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흥국사(興國寺) 1723년 의겸(義謙),순민(順敏)작 목(木)수월관음보살상(水月觀音菩薩像) 불감(佛龕)과 복장 연구

        문명대 ( Myeong Dae M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7 No.-

        여수 흥국사 관음전에 봉안되어 있었다고 추정되는 수월관음보살상 불감에 대하여 논의하여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불감 복장에서 나온 조성기를 분석하여 이 수월관음보살상 불감은 1723년 경종(景宗; 1721-1725년) 3년에 여수 흥국사에서 조성, 관음전에 봉안되었던 사실과 이 관음보살상 불감은 응진당 석가후불도와 16나한도 및 관음전 수월관음보살도와 함께 조성되어 수월관음신앙 및 그 미술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사실 등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 불감을 삼등분하여 중(中) 수월관음보살상, 좌우 정병과 청조, 선재동자상을 각각 부조상으로 배치한 독특한 불감의 관음보살상인데 1637년과 1644년의 아미타삼존불감에 이어 1689년 목(木) 지장삼존불감을 조성한 후 이를 계승하여 1723년에 완성된 특징적인 원통형 불감식 수월관음상으로 현재로서는 유일하고, 그리고 희귀하다는 점을 밝히게 되었다. 셋째, 이 수월관음보살상은 18세기 전반기 최고의 화성(畵聖)으로 존경받던 의겸과 여수, 순천일대에서 활약했던 조각승 순민이 합작하여 조성한 수작(秀作)으로 크게 주목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작은 불감 안이지만 제대로 된 복장물이 출토되어 당시 불감 내지 수월관음상 불감의 의미를 되새겨 볼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A study was made of the wooden Water-moon Avalokitesvara in a niche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enshrined at the Guanyinjeon Pavilion in Heungguksa Temple in Yeosu. The following points were made clear through the study. First, the documents retrieved from inside the statue revealed that it was produced in 1723, the 3rd year of King Gyeongjong`s reign(r.1721-1725) in Heungguksa Temple in Yeosu and was enshrined at Guanyinjeon Pavilion. The documents also disclosed that the Avalokitesvara in a Niche was produced along with the Main Platform Painting of Sakyamuni Buddha of Eungjindang Pavilion, the painting of Sixteen Arahats, and that of Water-moon Avalokitesvara of Guanyinjeon Pavilion. The statue and the documents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study of Buddhist faith and arts. Second, the sculptural work of Wooden Water-moon Avalokitesvara in a Niche consists of three parts with the Avalokitesvara statue in the center and the water jug and Seonjae statue carved in relief on either sides. It represents a unique design, a Bodhisattva sculpture contained in a niche which can be folded into a cylinder shape block. It follows the style of the Amitabha statue in a niche produced in 1637 and 1644, and the wooden Ksitigarbha statue in a niche in 1689. It is the only kind of Water-moon Avalokitesvara statue in a niche to remain today. Third,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statue carrie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was produced by Euigyeom, who was respected as one of the greatest artists in the earlier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sculptor Sunmin who was active in Yeosu and Suncheon area. Lastly, although small in size, this work of sculpture with the relevant documents kept inside it, provided a chance to examine the Buddhist faith, and the artistic style of the Avalokitesvara statue in a niche.

      • KCI등재

        진영(眞影)특집 : 지공화상(指孔和尙) 진영상의 도상특징

        문명대 ( Myeong Dae M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구 한국미술사연구소 ) 2010 강좌미술사 Vol.35 No.-

        현존하고 있는 불교 진영(眞影) 가운데 18세기 이전 진영은 아직까지 발견된 바 없다. 따라서 18세기 이전 진영이 발견된다면 무조건 귀중한 예가 아닐 수 없다. 마침 수년 전에 조사한 지공화 상 진영이 17세기 중후반경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몇 전문가들과 의견을 같이 한 바 있다. 우선 진영의 색채가18세기 진영과는 판이한 고식이며 형태도 18세기 이후의 특징과는 다른 보다 자연스러움이 잘 타나나고 있다. 또한 17세기 중후반기의 불화들의 승상(僧像)과 비교해 보면 상당히 유사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서 18세기 중·후반기 진영으로 볼 가능성이 농후한 것이다. 이 지공화장 진영상은 고승진영상에 전혀 없는 나발형 머리카락과 나발형 털과 직조비단 장삼을 착용한 도상 특징 등 특이한 도상으로 주목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둘째, 이 지공진영상은 특이한 도상과 함께 색채나 형태, 무늬 등에서도 18·19세기의 고승진 영상에 나타난 특징과는 다른 고색풍이 짙은 양식특징으로 인해 17세기 고승진영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즉 17세기 중후반기의 불화나 일반 초상화와 비 교되는 특징으로 보아 17세기 중후반기에 편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한 것이다. 셋째로 따라서 지공화상진영상이 만약 17세기 중·후반 늦어도 조선후반기 제1기인 인·숙종기의 진영상이라고 확정될 경우 현존하는 가장 이른 최고(最古)의 고승진영이 되기 때문에 매우 귀중한 예로 크게 중요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no portrait of a Buddhist priest in Korea that dates back to before the 18th Century. If there is one, it can`t but be extremely precious. I shared with some specialists a few years ago that the portrait of Reverend Jigong can be a product from the mid to late 17th Century. The colors are in ancient style and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18th century Buddhist portraits, and the figure is described in more natural way unlike those of the 18th century. It shams corni non features with the priest images included in the Buddhist paintings from mid to late 17th century, thus, enabling an estimation that it is a work from the mid to late 17th century. The iconography of Reverend Jigong in the portrait is quite unique in that he has curly hair and wears silk Buddhist robe. Lastly, if the portrait of Reverend Jigong can be attributed to the mid to late 17th century or the first period of the latter half of Joseon period, that is, during the reign of Kings Injo and Sukjong, it will be the oldest extant portrait of a prie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덕흥리 고구려 고분벽화(德興里 高句麗 古墳壁畵)와 그 불교의식도(淨土往生七寶儀式圖)의 도상의미와 특징에 대한 새로운 해석

        문명대 ( Myeong Dae M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1 No.-

        광개토대왕 18 년인 A.D.408 년에 조성된 고구려의 유주자사를 역임한 진(鎭)의 무덤인 덕흥리고분벽화의 특징과 현실 동벽에 그려진 불교의식도를 집중적으로 논의한 내용이다. 덕흥리 고분벽화는 우리나라 회화사 중 초기작품으로 편년을 알 수 있는 357 년작 안악 3 호분 벽화에 이어 년기를 알 수 있는 두 번째 작품이라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 산수화와 수렵도의 시원작품이자 묘주 초상화로서 부부병좌상을 의도에 두고 그린 최초의 초상화이자 영정과 초상화의 성격을 구별하여 제작된 최초의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는점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실 동벽에 그려진 불교의식도는 여러 가지로 해석되지만 경전의 내용과 부합되는 것은 묘주 진의 아미타정토 극락왕생을 기원해서 행한 무량수경(無量壽經)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7보 예배공양의식도로 중요시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최초의 불화로써 고구려 불화의 특징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써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의식도 왼쪽인 현실 동벽 북측의 연못과 연꽃 그리고 남벽의 연못과 연꽃 등은 아미타정토의 칠보(七寶) 연못과 연꽃으로 간주되므로 역시 진의 정토왕생과 직접적으로 관련있는 내용으로 초기 고구려의 불교사상과 불화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eokheungri tomb murals which is the tomb of Jin (鎭) who was Jasa(자사) of Youjut (幽州) in Kokuryeo built in A.D.408 the 18th year of sovereignty of Kin Kwanggaeto and Buddhist ritual drawings on the east wall of burial chamber. Deokheungri tomb murals are very meaningful in that it is an early work in the Korean painting history as the second work that we could trace back the originally made year following Anak III tomb murals which was drawn in 357. Additionally, it is the inception of Korean landscape painting and huntingscene. It also important in that it is evaluated as the first work to distinguish a general portrait from a portrait of the deceased for funeral, and the first portrait thinking of Two Seated Couples Image as a portrait of the tomb owner. Although Buddhist ritual drawings drawn on wall of burial chamber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e thing matching with the Scripture is that it is considered as seven treasure service ritual drawing closely related with The Sutra on the Buddha of Eternal Life (無量壽經) ideology praying for Amitabha`s Pure land Geuk-rak-wang-saeng (an easy passage into eternity) of the tomb owner Jin. Therefore, it should be evaluated high as a material that can explain characteristics of Kokuryeo murals as the first Buddhist painting in Korea. Finally, the pond and the lotus at the north end of burial chamber east wall, the left side of drawing, and the pond and the lotus on the southern wall can be considered as seven treasure (七寶) pond and lotus in Amitabha`s Pure land, they are also directly related with Jeong-to-wang -saeng (pure land into eternity) of Jin. It is very meaningful in that we can understand some of Buddhist ideology and Buddhist paintings in early Kokuryeo.

      • KCI등재

        조각승 혜희(慧熙)의 작품세계와 부산 금정사 봉안 용문사(龍門寺) 목 아미타불상의 복원적(三世佛像)연구

        문명대 ( Myeong Dae M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0 강좌미술사 Vol.34 No.-

        부산 금정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불좌상은 복장의 조사로 1677년에 조각승 혜희가 조성한 불상으로 밝혀져 크게 주목되고 있다. 혜희(慧熙)는 惠熙라고도 부르는 인·숙종기인 17세기의 대표적 조각승이다. 혜희는 현존하는 작품만으로 판단하면 1640년 보조 조각승으로 출발하여 1677년 수조각승으로 용문사 삼세불상의 조성으로 그의 활동은 끝나고 있다. 2009년 11월 20일경에 개금불사 때 새로 발견된 복장조성 발원문에 의하여 금정사 목(木)불상이 혜희의 작품이고 전주 일출암 약사불상과 함께 완주 대둔산 용문사(龍門寺) 대웅전 삼세불상의 오른쪽 아미타불상으로 조성 봉안되었던 사실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용문사 대웅전 삼세불상의 좌·우 불상이 발견되어 앞으로 본존불만 찾아진다면 또 하나의 17세기 삼세불상이 완전히 복원되는 의의를 갖게 될 것이다. 금정사 아미타불상은 머리가 큼직하고 넓고 높은 무릎보다 상체가 짧은 편인 안정된 비례와 원만한 얼굴 형태 등에서 전형적인 17세기의 대표적 수작 불상으로의 의의를 보여주고 있다. 이 불상의 복장에서 1677년 조성된 사실을 알려주는 조성발원문과 조선초기인 1441년(세종 23년)에 태종의 후비인 신순궁주에 의하여 판각 인출된 묘법연화경(권 4)과 1429년 판각되었다고 추정되는 묘법연화경(권4-7), 또 하나의 묘법연화경(1618년 인경, 권1-3), 1613년 인경금강반야파라밀경(상·하), 또 하나의 금강반야파라밀경, 법어집 1권, 자명총송 1권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다라니 4종, 수백매가 발견되었는데 이 가운데 1651년 판 오정사 다라니는 조성년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다라니로써 조선초기의 왕실발원 경전과 함께 매우 귀중한 예로 크게 주목된다. 이처럼 이혜희작 금정사 아미타불상은 17세기를 대표할 수 있는 수작의 목불상이자 새로운 귀중한 복장자료와 새로운 삼세불상을 복원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써 크게 주목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The Seated Wooden Buddhist Statue enshrined in Daewoongjeon at the Geumjeong-sa Temple in Busan was found to have been created by monk sculptor Hyehee in 1677 based on contents stored in the belly. Hyehee is a representative monk sculptor in the 17th century, the period in the reign of King Injo and Sukjong. Based on extant works, Hyehee started his career as an assistant monk sculptor in 1640 and ended it with the creation of the Three World Buddhas Statue at the Yongmun-sa Temple as the leading monk sculptor in 1677. According to the written prayer newly found in the belly on November 20, 2009 during a gold mending project, the Wooden Buddhist Statue at the Geumjeong-sa Temple was created by Hyebee, and it was enshrined as the Right Amitabha Statue among the Three World Buddhas Statue in Daewoongjeon at the Yongmun-sa Temple in Mt. Daedun in Wanju together with the Medicine Buddha Statue at Ilchul-am in Jeonju.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Buddhist Statues have been found among the Three World Buddhas Statue in Daewoongjeon at the Yongmun-sa Temple. Thus, if the main Buddha statue is found, another 17th-centluy Three World Buddhas Statue is restored completely. The Amitabha Statue at the Geumjeong-sa Temple is meaningful as a representative excellent Buddhist statue, which show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17th century Buddhist statues such as large head, stable proportion of the broad and high lap to the relatively short trunk, and round face. As presented above, Hyehee`s Amitabha Statue at the Geumjeong-sa Temple is an excellent wooden Buddhist statue representing the 17th century. With the new discovery of valuable contents in the belly, the work should be spotlight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restoring another Three World Buddhas Stat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