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ath Education based on Modern Thanatology and Buddhist Thoughts on Death

        문현공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18 No.-

        This article will discuss death education in light of modern thanatology and Buddhist thoughts on death. I will examine the definition of death and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f death in response to the death of others, such as feelings of anguish. In addition I will discuss the current state of death education as it is being carried out overseas, centering on the United States. I will argue that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have an urgent need for death education. Most importantly, death education not only prepares a person for their own death, but it also educates us about life. Through Buddhist teachings of mindfulness on death and Nirvāṇa, I will examine the aim of Buddhism. As a result, we will see that the Buddhist perspective on death is focused on one’s mind. This understanding should provide a fundamental resource for modern death education.

      • KCI등재

        백용성 대각사상의 생사관 연구

        문현공 대각사상연구원 2019 大覺思想 Vol.31 No.-

        Yongseong(龍城), one of the representative Seon(禪) masters of modern Buddhism, emphasized Daegak(大覺) thought and established the theory and practiced it in reality. Daegak means beopseong(法性), jeonggak(正覺), and the Buddha.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Beopseong and searched for life and death perspectives of Daegak Thought. First, I looked at Daegak's definition of death. In Daegak Thought, death is defined as the separation of the hun-p'o(魂魄) by a view of Confucianism, including the halting of the physical function of breathing arrest and the collapse of sadae(四大). However, Yongseong defines death as taking the two dimensions of saengmyeolsim(生滅心) and jinmyeongsim(眞明心) and denies both of annihilationism(uccheda-vādin) and eternalism(śāśvata-vāda) so that the body is born or disappears but jinmyeongsim is not. Second, I looked at the background of life and death by looking at Daegak Thought's reincarnation, and the inheritance process after birth. Yongseong says that reincarnation occurs because of karma, and that the endogenous life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action of body temperature and vijñāna. He explains that if body temperature goes down and disappears, it is born in evil destinies, when body temperature rises and disappears, it is born in good destinies, but vijñāna acts in the flow of body temperature. He said, when the body is destroyed in the process of inheriting life after death, jeongmyosaekgeun(淨妙色根) becomes the foundation of inheritance, and based on ālayavijñāna, the seed of good and evil is ripe and antarā-bhava inherits with seeds. However, Yongseong emphasizes that such processes are vanity in the ultimate view of Daegak and ultimately the function of avidyā. Finally, I searched Daegak thought's perspective on the solution of death in theory and practice. Yongseong points out that the cause of birth and death is karma caused by habits, and the power of karma arises from avidyā. He explains the working principle of avidyā through Dasheng qixinlun(大乘起信論), and says that he must go beyond avidyā and into the world of Daegak without death. The practical aspect is centered on Yongseong's book, Imjonggyeol(臨終訣), which says that everyday practices exert their power when dying. Also, Yongseong said that through karma's power of practices, we could get nirvāna from life and death if we faced the causes of various appearances at the moment of dying. Lastly, he said that even if one did not achieve enlightenment before one’s death, the power of practices will be manifested at the time of dying, and it is also the driving force behind achieving enlightenment after death. 근대불교의 대표적 선사인 용성은 대각사상을 강조하며 이론을 정립함과 동시에 현실 속에서 실천했다. 대각(大覺)은 도처에 편재하는 법성(法性), 정각, 석가모니불 등을 의미하는데 본 글에서는 법성에 초점을 두고 대각사상의 생사관을 탐색했다. 본문에서는 먼저 대각의 죽음정의를 알아보았다. 대각사상에서 죽음은 호흡정지 및 사대(四大)의 붕괴라는 육체적 기능의 정지를 포함해 유가의 관점을 빌려 혼백(魂魄)의 분리라 정의된다. 그러나 용성은 생멸심과 진명심(眞明心)의 두 차원을 들면서 단멸론과 상주론을 부정하고 육체는 생멸하나 진명심은 생멸하지 않는다고 죽음을 정의한다. 둘째로, 대각사상의 윤회설과 사후생의 상속과정을 보면서 생사발생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용성은 윤회가 업력으로 인해 일어나는데 내생처는 사망시의 체온의 이동을 관찰하면 알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체온의 흐름이면에는 식의 작용이 있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사후생이 상속되는 과정에서 육신이 소멸하면 정묘색근(淨妙色根)이 상속의 의지처가 되고 아뢰야식의 토대위에 선악의 종자가 이숙되고, 중음신이 종자들을 품고 상속이 진행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용성은 이러한 과정들은 결국 무명의 작용일 뿐이라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대각의 생사해결에 대한 관점을 이론과 실천적 측면에서 탐색했다. 용성은 생사의 원인이 습관으로 인한 업력 때문이며 이는 무명에서 연유한다고 언급한다. 그는 무명의 작동원리를 기신론 사상을 통해 설명하면서 무명을 넘어 생사가 없는 대각본연성(大覺本然性)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말한다. 실천적 측면은 「임종결」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용성은 평상시의 수행이 임종시에 그 힘을 발휘한다고 강조한다. 수행한 습기(習氣)의 힘을 통해 임종시 일어나는 여러 상들의 원인을 직시하면 생사해탈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생전에 깨달음을 얻지 못했어도 수행했던 힘은 임종시에 발현되며 또한 임종 이후 깨침에 이르게 할 동력이 될 것이라 말한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a Buddhistic Death Education Program in Public Education

        문현공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24 No.-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development of Buddhistic death education that could be practiced in the sphere of public education. I will examine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as a possible response to recent social phenomena in South Korea, i.e., the high suicide rate (especially among teenagers) the lowered quality of life and the collapse of public education. Consequently, I will examine the emergence and growing interest in thanatology, studies of death and dying, along with a brief assessment of the current trend in death education. This article will also discuss how Buddhist thoughts on death could be includ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will argue the need for hav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anatology, death education and Buddhist studies. Lastly, I will explore ‘the design of a Buddhistic death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be practiced in the sphere of public education. Furthermore, if Buddhism’s concept of the mindfulness of death can be combined with thanatology, death education and a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of a new method of death education.

      • KCI등재

        임종시(臨終時) 현상과 행위의 죽음학(Thanatology)적 의미 - 정토계 경전을 중심으로-

        문현공 한국정토학회 2018 정토학연구 Vol.30 No.-

        In this article I examined phenomena and behavior on the time of dying on the aspects of death education. First of all, I searched for the phenomenon on dying that death is accompanied on pain and it’s different in wholesome action, unwholesome action, and indeterminate action. From a medical point of view, symptoms at the time of dying are pain, conscious confusion, emotional instability, vomiting, difficulty breathing and urination, and loss of consciousness. Among them, physical symptoms such as pain and vomiting can be treated, but mental symptoms such as unconscious confusion and emotional anxiety are difficult to medically adjust. After that,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eyoung(來迎) and the near-death experience(NDE). According to Pure Land teaching, practice of good deeds, completion of śīla, and sipnyeom(十念) enable láiyíng and reincarnation in Pure Land. I searched of láiyíng thorough sambaegupum(三輩九品) in guànwúliàngshòujīng(觀無量壽經). Especially, I discussed emergence Buddha and Bodhisattva with ‘gwangmyeong(光明)’ in naeyoung and ‘light experience’ in NDE. As NDE is a phenomenon that occurs after a officially declaration of death, NDE has been a subject of medical research in recent years. From the point of view, it is not possible to limit the naeyoung and gwangmyeong to the realm of religion and faith. As for the behavior of death, I have seen and death education together. nyeombul(念佛) on dying is associated with practice of living but if one could nyeombul on dying with teaching of great master, it would be possible to naeyoung and reincarnation in Pure Land.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death education can increase the acceptance of death and bring about a dignified death. I believe that modern death education lacks experiential elements such as nyeombul, meditation etc. Lastly, I examined jonyeom(助念) and hospice as an behavior for the dying person. On time of dying,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mental tranquillity due to the confusion of suffering but I mentioned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ranquillity through jonyeom, which replaces nyeombul around the dying person. Also, I explored the cont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 category of modern hospice has expanded not only to the management of terminally ill patients but also to care of family, to the relief of symptoms such as pain. However, in hospice palliative care, emphasis is placed on relieving symptoms through medicatio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mind like nyeombul and meditation. Therefore, I mentioned that it should be sought the ways of concurrent palliative care and nyeombul. 본 글에서는 죽음학의 관점에서 임종시의 현상과 행위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또한 실천적 측면에서는 죽음교육과 연관해 살펴보았다. 먼저 임종시의 현상을 탐색했는데 죽음에 이르면 고통을 수반하며 선업자, 악업자, 무기업자에 따라 다른 현상이 일어남을 보았다. 또한 의학적으로 임종시의 증상에는 통증, 의식혼란, 정서불안, 구토, 호흡 및 배뇨곤란, 의식상실 등이 있다. 이중 통증, 구토 같은 신체적 증상은 의료적인 처치가 가능하나 의식혼란, 정서불안 같은 정신적 증상은 의학적 조절이 힘들다고 언급했다. 다음으로 임종시의 내영(來迎)과 근사체험(near-death experience)를 관련지어 보았다. 정토교에 따르면 선행과 계의 구족, 십념은 내영과 극락왕생을 성취시킨다. 내영에 관해서는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삼배구품(三輩九品)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특히, 내영시 불보살과 함께 출현하는 ‘광명(光明)’은 근사체험의 ‘빛의 경험’과도 연관된다. 근사체험은 공식적인 사망판정 이후 일어나는 현상으로 근래부터 근사체험에 관한 연구가 의학계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음을 보면 내영과 광명의 출현을 단순히 종교적 영역에만 한정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임종시의 행위에 관해서는 염불과 죽음교육(death education)을 함께 보았다. 임종시 염불은 생전의 수행에서 비롯되나 경에서는 선지식을 통한 임종시의 염불도 내영과 극락왕생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한다. 염불이라는 실천행과 관련해서 죽음교육 또한 죽음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며 존엄한 죽음을 실현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현대 죽음교육에는 염불이나 명상과 같은 보다 직접적인 경험적 요소인 수행의 측면이 미미하다. 마지막으로 임종자를 위한 행위로 조념(助念)과 호스피스에 관해 보았다. 임종시에는 고통의 엄습과 정신의 혼미로 정념(正念)의 유지가 어려우나 주변에서 일념으로 염불을 행해주는 조념을 통해 정념의 유지가 가능함을 언급했다.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내용을 탐색하며 현대 호스피스의 범주는 단순히 말기환자의 관리가 아닌 통증 같은 증상의 완화와 환자를 포함한 가족의 정서까지 돌보는 범위로 확장되었음을 보았다. 그러나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는 염불, 명상과 같이 내면을 중심에 두고 실천하는 행위가 아닌 약물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는 외적측면에 중점을 두는데 향후 완화의료와 염불수행이 병행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 언급했다.

      • KCI등재

        불교와 유교의 죽음관에 대한 고찰

        문현공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문화 Vol.0 No.24

        This article is a study for Buddhist and Confucian thoughts of death that are representative of the Eastern philosophy and religion. In the past, death was natural and familiar but in the present, death has become unnatural, unfamiliar and artificial. This is due to a very high suicide rate and low quality of life. To put a brake on regressive death culture, we should look back on and learn traditional thought.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death, such as suicide, paradoxically, we must open our thought of death and expand discussion surrounding death. By doing so, the moments of lives will be awakened. This article adds one such discussion about death. First, I explore Buddhist and Confucian definitions of death. Buddhist definitions of death include separation of āyus(壽, lifespan), uṡṇa(暖, temperature), vijñāna(識, consciousness) and disassembly of pañca-skandhaka(五蘊, five aggregates). In Confucian thought, the definition of death is separation of hún-pò(魂魄, soul and sprit), based on jù-sàn(聚散, gathering and scattering) of qì(氣, energy). Subsequently, I discuss the background of definitions in the Buddhist perspective that life and death are boned by dvādaśaṅga-pratītyasamutpādaḥ(十二緣起,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while Confucianism lays emphasis on life rather than death, with death as a kind of tool for perfecting life. Furthermore, in the perspective of circulation, Confucianism has a circular perspective of death based on the scattering of qì(氣). Lastly, in Buddhism, the importantance of overcoming death is not death but life and death(生死) on the view of no-birth(不生). In Confucianism, I discuss the relation of lǐ(禮, rite), practice of xiào(孝, filial piety) and jìlǐ(祭禮, ancestral rite) can give us a clue into overcoming death. 본 글은 동양의 대표적인 철학이자 종교인 불교와 유교의 죽음관에 대해 탐구하는 글이다. 과거의 자연스럽고 친숙했던 죽음은 현 사회에서 부자연스럽고 기계적인 것으로 변모했다. 또한 죽음은 높은 자살률과 그 이면의 낮은 삶의 질이 보여주듯 인위적이며 왜곡된 것으로도 바뀌었다. 퇴보하고 있는 현 죽음문화에 제동을 걸기 위해서는 과거의 사상을 돌아보고 배워야하며 죽음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죽음에 대한 담론을 확대하고 죽음을 개방시켜 삶의 순간이 소중함을 자각시켜야 한다. 본 글도 그러한 죽음에 대한 담론 중 하나이다. 본문에서는 먼저 불교와 유교의 죽음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불교는 수명[壽]과 열기[暖] 의식[識]의 분리와 오온(五蘊)의 해체가 죽음이라고 보았다. 유교에서 죽음은 자연현상의 하나로서 기(氣)의 취산(聚散)을 바탕에 둔 혼백(魂魄)의 분리라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죽음이해의 배경에는, 불교는 십이연기(十二緣起)를 중심으로 연기적 관점에 따라 죽음(死)과 삶(生)이 얽혀있음을 보았다. 그리고 선진유가에서는 죽음보다는 삶에 무게를 두고 죽음은 삶을 완성하는 도구로 삼는 태도를 보았으며 신유가에서는 기의 순환적인 관점에서 태어남은 기의 펴나옴이고 죽음은 기의 흩어짐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불교의 죽음극복에서 중요한 것은 사(死)가 아닌 생사(生死)의 극복과 이를 통한 ‘불생(不生)’이고 유교에서는 예(禮)를 중심으로 한 효(孝)와 제(祭)의 실천을 통해 조상부터 자손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지는 삶을 통한 영생의 추구에 죽음극복의 실마리가 있음을 알아보았다.

      • KCI등재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문현공 한국종교교육학회 2018 宗敎敎育學硏究 Vol.57 No.-

        본 글에서는 마음챙김 명상을 활용한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음챙김은 MBSR의 예처럼 의료계, 교육계에서 그 효능을 입증 받고 있는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maraṇassati)’이 죽음교육의 교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죽음이 의식 속에서 자각된 상태를 말하는 공포 관리 이론의 ‘죽음 현저성(mortality salience)’이 죽음교육의 구조에서 중요한 작용을 할 것임도 보았다. 그리고 본문에서는 마음챙김이 적용된 교육 프로그램과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예를 보면서 커리큘럼 구성을 탐색했다. 마음챙김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은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평가 등 교육학적 관점을 전제해야하며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은 죽음 현저성을 유발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도 살펴보았다.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과 죽음 현저성이 두 축을 이룬교육 커리큘럼은 회기의 진행을 통해 삶에 대한 태도 변화와 죽음에 대한 올바른 수용성 획득으로 유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의 연구와 제언들을 반영한 마음챙김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에는 죽음의 정의, 죽어감의 과정, 철학과 종교의 죽음에 대한 관점, 사후의 문제, 비탄(grief)교육, 자살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라 보았다.

      • KCI등재

        죽음 현저성(Mortality Salience)의 교육적 함의 -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死念)과 관련하여 -

        문현공 한국종교교육학회 2016 宗敎敎育學硏究 Vol.51 No.-

        본 논문은 죽음 현저성(死顯著性, mortality salience)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는 논문이다. 논문에서는 먼저 죽음 현저성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공포 관리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에서 ‘공포’란‘죽음에 대한 공포’를 말하며 만약 죽음에 대한 공포가 유발되면 인간은 이를 관리하게 되는데 그과정에서 일련의 심리적 변화가 일어난다. 인간은 자신이 속한 문화에서 언어, 상징과 같은 관념체계를 습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외부의 세계를 해석하는데 죽음 또한 해석의 대상이 된다. 만약죽음이 자각되면 자신의 ‘문화적 세계관’이 드러나고 죽음을 재해석하는 방어의 과정이 일어나는것이다. 더불어 ‘자존감’ 또한 죽음의 불안에 대한 방어를 담당하며 죽음의 자각이후 자존감 역시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것이 공포 관리 이론의 요지이다. 그리고 논문에서는 죽음 현저성이 유발된 이후의 상세한 심리적 과정과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죽음 현저성이 활성화되면 문화적 세계관이 작동하고 강화되어 문화적 규범이나 가치를 고수하게 되는데 관련된 예로는 타인에 대한 선행을 중시하게 되거나, 타인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중시하는 등의 예가 있다. 또한 죽음의 각성은 삶을 되돌아보게 하여 삶의 의미나 목표를 재고하게 하는 등의 자존감과 연관된 심리적 반응을 낳기도 한다. 결국 이와 같은 심리적 과정들을 통해서 죽음에 대한 공포가 완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심리적 과정들은 죽음의 각성이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논문에서는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 (死念, mindfulness of death)이 죽음 현저성 유발의 효과적인 도구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공포 관리 이론 일반에서 죽음 현저성을 유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과는 달리 죽음에대한 마음챙김은 죽음 현저성의 유발 이외에도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배양시키는 기능이내재되어있기 때문에 교육적 도구로써도 가치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죽음 현저성의 교육적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첫째로, 죽음에 대한 자각은 삶을회고하게 하여 ‘삶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았다. 둘째로, 근본적인자살예방은 아동기부터 단계적으로 실시되는 죽음교육을 통해 가능하며, 또한 죽음교육은 삶에서 죽음을 각성시켜 삶을 돌아보게 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보다 근원적으로 삶의 질의 개선에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셋째로, 죽음 현저성을 활성화시키는 죽음교육은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있는 그대로의 죽음을 수용’하게 하여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태공 월주의 생사관

        문현공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99

        In this article, I divided Wolju's thought of life and death into the early (1935-1956), the middle (1957-2003), and the late (2004-2021) eras and discussed the perception of death according to each period. From his birth in 1935 until 1956, as a “formation of the early thought on life and death”, Wolju as a adolescence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Kim Gu’s death and the Korean War, and the issues of life and death took root within him. According to terror management theory, when human beings awaken from death and death begins to operate in their consciousness, they value inner values ​​such as love, peace, coexistence, and the meaning of life rather than the outer values ​​of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Wolju’s thought on life and death are Bul-i (不二, nondualism) and Dongchedaebi (同體大悲, universal compassion based on sameness in essence). For Wolju, the consolation of the South Korean troops dispatched to Vietnam and the 10․27 Buddhist Persecution were an oportunity to awaken the mortality of human existence. During the 10․27 Buddhist Persecution, Wolju experienced religious oppression, which was the reason for his many years of stay abroad. Wol-ju stayed abroad with the incidents as an opportunity and awakened to the surrealism of Korean Buddhism and he decides to establish ‘the glob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and the ‘Good hands’, an international NGO organization. The late Wolju's thought on life and death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Bogaehoehyang (普皆迴向, devotion to the salvation of others). Wolju established the ‘Good Hands Foundation’ and expanded his nondualist great compassion to the world by buil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water facilities in several African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ambodia, Laos, Kenya, Myanmar and Nepal. At the end of his life, Wolju showed that his thoughts and practices were ‘nondual’[不二] through the verses, ‘The life I've been living is the poem of Nirvana (全生涯 卽是 臨終偈)’. 본 글에서는 월주의 생사관을 초기(1935-1956), 중기(1957-2003), 말기(2004-2021)로 구분해 월주의 행적을 탐색하며 각 시기에 따른 죽음관의 특징을 논의했다. 1935년 월주의 출생 이후 1956년까지는 ‘초기 생사관의 형성기’로서 청소년기 월주는 김구의 서거, 6․25 전쟁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삶과 죽음의 문제가 내면에 자리 잡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공포 관리 이론(terror management theory)에서는 인간이 죽음을 각성해 죽음이 의식 속에서 작동하기 시작하면 삶에 대한 반성을 통해 삶의 외면적 가치보다는 사랑, 평화, 공존, 삶의 의미 같은 내면적 가치를 중시하게 된다. 2가지 사건의 경험은 월주의 생사관을 형성시킨 계기였으며 출가의 동기였다고 보여진다. 중기 월주의 생사관은 불이적, 동체대비적 생사관의 특징을 가진다. 월주의 베트남전 파병 국군 위문과 10․27 법난은 인간 존재의 필멸성을 각성하는 계기였다. 10․27 법난시 월주는 종교적 탄압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그가 수년간의 해외 체류의 이유가 된 사건이었다. 월주는 이를 계기로 해외에 머물며 초세간적인 한국불교의 현실을 각성해 깨달음의 세계화 운동과 지구촌공생회 설립을 결심하게 된다. 말기 월주의 생사관은 보개회향(普皆迴向)적 특징을 보여준다. 월주는 지구촌공생회를 설립해 캄보디아, 라오스, 케냐, 미얀마, 네팔 등 아프리카와 동남아 여러 국가에 교육기관 및 식수시설을 건립해 불이적 대비행을 세계로 확장했다. 생애 말기 월주는 ‘내가 곧 살아온 삶이 곧 임종게(全生涯 卽是 臨終偈)’라는 게송을 통해 사상과 실천행이 ‘둘이 아님을’[不二] 보여주었다.

      • 용성선사의 죽음관 연구 - 『림종결(臨終訣)』을 중심으로 -

        문현공 ( Moon Hyun Gong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6 전자불전 Vol.18 No.-

        본 논문은 『臨終訣』을 통해 용성선사의 죽음관을 살펴보는 논문이다. 『임종결』 은 용성선사가 임종시의 태도와 수행방법에 대해 설한 저서로서 내용의 구성은 문답체로 기술되어 있다. 『임종결』은 비록 죽음을 중심주제로 한 저술이지만 大覺, 淨土, 第八識 등에 대한 언급들이 자주 등장하는 것에서 볼 때, 大乘起信論의思想, 唯識思想, 淨土思想 등의 내용들이 종합적으로 담겨있다. 이에, 『임종결』은 단순히 죽음과 연관된 내용만을 설명한 저서가 아니라 용성선사의 사상의 핵심 이 포괄적으로 담긴 종합적인 사상서라고 볼 수 있다. 『임종결』은 대략 여덟 가지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는데, ① `본성의 본체`, ② `본체의 작용에 근거한 생사`, ③ `평상시에 죽음을 위한 대비`, ④ `임종시에 죽음을 극복하는 방법`, ⑤ `임종 이후의 淨土往生의 방법`, ⑥ `삼매에 드는 방법`, ⑦`惡緣의 因果를 소멸시키는 방법` ⑧ `영혼에 대한 언급` 등의 주제들로 요약된다. 용성선사는 저서에서 평상시에 수행을 닦아 편안한 죽음을 맞을 것을 강조하면서 구체적인 수행으로는 염불, 참선, 간경, 주력 등을 권하였다. 또한 화두를 참구하는 수행의 수승함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결국 『임종결』은 용성선사의 大覺思想, 看話禪, 念佛禪, 唯識思想에 대한 관점을 종합적으로 엿볼 수 있는 사상서이며 죽음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죽음극복의 방법, 나아가 삶과 죽음의 극복의 방법에 대한 용성선사의 견해를 살필 수 있는 문헌이며 이를 통해 용성선사의 죽음관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explored Zen master Yongseong`s view of death through the Im-jong-gyeol(臨終訣) which was written by books Yongseong. Im-jong-gyeol is the book for attitudes and practices on dying and that is composed of interlocutory. Although the subject of Im-jonggyeol is death, terms like Daegak(大覺), Jeongto(淨土), alaya-vijnana (第八識) often are seen in that book. From that point, there are many things, like the thoughts of Dasheng qixin lun(大乘起信論), Yogacara, Jeongto(淨土) etc. in Im-jong-gyeol. Therefore, Im-jong-gyeol is not death related book but comprehensive book which contains Yongseong`s essential thoughts. Im-jong-gyeol is constructed by eight subjects; ① `bonche(本體)of bonseong(本性)`, ② `life and death on acting of bonche(本體)`, ③ `prepar-ing of death on living`, ④ `way to overcome on dying`, ⑤ `way to rebirth in Pure Land(淨土)`, ⑥ `way to samadhi`, ⑦ `mention for spirit` etc. Zen master Yongseong emphasizes practice for peaceful death on living and suggests yeombul(念佛), chamseon(參禪), gangyeong(看經), juryeok(呪力) in his books. Ultimately, Im-jong-gyeol is the representa-tive Yongseong`s book which is for death and dying and he suggests way to preparing for death.

      • KCI등재

        『청정도론』을 통해 본 죽음 현저성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현공(Moon, Hyun G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본 글에서는 『청정도론』 제8장의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 해설」을 중심으로 죽음 현저성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공포 관리 이론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죽음 현저성은 죽음이 의식적으로 활성화 된 상태인데 활성화 이후 개인의 문화적 세계관과 자존감에 영향을 주어 친사회적 행위를 증가시키거나 삶의 목표를 재고하는 등의 심리적 변화를 일으킨다. 그리고 『청정도론』에는 죽음을 마음챙김하는 8가지 태도와 수행의 효과들이 제시되어있는데 이에서는 죽음의 필연성을 부각시키면서 죽음은 누구에게나 반드시 찾아오며 죽음은 찰나에 달려 있음을 각성하라고 말한다. 이는 『청정도론』에서 각성 수준이 매우 높은 죽음 현저성을 유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에는 『청정도론』과 공포 관리 이론을 관련지어 죽음 현저성이 심리에 미치는 구체적인 내용을 보았는데 『청정도론』에서는 불방일은 불사의 길이라 강조했다. 불방일은 흘러가는 시간과 연관이 깊고 개인의 시간지각은 행복감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았다. 또한 『청정도론』에서는 시간의 한정성을 강조하며 죽음을 찰나 이후 맞이할 것이라는 태도를 제시했다. 이에 관해 공포 관리 이론에서도 죽음의 자각은 제한적 시간관(limited-time perspective)을 유발시켜 시간의 한정성을 인지하도록 했음을 보았다. 마지막으로 『청정도론』에서는 죽음에 대한 현저함이 영화(榮華)나 재화에 대한 무상성을 드러내고 재욕을 버리게 유도함을 살펴보았다. 이는 공포 관리 이론의 스쿠루지 효과(scrooge effect)와 유사하며 이에서도 죽음이 자각되면 자선행이 증가한다고 보고했다. 마지막으로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은 무상관을 획득하게 하여 죽음 앞에 부와 명예는 허황됨을 각성시켰음을 보았다. 이는 공포 관리 이론의 죽음에 대한 각성이 부와 권력, 명예 등 외적가치를 경시하게 했다는 연구와도 유사함을 살펴보았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Mortality Salience (MS) by focusing on Maraṇassatikathā of Visuddhimagga’s chapter Ⅷ through Terror Management Theory (TMT). MS describes a phenomenon in which the thought of death is actively conscious. After the thought of death is activated, psychological changes occur in a person’s cultural worldview and self-esteem. For example, there are increase in prosocial behaviors and the reconsideration of one’s life goals. There are eight attitudes and effects of the mindfulness of death in Visuddhimagga. In Visuddhimagga, the inevitability of death is stressed. Here, it is said that death will come to everyone, and that each moment is very short. Through this perspective, a high level of MS arousal is induced by Visuddhimagga. In addition, I have researched the specific psychological effects of MS on Visuddhimagga through TMT. In Visuddhimagga, diligence (Pāḷi: appamatta) provides a path to immortality because it deeply relates to a lapse in life’s time, and one’s time perspective is related to a sense of happiness. Furthermore, the awakening of limited time perception and the shortness of moments are intensified in Visuddhimagga as it suggests the attitude toward death would involve the thought that death will occur after each moment. I explored the notion that the arousal of death motivates limited-time perspective, and that a reminder of death leads to a deeper awareness of life’s time. Lastly, I examined the ways in which MS in Visuddhimagga reveals the meaninglessness of fame and wealth, and therefore leads to a decreased desire for wealth. This is similar to the “scrooge effect” of TMT, in which thoughts of death motivate charitable behavior. Moreover, in Visuddhimagga, wealth and fame are worthless regarding death and the practice of being mindful of death. A study of TMT supports the idea in Visuddhimagga that the awareness of death arouses worthles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