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전환기 역사, 전기 단형서사의 언론 매체별 비교 연구

        문한별 ( Han Byoul Mo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5 No.-

        Comparative Study on the Short Narratives in the Newspapers and Journal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in Korea Moon, Han-Byoul There are different forms of short narratives in the newspapers and journal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in Korea. Among them, the short narratives dealing with historical figures home and abroad are based on "Jeon(傳)", a traditional narrative form. However, clear differences are being shown between the newspapers and journals. In the journals, the narratives closely follow the structure and form of "Jeon". The narratives in the newspapers still have the characteristics of "Jeon". However, as they are under the categories such as "editorial" and "novel", which are not related to "Jeon", certain discrepancies exist between form and purpose. It means that the short narratives in the newspapers are being utilized for other values besides the ones represented by the historical figures in "Jeon" Meanwhile, the short narratives in the journals maintains the existing form while the ideology reflects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which clearly shows contents and purposes precede forms in the journals. As such, the short narratives sho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urposes and values of the media. The paper aims to go beyond a unilateral view on the short narratives in this era by highlighting such differences.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번역 소설의 단행본 출간과 검열 양상

        문한별(Moon, Han-byoul)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7

        1930년대 번역 소설에 대한 연구는 탐정소설과 모험소설 등 주로 대중소설을 대상으로 진행되어왔다. 최근 확인된 자료인 『조선출판경찰월보』는 식민지 출판 경찰의 검열 기록으로서 여기에는 1930년대 단행본 및 신문, 잡지에 대한 납본 및 삭제, 불허가 등의 목록이 정리되어있다. 본고는 이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1928년부터 1938년까지 출간된 단행본 자료 가운데 번역 소설에 해당하는 것들을 추출하여 실제 출간이 확인된 작품들과 비교ㆍ대조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조선출판경찰월보』의 납본 및 출판 불허가 목록에는 20여 편의 번역 소설들이 포함되어있으며, 이 가운데 8편이 치안 방해를 이유로 출판 금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불허가된 번역 소설들은 반제국주의와 반일의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그 내용의 선도성은 당시의 번역 작품들이 가지고 있는 대중 독서물의 가치를 넘어서는 것이었다. 본고는 이 같은 자료를 추적하여 그 내용과 문학사적 의의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Research for the 1930s translation in the novel, detective fiction and adventure novels, has been Focused on the popular novel. Chosun Gyoengchal Wolbo was published by the police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he detailed records of censorship were left on book list of disallowance in this material that had being done for over 10 years. This Paper was studied, based materials of the translated novels published 1928-1938. As the result, this list have 20 books, among them, 8 books were banned. Disallowance translation of the novel was to contain the contents of the anti-imperialist and anti-Japanese. Such as this pioneering features, was unable to find a translation of in the novel. This paper tried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history of the novel.

      • KCI등재

        서정인 소설 「달궁」에 나타나는 탈근대주의적 서술 방법 연구

        문한별 ( Han Byoul Moon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2

        서정인의 작품 세계는 1983년 작 <철쭉제>를 기점으로 변모하기 시작한다. 이전의 작품들이 근대주의를 태생적 모태로 하고 있다면, <철쭉제> 이후의 작품들은 이를 극복하고 부정하기 위한 실험적 방법들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변모 양상에서 소설 <달궁>이 주목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첫째, 근대주의의 상하 종적인 이분법의 사유 방식을 해체하기 위하여 탈근대주의의 방법론이 실제로 작품 내에 반영되고 있으며, 둘째, 근대주의적 사고를 해체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탈근대주의가 지닌 한계마저도 작품 내에서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가운데 탈근대주의적 방법론은 대화의 연쇄와 개념의 확장을 .통하여 사고의 다양성을 최대한 확보하게 해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탈근대 주의를 넘어서기 위한 전통 문학 양식의 수용은 근대주의를 주체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다양한 서술 방법의 .실험적 도입은 근대가 가지고 있는 배타성과 종적 관계를 한국 문학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극복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Cheolchook-Je>(royal azalea festival) in 1983 is a turning point in the works of Seo Jeong-In. While modernism is intrinsic to the works before <Cheolchook-Je>, various experiments are taken afterward to overcome the value. In that sense, <Dall-Gung> is noteworthy for two reasons: first, post-modernist methodology is reflected to deconstruct the thinking of vertical dichotomy in modernism; and second, this work even 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ost-modernism. The methodology, in particular, helps to maximize the diversity of thinking through the sequences of dialogue and expansion of concept. Embracing the styles of traditional literature to go beyond post-modernism opens the possibility to get over modernism. Such experimental introduction of various narrative methods deserves attention as it attempts to voluntarily overcome the exclusiveness and vertical relation of modernism.

      • KCI등재

        근대전환기 서사의 양식적 혼재와 변용 양상 - 「자유재판(自由裁判)의 누문(漏聞) : 몽향필기(夢鄕筆記)」와 「이조가명(以鳥假鳴)」을 중심으로 -

        문한별 ( Moon Han-byoul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2 No.-

        근대전환기 학회지는 신문에 비하여 주제의식과 목적성이 뚜렷한 글들이 수록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목적성이 뚜렷한 글들은 대부분 그 서술 방법이나 양식은 기존의 것을 준수하고 내용과 주제의식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많은데, 이와는 상이한 특징을 보이는 작품들도 존재한다. 본고에서 고찰한 `고원훈`의 자유재판(自由裁判)의 누문(漏聞)-몽향필기(夢鄕筆記) 와 `송욱현`의 이조가명(以鳥假鳴) 이 그러하다. 이 두 작품은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바 없는 것들이다. 본고는 이 두 편을 근대전환기 학회지에서 발굴하여 작품의 특징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작품들은 우선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주목될만한 가치를 가진다. 첫째 이 작품들은 기존의 문학 양식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다양한 양식적 특수성이 혼재되어있다는 점이다. 몽유 서사와 `토론체` 및 `연설체` 서사가 결합된 이 두 작품은 전통 서사 문학의 서술 방법과 근대전환기에 새롭게 등장한 서술 방법이 적절하게 혼합되어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둘째 이 두 작품은 내화와 외화를 구성하는 서술 방법을 당대적 목적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다채롭게 변용하였다. 독자들은 이 같은 변용된 방법론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서술자의 주제의식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셋째 이 두 작품은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본고는 이를 고찰하는 것을 통하여 근대전환기 서사 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Journal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have more clear theme and purpose compared to newspapers. Writings with clear purposes tend to comply to exiting writing types and focus on contents and themes onl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piece of works with tot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Jayu jaepan ui numun (Mong hyang jeong gi)」 by Koh Won-hun and 「Yi jo ga myeong」 by Song Wuk-hyeon. Studies have not been made on them. In this paper, these two works are highlighte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ey deserve attention in three aspects. First, they have a mixture of different types which are hard to be explain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types. Mong-yu, “discussion style” and “speech style” narratives are mixed in them, which shows traditional and newly emerging narrative styles are fittingly used. Second, narratives consisting of inside and outside stories are transformed to effectively show their purpose, which makes readers to accept the themes in a better way. Third, these two works have not been the subjects of existing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helps to expand the scope of the narrative literature studies.

      • KCI등재

        일반 논문 : 근대전환기 번역 및 번안 서사의 두 가지 양상 -애국과 교육 계몽 담론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문한별 ( Han Byoul Mo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2

        지금까지 근대전환기 서사에 대한 연구는 창작 서사를 중심으로만 이루어져왔다. 전통 문학 양식의 변개와 자생적 근대 소설 양식에 대한 탐구는 이 시기 서사 연구의 주된 테마였고 많은 성과들을 이끌어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시기, 서사의 또 다른 중요한 한 축이었던 번역 및 번안 서사에 대한 연구는 소외되어 왔다. 일부 번역자 혹은 소설가에 대한 부차적 연구에서 소략하게 다뤄진 것이 전부인 것이다. 그렇기에 본고는 근대전환기의 번역 및 번안 서사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이 시기 지배적인 언론 매체, 즉 신문과 단행본, 학회나 협회의 기관지인 학술지와 학회지들을 망라하여 각 매체에 수록된 번역 및 번안 서사를 추적하고 각 작품들의 원본과 원저자, 번역자와 중역자 등의 성격을 고증함으로써 그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대전환기의 번역 및 번안 서사의 번역자들은 전문적 번역 활동에 종사했던 부류와 당대의 개화 지식인들이 각기 다른 목적으로 번역 및 번안 작업을 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이 번역한 외래 서사들이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선별적으로 수용되고 있었음도 밝힐 수 있었다. The studies on the narrativ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have focused on novels. As new literature types and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literature form have been explored in the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made. On the other hand, translation and adaptation works, which are another important pillar of the narrative, have gotten little attention. Only sub-studies on some translators or writers have briefly dealt with the subjects. This paper focused on translation and adaptation work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It tracked down the works shown in the influential media during the period including newspapers, books, and journals of academic societies and associations, and conducted a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riginal works (and the writers), translators, and retranslators. As a result, the paper found that while there were professional translators, some intellectuals were engaged in translation and adaption for different purposes. It also found that the intellectuals selectively chose the original works for translation for certain purposes.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후반 수원고등농림학교 한글연구회 사건 공판 기록을 통해서 살펴본 한글 문학 텍스트와 검열의 관계

        문한별 ( Moon Han-byoul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4 국제어문 Vol.62 No.-

        일제강점기 후반 수원고등농림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한글연구회`는 항일운동 목적의 비밀결사이다. `한글연구회`는 최초 학교 내의 일본인 학생들과 조선인 학생들 사이의 차별을 목격하고 조선인 학생들의 단합을 위해 출발하였다. 그러나 당시 각 학교에서의 한글 사용 및 교육 금지 등의 상황에 처하여 조선의 고유한 문화를 수호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비밀 결사인 `한글연구회`를 조직하고 반일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 모임의 구성원들은 한글 소설을 가지고 윤독을 진행하고 문학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한글의 존재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글`을 지켜나가기 위한 모임을 진행하였다. 본고는 아직까지 충분히 다루어진 바 없는 이들의 공판 기록을 중심으로 `한글연구회`의 성격을 규명하고, 모임과 문학 텍스트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글연구회`는 학생들의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되었고, 이 바탕에는 문학 작품과 창작이라는 배경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후반에 이르러 총독부의 문학 및 언론 검열 정책이 출판물 압수와 금지 등의 방법보다 이를 윤독하고 활용하는 사람들을 직접적으로 처벌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angul Research Group organized around Suwon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late of Japanese occupation was a secret organization for the purpose of anti-Japanese movement. Hangul study group at first started for unity of Korean students due to witness the discrimination between Japanese students and the Korean students. However, faced with a situation of prohibition of using and education Hangul, they formed Hangul Research Group of a secret organization with the goal of defending Korea`s unique culture. The members were willing to see the meaning of existence of Hangul by reading Hangul novels and creating literature works, and proceeded with the meeting to keep Hangul. Focusing on trial records that not been sufficiently deal with so far, this paper investigated the nature of Hangul Research Group and confirmed a correlation between Hangul Research Group movements and literary texts. As a result, `Hangul Research Group` was organized for the purpose of inspir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students, and was based on literature works and creative activities. Also,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late of Japanese occupation, Government-General`s censorship policy was converted to punishing those who reading Hangul novels and using Hangul, rather than confiscation or banning of publications.

      • KCI등재

        연설의 근대적 서사화 가능성 ―연설체의 서사적 특질을 중심으로

        문한별 ( Han Byoul Mo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8

        연설은 근대적 행위이다. 다수의 청자가 모인 공간 속에서 자신의 주장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인가의 문제는 근대로 넘어가는 근대전환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주로 협회와 학회 등이 주도한 연설의 행위는 근대적 언론 매체의 등장과 더불어 서사 속으로 틈입되었다. 즉 연설이 가지고 있는 당대성과 현장성이 서사의 추동 원리로 작용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근대전환기의 언론 매체에 수록된 글들 가운데에는 이 같은 연설의 공간을 서사 속으로 투영시킨 많은 작품들이 존재한다. 연설 자체가 근대적인 행위이자 근대적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목적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연설``체가 사용된 글들은 매우 근대전환기적인 성격을 가질 수밖에 없다. 또한 연설체는 화자와 청자가 정해져 있고, 인물로 이해된다는 점에서 서사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연단이라는 공간과 인물의 등장이라는 점은 연설체가 서사체로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요소인 것이다. 본고는 이 같은 ``연설``체 서사가 활용된 글들을 통하여 연설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은 무엇이며, 실질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연설이라는 행위가 어떤 방식으로 서사에 투영되고 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대상 작품들은 근대전환기에 발표된 ``연설``체 서사가 사용된 단형서사와 신소설, 역사 전기소설 등이며, 이들을 분석함으로써 ``연설``이 근대적 서사로 어떻게 수용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Speech is modern behavior. The act to deliver his/her point has started to be mainly seen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in Korea. The act of making a speech led by associations and academic societies has flown into narratives along with the emergence of modern media.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which are contemporaneity and field-based, have started to drive narratives. Such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many writings in the media during this period. Writings, to which speech style narrative is applied, hav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considering that speech is an modern act to spread modern ideology. In this paper, the speech-style-applied writings are reviewed to see what characteristics speech has and how speech is reflected in narratives. The writings including short narratives, shin-soseol(new novel), and history-biography novel are analyzed in the paper to see how "speech" is embraced in modern narrativ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과 대만의 영화검열 비교 연구

        문한별(Moon, Han Byoul),엄진주(Eum, Jin Joo)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7

        대만과 조선은 일제에 의해 오랜 기간 강제 점령을 당했으며 검열 제도를 통하여 강도 높은 사상 탄압을 받아야만 했다. 본고는 일제강점기 대만과 조선이 받은 사상검열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해 근대적 대중 매체인 영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화는 출판 매체에 비해 늦은 192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총독부의 검열 대상이 되었으며, 식민지 각국의 상황은 서로 다른 성격을 보이고 있었다. 일제는 대만과 조선의 영화에 대해 1920년대 초반부터 각 지방별로 검열을 진행하다가 1926년에 비로소 통일된 법령을 만들어 탄압을 심화시켰다. 검열의 진행은 유사했으나 실제 내용은 식민지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조선의 경우 대만보다 1. 5배 이상의 검열료와 처벌규정이 적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조선의 영화 관련 종사자들은 검열료 인하 운동 등을 통하여 대만과의 차별적 대우에 대해 강하게 저항하였다. 또한 대만은 느슨한 검열 제도 덕에 영화를 대체할 수 있는 전통적인 공연 장르들이 조선에 비해 상당 부분 존치할 수 있었으나, 조선은 강한 탄압에 의해 전통 공연들은 일찍 붕괴되었고 그 결과 영화라는 새로운 대중 매체에 대중들의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 대만과 조선 영화에 대한 차별적 탄압은 결국 일제강점기 말에 이르러 조선 공연 예술과 산업의 전반적인 몰락을 가져오고 말았다. Taiwan and Korea suffered repression by the Japanese occupation forced for a long period of time, received intense ideological oppression by the censorship. This paper conducted a discussion with a focus on the film as a modern mass medi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deological censorship against Taiwan and Korea in the Japanese occupation. The film became the target of censorship in earnest by Government General in the 1920s, colonial situation of each country showed a different personality. Japan was proceeding to censorship in each region about the movies of Taiwan and Korea from the early 1920s, strengthened the crackdown by creating for the first time a unified legislation in 1926. Progress of the censorship was similar, but the actual content was a big difference in each colony. In the case of Korea, 1.5 times more censorship fee and strong punishment than Taiwan were applied. Accordingly, film workers in Korea were strongly resisted through such censorship fee-cuts movement against discriminatory treatment. In Taiwan unlike Korea, traditional performing genre that can replace a film could a large portion remained due to the loose censorship. In contrast, Korea’s traditional performances collapsed in the early by the strong repression, it led to results that the attention of the public was focused on the new mass medium of film. Discriminatory repression of the film in Taiwan and Korea by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eventually resulted in the overall collapse of the performing arts and industry in Korea.

      • KCI우수등재

        한국 현대소설의 기계적 문체 분석 가능성을 위한 계량적 방법론

        문한별(Moon, Han-byoul)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한국 현대소설에 대한 문체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특정한 작가의 작품을 대상으로만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이상, 김유정, 김승옥, 이문구 등에 대한 연구가 그러한데, 이는 이들 작가가 다른 작가와는 다르게 그들의 작품이 특정한 토속적인 분위기를 드러내는 어휘나 특징적인 수사법을 자주 활용했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문체 연구의 경우 개별 작가의 특성은 분석적으로 고증할 수 있으나 그것이 다른 작가의 문체와 어떤 차이를 보여주는지, 고유한 특징인지 등을 충분히 밝힐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진행된 문체 연구의 일반론을 정립하려는 연구에서는 서사 구조와 인물의 특징 등에 주목하거나 주제적 층위의 방향성만을 제시하고 있어서 대별적 문체 연구만의 특징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현대소설의 문체 연구를 보완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하여, 개별 작가의 문체 형성의 기본 요인인 어휘를 기계적 분석을 통하여 계량화하고, 통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는 작가별 작품에 사용된 어휘를 광범위하게 소설어 코퍼스로 구축하고, 기계적으로 형태소 단위 분석을 진행한 뒤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그 결과 주제어와 기능어 모두의 측면에서 대상 작가들 사이의 차이점이 분명하게 확인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논증적인 문체 연구의 방향성을 찾을 수 있었다. Stylistic study of Korean modern novel mainly have been conducted some writer’s works. Lee Sang, Kim Yoojung, Kim Seungok, Lee Mungu etc. Because those writers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writers and writing in style. However, this study has limited in distinguishing of unique style of writers work. Jus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uthors only. Stylistic study have not been studied enough, as well as the study of most of the stylistics are focused on narrative, character, motif, ideology. Therefore, this paper specifically shows objective evidence that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a mechanical method founded on computerization is very useful in researching style. To build vocabulary to Corpus of Korean modern novel and analyze into morpheme. As a result, both a meaning word and a function wor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riters were clearly identifi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ssential stylistic study i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