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동반한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Intense Pulsed Light와 마이봄샘 압출 복합 치료의 임상적 효과

        문자영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icacy of combination treatment of intense pulsed light (IPL) and Meibomian gland expression (MGX) in patients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associated with Sjögren's syndrome. Methods: A study was conducted on 43 patients with MGD associated with Sjögren's syndrom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22 patients received IPL treatment with meibomian gland expression (IPL/MGX), and the other 21 patients received only MGX. Treatments were performed three times at a 3-week interval, and one more visit was made six weeks after the end of the treatment.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tear film breakup time with fluorescein dye (FBUT),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BUT), tear meniscus height (TMH), Schirmer test, SICCA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meibum quality score (MQS) & expression score (MES) were evaluated at every visit. Meibomian gland dropouts (meiboscore) and tear film lipid layer grade were also measured by keratography. Results: OSDI, FBUT, corneal surface staining score, MQS, meiboscore and tear film lipid layer grade were improved after treatment in IPL/MGX group (p<0.05). In both treatment groups, M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1, p<0.05). The schirmer test score, conjunctival surface staining score, and TMH after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After treatment, the IPL/MGX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OSDI, FBUT, corneal staining score, MQS and MES, and higher FBUT than the MGX group (p<0.05). Conclusions: IPL combination treatment with MGX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to improve tear film, ocular surface parameters and meibomian gland involvement scores in patients with Sjögren's syndrome accompanied by MGD. 목적 :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동반한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intense pulsed light (IPL) 복합치료의 임상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쇼그렌증후군 환자들 중 마이봄샘 기능장애가 동반된 43명을 IPL 치료와 마이봄샘 압출(meibomian gland expression, MGX)을 함께 시행받은 IPL/MGX 복합치료군(22명)과 MGX만 시행 받은 MGX 단독치료군(21명)으로 분류하였다. 치료는 3주 간격으로 총 3회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치료 종료 6주 후 한번 더 내원하였다. 내원 시마다 안구표면질환지수, 형광 및 비침습 눈물막파괴시간, 눈물띠 높이, 쉬르머검사, 안구표면염색점수, 마이봄샘 질 및 배출점수, 마이봄 점수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IPL/MGX 복합치료군에서는 추가적으로 눈물막지질층을 평가하였다. 결과 : IPL/MGX 복합치료군에서 안구표면질환지수, 형광 및 비침습 눈물막파괴점수, 각막표면염색점수, 마이봄 질 점수, 마이봄 점수와 눈물막 지질층 등급은 치료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 IPL/MGX 복합치료군과 MGX 단독치료군 모두에서 마이봄 배출 점수의 호전을 보였다(p<0.05). 결막표면염색점수, 쉬르머검사, 눈물띠 높이는 두 치료군 모두에서 치료 전과 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종료 후 IPL/MGX 복합치료군이 MGX 단독치료군에 비하여 안구표면질환지수, 각막염색점수, 마이봄 질 및 배출 점수는 유의하게 낮았고, 형광 눈물막파괴시간은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 :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동반한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IPL과 MGX 복합치료는 눈물막 및 안구표면지표의 개선뿐만 아니라 마이봄샘의 기능 호전에도 효과가 있다.

      • Effects of Tetramethylpyrazine on Microglia Activa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Spinal Cord Compression Injury of Rodents

        문자영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척수손상에서 염증반응과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 등이 관여하는 이차손상유발 기전이 척수손상 치료에 대한 약물개발의 목표가 된다. Tetramethylpyrazine (TMP)은 川芎 (Ligusticum wallichii, chuanxiong)의 주요 활성성분 중 하나로 척수손상에 대해 신경손상보호효능과 항염증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TMP의 염증억제효능이 척수손상에서 나타나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조절하는데 관여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잘 보고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TMP가 척수압박손상에서 미세아교세포 활성화와 염증유발 싸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위해서는 흰쥐에 static compression 방법 (35 g 무게, 5분)으로 척수압박손상을 유발하고, TMP는 척수압박손상 유발 후 48시간동안 3회 (30 mg/kg) 복강주사하였다. 염증유발 싸이토카인의 real-time PCR 측정을 위해서는 생쥐에 clip compression 방법 (30 g 압력, 1분)으로 척수압박손상을 유발하고, TMP는 척수압박손상 유발 30분전 1회 (30 mg/kg) 복강주사하였다. 그 결과, TMP는 흰쥐의 척수압박손상 유발 후 48시간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와 중성백혈구의 침윤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TMP는 생쥐의 척수압박손상 유발 후 4시간에서 TNF-α, IL-1β 및 COX-2 mRNA 발현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흰쥐에서 iNOS와 COX-2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TMP가 척수손상에서 미세아교세포 활성화를 조절하는 효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그러므로 척수의 이차손상을 보호하거나 지연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Secondary mechanisms, including inflammation and microglia activation, of the spinal cord injury (SCI) serve as a target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harmacological strategies. Tetramethylpyrazine (TMP), an active ingredient of Ligusticum wallichii (川芎, chuanxiong), has been shown anti-inflammator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SCI. However, it remains uncertain whether the inflammation-suppressive effects of TMP play a modulatory role to microglia activation in the SCI.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MP on microglia activa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spinal cord compression injury in rodents. For immunohistochemistry, SCI was subjected to rats by a static compression method (35 g weight, 5 mins) and TMP was treated 3 times (30 mg/kg, i.p.) during 48 hours after the SCI. For real-time PCR measurement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CI was subjected to mice by clip compression method (30 g force, 1 min) and TMP was treated once (30 mg/kg, i.p.) 30 minutes before the SCI. As a result, TMP significantly attenuated microglia activation and neutrophil infiltration at 48 hours after the SCI induction in rats. TMP also reduced up-regulation of TNF-α, IL-1β and COX-2 mRNA in the spinal tissue at 4 hours after the SCI induction in mice. In addition, iNOS and COX-2 expressions in the spinal tissue of rats were also attenuated with TMP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MP plays a modulatory role in microglia activation and may potentially delay or protect the secondary spinal injury.

      • 초등학교 ICT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과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자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활용이 확산되면서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 중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교육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ICT의 도입 및 효과적 적용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현행 학교 교육 체제에서의 ICT의 도입 및 적용에 대한 연구에만 초점을 두어, 학습자 측면의 제 특성에 대한 고려는 그 중요성에 대한 지적에도 불구하고(Kozma, 1994; Jonassen, 1999),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미 학교 현장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ICT 활용수업에서 고려해야 할 교수방식으로 교수자 통제 방식과 학습자 통제 방식을 설정하고, 이러한 수업통제방식에 따라 주요한 학습자 특성변인인 사전지식과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습자의 학업성취 및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한 세부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ICT 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2. 초등학교 ICT 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교수자 통제, 학습자 통제)과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수업통제방식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2. 사전지식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3.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4. 각 변인간의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초등학교 ICT 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교수자 통제, 학습자 통제)과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1. 수업통제방식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2. 사전지식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3.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4. 각 변인간의 상호작용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안양시내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3학년 2개 학급 6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2개 학급 각각에 교수자 통제방식과 학습자통제방식의 ICT 활용 수업을 2003년 9월 3일부터 2003년 10월 10일까지 총 8회 실시하였다. 교수자 통제 집단의 수업은 기존의 교실환경에서 진행되었으며, 학습자 통제 집단의 수업은 1인당 1PC 환경이 갖추어진 멀티미디어실에서 진행되었다. 학습을 이끌어나갈 ICT 활용 S/W는 현재 연구대상의 학교에서 실제 이용 중인 Edunet에서 제공하는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 ICT 활용 S/W를 활용하였으며, 학습진도에 맞게 3학년 2학기 첫 단원의 내용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교수자 통제 방식과 학습자 통제 방식 모두에 참여한 68명이었고, 질문지에 대한 응답 누락은 없었다. 연구의 절차는 수업 전에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총 8회에 걸쳐 교수자 통제 방식 및 학습자 통제 방식의 수업을 실시한 후, 성취도 검사 및 만족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첫째, 각 독립변인에 대한 집단간 평균 및 표준편차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주요 독립 변인인 수업통제방식과 사전지식의 상호작용, 수업통제방식과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과 이들 세 변인간의 상호작용이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1차 회귀분석(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 중, 사전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세 독립변인간의 상호작용 효과만 최종 분석에 포함시킨 후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업통제방식 각각의 주효과와 세 변인의 상호작용이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차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ICT 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 등의 독립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요처치변인인 수업통제방식은 그 어떤 변인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음이 밝혀졌다(p > .05). 한편, 사전지식이 높은 학습자가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도 높았으며, r(66) = .448, p < .01, 사전지식은 성취도와 가장 많은 상관을 갖는 반면에, r(66) = .569, p < .01,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성취도, r(66) = .382, p < .01, 보다 만족도, r(66) = .489, p < .01, 와 더 많은 상관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ICT 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교수자 통제, 학습자 통제)과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수업통제방식과 사전지식, 수업통제방식과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은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오직 세 변인의 상호작용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277, p < .05). 그러나 이 세 변인의 상호작용도 사전지식(β = .569, p < .05)과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β = .382, p < .05) 각각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상대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작다. 셋째, 초등학교 ICT 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교수자 통제, 학습자 통제)과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성취도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세 변인의 상호작용(β = .323, p < .05) 외에는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전지식(β = .569)인데 반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β = .489)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수업통제방식을 고려한 초등학교 ICT 활용수업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ICT 도입이 의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현장의 ICT 적용 및 활용에 있어 기존의 연구들의 초점이 되어 왔던 교사변인 및 컴퓨터 자체에 대한 수용가능성, 여타 환경에 있어 경제적, 기술적, 행정적 문제점에 대한 고려 외에도 컴퓨터를 수용하는 학습자의 개별특성과 관련한 여러 제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ICT 활용 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과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이 이들 중 어느 한 변인을 제거하는 것과 비교해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컴퓨터와 학습상황, 학습자의 특성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복합적인 고려가 없이 이루어지는 집합적인 ICT의 도입은 기대하는 학습효과를 가져오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prior knowledge, computer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an environment where ICT is applied to different instructional controls(instructor control, learner control). The idea which supports the rationale of this study could be drawn either from Jonassen(1999) or Kozma(1994) who emphasized the role of the learner itself for learning to take place in ICT environments. To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In learning environments where ICT is applied, 1. Do variances have any correlation between instructional control, prior knowledge and computer self-efficacy? 2. Does instructional control, prior knowledge, computer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achievement? 2-1. Does instructional control affect learning achievement? 2-2. Does prior knowledge affect learning achievement? 2-3. Does computer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achievement? 2-4. Does interaction of instructional control, prior knowledge, computer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achievement? 3. Does interaction of instructional control, prior knowledge, computer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3-1. Does instructional control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3-2. Does prior knowledge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3-3. Does computer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3-4. Does interaction of instructional control, prior knowledge, computer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The subjecs of this study were 68 students drawn from 3^(rd)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yungki. First of all, learner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instructor-controlled study group, and learner-controlled study group. Before they were put into treatment, prior knowledge and computer self-efficacy test were administered. Students were then put into classes where ICT was utilized as a main tool. After the learning programs, the achievement test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llowed for both intructor- contolled and student-contolled classes. Correlation analysis and 2 times of regression were used with the number of the units of meaning in order to analyz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prior knowledge and computer self-efficay, r(66) = .448, p < .01. Instructional control, the main treatment of this study, however, had no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any other variances(p > .05). Specially, Prior knowledge showed strongest interaction with achievement, r(66) = .569, p < .01, while computer self-efficacy showed strongest interaction with satisfaction, r(66) = .489, p < .01. Second,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rior knowledge and instructional control, and computer self-efficacy and instructional control. Instead, interaction of all three variances ha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achievement(β = .277, p < .05). However, this interaction was less effective than each variance- prior knowledge, computer self-efficacy that affect the achievement. Third, except interaction of all three variances(β = .323, p < .05).,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rior knowledge and instructional control, and computer self-efficacy and instructional control, as same as second result.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 interaction of various variances including instructional control, prior knowledge, and computer self-efficacy can affect the achievement or satisfaction. As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showed, there are various results according which variables are considered. Also, based upon these results, one may rightly argue that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must include alternative strategies in which the nature of the task is taken into account at different learner characteristics.

      • 자돈에서 포르말린-불활화된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bacterins의 ApxIA, ApxIIA, ApxIIIA의 각 N-terminal과 C-terminal 조합 백신의 효능 평가

        문자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자돈에서의 포르말린 불활화된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APP)와 ApxIA, ApxIIA and ApxIIIA 각각의 N–terminal, C-terminal 혼합 백신의 효능 및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 자돈 50마리를 5개 그룹으로 (각각 10마리) 나누고, A 그룹은 멸균 PBS, B 그룹은 포르말린 불활화된 APP만, C 그룹은 포르말린 불활화된 APP에 ApxIA, ApxIIA, ApxIIIA 각각의 N–terminal을 혼합, D 그룹은 포르말린 불활화된 APP에 ApxIA, ApxIIA, ApxIIIA 각각의 C–terminal을 혼합, E 그룹은 포르말린 불활화된 APP에 ApxIA, ApxIIA, ApxIIIA 각각의 N–terminal, C-terminal 전부 혼합한 백신으로 그룹별 모든 자돈 4주령(0주차), 6주령(2주차)에 근육 접종하였다. 백신 2차 접종 후 혈청으로 IgG ELISA를 측정, 농도를 비교 하였을때 A 그룹에 비하여 C, D, E 그룹에서 높은 결과가 나왔고, 8주령(4주차)에 APP 1형, 2형, 5형을 혼합하여 도전감염 했을 때 그룹 A와 B의 자돈의 50%가 임상 증상이 나타났고, C, D, E 그룹의 자돈에서는 10%가 임상증상이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자돈에서의 APP 백신으로 포르말린 불활화된 APP에 ApxIA, ApxIIA, ApxIIIA의 N–terminal, C-terminal 상관없이 혼합 하여 근육접종을 할 경우 좀 더 효율적으로 감염에 대해 방어할 수 있다.

      •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기반 문학교육

        문자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문학교육의 지향점은 문학을 수용, 생산하면서 내면화를 실천하고 작품에서 발견한 여러 가치들을 인간 보편의 삶 그리고 자신의 삶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의 문학교육은 작품의 의미해석에만 매진하여, 학습자들의 삶을 문학과 멀어지게 만들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텍스트성을 파악하고 학습자들이 느끼는 문화적 유희를 문학교육에 연계시키고자 하였다. 더불어 문학작품 안에서 가치 있는 문화 요소를 찾아 그것을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창조해내는 도전적 과제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제2의 교사이자 콘텐츠 생산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본고는 문화콘텐츠의 환경적 특성 및 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복합 양상을 고찰하여, ‘문학교육의 다이아몬드 모델’이라는 이상적인 문학교육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이 모델을 현실화하기 위해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텍스트 이해’,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접근’, ‘하이브리드적 융합과 콘텐츠 창작’ 과정을 거치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는 학습자들에게 텍스트 재해석 및 지식 창조의 권한을 양도함으로써, 문학교육이 문화 전반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궁극적으로 문학교육이 주입식 학습에서 발견학습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고, 학생들의 수렴적 사고가 발산적, 창의적 사고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문학은 변화된 매체 환경에 적응하여 이미 스스로 문화콘텐츠와의 경계 허물기를 진행하고 있다. 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는 이전보다 훨씬 빈번해졌고, 대중들은 작가가 창조한 텍스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 변주하면서 적극적인 생산소비자로 변모하고 있다. 이제 독자는 작가가 만든 텍스트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다. 작가와 비견되는 위치에서 더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주체적 존재이자, 콘텐츠 생산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능동적 존재이다. 그러므로 문학교육 역시 문학을 비롯한 문화 현장의 변화를 인정하고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를 공감의 관계이자 협력적 관계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문학의 진정한 매력과 가치를 일깨워주는 가능성의 장으로 재탄생하게 될 것이다. The orient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is to practice internalization while accepting, producing literature and connect several values found in works to universal human lives and their lives. However, striving only for the meaning interpretation of works, literature education of the reality makes the lives of learners far apart from literature. Thu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tertextuality between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s based on cultural contents familiar to learners and connect cultural amusement learners feel to literature education. In addition, by finding valuable cultural elements in literature works and presenting a challenging task creating them into new cultural contents, we showed the possibility that learners can grow as the second teacher or a contents producer. By examin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and convergence patterns of cultural contents and literature, this study designed an ideal literature education system, ‘Diamond Model of literature education.’ Also, in order to realize this model, we establish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Text understanding using intertextuality’, ‘Access via hypertext’, ‘Hybrid fusion and contents creation’ processes. Especially in this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literature education can go as far as to widen the spectrum of the overall culture by transferring the rights of text reinterpretation and knowledge creation to learners. Ultimately, this will become a chance of switching literature education from intrusive learning to discovery learning and be an opportunity that students’ convergent thinking jumps into divergent·creative thinking. Adapting to the changed media environment, literature is already proceeding to break down boundaries with cultural contents by itself. Th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s became much more frequent than before and the public is transformed into active production consumers while accepting and varying the text created by an author in a number of ways. Now a reader is not a passive being unilaterally accepting the text made by the author. He/she became an independent being providing a better idea in a position comparable to the author and active being actively involved in contents production. Therefore, literature education needs to recognize the change in the cultural field including literature and buil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s the relationship of empathy or relationship of cooperation. Based on this, literature education will be reborn as a venue of possibilities that remind learners of the true charm and value of literature.

      • 부산 지방 무형 문화재 제7호 후리소리 전승 보전과 창작화

        문자영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민속문화란 민중의 오랜 역사적 체험에 의한 슬기로 이루어 진 것이다. 그런데 오늘의 우리 사회는 서구화 일변도의 세파에 시달려 이처럼 소중한 민속문화가 왜곡되거나 급격한 변질의 과정을 겪어 왔다. 특히 부산지역은 가까운 거리에 바다가 있음으로 해서 어류와 그 밖의 해산물이 풍족하여 어로요(漁撈謠)가 일찌감치 발달되어 왔으나 한편으로 조선왕조 말기 대외무역의 전초기지로 외부인들의 왕래가 잦았으므로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그리고 1960년대 후반부터 어업권이 취소되고 후리망을 철수한 후 멸치 후리업마저 폐쇄되었다. 그러나 다행이도 십 수 년이 지난 1980년 초, 사라져가는 향토문화를 안타깝게 생각한 몇몇 사람들에 의해 다대포 후리소리의 복원이 시도되었고 그것을 연희로 재현하는데 성공하였으며 마침내 1987년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 7호로까지 지정받기에 이르렀다. 기계문명의 발달과 원시적인 노동 작업의 쇠퇴로 인하여 이와 관련된 많은 민요가 사라져 가고 있는 이 때에 다대포 후리소리와 같이 향토 고유의 정서를 간직하고 있는 소리가 원초적 놀이의 성격과 함께 그 원형이 보존, 전승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였다는 사실은 크나큰 행운임에 틀림없는 일이다. 하지만 이렇듯 참신하고 야심찬 모처럼 만의 의도가 현실적으로는 행정적 생색내기에 그치고 마는 경우가 비일비재 한 바, 다대포 후리소리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무엇보다도 1987년 부산 지방 문화재 지정 이후 이를 보존, 전승시키기 위한 재정적 지원은 그야말로 형식적인 면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본인의 이번 창작춤과 같은 인식재고의 장이 끊임없이 이어져 민․관의 의식변화를 꾀하고 또 다른 우리 문화의 발굴과 개발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座骨神經痛의 鍼灸治療에 關한 文獻的 考察

        문자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s & Methods : This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cupuncture on Sciatica through the literature of oriental medicine. We extracted the parts and acupuncture for sciatica from ancient and modern oriental medical literature. Results &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ciatica is caused by exogenous pathogenic factors(wind, cold, dampness, trauma, bad posture) and inter damage factors(deficiency of the kidney energy, congenital debility) 2. The symptom of Sciatica are pain, weakness and dysaesthesia the low back, hip and lower limb. 3. In the treatment of Sciatica, The Leg Greater Yang Bladder Meridian and The Leg Lesser Yang Gall Bladder Meridian of 12 meridians were mainly used and the Hwando(GB-30) of acupoint was most used in the acupuncture. 4. The acupoint used on acupuncture only were 95 acupoints. The acupoint used often were Hwando(GB-30), Yangnungch`on(GB-34), Wijung(BL-40), Kollyun(BL-60), P`ungshi(GB-31), Hyonjong(GB-39), Sungsan(BL-57), Chok-samni(ST-36)

      • Aging in Community를 위한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 계획지침 개발

        문자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최근 고령화 주거정책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Aging in Community(이하 AIC)’의 이념을 반영한 ‘시설중심 보호’에서 ‘지역사회 중심보호’로 전환하는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8년 지역사회통합돌봄(Community care)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지역사회 보호의 이념을 중심으로 한 노인주거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이는 노인들이 자신이 살던 지역에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주거·보건·의료·요양·돌봄 등이 통합적으로 확보되는 지역주도형 사회 서비스 정책을 의미한다. 고령자복지주택은 정부에서 저소득 고령자의 주거 안정 확보를 위해 2016년부터 공급되기 시작한 서비스형 공공임대주택으로, 독립된 생활공간과 돌봄 서비스를 위한 복지시설이 복합 설치되어 고령자의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초기단계이고, 아직까지 시설계획과 관련하여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며,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 및 수요자인 노인들의 실질적인 경험과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계획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AIC는 주거와 서비스가 결합된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을 통해 그 역할을 실현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고, 고령자의 지역사회 돌봄 지속성을 실현하고 미래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AIC를 위한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 계획지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의 이론적 배경을 확인하고, AIC 개념을 정립하여 본 계획지침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국내 관련 법·제도, 국내외 가이드라인 및 지침, 국내외 선행연구 등의 문헌분석을 통해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 AIC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실무자 조사를 실시하여 현장 요구사항을 보완 후 평가지표를 종합하였다. 셋째, 도출된 평가지표에 대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지표를 검증하여 최종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넷째, 도출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 AIC 현황분석과 사용자 심층조사를 실시하여 계획지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문헌분석과 현장분석에 근거하여 AIC의 물리, 사회·경제, 서비스 환경 계획지침과 공간별 계획지침을 최종 논의·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AIC를 위한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 계획지침은 물리적 환경, 사회·경제적 환경, 서비스 환경으로 구성되었다. 물리적 환경은 고령자의 건강한 삶을 지속할 수 있는 치유·예방적 관점과 고령친화 환경, 지역시설과의 접근성 등이 고려된 환경으로 접근성,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융통성의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사회·경제적 환경은 고령자들의 다양한 사회활동과 이웃주민과의 교류, 경제적 측면이 고려된 환경으로 사회참여성, 교류성, 공동체성, 경제친화성의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서비스 환경은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의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의 효과적인 운용 및 제공을 통해 지역 노인들의 자립적이고, 건강한 노후를 지원하는 환경으로 통합성, 개별성, 서비스 접근성, 전문성의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현장에서의 AIC 요구사항을 분석한 결과, 물리적 환경에서는 입지현황에 대한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복지시설의 접근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요소로 도출되었다. 특히, 이동성에 관한 요구사항 예를 들면, 인지 능력을 고려한 사인계획, 보행기구 크기를 고려한 이동통로 확보가 중요 요소로 도출되었다. 사회·경제적 환경에서는 소일거리를 통한 경제활동 참여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요소로 나타났고, 소외감과 외로움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 교류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확보가 중요요소로 도출되었다. 서비스 환경에서는 지역연계 및 정서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며, 이용 노인들의 수요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령자의 지역사회 돌봄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운영측면에서는 서비스 운영에 대한 인력 부족이 나타나 보완이 필요하였고, 서비스 대상의 범위와 서비스 제공에 대한 명확한 선제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었다. 셋째,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의 AIC 환경 평가 결과 서비스 환경, 물리적 환경, 사회·경제적 환경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친화성의 에너지절약 시스템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리비 및 운영비 절감효과와 관계되는 것으로 경제적 측면에서의 개선 방안이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또한, 교류성의 커뮤니티 공간 제공의 부족함이 나타나 실무자 조사 결과와 일치였으며, 커뮤니티를 위한 휴게 공간과 공동 공간 제공 등 커뮤니티 접근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물리적 환경에서는 치매와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노인들을 고려한 사인계획과 건강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건강친화 계획요소가 보완될 필요가 있음이 도출되었으며, 서비스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 제공과 서비스 공간 및 서비스 정보 접근성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AIC 심층조사 분석 결과 사회·경제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 사례조사 결과와 일치하였다. 사용자 조사에서는 공동체성이 가장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항목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공동체 프로그램과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이 도출되었다. 서비스 환경에서는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았으나, 현재 제공되는 건강 서비스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욕구에 따라가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었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의료 및 재가서비스 요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보다 수요자 맞춤형의 서비스 계획 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사용자 심층조사에서 노인들은 비교적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공간규모 협소에 따른 여가활동 및 커뮤니티 공간 부족, 건강·의료관련 서비스, 경제적 자립,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측면에서의 요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례조사와 사용자 조사를 통해 현재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 계획 시 집중개선 해야 할 항목을 도출한 결과, 사례현황을 통한 물리적 환경에서는 주로 편의성 항목에서 집중 개선 항목으로 도출되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상벨 설치, 비상상황 안내정보, 산책로, 다양한 프로그램 공간 구성이 집중개선 항목으로 도출 되어 차이가 있었다. 사례현황을 통한 사회·경제적 환경에서는 노년층의 자원봉사자 역할, 소규모 그룹 공간, 지역사회 공유 공간, 에너지절감 계획이 집중 개선 항목으로 도출되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공동체 프로그램, 교류 공간, 프로그램 정보 접근성에 대한 항목이 도출되어 차이가 있었다. 서비스 환경에서는 서비스 접근성에서 가장 많은 집중개선 요소가 도출 되었으며, 다양한 복지서비스 제공, 개별 건강 체크, 서비스 직원의 충분한 확보 등이 집중 개선 항목으로 도출되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서비스정보 접근성 항목이 도출되어 노인들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계획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논의하여 AIC를 위한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 계획지침을 제시하였다. 본 계획지침은 국내법·제도를 포함한 문헌분석, 실무자 조사, 전문가 조사, 사례조사, 사용자 조사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시하였고, 문헌중심과 현장중심 분석결과를 동시 논의하여 필수지침과 권장지침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우선순위 계획항목으로 도출된 사항은 계획 시 필수 고려요소 이면서, 집중 개선해야 하는 항목임을 명시 하여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계획지침의 구성은 물리, 사회·경제, 서비스 환경에 대한 계획지침과 공간별 계획지침으로 구성하였다. AIC 물리적 환경의 15개 지표, 160개 지침, AIC 사회·경제적 환경의 11개 지표, 59개 지침, AIC 서비스 환경의 10개 지표, 63개 지침의 총 36개 지표와 282개의 계획지침을 제시하였다. 공간별 계획지침은 서비스 기능에 따른 건강·재활 공간의 26개 지침, 사회교육 공간의 31개 지침, 생활편의 공간의 32개 지침, 사무·관리 공간의 11개 지침, 공용공간의 83개 지침의 총 183개의 계획지침을 제시하였으며, 부록에 수록하였다. 고령자의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위한 방안은 지역사회 돌봄을 전제로 논의되고 있으며,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은 고령자의 안전한 주거확보와 함께 지역사회 서비스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돌봄의 거점으로써 앞으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는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이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위한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주목하였고, 물리, 사회·경제, 서비스 환경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AIC 계획지침을 개발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초고령사회에 대응하여 고령자들이 지역사회 안에서 독립적이고 건강한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고령자복지주택 복지시설의 AIC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