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민동일,이승환 대한우울조울병학회 2019 우울조울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ffecting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by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Google Scholar, PubMed, DBPia, and RISS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people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r in those who had experienced severe trauma. Catastrophizing and rumination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higher psychological distress. On the other hand, positive reappraisal, refocus on planning, and acceptance were associated with fewe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lower psychological distress. We propose that catastrophizing and rumination contribute to both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refor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TSD symptoms, catastrophizing and rumination need to be targeted and positive reappraisal needs to be increased.

      • 청소년이 지각한 가정의 역기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민동일 ( Dong Il Min ),양정미 ( Jung Mi Yang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6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2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역기능 가정의 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밝히고, 역기능 가정과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하위변인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청소년의 개인특성과 역기능 가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안산의 1개 중학교 2학년생과 2개 고등학교 1학년생, 남녀 청소년 650명으로 하였다. 총 700부의 설문지중 불완전한 응답자 50부를 제외한 650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t-test와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기능 가정 하위요인별 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역기능 가정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역기능 가정과 자기효능감 각 하위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역기능 가정의 4개 하위요인과 자기효능감 6개 하위요인의 상관관계가 모두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특히 ``가족갈등문제``와 ``부모관계 효능감``에서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청소년기의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과 역기능 가정 하위변인과의 관계 중, 생활정도에 따른 역기능 가정진단에서는 ``문제의 가정``, ``문제의 부모``, ``가족갈등문제``, ``역기능적 가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때 평균의 크기는 생활정도가 하인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중, 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dolescents perceived the relationship of dysfunctional family to self-efficacy, whether or not dysfunctional family subfactors were correlated to self-efficacy subfactors, and in which way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dysfunctional family and self-efficacy were related to one anoth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50 boy and girl students who included second graders from a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rs from two high schools, which were located in Seoul and Ansan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for Window 11.0, and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were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mpact of dysfunctional family subfactors on self-efficacy, the group of the students whose families had milder problems were better at relationship efficacy, parent-relationship efficacy and self-control efficacy than the other group whose families suffered severer problems. Second, as to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dysfunctional family and self-efficacy, the four dysfunctional family subfactors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o the six self-efficacy subfactors, though their correlation wasn`t str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