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 SW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현황에 대한 분석

        문영임(Youngim Moon),이성규(Seongyu Lee),정희영(Heeyoung Jung),최한주(Hanju Choi)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SW교육 실행 방안 수립을 위해 장애학생대상 SW교육을 진행하는 특수교사들의 SW교육에 대한 인식 및 특수학교 SW교육 현황을 실질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문헌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전국 168개의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205명의 특수교사가 조사에 응답했다. 연구의 조사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의 SW교육 인식 수준은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수학교 SW교육 교과과정 관련 지침 및 세부 정보에 대한 이해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 SW교육 현황과 관련해서는 특수학교별 실행되는 수준 및 인프라 구성의 편차가 크며, 현재까지 체계적인 교육 및 운영체계가 정립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SW교육 관련 도구에 대한 인지도 및 활용, 접근성의 경우 일반학교 교사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SW교육 실행을 위해서는 장애학생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SW교육 도구 개발 및 SW교육 관련 교원연수 등을 통한 교습자의 역량 강화가 필수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SW교육이 효과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정책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bstantially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SW education by special teachers who conduct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and the current status of SW education for special school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SW education implementation measur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ccordingl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organized by referring to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metho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8 special schools nationwide, and a total of 205 special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SW education by special teachers was generally positive, but the understanding of guidelines and details related to SW education courses in special schools was somewhat insufficient. Second,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there is a large variation i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and infrastructure composition for each special school, and it was found that no systematic education and opera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so fa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ognition, utilization, and accessibility of SW education-related tools of special teachers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 teachers. Finally, it was found that for effective SW education implementation for disabled students, it is essential to develop customized SW education too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and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through SW education-related teacher training.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so that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 KCI등재

        청년 취업자의 기업규모별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문영만 ( Moon Young-man ),홍장표 ( Hong Jang-pyo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7 산업노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청년패널데이터(2009년~2014년)를 병합하여 청년취업자의 기업규모별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규모별 이직률(정규직 기준)은 소기업 25.6%, 중기업 25.1%, 대기업 17.2%로 나타나 기업규모가 클수록 이직률이 낮았다. 둘째, 청년취업자의 이직사유는 근로조건 불만 40.3%, 직무불일치 39.2%, 개인사유 11.8%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불일치에 따른 이직은 중소기업(38.5%)보다 대기업(41.5%)이 더 높았다. 셋째, 이직여부에 따른 직장만족도와 직무-전공 일치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직장만족도와 직무-전공 일치성이 낮을수록 이직률이 높았다. 넷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기업규모별 이직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이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임금과 고용형태 등 객관적 근로조건뿐만 아니라 직장만족도와 직무-전공일치도 변수 등도 이직률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이직여부에 따른 임금격차는 이직한 청년취업자가 3.1%정도 낮았으며, 이러한 임금격차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더욱 확대되었다. 다만 고용형태(비정규직→정규직)와 기업규모(중소기업→대기업)가 변경된 이직은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청년취업자들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객관적 근로조건과 더불어 전반적인 직장만족도와 직무-전공 일치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청년취업자는 이직을 하는 것 보다는 동일한 기업에 장기간 근무하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combined Youth Panel Data(2009~2014) to analyze youth employees` turnover determinants by business scale and wage effec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urnover rate of youth employees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the average turnover rate in 2014 was 26.3% and was found to be small company 25.6%, medium-sized company 25.1%, large company 17.2% in terms of business scale (based on regular permanent position), showing that the larger the company size, the lower the turnover rate. Second, turnover reasons of youth employees were found to be dis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40.3%, job mismatch 39.2%, personal reasons 11.8% in order and turnover by job mismatch was higher in large companies (41.5%) than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38.5%). Third, job satisfaction and job-major agreement depending on the status of turnover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and job-major agreement, the higher the turnover rate in all areas. Fourth, scale turnover determinants by business scale were analyzed through panel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ing turnover were analyzed to affect objective working conditions such as wage and employment type and job satisfaction and `job-level of educationㆍskill levelㆍmajor`agreement variables to lower the turnover rate as well. Fifth, wage effects depending on the status of turnover were estimated and as a result, the wage level of youth employees who changed their job was lower than that of youth employees working in the same company by about 3.1% and this wage gap was further expanded over time. But, turnover of changing employment type(temporary position→regular permanent position) and company size (small and medium enterprise→large company) was not the cas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youth employe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job-major agreement with objective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in the same company fo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changing jobs frequently can be said to be rational choice in terms of youth employees.

      • KCI등재

        영어 일기 쓰기가 초등학생들의 전반적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영인(Moon Young-in),이정옥(Lee Jung-ok)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05 영어교육연구 Vol.1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nglish journal writing on the general English writing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Thirty thre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latter having written English journal for 5 months. The analyses of the pre-tests and post-tests, which consisted of indirect writing assessment and free writing,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writing abil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More specifical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writing fluency measured by the number of words in the free writing, Also, the content of the free writing became more rich and detailed in the post-test. In addition,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 length of sentence. and a considerable decrease in the spelling error. In terms of the verb -be, the students' tendency to omit the verb in the pre-free writing test became weak as they began to add the verb correctly in the post-test. Lastly, the percentage of the use of period at the end of a sentence increased to a great degree.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make use of journal writing in order to foster students' writing ability.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o be helpful to provide directions on what and how to write and encouragements to write without any fear of making mistakes.

      • KCI등재

        기업 내부의 고용관계 :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

        문영만 ( Young Man Moo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3 산업노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데이터(5차~13차)를 사용하여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직이 비정규직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을 고용형태별로 세분화하여 직무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비정규직 내에서는 한시적 근로가 가장 높았으며, 장기 임시직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직업선택 방식에 따른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발적으로 직업을 선택한 경우가 비자발적으로 직업을 선택한 경우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정규직은 모든 변수가 종속 변수인 직무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정규직은 고용 유형에 따라 제한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 방식에 따른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의 경우, 자발적으로 직업을 선택한 그룹은 경력변수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자발적으로 직업을 선택한 그룹은 성별, 임금 등 일부 변수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를 분석할 시에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만 구분하는 것보다 고용형태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으며, 직업선택 방식(자발적/비자발적) 또한 고려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and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by employment type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KLIPS) (5th~13th)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regular employe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regular employee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job satisfaction by subdividing various types of employment within the non-regular employment category, ``temporary work``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atisfaction, while ``long-term non-regular work`` had the lowest. Furth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by the method of career choice,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choosing a job voluntarily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ase of choosing a job involuntari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by employment type, all variables in regular employment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ant variable, whereas non-regular employment was found to have a limited effect only depending on the employment type. In case of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career choice, they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ll variables except for the career variable in the group that chose employment voluntarily, whereas the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ome variables only such as gender and wage, etc., in the group that chose employment involuntarily. Therefore, it is more suitable to analyze job satisfaction by subdividing it by employment type rather than dividing it into regular employment and non-regular employment, although t he m ethod o f career c hoice ( voluntary/involuntary) also needs to b e considered.

      • KCI우수등재
      • 제3분과 : 하천 및 도시녹지 ; 고가도로 하부 식재 유형에 관한 연구

        문영은 ( Yeong Eun Moon ),최송현 ( Song Hyun Choi ),강현미 ( Hyun Mi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부산광역시는 지형적 특성과 교통흐름을 고려하며 1969년 자성고가도로의 건설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4개의 고가도로를 건설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고가도로는 콘크리트구조물로서의 시각적 혐오, 소음의 발생, 하부공간의 부정적 상황 등의 문제를 야기해 왔다. 이에 부산광역시에서는 고가도로 하부의 유휴지 공간을 이용하여 쾌적한 도심녹지확충(그린인프라기능) 및 가로환경(다양한 경관 창출) 조성계획을 시행하여, 2004년 동서고가도로 하부를 시작으로 최근 부암고가도로 하부까지 고가도로 하부 식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고가도로 하부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환경과 같은 조건으로 식재하고 있어 수목 고사율이 증대되고 있으며, 관리가 소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가도로 하부 녹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부산광역시 고가도로 하부 식재 현황을 조사하여 식재유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고가도로 총 24개소(총 연장 28. 4km) 중 고가도로 하부 식재가 이루어진 동서고가도로, 가야고가도로, 충장고가도로, 부암고가도로 하부 총 4개소(총연장 7. 2km)에 대하여 식재현황을 조사 하였다. 또한 년도별 조성특징을 파악하고자 준공도면을 기초로 식재조성시기를 파악한 후, 년도별 조성특징을 파악하였다. 고가도로 하부 식재는 2004년 동서고가도로 0. 6km조성을 시작으로, 2009년에는 동서고가도로 0. 4km, 충장고가도로 0. 4km, 2010년에는 동서고가도로 2. 5km, 충장고가도로0. 5km, 2011년에는 동서고가도로 1. 1km, 가야고가도로 0. 4km, 2012년에는 동서고가도로 0. 8km, 2013년도에는 부암고가도로 0. 5km를 조성하였다. 동서고가도로는 부산광역시의 고가도로 중 가장 길며 하부 유휴지 공간이 많아 매년 빠지지 않고 식재 조성이 이루어지고 있어 가장 넓은 면적에 걸쳐 조성 되어져 있다. 조성 년도별 특징을 살펴보면 2004년에는 남천, 식나무, 송악류 등 관목과 지피식물 위주로 식재가 이루어 졌지만, 2009년부터는 먼나무, 산딸나무 등의 교목이 함께 식재 되어졌다. 2010년에는 수목 외에도 경관석 놓기로 시설물까지 확대되었으며, 2011년에는 경관석 놓기 외에 전통담장, 조형물, 수경시설 등으로 시설이 확대되어 설치되었다. 2004년 초창기 때에는 내음성에 강하고, 특별한 관리가 필요없으며, 번식력이 강한 관목과 지피식물로만 조성을 하여 경관 보다는 기능적인 측면(자동차 불빛 차단 등)을 강조하였지만 점차 조성시기가 지남에 따라 다양한 시설물과 수목등을 통해 경관적 측면까지 고려하여 조성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식재 조성특징에 따라 부산광역시 고가도로 하부 조성 식재 유형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유형은 교목관목지피형으로 교목, 관목 그리고 지피로 조성된 형태이며, 2유형은 교목지피형으로 교목과 지피로 조성된 형태이다. 3유형은 관목지피형으로 관목과 지피로만 조성되어 있으며, 4유형은 지피형으로 지피로만 조성된 형태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식재 유형을 조성년도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2004년에는 3유형(관목지피형)만이 나타났으며, 2009년에는 2유형(교목지피형)이 나타났다. 2010년부터는 모든 유형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준공도면에서는 초창기부터 조성했던 3유형(관목지피형)이 6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1유형(교목관 목지피형)이 약 15%로 많았다. 하지만 현장 조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3유형(관목지피형)은 준공도면과 같이 가장 많이 나타났지만, 1유형(교목관목지피형)의 경우 조성당시에는 15%였지만 현재는 10%, 2유형(교목지피형)의 경우 조성당시에는 7%였지만 현재는 3%로 낮게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1유형(교목관목지피형)과 2유형(교목지피형)에 식재되는 교목의 영향으로 보여지는데, 고가도로 교량의 낮은 높이와 교목이 자라기에 부족한 토심때문에 많은 교목성수목이 관목으로 교체된 것이 이유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고가도로 하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부산광역시 고가도로 하부 식재 현황을 조사하여 식재유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식재유형만으로는 고가도로 하부의 특성을 모두 파악할 수없으므로, 추후 식물생육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생육현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심화교양으로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 수업모형

        문영인 ( Young In Mo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07 외국어교육연구 Vol.21 No.1

        최근 몇 대학에서는 기존 교양 과목의 질을 향상시키고 내용과 교수 방법의 형태를 보다 강화한 교양강좌가 핵심 교양 혹은 심화교양이라는 이름 아래 개설되고 있다. 서울에 있는 S대의 경우에는 2006년 1학기부터 학습내용과 교수 방법이 한층 강화된 인문학 중심의 심화교양 과목을 편성하였다. 심화 교양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내용을 다학문적으로 접근하고, 특정 지식의 심화보다는 사고 및 판단 능력, 사유방식의 심화를 강조하는 성격을 띠고 있다. 본 연구는 S대학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심화교양 프로그램 중에서 영어영문학과에서 개발한 교과목인 ``문화 간 의사소통``의 수업 내용, 수업 모형, 학생평가의 결과를 보고하였다. 여기서 제공되는 정보는 앞으로 영어 관련 학과 교수들이 심화/핵심 교양과 유사한 교과목을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A recent trend in university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 is that general education is strengthened in terms of content and teaching methodologies. Some universities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Seoul have developed courses called the Comprehensive General Subj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first explains the nature of the Comprehensive General Subject and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a cours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University of Seoul. This is a case study where the content, the teaching model, and the student evaluation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urse are reported. It is expected that this case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English teaching professionals with useful information when they attempt to develop a Comprehensive General Subject.

      • KCI등재

        원 · 하청기업의 임금 격차 및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 공급측 요인과 수요측 요인의 종합적 접근 -

        문영만(Moon, Young-Ma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원·하청기업의 임금 격차 및 결정요인을 공급측 요인뿐만 아니라 수요측 요인도 함께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Oaxaca-Blinder의 임금 격차 요인분해법을 활용하여 공급측 요인의 임금 격차 요인을 분해한 결과, 원·하청기업의 총임금격차는 47.5%였으며, 이 중 인적자본 등의 차이에 의한 임금 격차가 28.8%이고, 차별에 의한 임금 격차가 18.7%로 추정되었다. 임금 격차의 주요한 요인은 기업 규모, 근속연수, 학력 순이었으며, 비제조업보다 제조업에서 더 컸다. 둘째, 기업의 경영실적 등 수요측 요인의 임금 격차 요인을 분해한 결과, 총임금격차는 39.1%였으며, 이 중 기업특성 등의 차이에 의한 임금 격차가 32.2%, 차별에 의한 임금 격차가 6.3%로 추정되었다.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업 규모,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노조, 외주비율 순으로 컸다. 셋째, 하청기업의 임금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공급측 요인은 남성, 연령, 학력, 노조, 근속연수 등의 변수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비정규직 변수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수요측 요인은 자본집약도, 연구개발비(t-3),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노조 변수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외주비율과 거래집중도 변수는 하청기업의 임금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원·하청기업의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의 차이 등 공급측 요인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영실적 등 수요측 요인도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First,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total wage gap and factor of supply side factors using factor decomposition method of Oaxaca-Blinder, the gross wage gap of the flagship company and subcontractors was 47.5%. Among them, the wage gap due to the difference in human capital was 28.8%, and the wage gap due to discrimination was estimated at 18.7%. Second, the total wage gap was 39.1%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gross wage gap and factors due to demand side factors such as business performance. Among them, the wage gap was 32.2% due to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firms, The wage gap due to discrimination was estimated at 6.3%.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determinants of the subcontractors, the supply side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male = 1), age, education, labor union, and years of service. The demand-side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apital intensity, R & D expenditure (t-3), value added labor productivity, and unions. However, the outsourcing ratio and transaction concentration variabl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wages of subcontractors.

      • KCI등재

        노동문제에 대한 통계적 분석 :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노동조합 가입의향 결정요인

        문영만 ( Young Man Moo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3 산업노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데이터(6차~13차)를 병합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노조가입의 향 결정요인에 대해 ‘패널 로짓 확률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노조가입의향에 대해 정규직은 성별, 연령, 사업체 규모, 임금, 직무만족도, 노조만족도, 이직의사, 직종(생산기능직) 등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비정규직은 연령, 학력(대학원졸), 사업체규모, 고용안정, 노조만족도, 이직의사, 직종(생산기능직)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령, 사업체규모, 노조만족도, 이직의사, 직종(생산기능직) 변수는 고용형태와 관계없이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에서 노조가입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성별, 임금, 학력, 고용안정성 변수는 고용형태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변수별로 노조가입의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승산비를 분석한 결과, 정규직은 노조만족도(3.2배), 이직의사(1.9배), 성별(1.5배), 사업체규모(대기업1.5배, 중기업 1.3배)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비정규직은 노조만족도(3.6배), 사업체규모(대기업 3.0배, 중기업 2.0배), 이직의사(1.9배), 직종(생산기능직 1.8배)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비노조원의 노조가입의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노조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조가입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나 비노조원의 24%가 노조가입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잠재된 수요를 노조가입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노조가 없는 사업장에 노조를 적극적으로 공급함과 더불어 정규직노조의 가입범위를 비정규직까지 확장할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s` willingness to join the labor unions by using the ``panel logit random effect model`` after comb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KLIPS) (6th~13th). As for the willingness of joining labor unions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business size, wage, job satisfaction, union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job type (production and technical pos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gular employees, while the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graduate diploma), business size, employment stability, union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job type (production and technical pos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on-regular employees. While the variables such as age, business size, turnover intention, job type (production and technical pos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joining labor unions in both of the regular and non regular employees regardless of the employment type,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wage, education, employment stabilit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ployment typ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dds ratio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each variable has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joining labor unions, the regular employees were affected by the variables in the order of union satisfaction (3.2 times), turnover intention (1.9 times), gender (1.5 times), and business size (large businesses, 1.5 times; medium sized businesses, 1.3 times), while the non-regular employees were affected by the variables in the order of union satisfaction (3.6 times), business size (large businesses, 3.0 times; medium-sized businesses, 2.0 times), turnover intention (1.9 times), and job type (production and technical posts, 1.8 tim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non-regular employees` willingness to join labor unions, there is a need to increase union satisfaction as a prior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s by employment type need to be considered. Additionally, it has been analyzed that 24% of the non-union members have the willingness to join labor unions although the rate of joining unions is continuously decreasing, In order to connect these potential demands to joining labor union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range of joining regular employees` labor unions to non-regular employees as well as providing labor unions actively for the workplaces without a labor union.

      • KCI등재

        광역시·도별 임금격차 실증분석

        문영만(Moon, Young Ma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3 지역사회연구 Vol.21 No.1

        This study estimated the wage differentials of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based on the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OE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OLS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wage premium i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existed. In particular, the average monthly wage in Ulsan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Seoul, Gyeonggi and Incheon, when the human capital that affected wages was not controlled. However, when the human capital was controlled, the wage level of Ulsan in terms of net wage differentials was lower than those of Gyeonggi, Incheon and Seoul. When decomposing wage differentials by using Oaxaca decomposition, the wage differential between the labor market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non-Seoul metropolitan area was estimated to be 8.15%. The biggest factors that affected wage differentials were education and career variables. The wage discrimination by gender was more serious in non-Seoul metropolitan area than in Seoul metropolita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