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수록 논문에 기반한 산림기상 연구 추세와 전망

        문나현,신만용,문가현,천정화 한국농림기상학회 2019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1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trends of forest meteorological studies based on the publications for last 20 years 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KJAFM), and to provide insight for future prospect for researches in the field of forest meteorology. A total of 220 papers related to forest meteorology were published in KJAFM for the last 20 years. That corresponds to 33.5% out of all the papers including agricultural meteorology papers. To review the trends of forest meteorology studies, the 220 published papers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They are forest meteorology and forest fire, forest meteorology and tree physiology, forest meteorology and forest protection, micrometeorology in mountain area, climate and forest growth, climate and forest vegetation distribution, and climate change and forest ecosystem. Even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paper numbers among the seven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various and very specific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forest meteorology for the last 20 years. It was also expected that the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and accurate forest meteorological information would bring remarkable progress of forest meteorological studies in the near future. 본 논문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발간 2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20년 동안 학회지에 게재된 산림기상 관련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그동안 수행된 산림기상 분야의 연구 추세를 진단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산림기상 연구의 방향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산림기상 관련 논문은 총 220편으로 전체 게재된 논문의 35.5%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동안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의 연구가 수행되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전체 220편의 산림기상 논문을 7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된 연구 주제는 산림기상과 산불, 산림기상과 수목생리, 산림기상과 산림보호, 산악지역 미기상, 기후와 산림 생장, 기후와 산림식생분포, 그리고 기후변화와 산림 생태계의 7개 영역이다. 게재된 220편의 산림기상 관련 논문은 앞에서 분류한 7개 영역에 복수로 포함될 수도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 일부 논문의 경우에는 분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가장 유사한 영역에 포함되도록 조치하였으며, 또한 일부 논문의 경우 저자가 산림분야의 연구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산림을 대상으로 산림기상 연구를 수행한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에는 저자에 상관없이 모두 산림기상 관련 논문으로 취급하여 분류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산림기상과 수목생리 관련 논문이 총 54편으로 가장 많고, 기후와 산림생장이 49편, 산악지역 미기상이 47편으로 이 3개 분야의 논문이 전체의 68.2%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기후변화와 산림생태계 관련 논문이 10편으로 가장 적었고, 다음은 산림기상과 산불이 16편, 산림기상과 산림보호가 21편, 그리고 기후와 산림식생분포가 23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7개 영역의 논문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해당 영역 내에서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림생태계의 현상은 기상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산림분야의 연구는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좀 더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동안 사용가능한 산림기상 자료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산림기상 관련 연구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에 이루어진 산림수치기후도의 제작, 산림기상관측망의 확충, 산악 지역 내의 플럭스 관측망 설치,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사용 등은 앞으로 산림기상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위성영상이나 산림지리정보시스템 등과 같은 과학기술의 접목과 함께 첨단 통계기법의 적용은 산림기상 분야의 연구를 양적 그리고 질적으로 크게 성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Dendroclimatological analysis and tree-ring growth prediction of Quercus mongolica

        문나현,문가현,천정화,신만용 한국산림과학회 2020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Vol.16 No.1

        Tree-ring growth of forest trees is closely related to climate and environment changes during growth period, thus it is able to provide precise information on climate change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s intended to estimate growth changes and to develop an estimating formula for ring-growth based on climate factors for Quercus mongolica. The treering data used are from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conducted nationwide, with climate data in a raster format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Using dendroclimatological method, summary statistics were obtained through cross-dating and standardization, and tree-ring chronology was writte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variation and fluctuation in the tree-ring growth index are the outcome of complicated effects of diverse climate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lso, significant annual variance for Q. mongolica has been observed, with the decreasing temperature efficiency index for it, so that the temperature condition for its growth is getting worse. The statistical analys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 growth and climate factor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valuating changes in productivity which will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 KCI등재

        연륜기후학적 방법에 의한 상수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분석

        문나현 ( Na Hyun Moon ),성주한 ( Joo Han Sung ),임종환 ( Jong Hwan Lim ),박고은 ( Ko Eun Park ),신만용 ( Man Yong Shi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상수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된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임목조사 자료에 포함된 연륜생장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륜생장과 기후인 자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월평균 기온과 월강수량자료를 연도별로 정리한 후 연륜생장 자료를 수집된 시군별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상수리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대한 기후조건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연륜생장 자료의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크로스데이팅과 표준화를 실시하여 상수리나무의 군집별 지표연대기를 작성한 후 기초통계량을 산출하여 지표연대기의 적합성을 검정하였으며, 군집별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 구명을 위해 반응함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상수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인자 간의 통계적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중장기 생장변화의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 growth of Quercus acutissima and climatic variables by dendroclimatological method. Annual tree-ring growth data of Quercus acutissima collected by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5) were organized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pecies growth pattern.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 growth of Quercus acutissima and climatic variables, monthl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from 1950 to 2010 were compared with tree-ring growth data for each county. When tree-ring growth data were analyzed through cluster analysis based on similarity of climatic conditions,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index chronology of Quercus acutissima for each cluster was produced through cross-dating and standardization procedures. The adequacy of index chronologies was tested using basic statistics such as mean sensitivity, auto correlation, signal to noise ratio, and expressed population signal of annual tree-ring growth. Response func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 growth and climatic variables for each clu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imating local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acutissima and for predicting changes in tree growth patterns caused by climate change.

      • KCI등재

        임상조건 및 지형정보를 이용한 산음자연휴양림의 산림치유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이범,문가현,문나현,고동욱,신만용,김기원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7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산음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임상조건과 지형정보로 표현되는 물리적 조건의 차이가 산림휴양 또는 치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산림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0개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치유인자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산림치유인자를 최종 확정하였다. 선정된 치유인자는 전문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인자별 우선인자를 선정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인자별 중요도 순위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으로 가중치를 부여한 결과임상조건은 임상, 영급, 경급, 밀도, 그리고 생장상태의 5개 항목에 총 60점, 해발고도 15점, 경사 10점, 그리고음이온(물) 15점을 부여하였다. 이상과 같이 부여된 산림치유인자의 가중치를 연구 대상지인 산음휴양림 임상도의 폴리곤별로 적용하여 산림치유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 대상지의 산림치유효과를 공간적으로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전국에 산재한 산림휴양시설의 산림치유잠재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늘어나는 산림자연휴양림 이용객의 정보 욕구 충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ce of physical condition expressed by forest conditions and geoinformation on forest healing effect. Through literature review, 10 types of forest healing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elected forest healing facotrs, we conducted an expert survey to finalize the forest healing factors. The selected healing factors were weighted based on the expert questionnaire. Based on importance ranking, we assigned weights with 100 points. As a result, the forest(forest type, age-class, diameter-class, density, and growth conditions) was given 60 points, 15 points for elevation above sea level, 15 points for anions(water), and 10 points for slope. The forest healing index calculated by the weights of the forest healing factors applying the polygons of Saneum recreation forest. Through this study, the forest healing effect of the study site was spatially evaluated. Results from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on forest recreation facilities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to meet the information needs of growing forest healing people.

      • KCI등재

        Development of ingrowth models for forest types in South Korea

        문가현,임종수,문나현,신만용 한국산림과학회 2019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Vol.15 No.4

        Understanding of stand growth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establishing forest management plans, but accurate models for estimating ingrowth are currently lacking in Korea.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 ingrowth estimation equation according to various forest types using nationwide forest monitoring data by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A two-stage approa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ingrowth database using permanent sample plots from the 5th (2006–2010) and 6th (2011–2015) NFI. In the first stage, the ingrowth probability was estimated using a logistic function. In the second stage, the ingrowth amount was estimated using a conditional function by regression analysis. In results, a logistic regression model based on the number of sampling plot which did not result in ingrowth (Model VI), was selected for an ingrowth probability estimation equation. After performing three types of statistical test to evaluate the ingrowth estimation equation suitability, three optimal model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respective estimation ability: Coniferous Forest (Model IV), Broad-leaved Forest (Model VII), and Mixed Forest (Model VI). The estimation ability of the proposed estimat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verified and showed no problems of suitability or applicability. If high-quality data are continuously accumulated for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the present sampling plot data through the ongoing NFI system, this research can present a new direction in ingrowth modeling for Korean forests.

      • KCI등재

        우리나라 입목의 초기 생장 특성에 따른 유령림의 임목축적 산출방안 고찰

        문가현 ( Ga Hyun Moon ),문나현 ( Na Hyun Moon ),임종수 ( Jong Su Yim ),강진택 ( Jin Taek Ka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3

        우리나라의 산림자원 중 유령림에 포함되는 I 영급(10년생 이하)은 입목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임목축적을 ‘0’으로 가정하여 국가통계를 산출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량 산정을 위한 탄소흡수량에서도 누락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이행 및 산림부문 탄소저장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유령림의 산림자원에 대한 정확한 통계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령림의 초기 생장 특성을 파악하고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유령림의 초기 생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령림의 초기 생장에 관한 문헌조사, 수종별 수간석해 분석 및 현실림 임분수확표에 의한 지위지수별 유령림의 생장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유령림에서 대부분의 입목은 흉고직경 6 c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흉고직경 6 cm에 도달하는데 평균 12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치수조사구에서 근원경의 경급별 평균묘고가 조사되어야 하며, 교목을 비롯한 다양한 관목이 조사되고 있으므로 교목 수종을 구분할 수 있도록 분석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rowing stocks of young forests that are less than10 years of age have been excluded from the Korean forest resource statistics, despite the existence of standing trees; howeve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carbon removals in the forestry section require complete information regarding forest resources.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 to estimate the growing stocks for young forests from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data.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growth characteristics for young forests, we conducted stem analysis of major species, and examined stand characteristics by site index, based on real yield tables. Ou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ew standing trees with diameters at breast height (DBH) above 6 cm in young stands, and that it would have taken 12 years, on average, to reach 6 cm DBH. This suggests that mean tree height by diameter should be assessed at the root, in order to assess growing stocks for young stands through the NFI. Moreover, the database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differentiate tree species, since diverse shrubs, including trees, have been survey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