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조선족, 한국인 가정 자녀의 안과질환의 임상 양상 비교

        문태환(Tae Hwan Moon),최동규(Dong Gyu Choi),배석현(Seok Hyun Bae),최미영(Mi Young Choi)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9

        목적: 소아안과에 내원한 환아 중 다문화, 조선족, 한국인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안과질환이 유전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소아안과에 처음 방문한 다문화 가정 자녀, 조선족 가정 자녀, 한국인 가정 자녀 각각 4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부모의 국적, 초진 시 나이, 성별, 안과에 내원한 주증상, 시력, 굴절이상, 진단명, 그리고 치료가 필요한 경우 순응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다문화군 중 중국 결혼이주민이 40명 중 14명(35%)으로 가장 많았고, 초진 나이, 성별, 굴절이상, 약시 빈도는 세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증상 중 안구위치이상이 다문화군(60%)과 한국인군(50%)에서 조선족군(25%)에 비하여 높았다(p=0.005). 진단명은 다문화군과 한국인군에서는 사시가, 조선족군에서는 근시가 가장 많았다. 각 군별 사시의 빈도는 다문화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다문화군 55%, 한국인군 30%, 조선족군 25%, p=0.003). 그러나 사시의 종류에 따른 빈도는 세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 다. 내원 중단 빈도는 한국인군에서 가장 높았다(p=0.002). 결론: 다문화 가정 자녀, 조선족 가정 자녀, 한국인 가정 자녀 사이에 안과에 내원하게 된 주증상과 안과질환의 빈도, 순응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8;59(9):854-860> Purpose: To explore whether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d ophthalmic disease among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ethnic Koreans, and native Koreans.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120 patients who visited the pediatric ophthalmology clinic of a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 multicultural group, an ethnic Korean group, and a native Korean group. Parental nationalities, age, gender, chief complaint,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diagnosis at the initial visit and the extent of compliance with treatment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multicultural group, 14 (35%) of 40 patients were Chinese immigrants, and constituted the most common subgroup. None of the age at initial visit, gender, the prevalence of refractive error, or amblyopia statu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multicultural and native Korean groups, the proportions of abnormal eye positioning as the chief complaint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ethnic Korean group (p = 0.005). The most common diagnosis in the two former groups was strabismus. Myopia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in the ethnic Korean group. The prevalence of strabismus in the multicultural group (5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native Korean group (30%) and the ethnic Korean group (20%) (p = 0.003). The prevalence of strabismus in the multicultur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p = 0.003).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abismus subtyp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general family group, the extent of loss to follow-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p = 0.002). Conclusions: The chief complaint, the prevalence of ophthalmic disease, and the compliance rate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groups.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may have played a role.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9):854-860

      • KCI등재

        일과성 흑암시와 관련된 안과적, 전신적 임상양상 : 6년간 내원 환자 임상고찰

        문태환(Tae Hwan Moon),채주병(Ju Byung Chae)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5

        목적: 일과성 흑암시를 주소로 안과에 초진 내원한 환자들의 원인 질환의 분포 및 빈도, 이와 관련된 안과적, 전신적인 임상 양상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6년 동안 일과성 흑암시를 주소로 안과에 초진 내원하여 안과 진료 및 경동맥 관련 검사를 받은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초진 시 시행 받은 안과적 검사 및 흑암시의 원인 조사를 위한 경동맥 관련 검사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흑암시의 원인 질환 종류 및 질환 빈도, 경동맥 협착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기간 중 총 35명이 일과성 흑암시를 주소로 안과에 초진 내원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63세였으며, 남자가 27명, 여자가 8명이었다. 29명(82.9%)의 환자에서 단안에 발생하였고, 6명(17.1%)에서 양안에 발생하였다. 당뇨환자는 34.2%, 고혈압환자는 54.3%이었다.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은 망막동맥폐쇄였으며(10명), 그 외에 안허혈증후군(8명), 망막정맥폐쇄(2명), 기타 혈관 관련 질환(4명)이 일과성 흑암시를 유발하였다. 진단된 혈관관련 이상이 없이 일과성 흑암시만 있는 경우는 31.4%(11명)였다. 모든 환자에서 경동맥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경동맥 협착 소견을 보인 환자는 45.7%(16명)였다. 경동맥 협착 소견을 보인 16명 중 6명에서 망막의 혈관폐쇄 관련 질환이 있었으며, 안허혈증후군이 6명, 일과성 허혈성 발작이 2명, 뇌졸중과 심방세동이 각각 1명으로 조사되었다.결론: 일과성 흑암시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며, 전신적 문제 없이 단순한 발작소견으로 보일 수도 있으나, 심각한 시력저하를 유발하는 망막동맥폐쇄질환이나 안허혈증후군의 초기증상일 수 있으므로, 전신적인 검사를 포함한 철저한 검사가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cular and systemic disease causing amaurosis fugax and to discuss the ocular and systemic manifestation of each disease. Methods: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amaurosis fugax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from 2007 to 2013. Carotid evaluation us-ing Doppler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Ocular and medical histories were taken and bilateral ophthalmic evaluation performed. Results: This study included 35 patien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3 years and 27 patients were male; 29 unilateral and 6 bilateral eyes were involved. Associated systemic disease included hypertension (54.3%) and diabetes mellitus (34.2%). The most frequent cause of amaurosis fugax was retinal artery occlusion (28.6%) followed by ocular ischemic syndrome (22.9%), other vascular diseases (11.4%), and retinal vein occlusion (5.7%). The remaining 31.4% patients with amaurosis fugax had no vascular disease. Clinically significant stenosis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was observed in 16 patients (45.7%) and 6 of these patients (37.5%) had retinal artery occlusion disease. Conclusions: Prevalence and clinical manifestation of amaurosis fugax is very complex. Patients with transient visual dis-turbance are at risk for retinal artery occlusion, ocular ischemic syndrome and other diseases which cause visual loss. Therefore, careful history taking and urgent systemic and ophthalmic evaluations should be performed.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5):732-736

      • 메탈 할라이드 램프용 고주파 변조 방식 전자식 안정기

        문태환(Moon Tae Hwan),오덕진(0h Duk Jin),조규민(Cho Kyu Min),김희준(Kim Hee Jun) 전력전자학회 2001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7

        This paper presents a high frequency modulation electronic ballast for the metal halide lamp. As the proposed ballast operates in high frequency ranges {20kHz - 100kHz) and it can start up the lamp using the LC resonant circuit without external ignitor, the proposed ballast is very compact. The proposed ballast is controlled with the modulated frequency in the range of 20kHz to 100kHz, and it has variable modulating frequencies between 200Hz and 2kHz in order to avoid the acoustic resonance phenomenon. In this paper, a new realtime acoustic resonance detection method is describ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proto-type ballast of 150W metal halide lamp with the dimming func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3.00디옵터 이상의 원시를 동반한 외사시 환자의 수술 결과

        문태환(Tae Hwan Moon),최미영(Mi Young Choi)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1

        목적: +3.00디옵터(D) 이상의 원시를 동반한 간헐 또는 항상외사시 환자에서 수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외사시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굴절력이 +3.00D 이상이고, 수술 후 경과 관찰 기간이 6개월 이상인 27명을 대상으로 정하였다. 초진 시 나이, 시력, 원시의 정도, 약시의 유무, 수술 전 안경의 원시 도수 감량 정도, 수술 전 원시 교정에 따른 외사시각의 변화 그리고 최종 수술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초진 시 나이 평균 5.4세, 수술 시 나이 평균 7.3세였다. 원시 도수가 높은 눈이 3.86 ± 1.35D, 낮은 눈이 1.31 ± 1.19D, 27명 중 14명에서 약시가 있었다. 초진 시부터 수술 시까지 원시 안경 도수를 평균 1.35 ± 1.06D 감량하였다. 외사시각은 원거리 26.8 ± 7.7PD, 근거리 28.2 ± 8.9PD였다. 수술 후 평균 12개월째의 수술 성공률은 70.4%였고, 실패 원인은 모두 외사시의 재발이었다. 수술 실패군 8명 모두에서 초진부터 수술 전까지의 기간 동안 원시 도수가 낮은 눈의 원시 안경 도수를 완전히 감량하였고, 수술 실패군에서 원시 도수가 높은 눈의 원시 도수 감량비율이 수술 성공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p =0.004). 결론: +3.00D 이상의 원시를 동반한 외사시 환자에서 수술 전 약시의 빈도가 높았다. 수술 실패의 주 원인은 외사시의 재발이었으며, 재발된 군에서 수술 전후 원시의 감량 정도가 컸다. Purpose: To evaluate the surgical result of patients who had intermittent or constant +3.00 diopter (D) or more exotropia and hyperopia. Methods: Twenty-seven patients who had an operation for +3.00 D or more hyperopia and exotropia were included. The dura-tion of follow-up was 6 months or more after surgery. Age at the initial visit,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s, presence of am-blyopia, reduced rate of hyperopic correction, changes in exodeviated angle after reduction of hyperopic correction, surgical re-sults and postoperative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age at the initial visit was 5.4 years and at surgery was 7.3 years. The mean degree of hyperopia in the worse eye was 3.86 ± 1.35 D and the better eye 1.31 ± 1.19 D. Fourteen of the 27 patients had amblyopia. The degree of reduced hy-peropia correction was 1.35 ± 1.06 D during the preoperative period. The initial angles of deviation were 26.8 ± 7.7 prism diopters (PD) at distance and 28.2 ± 8.9 PD at near. At postoperative 12 months, 19 of 27 patients (70.4%) achieved deviated angle with-in 10 PD. The cause of surgical failure was recurrence of exotropia. All the surgically failed patients had reduced hyperopic cor-rection of the better eye before surgery. Reduction rate of hyperopic correction in the surgically fail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urgically successful group (p = 0.004). Conclusions: There was a high incidence of amblyopia in the patients with +3.00 D or more exotropia and hyperopia before surgery. The cause of surgical failure was the recurrence of exotropia, and the degree of reduced hyperopic correction in the sur-gically failed group was larger than in the surgically successfu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