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색소폰 학습을 위한 유튜브 콘텐츠 채널 연구

        문윤정 상명대학교 상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색소폰 학습을 위한 유튜브 콘텐츠 채널 연구 현대사회는 인터넷이나 모바일기능의 발달로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등의 소셜 미디어(Social Media)가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수업방식에도 변화가 오고 있다. 기존에는 직접 만나서 수업하고 책으로 된 교재를 사용하였으나, 코로나 시대에 살고 있는 현재에는 온라인 학습이 활성화 되고 노트북이나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온라인기기를 이용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중에서도 다양한 주제의 정보를 동영상으로 시청 가능한 유튜브가 카카오톡 다음으로 2번째로 많이 이용하는 앱으로 이용되고 있다. 색소폰 관련 콘텐츠도 매일 다양하게 업로드 되고 있으나 전문가가 아니라도 누구나 채널을 운영할 수 있으므로 지식을 습득하려고 이용하기에는 다소 혼선을 초래할 수도 있다. 구독자나 조회 수가 높으면 초보자들은 그들을 전문가로 착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영상이 많이 올라오는 것은 그만큼 색소폰이라는 악기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는 것이기에 긍정적인 면도 있으나, 체계적인 콘텐츠 구성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의 영상들이 난립하게 업로드 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을 위해 채널을 시청하는 대중들에게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유튜브가 교육매체로 색소폰 교육의 대중화를 위한 올바른 온라인 학습 자료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분석하고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해 첫째, “색소폰기초”“색소폰교육”“색소폰배우기”색소폰레슨“등 교육과 관련된 검색어를 노출시켜 난립한 유튜브의 크리에이터 중에서 교육과 관련된 상위 10채널을 선별하여 그들이 제시하고자 하는 교육 목표를 분석하였다. 둘째, 코로나이후 비대면 교육시장에서 온라인 콘텐츠를 통한 교육목표 증대와 고령화 사회에 은퇴 이후의 취미를 즐기는 많은 시니어들의 여가 생활 향유를 위한 교육시장을 조사해보았다. 셋째, 색소폰이라는 악기를 배우고 싶은 동기부여를 만들어 주고 노래를 대신해서 즐길 수 있는 악기 중에 50~60대 중장년층의 가장 선호하는 악기가 색소폰이 되었는지 파악해본다. 넷째, 미디어 자료들을 제시하여 반주나 악보 박자기의 활용을 최대한 같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해본다. 다섯째, 스케일 정리표나 운지법, 메트로놈 파일(wav.) 같은 미디어 자료를 제공해 주는지, 보충 자료는 제시를 하였는지, 교수의 수업내용이 적절한지 등의 내용을 분석하며 또한 채널운영자가 교육의 커리큘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색소폰학습자들이 배우기에 적합한 내용을 제공하는지 개선해야할 방향을 제시하여 본다. 색소폰 교육에 블랜디드 교육의 일환으로 유튜브라는 매개체를 이용한 선행연구가 단 한건도 없었기에 본 연구가 추후 미디어를 활용한 색소폰 블랜디드 교육의 발전에 초석이 될 수 있는 현황 연구 자료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study on YouTube content channels for saxophone learning Moon YunJung New Media Music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In modern socie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YouTube, and Instagram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obile functions, the class method is also changing. In the past, people met in person for classes and used textbooks in books, but now, living in the Corona era, online learning is active and they are using laptops, tablet PCs, and smartphones. Among social media, YouTube, where information on various topics can be viewed as videos, is used as the second most used app after Kakao Talk. Saxophone-related content is also being uploaded in various ways every day, and anyone who is not an expert can run a channel, so it may cause some confusion to use it to acquire knowledge. This is because a high number of subscribers or views may lead beginners to mistake them for experts. There is a positive side to the fact that a lot of videos are uploaded because interest in the instrument called saxophone is increasing. In that it is not about imparting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suggest YouTube as an educational medium to be helpful as a correct online learning material for the popularization of saxophone education. For this, first, search terms related to education such as “saxophone basics” “saxophone education” “saxophone learning” saxophone lesson” were exposed, and the top 10 channels related to education were selected from YouTube creators, and the educational goals they wanted to present were analyzed. did Second, in the non-face-to-face education market after COVID-19, we will investigate the education market for increasing educational goals through online content and enjoying the leisure life of many seniors who enjoy hobbies after retirement in an aging society. Third, we try to find out whether the saxophone has become the most preferred instrument among middle-aged people in their 50s and 60s among the instruments that motivate them to learn the saxophone and can be enjoyed instead of singing. Fourth, by presenting media materials, we try to encourage students to use accompaniment or sheet music as much as possible. Fifth, it analyzes whether media data such as scale summary, fingering, and metronome files (wav.) are provided, whether supplementary materials are presented, and whether the professor's class contents are appropriate. Find out whether the saxophone learners are learning, and suggest the direction to be improved to see if it provides suitable contents for learning. As there has not been a single previous study using the medium of YouTube as part of blended education in saxophone education, this study is a current status research data that can be the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saxophone blended education using media in the future. It can be said that it has meaning. Key word: YouTube, saxophone, education content

      • 中國語 錯別字 誤謬分析 및 指導方案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어휘를 중심으로

        문윤정 명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硏究的目的在於透过中國語敎學來协助錯別字之學習, 继而进一步去探究有效的錯別字敎育之策略. 本文通过調査, 收集韓國的高中生(漢字初級階段)容易出現的錯別字, 分析其産生原因和表現方式, 以便提供敎學參考. 本文第二單元是論述錯別字的理論之背景. 隋唐政府爲了文物制度的完善积極地推行文獻整理和文字統一, 尤其唐朝施行的一係列語文標準敎育對楷書字形規範化有一定的作用. 漢字经过几千年的发展, 在簡化、聲化、規範化方面確有長足的進展. 但總的來說, 牠的性質并末發生根本的變化. 總數在6萬字以上的漢字, 仍然是由数以百计的偏旁爲基本構件组成的, 偏旁或表意, 或標聲, 略無一定, 其组合方式或左右竝列, 或上下相重, 或內外包藏, 每無定格, 一個字往往看到形不一定能讀出音, 讀出音不一定能写出形, 讀出音也不一定能懂得义. 其複雜的程度, 在世界文字领域里, 仍然是相當突出的. 不充分認識其複雜性, 要正確掌據和使用漢字是十分困難的. 第三單元是調査了韓國的高中生(漢字初級階段)容易出現的錯別字. 本文選定了272個容易混淆的漢字. 錯別字分成爲錯字与別字, 錯字能分2類 : 筆畵的誤謬、部件的誤謬. 別字能分3類 : 近形字、同音字、近形同音字. 正確使用漢字, 就是指不使用不規範的漢字. 不規範的漢字指的是錯別字. 錯字有錯字産生的原因和規律, 別字有別字産生的原因和規律, 只要找到了原因, 認識了規律, 錯別字是不難消灰的. 漢字是“難讀、難写、難認”的文字. 本文從通过字形的敎授、通过字音的敎授、通过字義的敎授三種方法來討論減少錯別字的策略. 字形的敎授方法能分5類 : 筆順、部首變形、部首結合、部首位置、誤字矯正. 字音的敎授方法能分2類 : 同音字、多音字. 字義的敎授方法能分2類 : 部首的意思、單詞的意思. 由於漢字是以形表意文字, 當我们要学习汉字时一定要先熟习每个文字的字義与字形. 这样, 既便於理解漢字, 也是奠定漢文能力的基礎, 且對語中國語的學習有着極大的助益. 因此我们有必要去研究一種透过中國語敎學而學習漢字或漢字語的方法.

      • 원예활동이 일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문윤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특성에 맞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학생들의 스트레스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사용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기존 선행연구의 스트레스 감소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향상의 요소를 추출하여 본 연구자의 대상과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2012년 5월 30일부터 2012년 7월 18일까지 주2회 총 15회(실내 원예활동 8회, 실외 텃밭활동 7회) 실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일 고등학교의 학생으로 실험군 25명, 대조군 25명으로 구성하였다. 평가도구는 스트레스 척도,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 삶의 질 척도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2-test, t-test, paired t-test, ANCOVA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점수가 낮아졌고(F=12.678, p=.001),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으며(t=-2.836, p=.009),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t=-2.958, p=.007). 이상의 연구 결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25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treatment group. The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in a high school. The control group is 25 students who did not agree to participate in this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conducted 15 times twice a week from May 30th 2012 to July 18th 2012. 8 indoor activities and 7 outdoor vegetable garden activities were performed. The evaluation tools are Stress Scale, Rosenberg Self Esteem Scale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χ2-test, t-test, paired t-test, ANCOVA test with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stress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F=12.678, p=.001).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esteem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t=-2.836, p=.009).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quality of life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t=-2.958, p=.007). Based on the results,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effective in decreasing stress, increasing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can be adopted as a great interven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 女性公務員의 積極的 活用方案에 關한 硏究 : 全南 敎育行政職을 中心으로

        문윤정 順天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Most countries make every effort to use Women's social ability, for women contribute to the competitive power of nations and, their ability is something that society cannot any more. In Korea, because of women's high educational level and high rate of social participation, many women tend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We can see this in the woman public service personnel. Every year, the numbers are increasing. The reasons are, first, the social position guarantees stability, and, second, the government effort for solving problems that women have encountered in adapting to the work place. But most women assume the position of teacher or other less important positions in the public service personnel. Their grades are lower, and the situation in the women's active application is not very good. In Jeonnam Education Administration Public service personnel, the situation is same. Over 70 percent of women in the public service personnel are occupied by the task of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In addition, they are excluded from personal, inspection, planning, and budgeting affairs that are concerned with key points. As a result, women always have some disadvantages in job satisfaction, the opportunity for displaying their abilities and promotion. In regard to this point, I tried to statistically define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women public service personnel and consider the cases of the U.S.A, England, and Japan. I conducted a survey about the working position arrangement, the problem and solution plan of promotion and personnel,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ability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and the problem in a motherhood protection policy. And then I performed a frequency analysis and intersection analysis about the result of the making up question. I presented the practical use plan of the woman public service personnel as follows: First, The woman quota system must be introduced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arrangement for working position, promotion and personnel until gender equality becomes realized and thus justice done. Second, the nation must execute the education of a fragility part to improve the woman's specialty such as planning and offer the opportunity of the recharging and the duty ability cultivation. Third, if a nurture equipment installation is difficult in reality, we need a short distance disposition during the infant period and a parallel area nurture equipment install that would integrate work and family. Also, DB for alternate must be prepared to minimize a task blank according to upbringing and birth vacation.

      • 브랜드 아우라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문윤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When customers associate the NIKE brand, they consider not only the function and logo of NIKE products but abstract meaning of NIKE because they also have the strong image of “combative solo willpower” given through the slogan “Just Do it”. NIKE has been formed as knowledge structure of “authentic athletic performance” to its consumers like Keller(2002) mentioned. We denominate it as “brand aura”. In short, brand aura is the story, charisma, and history of the brand to inspire and intrigue its customers with their passion and confidence. Since its competitors cannot imitate them, the customers are fascinated with the brand. The study introduces the definition of brand aura from the study of Alexander(2009) to explain its abstract meaning. To find its influence factors, we consider that Gill and Dawra(2010) pointed out the limitation not to research the framework between components of a brand for Customer-Based-Brand-Equity on the study of Aaker(2006) and Keller(2009). Also, brand identity, 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attachment have been studied separately, while a comprehensive study is very rare. It motivates the researchers to explore this study. Because the influence factors of brand aura were examined insufficiently in the earlier studies, the study is focused on researching the factors overall and quantitatively. For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one company out of ten companies in order to enter the company. 170 respondents did the survey for each company. Overall, 1700 respondents became samples for SPSS 18.0 and AMOS 16.0 program. Prac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udy 1, the relations between brand identity, differentiation, emotion, and brand aura are illuminated to investigate brand aura mechanism.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brand ident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to brand aura. Brand identity is also significant in case of being mediated through brand differentiation and emotion. In study 2, the connection between brand emotion, differentiation, brand aura and purchase intention is examined to consider aspects of marketing. As a result, brand aura and emotion are significant to purchasing intention, but brand differentiation is not significant. Differential factors of function, logo, and slogan do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The study has verified that brand differentiation is significant to the total effect when it is carried by brand aura. In study 3, an influence of brand personality, corporate respect, brand aura is explored. It shows that corporate respect is not significant to brand aura. Corporate respect does not become a part of influence variable for brand aura on this study, whereas brand personality is significant to brand aura. Finally,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re presented. This study overcomes th limitation of ancestral studies which are stopped on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investigated the brand aura building mechanism between components of brand that preceding research did not. The previous researches for brand identity, differentiation, emotion, and personality were individually studied. However, it is noticeable that they were comprehensively studie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brand aura of this research. 소비자들은 나이키 브랜드를 떠올리면서 운동화의 기능적인 측면과 차별성만을 고려하지 않는다. 나이키가 Just Do It 광고를 통해 보여준 솔로 투혼과 같은 정서적 측면도 동시에 고려하며 나이키를 신화적 브랜드로 연상하게 된다. Keller(2002)가 언급한 것처럼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이미 나이키는 “authentic athletic performance“의 지식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이것을 우리는 브랜드 아우라(brand aura)라고 명명하였다. 다시 요약하자면 브랜드 아우라란, 브랜드 스토리, 역사,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열정과 자부심을 안겨줄 수 있고 경쟁 브랜드가 도저히 그것들을 흉내 낼 수 없기 때문에 소비자가 그 브랜드에 대해 헌신할 가치가 있는 매혹을 지닌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아우라의 추상적인 의미를 설명하고자 Alexander(2009)가 논문에서 언급한 브랜드 아우라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브랜드 아우라의 영향요인들을 살펴보고자 Gill and Dawra(2010)가 Aaker(2006)와 Keller(2009)는 소비자 기반 브랜드 자산 구성요인에 대해 각 구성요소간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고 지적한 것을 고려하였다. 또한 브랜드 연구 분야에 있어서 정체성, 차별화, 감성적 유착 부분은 각각 연구되고 있고 종합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부진한 것도 이번 연구의 동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미흡한 브랜드 아우라에 영향요인에 있는 변수들을 종합적이고 정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비자들에게 10개의 기업 중 입사희망기업을 선택하게 하고 각 기업별 170명의 소비자를 설문조사하여 총 1700명의 소비자들을 표본으로 SPSS 18.0과 AMO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 1>에서는 브랜드 아우라 영향요인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브랜드 정체성, 감성화, 차별화와 브랜드 아우라 간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결과적으로 브랜드 정체성만 브랜드 아우라에 직접적으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이 드러났다. 브랜드 감성화와 차별화는 브랜드 아우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브랜드 정체성도 브랜드 차별화와 감성화를 통해 매개될 경우 총효과는 정(+)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연구 2>에서는 마케팅 측면의 고찰을 위하여 브랜드 감성화, 차별화 그리고 브랜드 아우라와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브랜드 감성화와 브랜드 아우라는 구매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 차별화는 그렇지 않았다. 기능, 로고, 슬로건의 차별화적 요소가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브랜드 차별화는 브랜드 아우라를 매개로 할 경우 총효과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연구 3>에서는 브랜드 개성과 기업 존경도 그리고 브랜드 아우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여기서 기업존경도는 브랜드 아우라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존경도가 브랜드 아우라의 영향변수가 되지 못하였다.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아우라와 정(+)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아우라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들이 정성적 연구에 머물러 있었던 한계점을 극복하고 기존의 브랜드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서로의 영향관계를 제시하지 못했던 점, 또한 기존의 브랜드 연구가 정체성, 차별화, 감성화 그리고 개성 요인 등 각각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것을 브랜드 아우라의 개념으로 총체적으로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다.

      • 프랜차이즈 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문윤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러 산업에서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 할 뿐 만이 아니라 프랜차이즈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더욱이 IMF 이후 구조조정과 경기불황 등으로 인해 소자본 창업을 생각하는 잠재적 인 창업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에게 프랜차이즈가 좋은 창업 기 회로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유입이 프랜차이즈 시장을 더욱 확대하는 데 일조하고 있는 셈이다. 이 중에서 최근에 소자본 프랜 차이즈 창업의 아이템으로 부상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이다. 이렇게 프랜차이즈를 선호하는 이유는 실제로 존재하는 시장, 낮 은 실패율 그리고 프랜차이저(본부)로부터의 지원을 들 수 있으나,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이러한 장점이 꼭 프랜차이즈의 성공을 보장 하지는 않음을 간과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프랜차 이즈 창업의 성공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프랜 차이즈 성공요인에 대한 문헌연구와 서비스품질에 따른 고객만족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서비스품질에 따른 고객만족도 는 t-검증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프랜차이즈 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문헌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 선 프랜차이즈 영업이 성공하기 위해서 프랜차이지가 프랜차이저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우선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프랜 차이저를 선택하고, 브랜드 파워를 지니고 있는 프랜차이저를 선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스템 전체의 전략적인 지원책을 제시하는 프 랜차이저, 공신력 있는 협회에 가입 된 프랜차이저를 선택하는 것이 장기간 생존하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이었다.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내 부환경에 있어서 갖출 수 있는 성공 요인으로서는 프랜차이저는 프 랜차이지에게 시장조사나 입지선정, 재무자문, 관리자 교육 등의 프 로그램으로 초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서비스로는 판매, 촉 진 활동을 위한 자료 제공 등의 포괄적인 영업지원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외부환경의 성공요인으로서는 입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로서 그 특성을 자세하게 구분 할 필요가 있으 며, 일정 상권 내에 경쟁 가맹점의 형성은 가맹점간의 갈등 증대뿐 만이 아니라 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본부 차원에 서 보다 주의 깊은 주변 상권 분석이 필요하겠다. 다음으로는 제품, 가격, 서비스품질에 따른 고객만족에 대한 실증 연구에 대한 결론이다. 제품에 대해서 제품의 맛, 신선도, 메뉴의 다양성 정도는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격도 그 가격수 준이나 적절성이 수준이 높은 만큼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비스품질에 대해서는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그리고 유 형성의 5가지 척도로 살펴보았는데, 이 척도 각각에서 종업원의 대 응이 만족스러울 때 고객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프랜차이즈 의 성공을 위해서는 고객위주의 경영마인드 확립과 실천이 더 없이 중요함을 알 수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프랜차이즈 창업에는 프랜차이저와 프 랜차이지간의 장기간의 전략적인 관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물 론이며 고객 경영 또한 필수적인 사항임을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이에 더 나아가서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자 료로서 문헌연구를 뒷받침 할 수 있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 을 시사해 주었다. Recently industries to apply a franchise system have been various and the franchising market has been growing. After IMF was happened as reasons of work-out and business depression the potential founders who think of starting business are on the increase. Consequently as they flow in a franchising business market this are growing more and more. But lately above all item which is frequently searching is the take-out coffee store that is possible business beginning with a small capital. The causes potential founders make choice of franchising system are the visible market, low business failure rate and franchisor's support. But we cannot think a good point of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focused the take-out coffee store it made a study of success factors for starting franchise business. This study methods were previous literature review about them and analysis of positive study about customer satisfaction in according to service quality. And the hypothesis of study are analyzed using t-test. For the results of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are as follow; First potential franchisee have to seek franchisors that are expanding rapidly and developing strong brand power. Second potential founders don't have to seek franchise system that promotes a lot of field supports. And one of starting franchise business look for membership in the public confidence association. Internal environment success factors with franchising are that the franchisor support initial and continuous service. Initial services are the choice of location, financial comments and offering education program of manager and continuous service is to strategically support business. The final external environment success factors with franchising is that is analyzed around a commercial power by headquarter. For the results of the practice study on the based service quality are as follow ; A matter of consequence is the customer-oriented business. Customer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various of menu, tasty and freshness for products and reasonable price. For the service quality that looked around with reliance, assurance, empathy, tangibles and responsiveness. On the reason of the 5 measure this study found that the best franchise system is to have and practice the customer-oriented business. So that both franchsor and franchisee need the close cooperation and the customer-oriented business for customer satisfaction.

      •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프로그램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성남지역을 중심으로

        문윤정 경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8년 보건복지부의 노인실태조사에 의하면 노인 독거 가구와 노인 단독 가구가 노인인구 증가 추세만큼 늘어가고 있다. 이들 독거가구의 삶의 질이 일반 노인 가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으며 경제적 문제와 건강관리 문제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고 가족 및 사회적 관계의 지원이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복지수요를 직접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노인종합복지관은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이 시급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운영 중인 성남시 3개 노인종합복지관을 대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독거가구 노인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일반 노인들과의 복지욕구 차이점을 고려하여 노인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개선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조사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내용을 토대로 살펴보자면 성남시의 독거가구 비율이 노인인구 증가추세 만큼 늘고 있으며, 독거가구의 삶의 질 또한 일반 노인 가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들의 보편적인 문제인 경제적 문제와 건강관리 문제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데 있어 거리와 교통의 불편함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여가프로그램 참여가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복지관별 내부 자료에 의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하루 평균 노인수를 살펴보면 복지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노인복지관의 지역적 특성, 시설 규모, 위치, 인력, 그리고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이용노인의 수도 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복지관 사업에 대한 홍보와 교통편의 등 접근이 용이할 때 이용노인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각 노인종합지관의 여가프로그램 구성을 비교해봤을 때 가구소득이나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소극적인 여가 활동을 즐기는 비율이 높은 반면 교육수준이나 가구소득이 높은 경우 다양하고 적극적인 여가 활동을 즐기며 프로그램의 수준 및 다양성에 대한 요구도 역시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활동에 있어 상대적으로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격차가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여가활동에서의 이러한 격차를 줄이고 노인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 또래관계증진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문윤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또래관계증진활동이 만 3세 유아들의 학기 초 새로운 환경 적응과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아교육 현장에서 생활주제와 관련된 체계적인 또래관계증진활동을 제시하여 유아들이 사회적으로 유능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또래관계증진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 향은 어떠한가? 2. 또래관계증진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G구에 위치한 교회부설 A어린이집 만 3세 두 학급에 있는 유아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한 학급 유아 16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 유아 16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학급 담임교사는 교육 경력 5년차로 아동학을 전공하였고, 비교집단의 교사는 교육 경력 3년차로 유아교육을 전공하였다. 연구도구는 또래관계증진활동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Jewsuwan, Luster와 Kostelink(1993)가 개발하고 김영희(1995)가 번안하여 사용한 유아교육기관 적응검사(PAQ)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래관계증진활동이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LaFreniere와 Dumas(1995)가 개발한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SCBE)를 안라리(2005)가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참고하여 3개 하위영역 총 80개 문항 중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영역 30문항을 수정ㆍ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실험처치 전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검사 t검증을 실시하였고,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총점에 대해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증진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어린이집 적응 총점이 비교집단 유아들의 어린이집 적응 총점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적응 검사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 긍정적 정서 상태, 또래 유능감, 자아 강도, 일과에 대한 적응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또래관계증진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또래관계증진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유아들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총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긍정적인 영역인 차분함, 친사회성 점수는 증가하였고, 부정적인 영역인 고립행동과 자기중심성 점수는 감소함을 보였다. 이는 또래관계증진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