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Bhagavdgītā에서 초월적인 행위의 실현(Naiṣkarmya-siddhi)에 대한 고찰

        문을식(Moon, Eul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4 No.-

        이 글에서는 BG에서 행위란 무엇이고, 어떤 행위가 있으며, 그 행위를 할 때 어떤 마음 자세를 해야 하고, 또 어떻게 하면 세속적인 행위를 초월할 수 있고, 그 초월적인 행위의 상태와 실현방법 등을 차례로 살펴본다. 행위는 세 속성들로 말미암아 시작되고 정신을 몸에 묶는다. 그런데 모든 존재는 한 순간도 행위를 하지 않고는 삶을 영위할 수 없고 몸도 지탱할 수 없다. 이것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본능적으로 행위를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행위는 행위를 하지 않는 것보다 뛰어나고, 또 자신의 종성에 정해진 행위가 다른 종성의 행위보다 비천하더라도 더 낫다. 그렇다고 아무런 행위나 권장하는 것이 아니다. 행위를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보다도 어떤 행위를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행위에는 ‘해서는 안 될 나쁜 행위’(vikarma)와 세속적으로 ‘권장하는 행위’(akarma)가 있다. ‘해서는 안 될 나쁜 행위’는 행위의 본성상 집착 없이는 할 수 없는 행위를 말하고, ‘권장하는 행위’는 행위를 하되 행위의 결과로부터 오는 얽매임이 없는 행위이다. ‘권장하는 행위’는 행위의 결과에 대한 단념이다. 포기는 행위의 동기로서 욕망에 의해 명령된 행위를 그만두는 것이다. 이 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초월적인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어떠한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지성(buddhi, 지혜)을 지니고 자신을 극복하고 바라는 바를 초월한 사람은 포기에 의해 최고의 초월적인 행위의 완성에 도달한다”(18.49)고 하는 데서 확인할 수 있다. BG.18.54에서 “브라흐만과 [하나가] 된 자는 자아에 만족하여 슬퍼하지도 않으며 기대하는 것도 없다. 그는 모든 존재에 대해 평등하며 나를 향한 최고의 신애를 얻는다”1)라고 말하듯이, 초월적인 행위가 실현되면 절대자 브라흐만과 하나가 된다고 볼 수 있다.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d what do we mean act ion/work(karma), what are kinds of action, when we act the action how to act, and how can transcends action? An action is to caused from three qualities(trigunas), these bind our spirit to body. However no one can remain even for a moment without doing work. every one is made to act helplessly by impulses born of nature. Do you perform work as something necessary and unavoidable. Work, indeed, is superior to what is other than work(i.e., meditation or jñāna yoga). Even the subsistence of the body would become unsuccessful with you remaining without doing work. It is important to act, but to act what’s kinds of action is the better important. The actions are vikarma and akarma. Vikarma can’t act without attachments naturally. Akarma is to having abandon ed attachment to fruit of the actions/works(karmas). It is an abandonment(tyāga). It is renunciation(saṅnyāsa) which give up bad [and good] desires as cause or motive of all actions. The state transcending all work(naiṣkarmya) have no desires, with heart and self under control, giving up all posse ssions with having abandoned attachment to fruit of the actions/works(karmas). Naiṣkarmya is the state transcending all work. It is not a complete withdrawal from all work. Such aquietism is not possible so long as we live in the body. BG insists on inner renunciation. A the ego and nature are akin, the liberated soul becoming Brahman, the Pure Self described as silent, calm, inactive, acts in the world of prakṛti, know ing what the latter is. The highest state is not positively asentering into the Lord but negatively as freedom from desire. The supreme state transcending all work is “he whoseunderstanding is unattached everywhere, who has subdued his self and from whom desire has fled - he becomes through renunciation to the supreme state transcending all work”(BG.18.49). This perfection of the supreme consummation is to attain to the Brahman(BG.18.50). This is supreme consummation of wisdom in the Bhagavdgītā.

      • KCI등재후보

        『요가경』과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신통력 수행체계 연구

        문을식(Moon Eul sik) 한국요가학회 2018 요가학연구 Vol.- No.20

        본 논문의 주제는 『요가경』과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신통력 수행체계 비교분석이다. 이에 따라 『요가경』과 『유가사지론』에서 신통력 수행체계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요가경』의 신통력 수행체계에서 윤리적 수행의 금계와 권계의 두 지분과, 신체적 생리적 수행의 좌법, 호흡 수련법 그리고 감각철회의 세 지분은 준비수행이라면, 심리적 수행으로서 상야마 수행의 정신집중, 명상, 삼매의 세 지분은 본수행에 해당한다. 준비수행은 신통력을 얻는 간접적인 원인이라면, 본수행은 그것의 직접적인 원인이다. 따라서 신통력을 얻는 직접적인 원인은 상야마 수행이다. 상야마 수행이란 각 대상에 상야마를 행하면 그 결과로 30여 가지 신통한 지혜가 발생한다. 그 가운데서 『유가사지론』의 세간도의 신통력에 견주어 보기 위해서 『요가경』에서도 5신통력을 좀 더 자세하게 논의하였다. 그 결과 명시적으로는 아닐지라도 그것에 상응하는 5신통력을 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가사지론』에서 5신통력 수행체계는 성문지의 세간도 수행에서 찾을 수 있었다. 수행과정은 5정심관 ⇒ 4념처를 닦아 작의를 얻는 예비수행을 마친 뒤 본수행에 들어간다. 본수행은 7종작의 ⇒ 색계의 4선정과 무색계의 4선정 ⇒ 작의와 함께 12가지 생각수행을 닦으면 그때 5신통력이 발현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7종 작의와 함께 수행하는 12생각수행은 『요가경』의 상야마 수행에 상당한 신통력을 얻는 데에 직접적인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요가경』과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신통력의 수행체계는 총론에서는 같거나 비슷한 점이 많이 보이지만 각론에서는 꽤 많은 부분에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이유는 두 체계가 수행구조의 근본적으로 다름으로 그 내용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system of the abhijñā/siddhi(神通力) which is shown in Yoga-Sūtra and Yogācārabhūmi-Śāstra(瑜伽師地論). Therefore, we analyzed and divided the power performance system in Yoga-Sūtra and Yogācārabhūmi-Śāstra. The performance system of divine power is classified into ‘ethical performance’, ‘physical and physiological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performance in Yoga-Sūtra. Whereas the ethical practice(倫理的 修行) is two aṅgas(2 支分) of yama(禁戒) and niyama(勸戒), and the physical and physiological performance(身體的 生理的 修行) is three aṅgas of āsana, prāṇāyāma and pratyāhāra, the psychological performance(心理的修行) is three aṅgas of dhāraṇā, dhyāna, and samādhi. The former is a preliminary performance, the latter is a regular performance, is saṁyama performance. Whereas the preliminary performance is an indirect cause to gain the ability to perform, the regular performance is a direct cause of it. Therefore, the direct cause to gain the siddhi is the a performance of the saṁyama. As a result of doing the performance of saṁyama for each object can again upward of 30 extraordinary wisdoms. Among them, the five siddhi was also discussed in more detail in the Yoga-Sūtra in order to compare the worldly abhijñās of Yogācārabhūmi-Śāstra. As a result, though it is not explicitly, it can be confirmed that it expresses five supernatural powers(5神通力). The performance system of five supernatural powers(abhijñās) of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was found in the performance of laukika-mārga(世間道) in Śravakabhūmi(聲聞地). The performance process enter into the regular performance(本修行) after completing preliminary performance(準備修行) called the pañca-avasthita-citta-darśana(五停心觀) and manasikāra(作意) perfomance. If the regular performance(本修行) performs seven mansikāras, four dhyāna of rūpa-dhātu, four dhyāna of arūpa-dhātu, and twelve thoughts along with manasikāra. At that time, We observed that 5 supernatural powers occurs. Here, it can be confirmed that twelve thinking performance along with seven mansikāras is a direct condition for obtaining five supernatural powers correspond with the saṁyama performance in the Yoga-Sūtra. In this way, the performance system of the psychic power shown in the in Yoga-Sūtra and Yogācārabhūmi-Śāstra is the same or similar in the communication as a whole.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detail. The reason for this is the fundamental difference, and then it is judge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two system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대품반야경에서 선남자ㆍ선여인의 성격

        문을식(Moon Eul Sik) 불교학연구회 2001 불교학연구 Vol.2 No.-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a characteristics of the kula-putra and kula-duhit? in the Mah?praj??nap?ramit?-s?tra. Generally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text can classify three kinds as follows.<BR>  First, The kula-putra(son of good family) and kula-duhit?(daughter of good family) in the ?gama(阿含) indicate simply the son and daughter of good family, the married buddhists before the leaving home buddhist, and the married buddhists accumulating virtuous deeds in order to born th heaven on the next life. But whichever case you may take, it indicates the mairried buddhist.<BR>  Second, We can understand in the two aspect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kula-putra or the kula-duhit? and the Bodhisattva as the independent practitioner in the Mah?y?na-Buddhism. One is the case that it call Mah?bodhisattva(大菩薩), such as Avalokite?vara(觀自在菩薩). This occasion is used the vocative case. The other case, even if the kula-putra or the kula-duhit? produced bodhicitta, indicates an ordinary person-bodhisattva(凡夫菩薩) who does not yet have a certain belief of the praj??nap?ramit?(般若波羅蜜).<BR>  But we can know this two used different usages in the Mah?pra j??nap?ramit?-s?tra. The former used mainly the partner to explain the praj??nap?ramit?. But this case does not use the kula-putra with the kula-duhit?, but mostly only kula-putra. The latter is the case that the kula-putra or the kula-duhit? has been practice six praj??na p?ramit? for a long time from the past times. This typical example is Sad?pral? pa-bodhisattva(常啼菩薩).<BR>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ula-putra or the kula-duhit? is the devotee that listens, accepts, and memories the praj??nap?ramit?, writes, keeps, respects and offers the Mah?praj??nap?ramit?-s?tra, the conveyor and keeper who hands down and keeps up the Mah?praj??na p?ramit?-s?tra or the Dharma-bh??aka(法師) who have other persons write, give, accept and keep the Mah?praj??nap?ra mit?-s?tra, and speeches, teaches, discriminates, explains and comment on praj??na p?ramit? to other persons by various cause and occasion. In this case the Dharma-bh??aka is a nickname of the Bodhisattva.<BR>  In conclusion, the kula-putra or the kula-duhit? is the open-hearted name to anyone who wish to become the buddha without the married buddhists and the leaving home buddhist, or the degree of the discipline in the Mah?prai??nap?ramit?-s?tra.

      • KCI등재후보

        『짜라까 상히따』에서 혈액조직과 뼈조직의 손상에 의한 질병 치료법 연구

        문을식(Moon Eul-sik) 한국요가학회 2021 요가학연구 Vol.- No.26

        본 논문은 대주제 『짜라까 상히따』에서 조직 손상(utkleśa)에 의한 질병의 치료법 연구” 가운데 첫 주제인 “『짜라까 상히따』에서 혈액조직과 뼈조직의 손상에 의한 질병 치료법 연구”이다. 혈액조직은 모든 조직과 기관에서 산화작용을 담당하며 생명을 유지시킨다. 혈액조직이 최적의 상태에 있을 때 귀, 입, 혀, 입술, 코, 손발바닥과 같은 몸의 모든 부분이 윤이 나고 붉은색을 띤다. ‘혈액조직’의 기능은 근육의 힘줄과 혈관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짜라까 상히따』에 따르면, 혈액조직의 손상과 악화에 의한 질병의 대표적인 치료법은 방혈요법(srāvaṇa, rakta-mokṣana)과 정화요법(virekana-karma)이 있다. 방혈요법과 정화요법으로 치료하게 되면 혈액이 정화되고 증가하여 회춘작용을 하는 약초의 성분이 깊은 조직까지 잘 전달된다. 그러므로 방혈요법은 혈액조직의 손상에 의한 질병의 치료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방혈요법 가운데는 거머리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고 하여 주목된다. ‘뼈조직(asthi-dhātu)’은 ‘연골조직’이라고도 하며, 신체구조, 곧 이빨, 손발톱, 머리카락 등 신체구조를 유지시킨다. 뼈조직은 우리의 몸에서 밀도가 가장 높은 조직이다. 이 조직의 구성요소는 흙과 바람과 물 요소이다. 첫째 기능은 골수조직에서 혈액세포를 만들도록 해준다. 둘째 기능은 내부에서 신체를 지탱해 주고, 여러 기관을 보호해주는 역할도 한다. 셋째 기능은 비소, 수은, 납과 같은 독성이 있는 중금속을 손톱, 모발 등을 통해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넷째 기능은 골수조직에서 혈액을 만들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다섯 가지 치료요법(pañca-karma) 가운데 뼈조직의 손상에 의한 질병치료에 특효가 있다고 하는 구토요법(vamana-karma)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구토요법은 까파 도샤, 식욕상실, 몇몇 종양과 상향방향으로 움직이는 신맛의 삣따 도샤에 의한 열과 호흡기계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사용된다. 아유르베다에서는 폐에 울혈이 있어 기관지염, 기침, 감기, 천식 등이 자주 발생될 경우 구토요법을 통해 점액을 발생시키는 까파 도샤를 제거한다. 구토요법은 피부질환, 만성천식, 당뇨, 만성감기, 임파선 장애, 만성 소화불량, 부종, 간질, 만성 부비동 질환, 편도선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논의한 결과, 다섯 가지 치료요법의 대부분은 조직의 손상을 막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그들 가운데 혈액조직이 손상되어 질병이 발생할 때는 주로 방혈요법이, 뼈조직이 손상되어 손상과 악화가 되었을 때는 구토요법이 가장 훌륭한 치료법으로 파악되었다. This thesis is the first topic of “A Study on the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Damage(dhātu-utkleśa) to blood and bone tissue in Caraka Samhitā, which is the first of the major topic “A Study on the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Tissue damage in Caraka Samhitā.” Blood tissue(rakta-dhātu) is responsible for oxidation in all tissues and organs and maintains life. When the blood tissue is in optimal condition, all parts of the body, such as the ears, mouth, tongue, lips, nose, and palms, are shiny and reddish. The function of ‘blood tissue’ is to maintain muscle tendons and blood vessels. According to Caraka Samhitā, the representative treatments for diseases caused by damage and deterioration(utkleśa) of blood tissues are exsanguination(srāvama, rakta-mokmana, 放血) and laxative/purifying therapy (virekana-karma). When treated with exsanguination and laxative therapy, the blood is purified and increased, and the herbal ingredients that have a rejuvenating action are delivered to the deep tissues. Therefore, exsanguination therapy can be used as a treatment for diseases caused by damage to blood tissues.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re is a method using a street head among the bleeding therapy. ‘Bone tissue(asthi-dhātu)’, also called ‘cartilage tissue’, maintains body structures, such as teeth, nails, and hair. Bone tissue is the densest tissue in our body. The components of this organization are the earth, wind, and water elements. The first function is to make blood cells in the bone marrow tissue. The second function is to support the body from the inside and to protect various organs. The third function is to excrete toxic heavy metals such as arsenic, mercury and lead through nails and hair. The fourth function is to make blood in the bone marrow tissue. Among the five purification methods(pañca-karma), emetic therapy and enema therapy, which are said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treating diseases caused by bone tissue damage, were intensively discussed. Vomiting therapy (vamana-karma) is specifically used to treat fever and respiratory diseases caused by capa dosha, loss of appetite, some tumors and upward-moving sour bitter dosha. In Āyurveda, if there is congestion in the lungs and frequent bronchitis, cough, cold, asthma, etc. occur, the capa dosha, which produces mucus, is removed through vomiting therapy. The vomiting method can be applied to skin diseases, chronic asthma, diabetes, chronic colds, lymphatic disorders, chronic indigestion, edema, epilepsy, chronic sinus disease, and tonsillitis.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among the five treatment regimens (pañca-karma), blood exsanguination was mainly used when blood tissue was damaged and disease(utkleśa) occurred, and the vomiting and enema therapy were identified as the best treatment when bone tissue was damaged and deteriorated.

      • KCI등재
      • 행복한 마음을 디자인하는 아유르베다와 요가

        문을식(Moon Eul sik)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6 요가학저널 Vol.5 No.1

        이 글은 아유르베다와 요가를 통해 어떻게 행복한 마음을 디자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아유르베다가 건강증진과 장수를 목표로 한다면, 요가는 신체적 몸의 한계를 벗어나도록 돕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한다. 요가와 아유르베다는 함께 완전한 하나의 수련법을 제공한다. 우리가 이 둘을 함께 수련하면 우리의 존재를 신체적 수준으로부터 영적 수준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요가는 몸에 관해서는 아유르베다의 관점이 없이, 아유르베다는 마음에 관해서 요가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완전할 수 없다. 따라서 요가의 기초는 아유르베다이어야 하고, 아유르베다의 열매는 요가이어야 한다. 행복한 마음을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 이론에는 몸을 이루는 물질적 거친 원소와 세 체질과, 마음을 이루는 의식의 세 속성, 다섯 층, 그리고 몸의 세 상태를 살펴보았다. 행복을 디자인하는 길에서는 아유르베다에서 삿뜨바적 식이요법을, 요가에서는 요가자세, 호흡법, 감각철회 그리고 명상을 통해 행복한 마음을 디자인 하는 길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우리가 여러 종류의 명상수련을 통해 현실세계에서 ‘행복한 마음’은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생활에서 기쁨과 만족감을 느껴 흐뭇한 상태’라는 사전의 정의에 따르면, 세 체질의 조화로운 균형과 조리된 삿뜨바적 식이요법을 비롯하여 요가자세, 호흡법, 감각철회, 명상 등을 통해 행복한 마음으로 가는 길로 디자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article looks at how we can about happy heart through yoga and āyurvedic design. If the āyurveda aim athealth and longevity, yoga is helping to escape the limitations of the physical body as the ultimate goal. Yoga and āyurveda provide a complete one practice method. When we practiced this two together, we can transform from the physical level to the spiritual level, the level of our existence. As for the body, yoga can not complete without the perspective of āyurveda, as for mind, āyurveda can not complete without understanding yoga. Therefore, the basics of yoga must be the āyurveda, the fruit of āyurve da should be yoga. We looked at the basic theory for the design of happy heart, the gross material elements, the three doṣas, and the three guṇas, five kośas make up his mind. In the way to design your happy heart, we looked to find a way to design happy heart through sattvic diet in āyurveda, and āsana, prāṇāyāma, pratyāhāra, and dhyāna in yoga. As a result, through meditation practice in the phenomenal world, we can get happy heart.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a korean language dictionary, we have been seen that can be design the joy and satisfaction through dhyāna practice etc.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