, hemorrhagic incidence, total protein and prealbumin. The monitoring during TPN administration was done approrpiately in over 90% of patients except for electrolyte balance, renal function, glucose tolerance, lipid tolerance, hemorrhagic incidence and prealbumin. For the assessment of TPN formula, non-protein calorie was appropriate in 83.8%, protein in 98.2%, and lipid in 78.4% of the patients. For administration method, glucose tapering was done appropriately only in 28.8%. For the nutritional prognosis assessment, increase in BU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ients with elevated liver enzymes over 2 times the upper limit of normal values were less than 18%. Hyperglycemia occurred in 15%. The abnormalities in K^(+) and Mg^(2+) were not found, but Na^(+) and PO₄^(3-) imbalances were found in less than 6%. In conclusion, the indicators for TPN use in cancer patients were measured appropriately in majority of monitoring indicators. This probably was due to an active role of clinical pharmacists in assessing and monitoring TPN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