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문헌자료를 통해 본 삼한의 소도와 제의

        문창로 ( Moon Chang-rho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2

        마한의 소도와 제의에 대한 접근은 삼한사회를 비롯한 한국 고대의 신앙과 제의, 나아가 초기국가의 정치 및 사회상을 이해하는 첩경이 된다. 근대 이후 진행된 종교·민속학적인 연구는 소도의 ‘立大木’ 기록에 주목하여 동아시아 수목숭배의 범주에서 접근했으며, 소도는 立木이나 제단, 제장을 의미하는 종교적 신성 공간 등으로 이해했다. 이후 역사학적인 연구가 더해지면서 소도의 정치·사회적 의미를 그것이 포함되는 정치체계 속에서 이해하거나 한국 고대의 사회발전에 따른 제의의 변천과정에서 접근하여 소도의 역사적 실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하게 되었다. 문헌상 전통적인 소도 인식의 발단은 『삼국지』 한전에서 浮屠와 유사하다는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중국의 초전불교 인식에 바탕을 둔 것으로, 소도는 『진서』가 편찬되었던 7세기 무렵에는 서역불교와 결부시켜 이해했다. 그 뒤에도 중국사서는 소도를 불교 관련 사실로 견고하게 전승되었지만, 다른 한편 大木을 세워 제사한 사실에 주목해서 만주의 입간제사에 견주어 이해하기도 했다. 신라 말 최치원은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에서 소도의식을 불교제사로 여겨고 백제 불교 전래의 사례로 제시했다. 이는 조선후기 학인들에까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의 불교 전래를 삼한시기로 소급하는 근거로 삼았다. 소도 인식은 사찰 또는 불탑 등 불교적 변용이 대세를 이루었지만, 민간의 신간제사로도 상정하여 근대 이후 솟대 등의 민간신앙과 관련하여 주목받았다. 『삼국지』에 보이는 동이제족의 제사의식은 그들이 처한 자연환경과 사회적 형편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했다. 삼한 諸國 가운데 소국 단위에서 이루어진 시조 신앙은 대국 단계에서 전개된 소도 신앙의 천신 제사로 이어진다. 이후 부여나 고구려와 같이 성장하면 ‘국중대회’ 차원의 제천의례에 그 맥이 닿을 것으로 상정된다. 본래 삼한의 소도 신앙은 읍락 단위의 부락제에서 발전한 것으로, 대국 단계에 주변 소국이나 읍락을 통합하여 별읍으로 편제하면서 대두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때 국읍의 천군은 별읍에서 귀신을 섬겼던 인물과 구분 할 수 있으며, 자연히 천군은 국읍에서 상위의 天神 제사를 주관했다면, 별읍인 소도에서는 따로 巫的 존재가 하위의 귀신 제사를 이끌었을 법하다. 귀신의 실체는 국읍의 천신과는 다른 존재로 별읍에서 신앙되었던 특정 지배집단의 조상신일 가능성이 크다. An approach to Sodo(蘇途) and ritual of Mahan is a way of understanding the ancient Korean faith and religious ceremony. Futhermore, it can help to understand a politics and social aspect of the early states. Religious and forklore studies, which conducted since the modern era, focused on the record ‘立大木’, and approached them in the category of worship of the East asia threes, and Sodo understood them as standing trees, altars, religious divine space which means the exhibition. As the historical researches were added, the political and social meaning of Sodo was understood in the political systemthat included it, and the historical reality of Sodo was searched in more detail by approaching the process of proposing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ncient society in Korea. The origins of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Sodo can be found in the similarity of the sutra(浮屠) in 『Samgukji』 hanjeon. It is based on the Chinese Buddhist understanding of the early Buddhism, and Sodo was handed down in connection with Western Buddhism until the seventh century, when Jingxiao was compiled. After that, Chinese historical books overanalyzed Sodo as a buddhism relevant facts, on the other hand, they understanded a category of ipgan ritual ceremony in the Manchuria by focusing on the fact, which performed ancestral rites by standing big tree. Choi Chihwon, a Buddhist priest in Silla, regarded the Sodo ceremony as a Buddhist ritual on the basis of the Buddhist tradition of Baekje. This was extended to the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uggested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as a retrospective of Samhan period. Sodo recognized that Buddhism or pagodas, as well as Buddhist transformations, are common, but they are also considered to be related to private societies such as Sotdae today. The ritual actions of Dong Qi barbaric tribes in 『Samgukji』 hanjeon differ according to their natural environment and social circumstances. The Shijo faith in the small state(Soguk) among the Samhan states leads to the sacrifice of Sodo faith developed at the stage of the big state(Daeguk). It is supposed that if it grows like Buyeo or Goguryeo, it will reach the celebration for heaven. The Sodo ritual appeared when small country developed as a big state by merging periphery small states and organizing a special town(別邑). At this time, Cheongun can be classify person who serve sprit in the special town. So, it can be understanded that cheongun served the gods of heaven in the center of state(國邑) and shaman served lower ghost in the special town. And the ancestors god of specific tribes was a great possibility that was served in the special town.

      • KCI등재

        千寬宇(1925~1991)의 史學과 古代史硏究

        文昌魯(Moon Chang-rho)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3

        본고는 後石 千寬宇(1925∼1991)의 학문활동과 고대사연구에 대하여 一瞥한 글이다. 천관우는 언론인이자 역사학자로서 이른바 ‘言官’과 ‘史官’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노력하면서, 참여의식과 ‘非아카데미史學’을 강조하였다. 곧 현실에 기초하는 절실한 요구의 歷史硏究를 중시하면서, ‘나와 우리의 立場’ 그리고 ‘現在의 立場’이 투영된 歷史像을 추구하였다. 그의 고대사연구 체계는 『海東繹史』를 비롯한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연구성과를 두루 살피면서 申采浩, 鄭寅普, 安在鴻 등 민족주의 역사학자들이 추구하였던 연구경향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것이었다. 특히 ‘任那日本府說’의 재검토를 통하여 가야사의 복원을 시도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국 고대사학계에서 이룩했던 주체적 전통과 민족적 독자성을 부각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자, 식민사학의 폐해를 걷어내려는 것이었다. 1970년대 초에 본격적으로 거론되었던 한국 고대국가의 기원 및 형성문제는 광복 이후 고대사연구의 일대 전환점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다. 천관우는 ‘韓國 上古史의 爭點’의 토론회를 주관하면서 국가의 기원 및 발전과정을 재검토하고, 이에 대신할 만한 새로운 용어와 개념을 모색하여 ‘城邑國家→領域國家’論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古代國家 形成論’의 논의를 견인하면서 한국 고대사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 그간 소홀했던 연구 분야의 공백을 메우는 데에도 일조하였다. 곧 三韓의 성립과정과 諸小國의 위치비정 연구는 이후 加耶史 및 新羅ㆍ百濟史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衛滿朝鮮의 국가적 성격, 辰國과 삼한의 관계 및 辰王의 실체, 백제ㆍ신라ㆍ가야의 고대국가 형성 문제, 백제와 가야의 관계, 任那ㆍ任那日本府의 실체와 가야사의 복원 시도 등 일련의 연구는 그간 소홀하게 취급되었던 연구주제들에 주목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천관우는 한국사연구에 있어서 전체적 흐름을 고려한 ‘거시적 파악’과 사실의 면밀한 검토를 바탕으로 하는 ‘철저한 실증’의 병행을 강조하였다. 史料의 취급에 있어서도 새로운 접근 방향을 모색하였는데, 특히 『三國史記』 초기기록 및 『日本書紀』의 비판적 활용은 사료 활용의 범위를 확대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무엇보다 천관우는 上古로부터 近ㆍ現代에 이르는 한국사 전반에 걸친 폭넓은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역사교육의 成敗가 바로 民族의 繁榮과 死滅을 가늠한다고 하여, 객관적이고 올바른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동예의 읍락과 사회상

        문창로(Moon, Chang-Rho)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동예지역에서 형성된 정치세력의 동향은 고조선 이래로 중국 군현 및 고구려로 이어지는 주변 세력의 부침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전개되었다. 기원전 2세기 무렵에 확인되는 ‘臨屯’은 이 지역의 크고 작은 정치집단의 집합체로서, 앞서 고조선의 멸망과 함께 臨屯郡으로 편제되었던 존재이다. 이후 漢의 임둔군 폐지, 낙랑군 동부도위의 설치는 이 지역에 대한 중국의 군현적 지배가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후한 대에 동부도위가 철폐되면서 동예지역은 侯國으로 봉해졌으며, 요동방면에서 성장한 고구려 세력이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전까지 독립된 세력으로 존재했다. 동예의 읍락 거수들이 소지한 후 · 읍군 · 삼로 등의 관직명은 그들의 현실적인 세력크기에 따라 차등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東部都尉가 관할했던 ‘영동7현’은 동예와 옥저지역에 삼한의 ‘國’ 단위에 상정되는 정치체가 적어도 7개 정도 있었던 사실을 전하며, 그 治所였던 不耐縣은 중심 세력으로 추정된다. 不耐濊國은 漢代의 官制에서 확인되는 功曹 · 主簿 등 諸曹의 屬吏를 두어, 동예사회의 정치적 성장을 알려준다. 읍락의 거수에서 성장한 불내예후는 다시 不耐濊王으로 봉해져, 불내예국은 동예지역의 유력한 정치세력으로 삼한의 大國에 비견될 소지를 갖는다. 부여와 고구려는 ‘國中大會’의 제천의례로 통합된 제의형태를 보이지만, 동예의 舞天에서는 ‘祭天’과 함께 虎神을 숭배대상으로 삼았다. 그것은 삼한 國邑의 天神과 함께 신앙된 別邑의 鬼神 제사와 맥을 같이한다. 동예의 호신 제사가 읍락에서 이루어졌더라도, 크게 보아 그것은 무천 의례의 범주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을 것이다. 동예의 읍락사회는 삼한의 그것에 비견될 정도로 분화되었지만, 본래 읍락이 지녔던 공동체적인 모습을 강하게 고수했다. 責禍로 상징되는 읍락단위의 경제적 배타성과 폐쇄성은 독자적 생활권역 확보라는 동예 읍락사회의 공동체적인 성격과 관계가 깊다. 다만 소국 단계를 넘어선 동예 불내예후의 정치적 위상을 고려한다면, ‘동성불혼’의 족외혼습속은 중심 소국인 불내예국의 통혼을 통한 ‘동성’ 간의 결속을 다지는 정치적 외연의 확장 차원에서 접근해 볼 수도 있다. 읍락의 구성원인 生口나 下戶는 당시 동예 읍락의 사회적 소산이다. 동예사회가 소국 단계를 넘어서면서 계층분화의 양상은 읍락의 지배자인 거수층, 피지배층 일반민인 下戶, 그리고 노비와 같은 처지의 生口 등으로 전개되었다. 다만 동예사회는 아직 부여와 같은 사회발전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읍락 내에 豪民과 같은 존재가 뚜렷하게 대두하지 못했다. Political forces of trends, which was formed in DongYae(東濊) region, unfolded with a close relationship with ups and downs of power around. DongYae region became a Whoguk(侯國) after abolition of Eastern Section Defender(東部都尉) in the Eastern Han Dynasty(後漢), and it was existence as an independent force until that Goguryeo(高句麗), which was growed in Liao-dong(遼東) area, started to make inroad. The names of DongYae’s official title, such as Eupgun(邑君) and Samro(三老), can be understood that was reflected differentially depends on the real power size. Especially, the existence of ‘Seven prefectures(嶺東7縣)’ means that there was political organizations at least seven or more in the area of DongYae and Okcho(沃沮). Also, Bulnehu(不耐縣), which was a base for governing(治所) of in these area, is emerged as a central force. Practically only Bulneyehu(不耐濊侯) can explain the political growth of DongYae society through the Sokri(屬吏) of Jaejo(諸曹), which were identified in the public office system(官制) in Han(漢) era. Bulneyehu, which was grown from Geosu(渠帥) of Euprak, became Bulneyewang(不耐濊王). Bulneyeguk can be compared to Daeguk(大國) of Samhan(三韓) as an influential political force of DongYae region. Even though the sacrificial rites for heaven of Buyeo(夫餘) and Goguryeo was integrated with ‘Gukjungdaehwae(國中大會)’, ‘Hoshin(虎神)’ was worship with the sacrificial rites for heaven in the Mycheon(舞天) of DongYae. These share pulse with the spiritual worship ceremonies of a Byeoleup(別邑) with the God of heaven(天神) of Samhan’s Gukeup(國邑). The economic exclusion and closure of Euprak unit, which are represented as a ‘Chekhwa(責禍)’, have deeply relation with a communal characteristic of Euprak society. However, if you consider political status of DongYae’s Bulneyehu, you can apprehend folkway of exogamy of ‘Prohibition of marriages to members with the same family name(同姓不婚)’ as a political level expansion of extension trough the marriage of Bulneyeguk. ‘Sanggu(生口)’ and ‘Haho(下戶)’, which were member of Euprak, are social products of DongYae Euprak at the time. When DongYae society passed ‘Small State(小國)’ stage, the shape of the class differentiation developed an emergence of the classes, such as ‘Geosu(渠帥)’, which was ruler of Euprak, ‘Haho’, which was ordinary person, and ‘Sanggu(生口)’, which was slavery position. However, the presence, such as ‘Homin(豪民)’, were not appeared in the DongYae society, because their society could not develop like a Buyeo society.

      • KCI등재

        ‘변한과 가야’ 연구의 동향과 과제

        문창로(Moon, Chang-Rho)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9

        전근대 시기 변한과 가야에 대한 인식의 출발은 최치원의 삼한 인식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삼한을 삼국으로 인식하여, 변한을 백제로 보고 가야와는 무관한 존재로 파악했다. 조선 초기에 권근 등이 변한을 고구려로 상정했지만, 조선 후기 실학자들에 의해 변한은 가야라는 인식이 정착될 때까지, 최치원의 인식은 통설로 이어졌다. 실학자들은 변한과 가야의 연원, 그 성립 시기와 역사 전개과정, 가야 여러 소국들의 위치와 세력 범위 등을 고증하여 변한에서 가야로의 계승 발전 사실을 분명히 했다. 곧 한백겸 이래로 전개된 변한과 가야 연구는 문헌 고증과 함께 사료를 폭넓게 활용했으며, 접근방법과 자료 활용 면에서 이후 근대적 역사연구의 바탕이 되었다. 근대 이후에 전개된 일본학자들의 연구는 한국에 대한 일제의 침탈과정과 궤를 같이 했다. 주로 ‘임나일본부설’에 입각한 연구 결과는 가야사의 실상과 거리가 멀었다. 일제의 식민사학에 저항했던 신채호는 상고기 ‘조선족의 이동’이라는 관점에서 변한과 가야의 관계, 가락국의 성립 등을 부각했으며, 그의 뒤를 이었던 정인보, 안재홍 등 민족주의 계열 역사가들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광복 이후에도 일제의 식민사학을 극복하고 변한과 가야의 역사상을 복원하려는 노력은 지속되었다. 1980년대 이후 고고학 자료의 증가와 『일본서기』의 비판적 활용으로 연구 자료의 외연이 넓어짐에 따라 가야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고고학 자료를 함께 활용하는 연구경향이 대세를 이루면서 다양한 주제와 새로운 접근을 모색했다. 특히 주변 나라들과의 관계사적 시각에서 벗어나 가야 각국의 역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가야의 구체적인 역사상에 다가갔다. 가야사의 시기구분 문제는 변한과 가야에 대한 인식과 표리관계에 있다. 가야 제국의 연원은 변한 소국들에서 찾을 수 있으므로, 변한의 역사를 가야사의 연장선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을 듯싶다. ‘변한에서 가야로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서는 삼한 전체의 변화과정 속에서 가야의 성립을 살펴봐야 할 것이다. 가야를 구성하는 여러 소국들의 사회발전단계와 관련된 ‘가야연맹’설의 존부 문제도 삼한이라는 같은 뿌리에서 출발했던 마한과 진한이 각각 백제와 신라로 발전하는 과정에 견주어 접근하는 비교사적 관점이 요구된다. 나아가 가야의 건국신화와 제의 행위가 어떠한 사회구조 속에서 전개되었는가를 추구하고, 민속학·종교학 등에서 일구었던 관련 연구 성과에 좀 더 관심을 갖고 수렴해야 할 것이다. 가야의 세력범위는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개별 소국의 구체적 위치와 범위를 설정한 뒤에, 고고학 자료의 분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조망할 필요가 있다. The beginning of the recognition of Byeonhan and Gaya during the pre-modern period can be traced to Chih-won Choi’s perception of the Samhan. As Choi recognized the Samhan as the Three Kingdoms, he determined that the name of Byeonhan was Baekje and not associated with the Gay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any scholars, such as Geun Kweon, postulated that the Byeonhan changed to the Goguryeo, but Choi’s perception was accepted as common belief until the time that the perception that Byeonhan was the predecessor of Gaya was widespread by the silhak(practical learing)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ilhak scholars clearly stated that changes developed from the original Byeonhan to Gaya by ascertaining th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the process of its history, and the location and scope of influence of the Gaya’s several small states. The study of Byeonhan and Gaya,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since the study of Baek-gyeom Han, has widely utilized the literature and praxis of literature, and has become the basis of later historical studies in terms of approach and data utilization. The studies by conducting Japanese scholars after the modern period coincided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results of research that mostly based on ‘the Japanese Mimana Government’ was far from the reality of Gaya. Chae-ho Shin, who resisted the colonial history of Japan, empha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yeonhan and Gaya, and the formation of a Garakguk, which changed from the viewpoint of ‘movement of the Joseonjok’, and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the nationalist historians such as In-bo Jung and Jae-hong Ah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the efforts to overcome a colonial history by Japanese colonial rule and restore the history of Byeonhan and Gaya were continued. Since the 1980s, with the increasing use of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the use of ‘Nihon shoki’ was critically extended, the study of Gaya has proceeded in earnest. In addition, as the tendency for research to use archeological documents together with documentary data have become prevalent, various topics and new approaches have been sought. In particular, the history of each state has to be studied actively from the perspectives of their respective relatives, so it has approached the specific aspect of the Gaya history. The problem of the time division of Gaya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yeonhan and Gaya. Since the origins of several states in Gaya can be found in various states of the Byeonhan, it seems that it is better to approach the history of the change from the extended line of Gaya. The establishment of the Gaya has to be examined in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the entire Samhan,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Byeonhan to Gaya’.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the ‘Gaya Federation’ related to the stage of social development of the various states that constitute Gaya is also required comparative history perspective that compare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Mahan and Jinhan as Baekje and Silla, starting from the same roots as the Samhan. Furthermore, we should look at the mythology of Gaya’s founding myth and ritual in which social structure was developed, and pay more attention to the achievements of related researches in folklore and religion. In case of the Gaya’s territory, it is necessary to set the specific location and range of individual states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and then consider the distribution of archaeological data in a comprehensive manner.

      • KCI등재

        星湖 李瀷(1681~1763)의 삼한 인식

        문창로(Moon, Chang-rho)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4

        星湖 李瀷(1681~1763)의 학문탐구는 전통적인 유가적 독서법에 따라 ‘先經後史’하였는데, 그의 역사 인식은 『星湖僿說』 經史門 등에 실려 있는 史論과 문인 安鼎福과의 편지글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익은 前史를 두루 살피고 가능한 여러 사서를 참고하여 교감?상고하는 史家의 신중한 자세를 요구하였고, 고증을 통한 역사서술의 객관성을 피력하였다. 또한 그는 종래 중화주의에 입각한 자존의식과는 구분되는 독자적인 자국사 연구와 저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익이 제시한 삼한정통론은 ①東國 역사의 始終이 중국과 같이 한다는 ‘歷代興廢’, ②箕準의 마한을 동국의 정통이라고 논설한 ‘마한정통’, ③箕子의 八敎 및 교화의 흔적을 설명한 ‘기자교화’, ④春秋필법과 綱目의 범례에 준한 서술을 강조한 ‘필법론’, ⑤마한-진?변한의 영속 및 진한의 유래를 언급한 ‘삼한 관계’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그의 입론은 고조선과 삼국의 중간시기에 존재했던 역사적 실체로서의 삼한을 인식하고, 시? 공간적으로 단군?기자의 정통을 삼국에 연결시킴으로써 고조선 이래로 굳건히 계승된 ‘삼한의 정통성’을 강조하려는데 있었다. 이익을 비롯한 실학자들의 삼한 서술에는 『후한서』 동이열전을 우선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는 朱子의 正統論을 적용하는 입장에서 曹魏를 정통으로 삼았던 『三國志』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입장, 그리고 단대사로서 『후한서』를 해당 시기의 사료로 채택했던 점등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한서』 한전에서 포착할 수 있는 ‘진국-삼한-한왕(준)-진왕’의 계통적인 인식은 조선 후기 ‘삼한정통론’의 전개에 중요한 논거로 이해된다. 이익은 삼한의 연원을 삼한의 바깥에서 찾아 중국 유이민 세력에 닿는 것으로 보았으며, 그 성립은 마한(秦 통일 이전의 전국시대)→진한(진 통일 전후)→변한(기준 남하이후) 순으로 상정하고, 선주한 마한을 중심으로 진?변한이 예속된 형세로 파악하였다. 또한 마한-백제?진한-신라?변한-가야로 이어지는 삼한-삼국의 관계 및 삼한의 소멸과정을 제시하였다. 특히 변한과 가야를 구분하여 변한은 마한에 신속되었다가 百濟에 병합되었으며 가야는 신라에 멸망되었다고 본다. 단군-기자-마한으로 이어지는 이익의 정통론과 삼한인식은 안정복에게 계승되어 대부분의 내용이 『東史綱目』의 저술에 반영되었으며, 조선 후기 삼한인식체계의 정립으로 이어졌다. 곧 이익이 피력했던 ‘驗古’와 ‘準今’에 입각한 자국사 연구와 저술의 간절함은 안정복의 『東史綱目』으로 발현되었으며, 이후 정약용?한치윤 등의 역사연구 및 저술에 영향을 끼치면서 조선 후기 새로운 역사인식의 성장과 사학사의 발전에 밑바탕이 되었다. Yi-Ik’s historical recognition can be examined through several historical essays, which being published in the 『Seongho Saseoul(星湖僿說)』and a letter that used to communicate with Jeong-Bok, An. Yi-Ik expected that historians are taking a cautious attitude by comparing different types of publications rather than relying rarely on one type of publication. Yi-Ik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objectivity of the historical presentation through historical research. The theory of Samhan’s legitimacy, which was suggested by Yi-Ik, claims a equal attendant between China and Joseon. The theory mainly indicated the postulation of legitimacy of Gi-Jun’sMahan andMahan-Jin?Byeonhan’s perpetuity and origin. His argument is that Samhan need to be considered as historical substance that had existed at the middle point of period between dynasty of Gojoseng and Three Kingdoms. Samhan filled the spatial and temporal gap of the Dan-gun?Gi-Ja’s legitimacy that can be served as the proof of the “Legitimacy of the Joseon”, which has inherited from period of the Three Kindoms. The Silhak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ing Yi-Ik, primarily utilized the 『Whohanseo(後漢書)』Hanjeon for their historical writings. The systematical recognition of the ‘Jinguk-Samhan-Hanwang(Jun)-Jinwang’, which can founded in 『Whohanseo』Hanjeon, was understood as an important basis of the ‘legitimacy of the Samhan’s development. Yi-Ik established new awareness system on the ancient Korean history through the ‘legitimacy of the Samhan’. In addition, he highligh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amhan period and the Three Kingdoms based on the origin and area range of the Samhan and the permanent relationship of Mahan and Jin?Byeonhan. Yi-Ik’s ‘legitimacy of the Samhan’ theory, which were connected ‘Dangun-Gi ja-Mahan’, and recognition of the Samhan were continued to An Jeong-Bok and which had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Samhan’s awareness system. And the most of these contents were reflected in the writing of the 『Dongsa gangmok(東史綱目)』. Yag-young, Chong, Chi-Yoon, Han and few other scholars’ historical researches were also influenced by the Yi-Ik’s historical recognition. This trend became the cornerstone in the late Joseon Dynasty’s new historical awareness and progress of historiography.

      • KCI등재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in the Field of Ancient Korean History

        Moon Chang Rho(문창로)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8 No.-

        본고는 광복이후부터 현재까지 이룩한 한국고대사 연구의 주요성과를 살펴서 그 동향과 과제를 정리한 글이다. 광복이후에 전개된 좌ㆍ우 대립의 정국과 분단의 고착화 과정에서 일제의 식민사학을 청산하고 고대사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기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비록 소박한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1950년대에 실증적인 연구풍토가 정착되는 가운데 모색된 새로운 연구주제와 방법론은 이후 한국고대사의 주체적인 인식에 토대가 되었다. 곧 1960년대에 이루어진 연구성과는 식민 사학에 의해 왜곡된 한국고대의 역사상을 불식시켰으며, 이후 고대사분야의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연구주제를 구체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1970년대에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문제가 제기되면서 연구활동이 촉진되었고, 고대사회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다. 또한 고대의 사회구조 및 구성단위 문제와 함께, 고대국가의 지배체제가 논의되면서 삼국의 지배세력, 중앙 및 지방 통치체제의 정비, 군사조직의 운영, 민에 대한 편제방식 등을 해명하여 고대사회의 구조적인 인식이 가능하였다. 1980년대 이후 연구자의 증가, 다양한 주제와 연구내용의 심화로 고대사의 체계적 구성은 더욱 튼실해졌다. 실제로 민족의 형성문제와 함께 단군 및 고조선사와 관련된 논의가 구체화되었고, 신라와 백제사에서 축적된 연구성과는 가야와 고구려사 분야로 확장되었다. 발해 또한 귀속문제에서 점차 발해사 자체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으며, 이밖에 낙랑ㆍ대방군의 재검토, 부여사의 전개과정, 삼한의 성장과 대외관계,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과 그 축조세력을 둘러싼 논의 등으로 연구의 지평을 넓혀갔다. 1990년대로 접어들어 건국신화 및 제의, 고대 여성사와 관련된 문제, 농업생산 및 교역에 관한 접근 등도 다양한 연구주제의 모색에 일조하였다. 이와 함께 고대 동아시아의 정치적 국제질서나 문화적 교류에 대한 이해를 더하였다. 나아가 고대와 중세의 시대구분 문제, 삼국의 천도 및 도성제에 대한 접근, 불교사상사 연구의 심화, 촌락문서 및 통일신라의 토지제도에 대한 재검토, 장보고와 청해진을 중심으로 한 해상활동, 나말여초 호족의 동향과 후삼국의 성립, 필사본 「화랑세기」를 둘러싼 진위논쟁 등의 문제도 부각되었다. 한편 고고학적 성과와 새로운 금석문의 발굴은 고대사연구에 활력소가 되었는데, 실제로 백제본기의 신빙성 확인, 백제문화사의 이해증진, 삼국의 중앙정치 및 점령지 통치방식, 민의 존재양태, 고구려-신라의 대외관계, 신라의 정치ㆍ경제ㆍ제도사 정리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처럼 한국 고대사학계는 식민사학의 폐해를 극복하고 고대사의 체계화를 위해 부단히 노력한 결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연구주제의 다양한 접근, 관련자료의 발굴 등을 통해서 큰 진전이 있었다. 이는 전적으로 어려운 여건을 딛고 고대사연구의 디딤돌을 마련했던 1세대 연구자들, 그리고 이들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2ㆍ3세대 연구자들의 노력과 구체적인 성과물의 축적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역사 글쓰기'를 통한 史料學習의 접근방안

        문창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본고는 ‘역사 글쓰기’를 통한 史料學習의 접근과 의미, 그리고 실제 학습자들의 글쓰기 사례를 정리하여 효과적인 사료학습의 접근 방향을 모색해본 것이다. 역사적 인물을 대상으로 글쓰기를 하는 과정은 역사가가 史料의 내용을 읽고 歷史像을 구성하는 작업과 유사하다. 역사가 歷史家에 의해 재구성된 창조적 생산물이라고 할 때, 역사 글쓰기는 역사교육의 측면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역사를 판단하고 해석할 수 있는 歷史的 思考力의 향상이라는 교육목표에 부합할 수 있다. 史料講讀을 통한 역사적 인물의 ‘삶 읽기’, 그리고 인물 탐구를 통한 ‘역사 글쓰기’를 연계하여 실제 수업에 접근할 때, 학습자는 일차적으로 역사적 인물에 대한 이해와 친근감을 갖게 된다. 또한 자신의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관련 자료의 探索과 수집 · 정리 및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역사적 이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내용을 구성하여 글쓰기를 통한 역사적 인물의 삶과 사회상을 묘사하면서 자신의 감정이나 직관 및 창의력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다. 나아가 학습자는 활동 인물의 시대적 ·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인물에 대한 평가를 통해 사고력, 비판력 등 역사적인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get the meaning and proximity in 'historical composition'. Also, this is a writing to grope for an approaching direction of effective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by means of arranging composition examples. The process of a composition on a historical figure is similar to the work that a historian reads and constructs the contents of historical documents. If history is enough to acknowledge a creative product reorganized by historians, the historical composition coincides with an educational object which is the improvement of historical contemplative faculty. Which means that a learner is able to judge and interpret history by himself in the aspect of historical education. A learner can take the comprehension and affection about historical figure first when he gets close to the real lesson in transl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life of historical man and searching for the man. And he is capable of rising his own historical power to understand throughout the inquiry and complication, arrangement, even synthetic analysis into the related materials to apply them to his own writing. The learner puts in order of his thought and make contents up for composition in person going through the process. With that, he gets to take on opportunity to express his own feelings and intuitions, creative power describing the life and social aspect of historical figure in writing. Furthermore, I look for what he advances his thinking power and critical ability in the estim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historic man's time and society.

      • KCI등재

        新羅와 樂浪의 關係 : 新羅史에 보이는 '樂浪'의 實體와 그 歷史的 意味를 중심으로

        文昌魯 한국고대사학회 2004 韓國古代史硏究 Vol.34 No.-

        The starting point to see the relation with Lorang(樂浪) in the Silla history can be found through the migratory people's movements from northwestern Korea to Saro(斯盧) area including the migrants of Acient Chosun(古朝鮮). After founding of the Former Han(前漢) Dynasty, migratory people moved to Saro had a poten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Saro state(斯盧國) in potitical fluctuations, e.g. the fall of Wiman-Chosun(衛滿朝鮮) and the foundation of Chinese commanderies(漢郡縣), because they had already known advanced culture and political system. The estahlishment of Sara state, which became the mother- body of Silla(新羅), means the unitive process of six villages(6村) with Hyeokgeose(赫居世)'s rise. Park's tribe(朴氏勢力) got a majority of the migratory people's group advanced southwards and the iron civilization(鐵器文化) of Wiman-Chosun. Lorang in Samguksagi(三國史記) Sillabongi(新羅本紀) was a menacing power in the north border advanced southwards along the east coast since early time comparatively, its substance was different with Lorang- Kun(樂浪郡) in Pyeongyang(平壤) area. That is to say, Lorang was the native power(土着勢力) related to Dongye(東濊)' Okjeo(沃沮) area. In the middle 2nd century, the migratory people's motions from Lorang area to Sara had a huge effect on the changing process of Silla's political power related to the beginning of Suk's Kingdom(昔氏王室). According to Samgukji(三國志) Hanjun(韓傳), the people of Jin - Han(辰韓) called themselves 'Ajan(阿殘) because they bad thought the people of Lorang their group left. Which means that Silla people of the Chinese history books in the late 3rd century had a strong relationship to Lorang and tells us that Silla had migratory people from Lorang side throughout the growth process of Saro state. The matter of migratory people from northwestern Korea to Silla, which had maintained since Chinese established Lorang- Kun, one of their commanderies, was stopped for the moment in the early 4th century. That was why Koguryo(高句麗) had turned Lorang - Kun out in the end. After that, the title of the investiture(冊封號) named King of Lorang - Kun (樂浪郡公), which King of Silla was given by China through direct negotiation between two countries, became a opportunity to think that Silla had close relation with Lorang firmly. As a result, a few Sillajuns(新羅傳) of Chinese history books, e.g. Buksa(北史), Suseo(隋書), Gudangseo(舊唐書), Sindangseo(新唐書), have said that Silla was just Lorang in the period of Han(漢) Dynasty. Also, it could be stressed the unusual reation between Silla and Lorang through the Royal order(誥命) which the last King Kyeongsun(敬順王) of Silla named Kimbu(金傅) was given by Koryo(考慮) Dynasty to invest with the titles of Sangbo(尙父). Because there was a title of the investiture named the King of Lorang(樂浪王). To sum up, there are more obvious traces of Lorang than Paekje(百濟) or Koguryo in the Sill. history, Which let us know that Silla had a familiar relationship to Lor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