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中國潮汕人的宗族祭祀禮儀與韓國人的家祭禮儀之比較

        文智成(Moon Jee-sung) 중국어문학연구회 2009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59

        본 논문은 한중 문화비교의 틀 속에서 한국인과 중국 潮汕人 사이의 조상에 대한 제사의식을 비교하였다. 한국인은 전통적으로 조상에 대한 제사를 중시하여 거의 모든 가정에서 관련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 조상제사는 대단히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한국문화의 한 현상이라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중국인도 과거에는 조상제사를 중시했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중국인의 가정을 통해 조상에 대한 제사활동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조산지역을 통해 여전히 시행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고, 또한 과거의 왕성했던 모습을 점차 회복해가는 추세이다. 역시 潮汕文化의 한 부분이라 간주하기에 충분하다. 한국인의 제사활동은 종류도 많고, 의식이 번쇄하며, 보편성이 강하다. 한편 조산인의 제사는 宗祠에서 행해지는 宗祭 위주이고, 부분 가정을 통해 忌日祭도 발견된다. 전체적으로 한국인에 비해 종류도 적고 儀節도 상당히 간략한 형태이다. 양쪽이 모두 유가사상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서 체계와 의미 면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역사적ㆍ사회적 원인으로 인해 한국인이 비교적 완전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데 반해 조산인은 상당히 간소화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양쪽의 형태에는 각기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인은 조산인을 통해 儀節의 시대에 따른 변화양상을 전망할 수 있고, 조산인은 한국인을 통해 回顧와 自省의 기회를 갖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융합학문논문 : 중국 객가인(客家人)의 사당(祠堂)에 반영된 관음(觀音)신앙

        문지성 ( Jee Sung Moo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2

        중국의 14억 인구는 다시 56개 민족으로 분류되고, 그 95%이상이 한족(漢 族)이다. 한족의 문화는 다시 중원(中原)문화ㆍ제로(齊魯)문화ㆍ형초(荊楚) 문화ㆍ파촉(巴蜀)문화ㆍ오월(吳越)문화ㆍ민대(민臺)문화ㆍ영남(嶺南)문화 등 8대 권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영남문화는 다시 객가(客家)문화ㆍ광부 (廣府)문화ㆍ조산(潮汕)문화 등 여러 개의 권역으로 세분된다. 본 연구는 그 중 하나인 객가인을 선택해 그들의 문화형태에 대해 탐구하는 내용이다. 객가인은 긴 중국역사 속에서 중원의 고향을 떠나 장기간 유랑하다가 남 부의 새롭고 낮선 곳에 정착한 사람들이다. 새로운 정착지를 정하면 환난(患 難)을 피하고 안정과 복록(福祿)을 바라는 마음이 간절할 수밖에 없다. 따라 서 그들의 신앙은 대단히 복잡하고 다양하다. 하지만 그들이 무엇보다도 중 시하고 정성을 드리는 사당을 통해 단지 3가지 항목만 발견할 수 있다. 즉 조당(祖堂)으로 대표되는 유교적 조상숭배 관념, 토지공사(土地公社)로 대표 되는 도교적 토지신숭배 관념, 그리고 관음각으로 대표되는 불교적 관음신앙이다. 객가인의 관음신앙은 보타산의 관음성지로부터 전파되었다. 보타산의 관음신앙은 해양의 험난한 환경 속에서 수시로 겪게 되는 예측불허의 재난들 로부터 보호해주는 주체로서 관음보살의 자비이념을 형성했다. 해양문화적 성격, 현실구복(現實求福)적 성격을 반영하면서, 전통 불교교리 속의 ‘인과 응보(因果應報)’, ‘발원역행(發願力行)’을 통해 구현되는 자비와는 개념이 다르다. 바로 어머니가 어린 자식을 대하는 ‘무조건적이고 무한한 사랑이자 비호’이다. 결국 자애로운 어머니 모습의 여성적 관음의 형상을 수립했고, 명칭 또한 ‘보살’이 아닌 ‘낭낭[어머니]’로 바뀌게 되었다. 거친 환경에서 살 아가는 민중들에 의해 형성된 ‘중국적’ 관음신앙이 고난을 극복하고 험난한 환경에 정착한 객가인에게 동병상련(同病相憐) 설득력을 발휘했던 것이다. 中國的將近十四億人口,分類于五十六個民族,其中百分之九十五以上屬 于漢族。漢族文化一般分于中原文化,齊魯文化,荊楚文化,巴蜀文化,吳 越文化,嶺南文化等八種,而嶺南文化再細分以客家文化,廣府文化,潮汕 文化等, 本論文卽探討客家文化的內容。 客家人本是中原漢族,而在長久的中國歷史風波中,離開故鄕,經歷苦 難,遂到南部地區定居的;他們艱苦地建設了新的家園,就希望不再팽面患 難,而平平安安過日子,故建造了堅固而尨大,有利于防備外侵的大型住 宅。通過他們住宅裏的祠堂布置中,可以發現3種核心信仰:以祖堂所反映 的儒家祖先崇拜,以土地公社所反映的土地神崇拜,以觀音閣所反映的佛敎 觀音崇拜。 客家人的觀音崇拜,來源于浙江省周山島普陀山的觀音信仰;以慈悲理念 爲核心的普陀山觀音信仰,雖然受到佛敎原本理念的影響,但獨自樹立而形 成的成分也흔大,故其所呈現的慈悲與以 ‘因果應報’, ‘發願力行’等爲做前 提的原本理念有所不同,則以母親對待赤孩的 ‘無由而不渴的賜愛和庇護’;遂 把從前的 ‘觀音菩薩’ 稱號, 也改成爲 ‘觀音娘娘’。如此觀音信仰的內涵,則 當地以海洋還境爲舞臺而生活的商人和漁民等,經常팽到無能爲力的災難,不可豫測的苦厄,故援以佛敎的觀音菩薩願力,寄託自我的祈願,遂形成了 獨特的一種信仰形態。客家人也經歷過多次患難,處境不安,故借以普陀山 所形成的觀音信仰,寄託了祈安求福的心情。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