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근대식 기생제도의 시작’에 관한 연구 -1908년 9~10월, 1909년 3월에 작성된 ‘기생(妓生) 관련 서류들’을 중심으로-

        미즈타니 사야카 한국음악사학회 2022 한국음악사학보 Vol.69 No.-

        본 연구에서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구성하고 있는 총 4종류의 문서군 가운데 2번째 문서군인 ②「기생단속령(근대식 기생제도)」의 제정 준비부터 발령, 시행, 세부지침, 신고서 양식 등에 이르기까지의 ‘기생 관련 서류들’(1908년 9~10월, 1909년 3월)을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정확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이 ‘기생 관련 서류들’에 담긴 내용을 하나하나 상세하게 해제(解題)하였다.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거의 대부분은 고(古) 일본어와 구즈시지(崩し字)의 일본어(日本語)로 작성되어 있고, 한국의 국한문(國漢文)과 구(舊)한글로 작성된 문서들은 모두 먼저 일본어로 작성된 법령이나 규약, 청원서, 신고서 양식 등을 국한문 또는 구(舊)한글로 옮겨놓은 것이다. 즉 대한제국 말기 한반도의 ‘가무(歌舞) 전문 예술인(藝術人)이었던 기생(妓生)들’을 대상으로 한 ‘근대식 기생제도’와 ‘매음(賣淫)을 전업으로 하던 창기(娼妓)들’을 대상으로 한 ‘공창제도(公娼制度)’는 모두 일제 통감부(統監府)가 정책을 마련하고, 법령을 제정ㆍ발포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세부적인 지침들을 마련해서 실제 일본인 경찰들에게 관리ㆍ감독(取締, 취체)하게 했던, 일제(日帝)라는 식민 지배자에 의해 만들어진 ‘근대식 기생제도(妓生制度)’이며, 일제에 의해 강제로 이식(移植)된 일본식 ‘공창제도(公娼制度)’이다. 결론적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대한제국기에 이르기까지 ‘여악(女樂)’이라는 한반도의 전통문화예술을 계승해 온 한국의 ‘기녀(기생)제도’가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전환기인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스스로의 힘으로 ‘근대식 기생제도’로 전환되지 못하고, 일제 통감부 경찰권력에 의해 타의적이고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것임이 명백히 기록된 타자에 의한 역사적 상흔(傷痕)이다.

      • KCI등재

        인도 독립운동가 R. B. 보스와 조선 — ‘간(間)-제국’적 시점에서 반식민지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미즈타니 사토시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2

        While in India under British rule, R. B. Bose (1886-1945) — a militant independence activist — was involved in an attempted assassination of the Governor-General, forcing him into migrating to Japan, where he would continue his anti-colonial activities in exile. In May 1934, Bose visited Seoul, the capital of Korea, a nation which was under Japanese rule. During his one-week stay there, he was greeted day after day by high-ranking Japanese officials of the colonial state and was found to try and persuade those Koreans with whom he interacted into cooperating with the Japanese rulers. Why was it the case that someone who was in the very forefront of anti-colonial struggle in one empire ended up discouraging it in another? This is nothing short of a contradiction. Contemplating this contradiction, the paper argues, will help us consider what both colonialism and anti-colonialism were in a new light. Conventional historical studies of colonialism have mostly revolved a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r and ruled in one given empire. But such a framework would fail to help us see why and how R. B. Bose did what did in Seoul that year. What is required as an alternative is a ‘trans-imperial’ perspective — a perspective which allows the histories of both colonialism and anti-colonialism to be situated within the relations between different empires in question. Through elucidating the reasons behind Bose’s contradictory stance to Korean’s struggle against Japan, this essay will rethink the meanings of anti-coloni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ns-imperial. 영령 인도에서 영국인총독 암살미수사건에 관여했으며 일본제국에망명했던 독립운동가 R. B. 보스(1886-1945)는 1934년 5월 식민지조선에 건너갔다. 경성에 일주일동안 머물면서 보스는 총독을 비롯한 일본인 고관들에게 연일 접대를 받았으며, 거기서 만난 조선인들을 일본에대한 저항을 그만두고 협력하라며 설득했다. 영국제국에서 반식민지주의의 선두에 섰던 인물이 어째서 일본제국의 피지배자에게는 다른 태도를 취한 것일까? 이 <모순>을 검토하는 일은 식민지주의 및 그 저항을 살펴보는 역사학적 작업이 된다. 지배를 다루건, 저항을 다루건 지금까지 식민지주의에 관한 역사연구는 소여의 일정한 제국 공간 안에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관계성을 다루어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론을 가지고는 1934년 경성에서 보여준 보스의 언동을 이해하기 쉽지 않다. 서로 다른 제국 사이의 관계성 속에서 식민지주의와 그저항의 역사를 재정립하는 <간-제국사>(trans-imperial history)의 시점이 필요하다. 이 글은 보스가 보여준 <모순>을 검토하고 간-제국적 시점에서 영국제국과 일본제국의 반식민지주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송방송(2003)의 「漢城妓生組合所의 藝術社會史的 照明」을 중심으로 -

        미즈타니 사야카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2

        Among the studies that have actively utilized bibliographies constructed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s [Spotlight on Sociological Art Aspects of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by Song Bangsong (2003), excluding the researches by Yamashita Yeong Ae (1992) and Song Yeonok (1998) as they have already been subjected to verification and critical reviews. This study attempted to correct the academic errors, miswriting, and misreading in these studies through a thorough review of historical records and bibliographies of the time. To begin with, [Spotlight on Sociological Art Aspects of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by Song Bangsong (2003) committed the academic error of misinterpreting the “Prostitute Association” as “Gisaeng Association” or mistaking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and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to be the same association. However,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was the first private Gisaeng association launched in December 1908 by Gisaengs themselves, who specialized in singing and dancing. Meanwhile,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was a prostitute association formed in August 1909 by the prostitutes who specialized in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In other words, since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and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are two separate associations, the hitherto confounding understanding of the two associations as being the same or being both for Gisaeng and prostitutes must be rectified. During the late Korean Empire,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and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had disparate characteristics. This demands a clear distinction in the concepts, usage, and recognition of these two associations. In conclusion, the academic errors regarding the bibliographies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have been reproduced unremittingly because the preceding researches utilizing the bibliographies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lacked thorough verification studies as well as objective and comprehensive studies. Thus, there must be verifications of and error corrections in the studies without filter. Hence, this demonstrates an exigent need for a comprehensive reassessment of the bibliographies based on the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본 연구에서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연구들 가운데 이미 검증적 고찰이나 비판적 검토 연구가 이루어진 야마시타 영애(1992) 와 송연옥(1998)의 연구를 제외하고, 송방송(2003)의 「한성기생조합소의 예술사회사적 조명」을 중심으로, 이 연구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학술적 오류들과 오독(誤讀), 오기(誤記) 등을 당대의 사료들과 『서류철』 원문의 철저한 분석과 검토를통해서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송방송(2003)의 「한성기생조합소의 예술사회사적 조명」에는 ‘창기조합’을 ‘기생조합’으로 또는 ‘한성창기조합소’와 ‘한성기생조합소’를 ‘동일한 조직’으로 오인(誤認)하는 학술적 오류를 범했는데, 본 연구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한성기생조합소’는 1908년 12월에 ‘가무(歌舞)를 전업으로 하던 기생(妓生)들’에 의한 ‘최초의 민간 기생조직’이고, ‘한성창기조합소’는 1909년 8월에 ‘매음(賣淫)을 전업으로 하던 창기(娼妓)들’을 중심 대상으로 한 ‘공창제도(성매매제도) 하의 창기조직’ 이다. 즉 ‘한성기생조합소’와 ‘한성창기조합소’는 서로 다른 별개의 집단이었기때문에 이 두 조직을 ‘동일한 집단’ 또는 ‘기생과 창기가 혼합(混合)된 집단’으로착각·오인(誤認)한 선행연구들의 기술은 정정되어야 할 것이며, 오히려 대한제국 말기 당시 ‘한성기생조합소’와 ‘한성창기조합소’는 서로 이질적인 성질을 가진집단이었기 때문에 이 두 조직은 개념적·용어적으로 정확히 구별해서 인식·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에 관한 이러한 학술적 오류들이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재생산되어온 이유는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들에 대한철저한 검증적 연구’와 ‘『서류철』에 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해제 연구’가 부재(不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류철』을 활용한 다른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증및 오류 정정 작업과 함께 궁극적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에 관한 종합적인 해제(解題)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母音/a/ /i/ /u/ /e/ /o/及び ダニエル・ジョーンズの基本母音を用いた 聞き取り調査 -サウジアラビア在住の日本語学習者及び 日本語母語話者を対象として-

        미즈타니 쇼타(水谷梢太)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5 일본언어문화 Vol.32 No.-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a vowel perception test to Japanese learners in Saudi Arabia (JL)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NS) using the Japanese vowels and the cardinal vowels by Daniel Jones. Concerning the vowels /a/ /i/ /e/, JL had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i/ from /e/. A highly important point from the results is that more mistakes on distinguishing /e/ from /a/ were observed than /e/ from /i/.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pronunciation of /a/ in the Gulf dialect. Regarding the discrimination of front cardinal vowels, NS tended to consider open‐mid and open vowels as /e/, while JL tended to consider them as /a/.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influences of pronunciation in each mother tongue. With respect to the discrimination of back cardinal vowels, the result of NS and JL were almost same except that with the JL, there was confusion between /u/ and /o/. .

      • KCI등재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 검증 및 학술적 오류 정정

        미즈타니 사야카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아시아문화연구 Vol.59 No.-

        This study analyzed and reviewed on the historical records and the bibliographies to correct the academic errors caused by the misunderstanding and misreading of the Gisaeng and prostitute-related documents i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 Study on Control of Body by Colonial Powers – Foundation of Gisaeng Association During Colonial Korea’ by Hwang Bomyeong (2004) involves numbers of academic errors as follows: 1. Mistaken “Gisaeng Association” as a group that took STD test, 2. Distorte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Bibliographies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nd produced the wrong perception toward Gisaeng, 3. Mistaken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and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as the same organization. In conclusion, such academic errors resulted in distorting “Essence of Gisaeng as an entertainer specializing in singing and dancing” and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Thus, these errors must be corrected properly to prevent the repeated reproduction of the wrong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 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연구들 가운데 황보명(2004)의 「식민지 권력에 의한 몸의 통제–일제시대 기생조합 설립을 중심으로」를 중심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 의 ‘기생 관련 서류’와 ‘창기 관련 서류’의 착각・오독(誤讀)으로 인해 파생된 다양한 학술적 오류들과 오인(誤認), 오기(誤記) 등을 당대의 사료들과 서류철 원문의 정확한 해독과 분석을 통해서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황보명(2004)의 「식민지 권력에 의한 몸의 통제–일제시대 기생조합 설립을 중심으로」에는 1. ‘기생조합’을 ‘성병검사’ 대상집단으로 오인, 2. ‘기부(妓夫)’와 ‘창부(娼夫)・포주(抱主)’의 개념적 혼동과 미구분, 3. 서류철 에 대한 문서적 정의에 있어서 ‘창기 관련 서류들’에만 치우친 편협한 정의로 서류철 의 본질적 성격 왜곡 및 기생(妓生)에 대한 잘못된 인식의 생산, 4. ‘창기조합’인 ‘비공식적 건강진단조합’・‘경성유녀조합(한도유녀조합)’을 ‘최초의 기생조합’으로 오인, 5. ‘창기조합의 설립과정’을 ‘기생조합의 설립과정’으로 착각, 6. ‘한성창기조합소’와 ‘한성기생조합소’를 ‘동일한 조직’으로 착각, 7. 「기생단속령(근대식 기생제도)」을 「창기단속령(공창제도)」과 유사한 법령으로 오인, 8. 「기생단속령」을 ‘공창제도’의 하위범주로 착각하는 등 다양한 학술적 오류들이 등장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오류들은 당시 ‘가무(歌舞)를 전업으로 하던 예술인(藝術人)인 기생(妓生)의 본질’과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 의 본질적인 성격’을 왜곡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들에 대한 정정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해야 ‘전문 예술인이었던 기생(妓生)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올바르게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