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슈탈트 관점에서 본 독립기념관의 가로등 체계에 관한 연구

        문무경 ( Moo Kyeong Mun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연구의 목적은 게슈탈트 관점에서 독립기념관의 가로등에 관한 구성요소별 특징을 기술한 후, 서로 간의 유사성을 분석하여 독립기념관의 가로등 체계 및 그 실태에 관한 문제제기를 공론화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독립기념관 가로등과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게슈탈트적 구성요소로 한정하였다. 주요한 연구내용은 독립기념관의 기준 그림1)에 해당하는 핵심공간 속의 주요 건물의 구성요소별 특징을 기술하는 것과 관내외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독립기념관 가로등의 용도와 설치장소와 유형도 기술해가면서 그것들의 구성요소별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가로등의 여러 특성에 관한 분포도 정리는 원그래프 방식에 의하였고, 게슈탈트 관점에서의 해석을 위하여 선정된 10가지의 가로등과 핵심공간 간의 구성요소별 유사성은 상관분석법에 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독립기념관 핵심공간 속의 주요 건물 간에서는 게슈탈트로서의 통일성이 매우 높은 편이었지만 16가지의 가로등 간에는 구성요소적 유사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그리고 상관분석법에 의한 해석의 결과도 정리해보면, 핵심공간 속의 주요 건물과 가로등 간에서 게슈탈트의 구성요소별 유사성은 아주 낮거나 아예 없음을 보여 주었다. 특히 독립기념관 전역에서 가장 높은 분포도를 갖는 가로등 C유형은 그형태와 표면에서는 핵심공간의 기준 그림에 해당하는 주요 건물의 그것과는 상반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현존하는 독립기념관의 가로등들로서는 하나의 가로등 체계가 형성되기 어려운 상황임을 알 수 있었고, 더불어 전체로서 독립기념관과의 구성요소적 유사성도 거의 없는 까닭에 더 이상의 게슈탈트 법칙이 작동되기 어려운 상태임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for describing on actual issues of the streetlight system at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by gestalt approach and also for hoping an open discourse on the independence hall regarded as one of nowadays’ Korean topos. The research object is the visual features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streetlight system or 4 visual elements of gestalt that suggested by Bernd Lobach. The main research is focused on describing features of 9 main buildings and 16 kinds of the streetlight for the analysis of similarity among them. The reason why the principle of similarity as main criterion of the interaction matrix is selected that the principles of proximity, closure and continuity can not run until similarity is occurred. As the result of analysis by the matrix, there is very few similarity between main figure of the core place and visual features of 7 kinds of streetlight. And what is more, the half shape of yin-yang at type C is quite contrary to the feature of main figure. Very glossy surfaces at type C and D are also quite contrary to the texture of main figure. These mean that the law of gestalt at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is obstructing by the streetlight system like a noise and most visitors get uncomfortable feeling like disorder because of nowadays’ poor streetlight system.

      • KCI등재

        드록디자인 활동에서의 네덜란드 방식에 관한 연구 (1993-2007)

        문무경 ( Moo Kyeong Mun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드록디자인 활동들과 네덜란드다움 사이에는 어떠한 일치와 연결고리가 있는지를 추론해가며, 이들의 활동 속에서 네덜란드다운 사유방식과 네덜란드다운 실행방식을 규명해보는 것이었다. 먼저 드록디자인 활동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함에 있어서는, 사물과의 기억(1993-1999), 인간과의 경험(2000-2003), 디자인과의 반성(2003-2007)이라는 관점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네덜란드다움에 관한 해석에 있어서는, 네덜란드의 지리 및 역사적인 맥락과 네덜란드의 종교 및 철학적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네덜란드다움에 관한 이해는 이들의 병치적 가치관의 뿌리에 해당하는, 개인의 자유와 폴더모델 간의 관계를 조명함으로서 파악하였다. 네덜란드다운 방식은 ‘중간태(中間態)가 전달태(傳達態)이다’란 경구로부터 최종 정리가 되었다. 즉 헤이스가 레니와 결별하기 이전까지의 드록디자인의 활동은 네덜란드다움을 전달한 명시적 미디어이었고, 네덜란드다운 방식들은 시대의 디자인현상을 고발하는 네덜란드다움의 암시적 미디어이었던 것이었다. This is a kind of reflective studies what the common ground is between design activities by Droog Design and Dutchways in designing and how it works. There are two Dutchways to understand Dutchness in designing. One is an implicit in Dutchway for design concep- tualizatiuon and the other is an explicit in Dutchway for design realization. There were the implicit in and the explicit in Dutchway at Droog Design Activities between the end of 20th Century and the beginning 21st Century (from 1993 through 2007). ``The medium is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truth of this maxim, Droog design activities were the medium where Dutchness was the message. Also, Dutchways were the medium where Dutchness related to the Nineties and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was also the message. Both Droog Design activities and Dutchways are the media for communication the Dutchness at that situation.

      • KCI등재

        기하학적 구조 모형에 의한 디자인 인식

        문무경 ( Moo Kyeong M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4

        이 글은, 기하학적 모형들로서 디자인의 핵심개념인 통합(統合)의 특성을 구조적으로 인식하는 것이었다. 즉 단순 기하학적 구조 모형에 의하여, 디자인 활동의 주체(主體)인 디자이너(Sd)와 디자인소통의 매개체(媒介體)인 디자인대상(Od)에 관한 통합적 인식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핵심내용은, 뫼비우스 띠에 의한 통합의 개념적 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정사면체(正四面體) 모형에 의한 통합의 역학적 구조와 그 관계들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적용된 두(2) 접근방식은, 디자인을 양(兩)주체간의 2차원적(평면적) 소통구조로 인식한 경우와 통합주체에 의한 3차원적(입체적) 활동으로 디자인을 인식한 경우였고, 각각 디자인대상에 관한 인식구조와 디자이너에 관한 인식구조의 모형들로서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통합적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이너의 능력이라는 것은 ``독창성(獨創性)과 효과성(效果性;秀越性)과 효율성(效率性)``을 하나의 구조 속에서 내재적(內在的)으로 암시(暗示)함에 통합이 있었고, 디자인대상에게 요구되어지는 특성이라는 것은 ``개념(槪念)과 가치(價値)와 형상(形象)``을 하나의 구조 속에서 외연적(外延的)으로 명시(明示)함에 통합이 있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geometrically to understand the meta-structure of integration tha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deas in design awareness. The definition of integration in design awareness can be described by using the concept of Mobius Strip. The notions of parallelism and continuity is the 2 key concepts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integration. Also, the structure of integration in design awareness can be prescribed by using the geometric structure of tetrahedron. Regarding design or designing as one of man-made activities, a designer would be located at a starting point in the tri-logical structure and his/her initiative for integration could act tri-logically towards user, clients, and maker(company) at the center. Besides, just one design-object as mediates among 4 stake-holders in a design activity would be located at terminus ad quem in the same tri-logical structure and its feature required for integration could be characterized tri-logically from cultural, economical, and industrial contexts at each surface. Finally, both the implicit in designer`s competence and the explicit in design objects (mediate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tegration should be described or prescribed in the same tri-logical structure.

      • KCI등재

        KOREC 제품원형개발을 위한 ED/ID 통합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에 관한 연구

        문무경 ( Moo Kyeong Mo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0 No.2

        재활공학연구소(KOREC)은 국내 장애인의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고 관련 산업을 육성할 목적으로 설립된 재활의료공학 중심의 정부출연기관이다. 최근 KOREC에서는 엔지니어링 디자인(ED)과 인더스트리얼디자인(ID)을 하나의 통합디자인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KOREC의 재활의료용 시제품 개념개발에 적합한 통합디자인으로서 운용 가능할, 병행적-대화방식의 통합디자인 프로세스의 모형을 개발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핵심 내용은 두(2) 디자인분야에서 수용이 가능한 두(2) 디자인프로세스의 주안점과 그 특성들을 비교 고찰하는 것과, 이를 하나(1)의 통합적 틀로서 운영 가능한 디자인프로세스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양 디자인의 이율배반적 특성은 디자인활동의 3차원들인 디자이너, 디자인과업, 디자인프로세스를 실증주의 및 구성주의 패러다임의 비교 인식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통합적 모형으로서 가능성은 P5에서 제안한 핑퐁(Ping-Pong)모델을 근간으로 모색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제시된 KOREC 맞춤형 통합디자인 프로세스의 모형에서는 성능 우선의 합목적성을 지향하는 엔지니어링디자인(ED)과 창의성 우선의 신개념 창출을 지향하는 인더스트리얼디자인(ID)이 하나의 개념이나 행위로 구성되어 각각 5 단계들로 이루어진 병행적 구조를 이루게 되었고, 명사형인 개념으로서의 디자인과 동사형인 행위로서의 디자인들로 구성된 10 단계들은 마치 탁구공이 핑퐁하는 것처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화 방식의 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The role of KOREC(Korea Orthopedic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Center) is to enhance the Korean orthopedics & rehabilitation technology and to promote the relevant domestic industry. The core activity of KOREC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the methodology related to orthopedic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However,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products and system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ange of KOREC`s activity is much wider than ever. KOREC should work together the industrial design nowadays. The exclusive technology of KOREC is not familiar to the industrial design in fact. The meaning in Design is much important than the ways in Engineering Design(ED) and Industrial Design(ID). The difference between ED and ID must be interpreted by not longitudinally but laterally. That is just a reason why every design is one of integrated activities by human-beings. Both should tune each jargon to common sense and develop together the model of dual-way design process for one design (an integrated design). Finally, ’the Ping-Pong model of integrated design process’ is proposed for the integrated realization of KOREC`s prototyping.

      • KCI등재

        게슈탈트 관점에서 본 독립기념관의 기명사인에 관한 연구

        문무경(Munn, Moo Kye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7 No.-

        이 연구는 독립기념관을 특정장소로 구별 및 증명하고 있는 ‘기명사인 A, B, C’의 조형요소별 특징들을 비교 고찰하면서, 그것들과 독립기념관의 대표건축물에서 드러난 조형요소별 특징 간의 유사성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밝혀봄과 동시에, 조형요소별 유사성이 바람직한 게슈탈트(Gestalt)로서 독립기념관 곳곳을 체험함에 있어서 어떠한 의미로 작용되고 있는지도 밝혀봄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조형요소별 유사성 비교를 위하여 선정된 구성요소로서는 형태와 색채와 재료와 표면 그리고 대칭유무와 서체이었고, 상관분석법에 의하여 기명사인 셋과 대표건축물 간의 유사성이 비교 분석되었다. 기명사인의 서체들 간의 유사성 비교는 독립기념관의 디자인 통합관리지침을 기준으로 삼았다. 연구결과에서 독립기념관의 ‘기명사인 A, B, C’가 대칭유무와 형태와 색채와 재료와 표면에 있어서 제 각각임을 보여주었고, ‘기명사인 A와 B’는 독립기념관의 대표건축물에서 발견되는 조형요소별 특징과는 전혀 관계없음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동일한 인지대상을 기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관성이 있는 게슈탈트로서 독립기념관을 체험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한민족의 정신문화적 전당으로서 제대로 된 독립기념관 기명사인들이 되려면, 전체론적인 관점으로 융․복합적인 디자인과 실천이 함께 하여야 하는 것이다. ‘기명사인 A, B, C’는 독립기념관의 단순한 부분들이 아닌 것이므로, 전체로서의 독립기념관과 연속되어 완결될 수 있는 구성적 부분들로서 다루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IHoK) is a very unique and meaningful place among Koreans. There are three different identificational signs to identify the immediate area at IHoK. Unfortunately, each visual feature among three identificational signs is quite different by describing form, color, material, surface, symmetry, and Korean font of IHoK. This means that continuity does not work among three identificational signs. Besides, visual features of two architectural-type identificational signs are very different from them of main buildings at IHoK by interaction-matrix analysis for Gestalt approach. This also means that continuity and closure do not work between two identificational signs and main buildings the reason why there is not any similarity. Although three identificational signs of IHoK was designed for identifying same one at each point, they are ironically separated in visual appearance at same place. If identificational signs of IHoK do work as a desirable part of a really meaningful place among Koreans and other visitors, they must design, organize and visually control by holistic and relational approaches.

      • KCI등재

        홍성찬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징과 의의 -책그림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문무경 ( Moo Kyeong Mun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홍성찬은 어린이그림책 분야에서 책그림 일러스트레이터로 유명하다. 57년간 줄곧 그림만 그려온 그의 이력도 그렇고, 독학으로 이루어낸 그의 조형적 업적도 남다르다. 홍성찬의 그림인생은 어른을 위한 삽화에서 시작되었지만, 그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어린이를 위한 책그림 세계에서 꽃 피운다. 어린이 책그림 일러스트레이터로서 그의황금기는 대략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정도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시기의 일러스트레이션 원화와 유관자료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 내용들이 기술된 것이다. 연구목적에 홍성찬의 그림세계를 거시적으로 조망해보는 부분도 있지만, 궁극적으로 그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보여지는 특징을 정리해보고, 그것이 어떠한 의미와 가치로작용하는지를 조명해보는 것이다. 정리된 특징들은 홍성찬의 그림들은 풍속화라는 범주에 위치하며, 논픽션 일러스트레이션이라는 입장을 취하며, 디테일이 대화하는 그만의 붓그림이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특징들이 삼중주로 연주된 것이 바로 홍성찬의 일러스트레이션이므로, 우리는 한민족의 다양한 일상적 형태와 이 일상을 구성하고 있는 본질과 홍성찬식 붓그림의 디테일로 제대로 공감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홍성찬의 책그림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하여 우리 민족의 일상적 서사성(敍事性)과 사실성(事實性)과 서정성(抒情性)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홍성찬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민족적 일상성을 구성하고 있는 본질에 해당하는 사물체계에 대한 관찰과 고증을 두루 거친 믿음직한 산물이므로 어린이를 위한 교육적 가치도 있다. 로컬에 관한 깊은 성찰이 요구되는 글로벌스탠다드 시대에서 홍성찬의 토종 일러스트레이션 세계는 우리다운 깊이와 너비가 가일층 피어날 수 있는 사료적 가치로도 의미가 있다. Hong Seong-Chan is especially famous for his illustration in the field of Korean children’s book. He did his level best for his unique drawings for 57 years. He did not take any kind of drawing lessons from teachers or tutors. He had taken only his self-study. He would draw by hair-pencils on Korean traditional paper in common. He would be a kind of semi-traditoinalillustrators. As one of Korean illustrators for children, Hong Seong-Chan came into the spotlight earlier 17 years (1995-2012) due to a succession of his masterpieces that are referred at this review writing. This writing started with consideration of his chronology. Then three traits of his illustrational works were summed up as Genre painting, Nonfiction illustration, and Hairpencilpicture. He was very good at figuring out forms of traditional Korean everyday’s life on his work. Also, he has talent to find out natures for existence that are elements of the form with historical research. Therefore, every reader can understand the narrative and touch the emotion from his masterpieces. This means that his drawings would be considered as media between trans-generations and as useful educational materials for Korean children. The reason is why his genre picture as a locality is very important for next generations in global standard society.

      • KCI등재

        게슈탈트 관점으로 본 독립기념관의 옥외디자인 -건축물과 시설물을 중심으로-

        문무경 ( Moo Kyeong Mun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게슈탈트의 관점으로 본다는 것은 독립기념관을 조직화된 하나의 전체로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독립기념관 현장에서 미학적 불편을 경험한 경우에 적용된다. 즉 지각의 대상을 미학적으로 경험하고자 하는 게슈탈트의 관점이 독립기념관의 노천 인공물에 적용된 것이다. 게슈탈트의 관점이란 대상을 그림-바탕의 관계로 지각하는 원칙에 기초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독립기념관의 옥외디자인을 구성하는 주요 건축물과 규모의 시설물이 그림으로 선택되었다. 이어 건축물은 상징성이 강한 것과 실제성이 강한 것으로 재차 해체되었으며, 건축물과 병렬적 관계를 이룬 시설물은 가로등과 차양구조물과 매점과 기명사인물로 선별하여 대상화시켰다. 그런 다음, 각각의 건축물과 시설물에 대한 시지각적 특성을 게슈탈트의 구성요소로서 진술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된 구성요소들은 형태와 색채와 재질이었다. 그리고 동일한 구성요소들 간의 상관분석과정을 통하여 건축물과 건축물, 건축물과 시설물 간의 유사성의 여부와 그 정도를 가늠하였다. 평가된 유사성의 값들로서 대상물들 간의 게슈탈트 원리가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를 추론해볼 수 있었는데, 색채와 재질에 있어서 유사성이 높은 건축물들 간의 경우에서는 하나의 그림으로서 조직화가 가능한 근접성과 연속성과 폐합성도 더불어 작동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요소적 유사성이 아주 낮거나 보이지 않는 건축물과 시설물 간에서는, 게슈탈트의 다른 원리들도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 현상은 현재의 가로등과 차양구조물과 매점과 기명사인물이 독립기념관의 주요 건축물과 더불어 전체적 그림으로서 조직화될 수 없음을 반증해주는 것으로 최종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의 시설물들이 독립기념관의 옥외디자인에서 불편한 시지각적 경험을 유발시켰고, 조직화된 전체의 흐름도 단절하며 구성의 복잡성만 더하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ccording as Gestalt approach,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IHK) is regarded as an organized structure in this paper. The first priority of Gestalt approach in this paper is the figure-ground relationship. When it comes to describing of similarity among two design objects and more, interactive matrix chart is adopted. Proximity, continuance, and closure is also considered in case of interpreting design objects as an Gestalt. And form, color and material-texture as the elements of Gestaltung is chose for describing the visual features of outdoor`s design objects of IHK. Lastly, the concept or meaning of Pragnanz is taken as the best Gestalt in this paper. As public facilities of IHK for Gestalt approach in this paper, streetlights, sunshade- structures, shop and entrance-stands are selected. They are separately described by the elements of Gestaltung. Therefore, similarity between two design objects is assessed on interactive matrix chart. As results, some discrepancies are discovered between their actual conditions and the prior gestalt conditions. When one perceives nowadays` public facilities of IHK as gestalt, they have terribly hindered the experience of gestalt as Pragnanz.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