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나다사업회사법에 있는 차등의결권주식 및 캐나다 차등의결권주식의 상장

        문준우 한국경영법률학회 2018 經營法律 Vol.28 No.3

        캐나다에서, 차등의결권주식 구조를 이용하는 회사들의 비율은 20% 이상이다.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차등의결권주식으로 통합한 것이 발표되면 주가가 8% 상승한다. 차등의결권주식 발행의 가장 큰 장점은 경영진이 단기이익을 추구하는 것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나서, 장기적인 성장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정관에 다른 정함이 없는 한, 주식회사의 각 주식은 주주에게 주주총회에서 1의결권을 행사할 권리를 준다(캐나다사업회사법 제140조 제1항). 따라서 주식회사는 정관의 정함에 의하여 다양한 의결권을 갖는 복수의결권주식을 자유롭게 발행할 수 있다. 정관의 정함이 있으면, 어떤 종류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에게 이 종류의 주식들이 최초로 배정되지 않으면 이 종류의 주식이 발행되면 안되고, 그리고 이러한 주주들은 이러한 주식들이 다른 자들에게 배정되는 가액과 조건으로, 이 종류의 주식보유비율에 따라 배정된 주식을 취득할 신주인수권을 갖는다(캐나다사업회사법 제28조 제1항). 따라서 예를 들어, 정관의 정함이 있으면 주식회사는 Class B 보통주(1주당 10의결권인 보통주)를 추가로 발행할 수 있고, 이 종류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는 이 주식을 이 주식보유비율에 따라 배정받을 수 있는 신주인수권이 있을 것이다. 제34조 제2항과 주식회사의 정관에 따르면, 주식회사는 자기주식을 취득할 수 있다(캐나다사업회사법 제34조 제1항). 따라서 주식회사는 제34조 제2항과 정관의 정함이 있으면, 차등의결권인 자기주식을 취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제34조 제2항 또는 제35조 제3항에도 불구하고, 주식회사는 정관에서 정해진 가액으로 또는 정관에서 정해진 공식에 따라 계산된 상환가액을 초과하지 않는 가액으로 그 주식회사가 발행한 상환주식을 상환할 수 있다(캐나다사업회사법 제36조 제1항). 차등의결권주식을 상환할 수 없게 한 내용이 보이지 않으므로, 어떠한 종류의 차등의결권주식이라도 위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면 상환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토론토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회사들의 20-25% 정도는 차등의결권주식 구조 또는 특별한 의결권을 이용한다. 상장된 발행자의 의결권이 있는 상장된 종류의 증권의 의결권보다 의결권이 많은 증권의 발행이 상장된 발행자의 의결권이 있는 증권의 모든 보유자에게 그 보유비율에 따라 배정되지 않으면, TSX는 위 발행을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TSX Company Manual 624(m)). 즉, 상장된 발행자가 복수의결권주식을 발행하려면, 의결권이 있는 모든 증권보유자에게 그 보유비율에 따라 복수의결권주식을 배정하여야 된다. 토론토증권거래소는 신규 상장된 모든 차등의결주식 발행자에게 “코트테일” 규정을 요구하고 있다. 코트테일 규정은 기업인수 또는 공개매수 시에 열후주의 보유자가 복수의결권주의 보유자와 동등한 보상을 받는 것을 확실히 함으로써, 열후주의 주주를 보호한다. TSX Company Manual은 차등의결권주식 구조에 관한 다양한 공시요건을 포함하는데, 이 공시요건을 통하여 투자자들은 발행자의 다양한 증권에 부착된 의결권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야 된다. Proponents of dual class share structures argue that dual classes allow the corporation’s management to focus on the long term success and profitability of the corporation. Further, dual classes may encourage entrepreneur controlled companies to access public capital markets and provide investors the opportunity to purchase shares in companies that they otherwise would not be able to purchase. Pursuant to section 24(3) of the Canada Business Corporations Act(CBCA), when a corporation has only one class of shares, the rights of the holders of those shares are equal in all respects and include the right to vote at any meeting of shareholders of the corporation; to receive any dividend declared by the corporation; and to receive the remaining property of the corporation on dissolution. But Canadian law and practice allow companies to freely issue multiple classes of shares with different voting rights. Unless the articles otherwise provide, each share of a corporation entitles the holder thereof to one vote at a meeting of shareholders(CBCA 140(1)). The TSX Company Manual 624(m) is intended to prevent transactions which would reduce the voting power of existing security holders through the use of securities carrying multiple voting rights. Since 1987, the TSX has required “coattail” provisions for all newly-listed dual class share issuers. The coattails required “any takeover bid made to the holders of multiple voting shares be extended, on identical terms, to the holders of subordinate voting shares.” But existing dual class share companies were grandfathered. Over time, the number of such “grandfathered” issuers without coattails has declined. The TSX Company Manual also contains various disclosure requirements regarding dual class share structures which are designed to “alert investors of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voting powers attached to the different securities of an issuer”.

      • KCI등재

        외국의 복수의결권주식과 부분의 결권주식

        문준우 한국경영법률학회 2015 經營法律 Vol.25 No.4

        In foreign countries, Multiple share and fractional share are permitted through the corporation law or the regulations of listed company. Especially, a dual class share of America is admitted through the corporation law and LISTED COMPANY MANUAL of NYSE. It is much issued. For example, googleㆍfacebookㆍFord Motor CompanyㆍBerkshire HathawayㆍZyngaㆍGroupon issued a multiple share. Also, the corporation of non-U.S. listed a multiple share on NYSE. For example, alibaba, Manchester United listed a dual class share on NYSE. In Korea, the corporation can not use a multiple share and fractional share. Therefore, the corporation has difficulty in keeping the control of a company. I think that venture company, medium and small firm, mid-sized firm must issue a multiple share and fractional share.

      • KCI등재

        혼합형 기업결합의 일반내용, 사례 및 관련 규정의 검토

        문준우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가천법학 Vol.7 No.3

        2013년 기업결합 건수는 총 585건으로 평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런데 외국 기업 간 기업결합이 증가해서, 기업결합 금액은 165.2조 원으로 2012년에 비해서도 증가했다. 기업결합의 방법은 주식취득(218건, 37.3%), 합병(157건, 26.8%), 합작회사설립(95건, 16.2%), 임원겸임(61건, 10.4%), 영업양수(54건, 9.3%)의 순이었다. 기업결합의 방법은 혼합형 기업결합(333건, 56.9%), 수평형 기업결합(196건, 33.5%), 수직형 기업결합(56건, 9.6%)의 순이었다.혼합형 기업결합이 수평·수직형 기업결합보다 훨씬 많이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기업들이 혼합형 기업결합을 하여 사업다각화를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새로운 사업에 진출함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혼합형 기업결합이 가장 많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혼합형 기업결합의 경쟁제한성이 문제시되어서 규제된 사례는 하이트-진로 간 기업결합, 에스케이(SK) 텔레콤-하나로 텔레콤 간 기업결합 두 건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혼합형 기업결합이 수평형 또는 수직형 기업결합에 비해 경쟁제한 폐해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를 덜 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혼합형 기업결합은 수평형 또는 수직형 기업결합에 비하여 관심을 덜 받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거나 새로운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혼합형 기업결합을 하는 사례가 앞으로도 많을 것이기 때문에, 혼합형 기업결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이에 본 논문은 기업결합 통계 등을 포함한 기업결합 개관, 혼합형 기업결합 심사기준, 혼합형 기업결합 사례 등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혼합형) 기업결합 관련 규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을 통하여 (혼합형) 기업결합 관련 규정이 정비가 잘 될 것을 기대해본다. 관련 규정이 명확하고, 구체적이어야 공정거래위원회가 경쟁을 제한하는 혼합형 기업결합을 규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공정한 거래질서가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ethods of Merger are as below(Article 7 of monopoly regulations and fair trade law). 1. The acquisition or ownership of stocks of other companies; 2. The concurrent holding of an executive’s position in another company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current holding of an executive's position”) by an executive or employee (referring to a person who continues to be engaged in the affairs of the company, but is not an executive; hereinafter the same shall apply); 3. A merger with other companies; 4. An acquisition by transfer, lease or acceptance by mandate of the whole or main part of a business of another company, or the acquisition by transfer of the whole or main part of fixed assets used for the business of another company; 5.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company: Provided, That this shall not apply to any of the following cases: (a) Where a person, other than persons with special interests (excluding those determined by Presidential Decree) does not participate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company; (b) Where a person participates in the establishment of a company by division under Article 530-2 (1) of the Commercial Act. Because competition restrictiveness of the conglomerate merger is rare,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don’t little regulate the conglomerate merger. But the conglomerate merger can exclude competitors, hinder potential competition, increase barriers to entry. Therefore in these cases,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regulates the conglomerate merger.

      • KCI등재

        공기업의 근로자이사 관련 법제에 대한 검토

        문준우 한국경제법학회 2022 경제법연구 Vol.21 No.2

        1. According to the article 2, paragraph 2 of the Public Institutions Operation Act, in cases where there are other matters related to the moving of workers, public enterprise is subject to the Public Institution Operation Act, not the public enterprise-related laws. 2. Part-time workers and fixed-term workers wh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Public Institutions Operation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may be appointed as worker directors. Dispatched workers will not be able to be appointed as workers’ directors because they are ‘not workers belonging to the relevant institution’. Even an ‘worker on leave of absence’ may be appointed as a worker’s director. However, since they are ‘affiliated with the relevant institution’, a retired worker cannot be appointed as a worker director even if he/she has been in office for more than three years. 3. Since a worker director is a worker engaged in regular work, worker directors in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ct should be defined as ‘standing dire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Public Institution Operation Act, if a worker director is to be listed as a non-standing director, it would be necessary to prevent an worker appointed as a worker director from engaging in regular work at the relevant institution. In this case, it would be better to pay more than the worker's wages to the worker directors who are unable to engage in regular work, since they may not receive wages. There is no provision for remuneration standards for non-standing directors of public enterprises in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ct.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worker directors are non-standing directors, and these worker directors can receive wages while continuing to provide work. Therefore, it would be good to establish new remuneration standards for non-standing directors in article 33(1) of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ct. 4. Although a worker director can satisfy most of the requirements of article 19, paragraph 1 and article 11, paragraph 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ublic Institutions Operation Act, as a worker director is a worker, the worker is considered a ‘neutral’ in article 19 paragraph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ublic Institutions Operation Act. It will not be able to meet the requirements of ‘people’. Therefore, a worker director should not be a senior non-standing director. 5. Considering the contents and purpose of article 29(2) and (3) of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ct, since workers are not included in the ‘non-standing directors’ in the proviso to article 29(3) of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ct, a worker director does not become a member. 6. Since a worker director is both a worker and a director, he/she cannot be a ‘worker’s member’ who represents the worker and an ‘employer’s member’ who represents the employer. Since a worker director is both a worker and a director, he/she cannot be a ‘grievance committee’ representing labor and management. Since a worker director is both a worker and a director, he cannot be a ‘worker’s member’ representing workers and an ‘worker’s member’ representing the employer in the economic, social and labor committee. Since a worker director is both a worker and a director, he/she cannot serve as a ‘worker’s member’ representing the worker or ‘employer’s member’ representing the employer in the labor relations committee. 7. A worker director may be ‘a person who acts for the employer with respect to matters pertaining to the workers of the business’, or may be a ‘person who always acts on behalf of the employer’s interests’. If the participation of an employer or a person who always acts on behalf of his or her interests is allowed, it is not considered a labor union. 8. Since all directors, including worker directors, have the authority as directors according to the Act and the Commercial Act, etc., art... 다음은 이 논문의 법적 쟁점들을 요약한 것이다. 1. 공공기관운영법 제2조 제2항에 따르면, 근로자이사 관련 다른 내용이 있는 경우에, 공기업은 공기업 관련 법률이 아니라, 공공기관운영법의 적용을 받는다. 2. 공공기관운영법과 동법 시행령 등의 요건을 갖춘 단시간근로자와 기간제근로자가 근로자이사로 선임될 수 있다. 파견근로자가 ‘해당 기관 소속 근로자가 아니므로’, 근로자이사로 선임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퇴직한 근로자는 ‘해당 기관 소속’ 근로자가 아니므로, 3년 이상 재직하였더라도 근로자이사로 선임될 수 없다. 3. 근로자이사는 상시적인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이므로, 공공기관운영법에 있는 근로자이사를 ‘상임이사’라고 규정하여야 될 것이다. 한편, 공공기관운영법에서, 근로자이사를 비상임이사로 기재하려면, 근로자이사로 선임된 근로자가 해당 기관에서 상시적인 업무에 종사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될 것이다. 위와 같이 되면, 상시적인 업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근로자이사가 임금을 받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근로자이사에게 근로자 임금 이상의 보수를 지급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공공기관운영법에 공기업의 비상임이사의 보수기준에 대한 규정이 없다. 이는 근로자이사가 비상임이사이고, 이러한 근로자이사가 근로를 계속 제공하면서 임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공공기관운영법 제33조 제1항에 비상임이사의 보수기준을 신설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4. 근로자이사가 공공기관운영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과 제11조 제2항의 요건 대부분을 충족시킬 수 있지만, 근로자이사가 근로자이므로, 근로자는 공공기관운영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에서의 ‘중립적인 사람’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근로자이사를 선임비상임이사로 하면 안 될 것이다. 5. 공공기관운영법 제29조 제2항과 제3항의 내용과 그 취지를 살펴볼 때, 공공기관운영법 제29조 제3항 단서에 있는 ‘비상임이사’에 근로자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근로자이사가 위원이 되지 않을 것이다. 생각건대 “노동이사는 법 제29조 제3항 본문에 따라 임원추천위원회의 위원이 될 수 없다.”를 행정규칙인 공기업ㆍ준정부기관의 경영에 관한 지침에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기관운영법에 규정하는 것이 법적으로 더 명확하고, 안정될 수 있을 것이다. 6. 근로자이사는 근로자이면서, 동시에 이사이므로 근로자를 대표하는 ‘근로자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사용자위원’을 할 수 없다. 근로자이사는 근로자이면서, 동시에 이사이므로 노사를 대표하는 ‘고충처리위원’이 될 수 없다. 근로자이사는 근로자이면서, 동시에 이사이므로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근로자를 대표하는 ‘근로자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사용자위원’이 될 수 없다. 근로자이사는 근로자이면서, 동시에 이사이므로 노동위원회에서, 근로자를 대표하는 ‘근로자위원’과 사용자를 대표하는 ‘사용자위원’을 할 수 없다. 7. 근로자이사가 '그 사업의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가 될 수 있고, 또는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항상 그의 이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의 참가를 허용하는 경우에는 노동조합으로 보지 아니한다(노동조합법 제2조 제4호 단서 가목 참조). 8. 공기업ㆍ준정부기관의 경영...

      • KCI등재

        존립기간의 만료로 해산된 합자회사의 계속 관련 판결・법조문에 대한 해석론 또는 그 개선방안

        문준우 은행법학회 2020 은행법연구 Vol.13 No.1

        A LIMITED PARTNERSHIP COMPANY shall be dissolved for the expiry of the period of existence, or any other reasons prescribed by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COMMERCIAL ACT subparagraphs 1 of Article 227, 269). 'Occurrence of reasons established by other articles of incorporation' may be problematic because it is comprehensive and abstract unlike other specific causes of dissolution of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for example, depending on what is written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he system of dissolution of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 is malicious can be used as). Therefore, instead of eliminating the 'occurrence of reasons prescribed by other articles of incorpor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ecific conditions applicable to the 'occurrence of reasons prescribed by other articles of incorporation' in the COMMERCIAL ACT's Enforcement Decree. There are two unlimited liability members in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 One infinitely responsible member has lost the power to execute the task. However, another infinite liability member died, and it seems that the heir did not establish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hat he could succeed to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s rights and obligations to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 and become an member. In this case, it is advisable to establish a new law in the Commercial Act so that the inherited member's rights and duties are died by the resolution of a LIMITED PARTNERSHIP COMPANY's members. Even if the Article 278 of the COMMERCIAL ACT is interpreted as an arbitrary rule, the Article 278 of the COMMERCIAL ACT of “The limited liability member cannot perform the business of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 However, a limited liability member may perform the business of a LIMITED PARTNERSHIP COMPANY by a valid resolution of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or the member.” The limited liability member will be able to make the execution of the law legally clearer. (ⅰ) In order to enable competent and transparent limited liability members of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 to act as representatives of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 (ii) the author argued that limited liability members of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 can perform the work. In the case of not establishing a business executive by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each member represents the company(COMMERCIAL ACT Article 207, Article 269). Therefore, if a business executive who is a limited liability member is defined as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he limited liability member is the sole representative of a LIMITED PARTNERSHIP COMPANY. (ⅲ) In the event that the sole limitless member's execution authority is lost, it would be better to make the limited liability member a representative of the LIMITED PARTNERSHIP COMPANY by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or member's effective resolution. It would be nice to be able to do this representation. Although i think that the Article 278 of the COMMERCIAL ACT can be interpreted as an arbitrary rule, the Article 278 of the COMMERCIAL ACT can be interpreted as “limited liability members cannot act as representatives of a LIMITED PARTNERSHIP COMPANY. However, it would be good to think of the revision as “a limited liability member can act as a representative of a LIMITED PARTNERSHIP COMPANY” by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or member's effective resolution. 1. 합자회사는 ‘존립기간의 만료 기타 정관으로 정한 사유의 발생’으로 인하여 해산한다(상법 제227조 제1호, 제269조). ‘기타 정관으로 정한 사유의 발생’은 합자회사의 다른 구체적인 해산원인과 다르게 포괄적・추상적이어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기타 정관으로 정한 사유의 발생’을 없애는 대신에, ‘기타 정관으로 정한 사유의 발생’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조건을 상법이 상법 시행령에 위임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상법 제229조 제1항에, 언제까지 동의하지 않은 사원을 퇴사한 것으로 봐야 되는지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위와 같이 언제 퇴사한 것으로 봐야 되는 기준이 없으면, 법적으로 불확실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법 제229조 제1항에 (ⅰ) 사원이 언제까지 동의하여야 되는지, (ⅱ) 언제까지 동의하지 않은 사원은 퇴사한 것으로 봐야 되는지가 포함되면, 법적 기준이 확실해질 것이다. 3. 합자회사에 2인의 무한책임사원이 있다. 1인의 무한책임사원은 업무집행권한이 상실된 상태이다. 그런데 다른 1인의 무한책임사원이 사망하였는데, 그 상속인이 회사에 대한 피상속인의 권리의무를 승계하여 사원이 될 수 있음을 정관에 정하지 않은 경우에, ‘합자회사의 사원의 결의에 의하여 사망한 무한책임사원의 권리의무를 피상속인이 승계할 수 있도록’ 상법에 신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본다. 4.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상법 제278조 전단을 임의규정으로 봐야 될 것이다. 첫째, 합자회사의 내부관계에 관하여는 정관 또는 본법에 다른 규정이 없으면 조합에 관한 민법의 규정을 준용한다(상법 제195조, 제269조). 따라서 합자회사의 정관에 유한책임사원이 업무집행을 할 수 있다고 기재하면, 유한책임사원이 업무집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원고(상고인)의 경우와 같이, 1인 뿐인 무한책임사원의 업무집행권한이 상실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상법 제278조 전단을 임의규정으로 해석해서, 정관의 정함에 의하여 또는 사원의 유효한 결의에 의하여 유한책임사원이 업무집행을 할 수 있게 하여야 될 것이다. 셋째, 상법 제278조 전단을 임의규정으로 봄으로써, 정관의 정함에 의하여 또는 사원의 유효한 결의에 의하여 유능하고 투명한 유한책임사원이 업무집행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넷째, 합자회사의 무한책임사원은 ‘정관에 다른 규정이 없는 때’에는 각자가 회사의 업무를 집행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상법 제273조). ‘정관에 다른 규정이 없는 때’가 어느 내용까지 포함할 수 있는가? ‘위 정관의 내용’에 (ⅰ) 모든 무한책임사원의 수인이 공동으로 업무를 집행할 수 있고(상법 제202조, 제269조), (ⅱ) 모든 무한책임사원 중 1인 또는 수인이 각자 업무를 집행할 수 있고(상법 제201조, 제269조), (ⅲ) 무한책임사원이 업무를 집행할 수 없지만, 유한책임사원이 업무를 집행할 수 있다는 것이 포함될 것이다. 그런데 상법 제278조 전단을 임의규정으로 해석할지라도, 위 상법 제278조 전단을 “유한책임사원은 합자회사의 업무집행을 하지 못한다. 다만, 정관 또는 사원의 유효한 결의에 의하여 유한책임사원이 합자회사의 업무집행을 할 수 있다.”로 개정하는 것이 유한책임사원의 업무집행을 법적으로 확실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5. 다음과 같은 점들을 볼 때, 합자회사의 유한책임사원이 대표행위를 할 수 있게 하여야 될 것이다. 즉, 상법 ...

      • KCI등재

        차등의결권주식을 상법에 도입하여야 하는 이유 및 도입 방법

        문준우 한국상사법학회 2012 商事法硏究 Vol.31 No.2

        Chapter Ⅰ is about the definition and types of dual-class stock. Dual-class stock are the stock that voting rights are different. Dual-class stock are composed of multiple share, nonvoting share, fractional share, tenure voting, capped voting plan, scaled voting plan. Chapter Ⅱ includes dual-class stock of corporation law in the foreign countries(the U.S, EU(the U.K, the Germany, the France and so on), the Japan)). In Chapter Ⅲ, the writer addresses the reasons of introducing dual-class stock to corporate law. By issuing dual-class stock, the corporation can protect the management right, raise a capital, transparentize the corporate governance, enhance the business competition, and secure a strong stockholder. Chapter Ⅳ is about the demerits and remedies by issuing dual-class stock. Dual-class stock are contrary to one share one vote principle. Therefore dual-class stock can not be issued by articles. However, because dual-class stock hold the merits and remedies, we should introduce the dual-class stock to corporate law. In Chapter Ⅴ, the writer suggests some ways to introduce dual class shares to corporate law. They are about the issuance and transfer of dual-class stock, and finally protection of the shareholders. Chapter Ⅵ is the conclusion.

      • KCI등재

        개정 상법상 종류주식의 규정에 따른 각 유형에 관한 연구

        문준우 한국경영법률학회 2011 經營法律 Vol.22 No.1

        In the present commercial law, (ⅰ) non-voting shares are not exist as a separate class of shares; only when preference shares relating to profit distributions were issued could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determine that their shares were non-voting. (ⅱ) Shares were either voting or non-voting; there was no share with limited voting rights. (ⅲ) The right of conversion of convertible shares is only in the shareholder of convertible shares. But, according to the 2012 commercial law, (ⅰ) corporations may issue shares which differ in relation to the matters on which the shareholders can vote. there can be shares with no votes at all, as well as shares with a vote only on certain matters. (ⅱ) corporations may issue non-voting common shares. (ⅲ) corporations may issue redeemable common shares. (ⅳ) shares may be made convertible at the option of the shareholder of classes of shares of convertibility

      • KCI등재

        합자회사의 업무집행사원 및 대표사원 지위확인에 대한 검토 -대법원 2021. 7. 8. 선고 2018다225289 판결 등-

        문준우 한국상사판례학회 2022 상사판례연구 Vol.35 No.1

        1. 아래의 (ⅰ), (ⅱ), (ⅲ), (ⅳ)를 볼 때, 상법 제205조(합명회사의 업무집행사원의 권한상실선고)와 제216조(대표사원의 권한상실선고)가 별개의 규정이다. (ⅰ) 상법 제278조에서 합자회사의 유한책임사원의 ‘업무집행’과 ‘대표행위’를 구별하는 점, (ⅱ) 상법 제205조가 ‘상법 제3편(회사) 제2장(합명회사) 제2절(합명회사의 내부관계)’에 있고, 위 제2절에 포함된 상법 제201조가 ‘업무집행사원’에 대한 규정이고, 제200조가 ‘업무집행의 권리의무’이다. 상법 제216조가 ‘상법 제3편(회사) 제2장(합명회사) 제3절(합명회사의 외부관계)’에 있고, 위 제3절(합명회사의 외부관계)에 포함된 상법 제207조가 ‘회사대표’에 관한 규정이고, 제209조가 ‘대표사원의 권한’에 관한 규정이다. 즉, 합자회사가 준용하는 상법 제205조와 상법 제216조가 개별적인 규정이라는 점, (ⅲ) 상법 제207조 제3문에 의하면, 정관 또는 총사원의 동의로 업무집행사원 중에서 특히 회사를 대표할 자(즉, 무한책임사원이면서 합자회사를 대표할 자(대표사원))를 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업무집행사원과 대표사원이 별개의 존재이다. 2. (ⅰ) 합자회사의 유한책임사원이 업무집행사원 또는 대표사원에 대한 권한상실청구를 하지 못한다는 ‘상법 제3편(회사) 제3장(합자회사)’ 조문이 없다.”는 점, (ⅱ) 합자회사가 준용하는 상법 제3편(회사) 제2장(합명회사)에 있는 상법 제178조, 제180조 제2호, 제184조, 제185조, 제193조 제2항 등에, ‘사원’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이 ‘사원’에 유한책임사원이 포함되므로, 합자회사의 유한책임사원이 그 업무집행사원 또는 대표사원에 대한 권한상실청구를 할 수 있다. 3. (ⅰ) 합자회사(합자회사의 무한책임사원이 1인임)의 업무집행사원 또는 대표사원이 1인인 경우에, 법원이 그 업무집행사원 또는 대표사원의 권한상실선고를 못하는 지가 상법 제269조, 제205조, 제216조에 규정되어 있지 않다. 합자회사(합자회사의 무한책임사원이 1인임)의 업무집행사원이나 대표사원이 1인인 경우에도, 합자회사의 업무집행사원 또는 대표사원이 상법 제205조 또는 제216조를 위반하면, 법원이 업무집행권한 또는 대표권한의 상실을 선고할 수 있는 점, (ⅱ) 합자회사에 무한책임사원이 1인이라는 이유로(이 무한책임사원이 업무집행사원이고, 동시에 대표사원임), 상법 제205조와 제216조를 위반한 이 업무집행사원 및 대표사원의 권한이 상실되지 않으면, 합자회사ㆍ사원ㆍ채권자ㆍ근로자ㆍ택시승객을 포함한 소비자 등이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점, (ⅲ) 이 1인(무한책임사원)인 업무집행사원 겸 대표사원이 권한상실을 선고받을지라도, 총사원의 동의에 의하여 새로운 무한책임사원을 가입시킬 수 있고(새로운 무한책임사원이 업무집행사원이나 대표사원이 될 수 있음), 또한 유한책임사원이 무한책임사원으로 되게 할 수 있는 점을 볼 때, 무한책임사원이 1인 뿐인 합자회사의 업무집행사원 겸 대표사원이 상법 제205조 또는 제216조의 요건에 충족되면, 그 업무집행사원 또는 대표사원의 권한이 상실될 수 있게 하여야 될 것이다. 4. ‘무한책임사원이 2명(A, B)인 광주통상 합자회사(X)의 A가 업무집행권한상실을 선고하는 판결로 업무집행권 및 대표권을 상실한 이후에, B가 사망하였고, A가 X의 유일한 무한책임사원이 된 경우’를, 이하에서 ‘이러한 경우’라 한다. ‘이러한 경우’에, 대법원이 “A의 업무집행...

      • KCI등재

        장기주주를 육성·지원하기 위한 테뉴어 보팅(tenure voting)

        문준우 한국금융법학회 2015 金融法硏究 Vol.12 No.2

        Tenure voting is known as time-phased voting, time-weighted voting. It gives the long-term shareholder additional voting right and dividend. Many foreign countries can issue tenure voting. For example, these countries are U.S., France, Italy, Netherlands and so on. Corporations such as Lafarge·PSA Peugeot Citroën·LVMH·L'Oreal Group·Electricite de France·L'Air Liquide SA·Credit Agricole·ABN AMRO Holding·Unilever issue tenure voting. But Korea can not issue tenure voting because Korean commercial code 369(1) prohibit tenure voting. Korean commercial code 369(1) is that "Every shareholder shall have one vote for each share". Because tenure voting is able to reduce a harmful effect caused by short-term shareholder and promote long-term shareholder who see the company from a strategic and long-term point of view and have much merits, Korea will be enable corporation to issue tenure voting. 1. 2012년 144개국을 대상으로 평균적인 주식보유기간에 대한 세계은행(Worldbank)의 연구결과가 나왔는데, 우리나라가 8.6개월로 4번째로 짧았다.1) 싱가포르 27.9개월, 캐나다 19.7개월, 프랑스 18.2개월, 스웨덴 16.7개월, 영국 14.3개월, 일본 12.1개월, 미국 9.7개월이었고, 이탈리아가 7.2개월로2) 가장 짧았다. 우리나라 주주의 주식보유기간이 짧다는 것은 주주가 단기이익에 치중한다는 것을 말한다.3) 이러한 현상이 계속되면, 단기주주4)의 요구 때문에, 경영진은 장기적 관점의 경영을 하기 힘들어지므로 기업의 성장이 정체되거나 존속가능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5) 한국거래소 자료로 산출한 우리나라의 국내·외 기관주주의 주식보유기간(2010년 기준)은 연기금 1.23년, 외국인 1.14년, 보험사 0.15년, 은행 3.70년, 자산운용사 0.36년, 증권사 0.04년 등이다.6) 기관주주도 장기투자를 하지 않는 편이므로, 회사는 이러한 기관주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 단기실적을 내야 된다는 압박을 느낄 수 있다. 2.“단기주주와 경영진이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는 추구하지 않고, 분기 실적 향상에만 몰두하였기 때문에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되었다”라는 견해가 있는데,7) 타당하다고 본다. 미국의 금융회사는 단기이익을 얻기 위해서, 주택담보대출의 위험성을 여러 각도에서 면밀히 따져보지 않고, 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대량으로 판매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금융회사의 임·직원은 성과급을 받기 위해서 비우량 주택담보대출을 증권화한 파생금융상품(MBS)에 과도하게 투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초대상자산인 주택가격이 하락하고 대출자들이 실직하면서, 미국의 금융회사는 큰 손실을 봤다. 세계 5대 투자은행 중 베어 스턴스(Bear Stearns)와 리먼 브러더스(Lehman Brothers)가 파산하였고 메릴 린치(Merrill Lynch)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Bank of America)에 인수되었다.8) 미국 최대 보험회사인 AIG는 위와 같은 파생금융상품 투자 손실로9) 미국 정부로부터 구제금(구제금은 미국인들의 세금이다)을 받게 되었다. 미국 금융회사의 어려움은 미국의 금융회사에 투자한 유럽의 금융회사와 그리스·이탈리아 정부 등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짐으로써, 전세계 금융위기로 이어졌다. 3. 대체로, 단기주주인 투기성 외국자본은 과도한 구조조정을 요구하거나유상감자나 비정상적으로 높은 이익배당 등을 요구하는 등 기업의 성장잠재력을 저해하거나 국부를 유출하는 등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10) 예를 들어, 2004년에 SK의 주식 14.99%를 1,768억원에 매입한 소버린(Sovereign)은 2년 정도 동안 SK의 경영권을 흔든 뒤 8,000억원 정도의 매매차익을 실현하였고,11) SK는 소버린의 경영권 위협을 방어하는 중에 1조원가량의 자금이 지출되었다.12) 케이티앤지(KT&G)는 칼 아이칸의 요구를 거의 모두 받아들였지만(예를 들어, 2006년 2월에 칼 아이칸은 케이티앤지에 한국인삼공사를 상장하고 보유한 부동산을 매각해서 이익배당을 높이라고 요구하였음), 2006년 12월에 칼 아이칸은 1,500억원 정도의 매매차익을 거둔 후 케이티앤지 주식을 매도하였다.13) 물론, 헤지펀드로부터 공격당한 기업들이 주주를 전보다 더 보호·배려하는 쪽으로 되는 순기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어느 정도 견제를 당하는 기업은 주주 등의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고려하면서 기업을 경영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단기주주가 단기이익만을 추구하기 위해서, 기업의 경영이 위태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