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곡리 암각화의 의미와 기법과 양식에 의한 신석기시대 편년 연구

        문명대 ( Moon Myeong 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6 강좌미술사 Vol.47 No.-

        대곡리 암각화는 천전리 암각화가 발견(1970.12.24.)된지 만 1 년만인 1971 년 12 월 25 일에 동국대학교 박물관 반구대 암각화 학술조사단(조사 책임-문명대)이 발견하여 세상을 놀라게 한 바 있다. 이 암각화에 대해서는 1973 년 글쓴이가 문화재지에 「울산의 선사시대 암벽각화」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이래 2015 년까지 1530 편이라는 방대한 연구(천전리 포함)가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아직도 명쾌한 결론에 이르지 못한 면 특히 대곡리 암각화의 편년에 대한 문제가 큰 과제로 남아 있다. 그것은 절대연대 측정법을 사용할 수 없는 한계점 때문이다. 앞으로 하상(河床)의 발굴 등에 의하여 조각기나 당시 사용 탄소의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해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우선 기법, 양식, 비교사적 연구방법을 통해 편년을 설정할 수밖에 없다. 세가지 방법으로 대곡리 암각화의 편년을 설정해 본 결과 신석기시대(약 B.C 8,000-B.C 2,000) 전기, (중기), 후기, (말기)에 걸쳐 광범위하게 조성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앞으로 좀 더 치밀한 검토와 과학적 방법으로 심도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조각암면 아래 하상(河床)의 정밀 발굴에 의하여 절대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탄소나 조각기가 발굴된다면 이 과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므로 하상의 정밀 발굴을 문화재청에 정식 제안하는 바이다. The Daegok-ri petrographs were discovered by the Pangudae Petrograph Survey Team (headed by Myeong-dae Mu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on December 25, 1971 after a year from the discovery of the Cheonjeon-ri Petrographs (December 24, 1970). With regard to the petrographs, the author published a paper titled `Prehistoric Stone Carvings in Ulsan` in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and since then, extensive research has been made and 1,530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cluding those on the Cheonjeon-ri Petrographs) until 2015. Nevertheless, there are a few issues that have not been concluded clearly and one of them is the chronology of the Daegok-ri Petrographs. This is because of the limitation that absolute age dating cannot be applied. This problem may be resolved if carving tools or carbon used in those days is found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river bed. Now, however, we have to set chronology based on techniques, styles, and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When the chronology of the Daegok-ri Petrographs was set by the three methods, the works were estimated to have been created throughout the early, (mid), late, (ending) periods of the Neolithic Age (about 8,000-B.C 2,000). Nevertheless, further in-depth research is required through more elaborate examination and scientific methods in the future. Particularly as this problem will be solved easily if carbon or carving tools are found through precise excavation of the river bed below the stone carvings and the absolute age is dated from them, precise excavation of the river bed is suggested officially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 KCI등재

        돈황 410굴 수대 미륵삼존불의상(倚像)과 삼화령미륵삼존불의상의 연구 -돈황석굴 불상의 특징과 그 교류-

        문명대 ( Myeong Dae Mo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2 No.-

        이 논문은 돈황 410 굴 수대 미륵삼존불의상과 경주 삼화령 고신라 미륵삼존불의상을 비교 분석한 글이다. 첫째 돈황 410 굴 수대 미륵불의상은 돈황 일대 미륵사상의 발달로 조성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돈황 석굴 미륵불의상은 시대에 따라 변천한다. 즉 북조시대 미륵불의상은 수척한 형태의 날씬한 특징이 나타나는데 비하여 북주에서 수대에는 보다 건장하고, 통통한 특징이나 4 등신적이고 머리는 크며 신체는 작아지는 특징이 나타나는데, 410 굴 미륵불의상은 수대의 특징인 건장하고 다소 풍만한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신라 삼화령 미륵불의상은 중국 서북지방인 북주 미륵불의상과 친연성이 강하며 410 굴 미륵불의상과 친근성이 상당히 있다고 판단되지만 약간 다른 점도 있다. 고신라 미륵불의상과 돈황석굴 미륵불의상과의 비교를 통해 양국간의 불교 내지 불교미술 교류 관계를 밝히는데 상당히 기여한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that analyzed the Maitreya Triad statue seated on a chair from the Sui Dynasty in Cave #410 of the Magao Caves and the Maitreya Triad statue seated on a chair from the ancient Shilla Dynasty at Samhwa-ryeong, Gyeongju. First, the Maitreya Buddha statue seated on a chair from the Sui Dynasty in Cave #410 of the Magao Caves was creat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Maitreya ideology in the area around the Magao Caves. Second, Maitreya Buddha statues seated on a chair found in the Magao Caves changed over time. That is, Maitreya Buddha statues seated on a chair created during the Northern Dynasty have a haggard face and a slim body, but those in the period from the Northern Chou Dynasty to the Sui Dynasty are stout and chubby but are proportioned to four equal-sized parts at the size of the head, so having a large head and a small body. The Maitreya Buddha statue seated on a chair in Cave #410 is stout and somewhat chubby,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tatues from the Sui Dynasty. Third, the Maitreya Buddha statue seated on a chair from the Shilla Dynasty at Samhwa-ryeong, Gyeongju shows high affinity to Maitreya Buddha statues seated on a chair from the Northern Chou Dynasty, which is the northwestern province of China, and is also considered quite close to the Maitreya Buddha statue seated on a chair in Cave #410 but shows slight differences from that. By comparing the Maitreya Buddha statue seated on a chair from the ancient Shilla Dynasty with Maitreya Buddha statues seated on a chair in the Magao Caves, this study is believed to hav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explaining the exchange of Buddhism and Buddhist art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청와대 소재 경주 방형대좌 항마촉지인 석조 석가불좌상의 고찰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청와대 석불좌상을 여러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즉 석불상의 유래, 도상특징, 양식적 특징과 편년, 문화재적 가치 등 여러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이 석불상은 독특한 형식을 가지고 있는 통일신라 9 세기 석불상의 대표작이자 경주 남산 약수계 불상과 양식이 일치하면서 다소 진전되어 합천 청량사 석불상에 가깝게 된 뛰어난 수작으로 조각사적 의의가 지대하다는 점을 밝히게 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Blue House Stone Seated Buddha Image from several perspectives. That i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origins of stone Buddha statue, iconography features, stylistic features, periods, cultural asset values, etc. from several perspectives, this stone Buddha statue is a masterpiece of the 9th century stone Buddha statue with a unique style in the Unified Shilla.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tyle of the Gyeongju Namsan Yaksugye Buddha statue, and it is somewhat advanced and close to the Hapcheon Cheongryangsa stone Buddha statue, revealing that the significance of sculptural history is great.

      • KCI등재

        1761년 보광사 치성광여래강림도의 연구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첫째 이 치성광여래강림도는 1761 년에 조성된 현존 유일의 18 세기 강림도라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 이 강림도의 도상 특징은 (1), 삼단구성 (2), 치성광 삼존 등 47 존상의 입상 (3), 밝은 화면 등의 특징이 두드러진 치성광여래 삼존도이다. 셋째 치성광 삼존이 압도하는 화면의 구성과 순차적인 삼단구도, 엄격한 좌우 대칭, 당당한 존상형태, 부드럽고 밝은 화면 등 1749 년 작 현 소재불명의 천은사 치성광여래강림도와 유사한 양식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특징은 1760 년 전후의 불화들과 친연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넷째 18 세기 중엽의 불화 양식을 잘 보여주는 당대의 대표적 칠성도로 크게 중요시된다는 사실이다. First, this study could reveal that Chiseonggwangyeorae Gangrimdo was the only existing 18th century Gangrimdo built in 1761. Secondly, the iconographic characteristic of this Gangrimdo is Chiseonggwang Yeorae triad painting, which is characterized by (1) a triple configuration (2) a statue of a standing figure of 47 statues such as Chiseonggwang triad, and (3) a bright screen, etc. Thirdly, it shows similar features to Cheoneunsa Chiseonggwangyeorae Gangrimdo, which is unknown and built in 1749, such as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which is overwhelmed by the Chiseonggwang triad, sequential three-dimensional composition, strict symmetry, stately statue form, soft and bright screen, etc. This feature is strongly related to Buddhist paintings around 1760. Fourth, it is noted that it is a significant Chilseongdo,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ose days, showing the style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 KCI등재

        골굴석굴의 구조형식과 아쟌타 19굴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이 논문은 골굴석굴의 원류가 되는 아쟌타 19 굴과 골굴석굴을 비교사적으로 논의한 글이다. Ⅱ장에서는 골굴석굴의 형식과 구조를 명료하게 살펴보았다. 첫째 차이티야 예배굴인 법당굴의 구조는 U 형의 장방형 석굴은 정방형 전실과 장방형 본실로 구성되었고, 본실에는 불좌상이 있고, 전실벽의 불상은 마애굴의 마애불상으로 대체되었다고 보았다. 그 다음 둘째 이 마애굴의 불부조상은 예배굴의 전벽에 새겨진 불상으로 대체되는 성격을 갖고 있으며 셋째 승방굴은 골굴의 암벽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10 개의 승방굴이라는 사실을 살펴본 것이다. Ⅲ장에서는 아쟌타 19 굴의 형식과 구조에 대해서 논의했다. 19 굴은 후기 석굴인 차이티야 석굴의 대표 석굴인데 U 자형 차이티야 석굴 구조가 기본적인 특징이다. 앞에는 측실이 있는 앞뜰 즉 전정(前庭)이 있고 전정 다음에는 현관과 앞 회랑식 전실이 있고, 이를 지나면 U 형의 긴 말발굽형 본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실에는 좌우로 열주가 서 있고 열주와 벽 사이의 좌우 회랑이 있고 중앙 본실 끝인 후진에는 불입상이 새겨진 석탑이 놓여 있다. 이른바 전정과 전실과 본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19 굴 차이티야 예배굴은 16·17·18·20 굴의 전형적인 방형 승원굴을 거느리고 있어서 아쟌타석굴의 1 군을 형성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아쟌타 19 굴 및 부속 승원굴과 골굴석굴의 차이티야식 예배굴인 법당굴과 승방굴을 서로 비교하여 다른 점과 같은 점을 일목요연하게 표로 정리하여 간단명료하게 비교해 본 것이다. 그래서 아쟌타 19 굴 같은 후기 차이티야 굴에서 변모하여 골굴석굴의 형식과 구조로 변했다는 사실을 밝히게 되었다. This study is the discussion of a comparative history of Ajanta Cave 19 and Golgul stone cave, which are the origin of the Golgul stone cave. In Chapter 2, we have looked at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Golgul stone cave. First, as for the structure of the sanctum cave, which is the Chaitya worship cave, the U-shaped rectangular stone cave is composed of square front room and rectangular main room. The main room has a Buddha-seated statue, and the Buddha statue of the front room wall was replaced with a Buddha rock carved statue in the rock cave. Second, the Buddha image of the rock cave is replaced by a Buddha statue carved on the front of the worship cave, and third, the living quarters cave are 10 living quarters cave scattered around the rock wall of Golgul. Chapter 3 discussed the format and structure of Ajanta Cave 19. Cave 19 is a representative stone cave of Chaitya stone cave, which is a later stone cave, and the basic feature is the U-shaped Chaitya stone cave structure. There is a front yard, the vestibule (前庭) with a side chamber in front, and next to the vestibule is the front door and front cloister room. After this, it is composed of a long horseshoe-shaped main room of U-shape. There is Yeolju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room, and there are left and right corridors between Yeolju and the wall, and a stone pagoda with a Buddha standing statue on the back of the main room. It is composed of so-called vestibule, front room and main room. This Cave 19 Chaitya worship cave has a typical temple cave of 16 - 17 - 18 - 20 caves, forming a group of Ajanta caves. In Chapter 4, Ajanta Cave 19 and the temple cave of Chaitya style worship cave of Golgul stone cave and sanctum cave and living quarters cav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are clearly compared in a table. So it turned out that Ajanta Cave 19 was transformed in later Chaitya cave and changed into the form and structure of Golgul stone cave.

      • KCI등재

        최순우 선생의 생애와 학문세계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이 논문은 최순우 선생의 학문적 생애와 업적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본 글이다. 선생께서 걸어간 생애와 업적을 학문적으로 정리하는 것도 일정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좀 더 깊이 있는 논의가 있기를 고대해 마지않는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혜곡 선생은 평생을 시종일관 국립박물관에서만 근무했던 최초의 진정한 박물관맨이고 학문적으로 한국미술사를 개척한 개성 3 걸 가운데 맏형이다. 특히 한국도자사와 한국회화사를 한국 처음으로 전공한 개척자일 뿐만 아니라 우현 고유섭 선생에 이어 한국미 탐구를 진정으로 체득한 유일한 선구자로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선생의 탄생 100 주년을 맞아 선생의 학문적 생애와 업적을 간략하게나마 선생의 영전에 올릴 수 있게 된 점, 제자의 한사람으로 기쁘게 생각하며 더욱 감사말씀을 올린다. This study is a brief review of Choi Sun-wu's academic life and achievements. I think it is also meaningful to organize his academic life and achievements with which he went through. Based on this, I look forward to a more in-depth discussion. As I put an emphasis once again, Hyegok is the first true museum man who has been working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or the rest of his life, and he is the eldest brother of the three Gaesung outstanding figures who pioneered Korean art history academically.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his being a pioneer in Korean ceramics history and Korean painting history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t is accredited by everyone that he is the only pioneer who has truly experienced the exploration of Korean beauty following Wu-hyeon Ko Yu-seop. In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as one of the disciples, I am pleased to be able to place brief explanations of his academic life and achievements before the spirit of the forerunner, and I would also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him.

      • KCI등재

        전주 삼경사(三暻寺) 제Ⅱ 목(木) 아미타불상과 복장품 연구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첫째, 삼경사에 봉안되어있는 제Ⅱ아미타불상은 삼경사 제Ⅰ아미타불상과 함께 법종 내지 승호, 법종 유파에서 조성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판단했다. 둘째, 도상특징이 제Ⅰ아미타불상과 거의 유사한 머리, 얼굴, 상체, 하체, 착의법 등이 유사하고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의 수인 등 도상형식과 추정 조성기의 아미타라는 기록으로 보아 이 불상도 제Ⅰ아미타불상과 함께 아미타불상으로 간주된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셋째 구도비례, 형태, 양감과 선 등이 법종 작 불상인 1708 년 작 제Ⅰ아미타불상 내지 1711 년 신흥사 불상과 유사하므로 이 불상(Ⅱ)의 조성연대는 1710 년 전후로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끝으로 일부 결실되었지만 불상 복장품인 법화경, 수정구슬, 5 보병, 후령통 등과 함께 조성기 일부로 추정되는 기록도 남아 있어서 앞의 여러 가지 의의와 함께 이 불상은 조선 후반기 조각사에서 상당한 의의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First, it is considered that the 2nd Amitabha Buddha statue enshrined in Samgyeongsa was built by Beopjong or Seungho, Beopjong sect along with the 1st Amitabha Buddha statue of Samgyeongsa. Second, iconography features are similar to the 1st Amitabha Buddha statue, similar to the head, face, upper body, lower body, and garment method, and the iconography form such as Suin of Hapumjungsaengin and the expected period of the record of Amitabha is also regarded as the Amitabha Buddha statue along with the 1st Amitabha Buddha statue. Third, proportional composition is similar to the 1st Amitabha Buddha statue by Beopjong in 1708, or to the Buddha statue of Shinheungsa in 1711, so the compositional date of this Buddha statue (ⅡⅡ) can be seen around year 1710. Lastly, some Buddha statue inside contents, such as Beophwagyeng, crystal ball, 5 bobyeong, Huryeongtong, etc., which are predicted to be part of the record of foundation, have been remained, and with many of the preceding implications, this Buddha statue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sculpture in later Joseon.

      • KCI등재

        1306년 작 계문(戒文)발원 근진미술관소장(根津美術館所藏) 아미타독존도(阿彌陀獨尊圖)의 종합적연구(綜合的硏究)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14 세기초의 대표적인 불화인 1306 년 작 아미타독존도는 여러가지 특징과 의의를 나타내고 있다. 첫째 화기를 통해 본 1306 년작 아미타독존도의 조성 배경을 밝힐 수 있다. 먼저 이 불화의 발원자 “계문”을 보다 중시해야 하며, 그 다음 시주자 權 福壽의 복수는 안동권씨의 일문인 권탄, 권부, 권재 특히 권재일 가능성이 있지만 권씨 일문 모두의 복과 수명을 기원한다는 뜻으로 복수는 이름이나 호가 아니라는 사실을 제시했다. 둘째 한편, 여러 가지로 보아 이 불화의 화사는 1286 년 아미타래영도를 그린 자회(自回)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셋째 이 아미타독존도는 옥림원소장 아미타독존도와 동일한 형식의 불화 중 이 형식 도상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기준작으로 평가할 수 있다. 넷째 이 아미타독존도는 고려후반기 제 2 기(1270-1306)의 불화로 이 시기 과도기 불화양식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대표적으로 뛰어난 양식의 아미타도로 크게 중요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히게 되었다. 다섯째 이 아미타독존도는 고려와 몽고와 미묘한 국제관계와 충열,충선왕 부자간의 왕위쟁탈전에 얽힌 음모와 갈등 그리고 당시의 복잡 미묘한 정세를 알 수 있는 산물증이라는데 커다란 역사적의의가 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Amitabha alone painting in 1306, a typical Buddha painting in the early 14th century, shows various features and significance. First,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of Amitabha alone painting from the painting record. Above of all,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requester of this Buddha painting, "Gyemun", and next, Bok-su in Kwon Bok-su (權 福壽), the donor, then, is likely to be Kwon Tan, Kwon Bu, and Kwon Jae of Andong Kwon's family, but Bok-su was not a name or a calling, meaning that it would be a blessing to all of the Kwon's family for their blessing and long-life. Second, on the other hand, in many ways, it is suggested that the painter of this Buddha painting would be Jahoe (自回) who painted Amitabha Raeyeongdo in 1286. Third, this Amitabha alone painting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reference works of this type of iconography in the same type of Buddha painting as Amitabha alone painting housed by Okrimwon. Fourth, we revealed that this Amitabha alone painting as the second period Buddha painting of (1270-1306) of the second half of Goryeo should be highly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and excellent style of Amitabha painting which decorates the end of the Buddha painting style of the transition at this time. Fifth, we revealed that there is a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is Amitabha alone painting is a living material evidence in the subtle international relations of Goryeo and Mongolia, and the existence of conspiracy and conflict in the struggle between father and son, king Chungyeol and king Chungseon for the throne and the complex subtle circumstances of the time.

      • KCI등재

        운문사(雲門寺) 작갑전(鵲岬殿) 석조(石造) 석가불좌상(釋迦佛坐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의 도상 연구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첫째, 작갑전 석조불상은 본존 석조 석가불좌상 1 구와 사천왕상 4 구 등 5 구가 남아있는데 작갑 전탑 내의 본실에 봉안되어 있었던 상으로 판단된다. 또한 작갑탑은 신라말 고려초까지인 후삼국시대에 쌓았던 탑으로 보양선사가 운문사인 작갑사를 창건하고 작갑탑을 조성했다고 생각된다는 점을 밝히게 되었다. 둘째, 작갑전 본존인 석조 석가불좌상 1 구와 사천왕상 4 구는 석굴암 석굴 본실이나 전실에 배치된 배치법과 유사하게 작갑탑 1 층 본실 안에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불좌상은 본존, 대좌, 광배를 모두 갖춘 완전한 석불좌상이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수인과 결가부좌한 석불좌상으로 석굴암 본존 석가불좌상을 충실히 계승한 석가불상이다. 사천왕상은 판석에 부조한 석굴암사천왕상과 유사한 판석 사천왕상으로 석굴암 사천왕상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게 되었다. 셋째, 작갑전 석불좌상은 9 세기의 현실적 사실주의 양식에서 진전된 다소 이완된 사실주의 양식의 불상이며, 이 불상군은 900 년 전후의 후삼국시대(900-925 년경) 불상으로 이 시기의 가장 대표적인 대표작이라는 사실을 밝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운문사 작갑전과 석불상은 석굴암 굴실과 불상을 충실히 계승한 후삼국시대의 확실한 불상으로 역사적 의의가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First, the Jakgapjeon stone Buddha statue is believed to have been enshrined in the vimana of the Jakgapjeon pagoda, with five remains including one principal object stone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ue and Four Heavenly Kings.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Jakgap pagoda, the tower, which had been built in post-three-kingdoms-era, between the late Silla Kingdom and the early Goryeo, and that Boyangseonsa is thought to have created Jakgapsa, that was Unmunsa, and the Jakgap pagoda. Second, the Jakagapjeon principal objects such as one stone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ue and four Heavenly Kings, are thought to have been placed within the vimana of the Jakgap pagoda 1st floor, similar to the arrangement placed in Seokgulam stone cave vimana or mandapa. The Stone Seated Buddha Image is a complete Stone Seated Buddha Image with all the principal objects, Pedestals, Halo, and is a stone seated Buddha Image of Suin and Padmasana of Hangmachokjiin, Shokyamuni Buddha statue that faithfully succeeded the Seokgulam principal object,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ue. It is revealed that the four Heavenly Kings were faithfully succeeding the Seokgulam Four Heavenly Kings with the flagstone four Heavenly Kings, similar to those carved in relief in the flagstone of Seokgulam Four Heavenly Kings. Third, it is found that the Jakgapjeon Stone Seated Buddha Image is a somewhat relaxed realistic Buddha statue that evolved from the realistic realism of the 9th century, and that this Buddha statue is the post-three-kingdoms-era (900-925) statu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work at the period. Therefore, it has a historic meaning in that this Unmunsa Jakgapjeon and stone Buddha statue is a true Buddha statue ofpost-three-kingdoms-era faithfully succeeding Seokgulam cave and Buddha statue.

      • KCI등재

        골굴사(骨窟寺) 석굴구조와 마애 장륙 석가불좌상(丈六釋迦佛坐像)의 의의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첫째, 골굴석굴은 석굴암처럼 유가밀교 내지 유가종에서 항마사상에 의하여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골굴석굴과 골굴마애불상은 축조석굴인 석굴암과는 달리 반(半) 개착적인 석굴로 인도·중국석굴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장대한 마애불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반 개착적 석굴이라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골굴마애불상은 거대한 장육존상으로 조성되었으며 평행계단식 의문을 표현한 장대한 불상으로 조성되었다는 점과 항마촉지인의 석가불상으로 석굴암 본존불은 단독불상으로 최고작인데 비해 이 골굴불상은 마애항마촉지인불상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는 점을 밝힐 수 있다. 넷째, 골굴마애불상은 9 세기 후반기의 사실주의양식이면서도 석굴암처럼 우아한 사실주의가 아닌 정연한 기하학적 역동성이 보이는 불상이지만, 당대 최고의 대표성 있는 불상으로 높이 평가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이 골굴석굴과 앞으로 인도석굴·실크로드석굴·중국석굴들과 비교 분석을 통해서 그 의의를 면밀히 밝혀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First, it is believed that Golgul stone cave seems to have been constructed with the Hangma-thought in Yugamilgyo or Yugajong like Seokgulam. Second,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Golgul stone cave and Golgul Buddha statue carved on rock are the only semi-excavated stone cave unlike Seokgulam, a constructed stone cave, the only one with the most magnificent carved on Rock Buddha in Korea, influenced by India and China stone caves. Thirdly, Golgul Buddha statue carved on rock was constructed as a giant stone statue, and it was constructed as a grand Buddha statue expressing the parallel stair question (평행계단식 의 문), and as the Shakyamuni Buddha statue of Hangmachokjiin, the Seokgulam principal object Buddha statue is the best single Buddha statue, but this Golgul Buddha statue is regarded as the masterpiece of the carved on rock Hangmachokjiin Buddha statue. Fourth, the Golgul Buddha statue carved on rock is a realistic style of the latter half of the 9th century, yet it is a Buddha statue with elegant geometrical dynamics that is not graceful realism like Seokgulam, but it is highly appreciated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Buddha statues of the time. Fifth, it is believed that its meaning should be closely examined through comparison analysis of the Golgul stone cave and the Indian stone cave - silkroad stone cave - china stone ca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