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단원 내용 분석

        모주순,권혁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3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perceived as a key learning topic in the field of Technology Education considering human and environment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stainable development related learning contents in the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twelve types of high school textbooks. Key analysis items were unit composition, learning contents (motivational materials, reading materials,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related learning contents were included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The titles were named in connections with 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Second, motivational learning materials we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negative impa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ncouraged students’ engagement and involvement. Third, reading materials were presented in the cases of sustainable or appropriate technologies. Fourth,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defined in the same context of Our Common Future (UNESCO, 2008)’s definition. Lastly, key hands-on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resented in textbooks were energy related activities, appropriate technolo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lanning and followed a process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High school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cluded sustainability as a core concept and emphasize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This study could be extended into further studies such as analyses of textbooks in different school grades, students related effectiveness study,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지속 가능한 개발은 인류와 환경을 고려한 기술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기술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학습 주제로 인식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지속 가능발전관련 단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12종을 대상으로 지속 가능발전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항목은 단원의 구성, 학습내용(동기유발 자료, 읽기 자료, 지속 가능한 개발의 개념), 그리고 체험활동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지속 가능발전 관련 단원은 대단원 또는 중단원에서 ‘지속 가능’이라는 용어를 포함하고 있었다. 단원명은 주로 지속 가능과 관련된 영역, 일반화된 지식, 핵심 개념과 연관성을 가지고 만들어졌다. 둘째, 교과서에서 동기 유발 내용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과 관련된 주제에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몰입을 유도하였다. 셋째, 교과서에서 읽기 자료는 지속 가능 및 적정기술을 실천하고 있는 사례를 주로 제시하고 있다. 넷째, 교과서에서 지속 가능발전은 대부분 ‘우리 공동의 미래’ (UNESCO, 2008)의 정의와 같은 맥락에서 정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속 가능 관련 문제 해결 활동은 에너지 관련 활동, 적정기술, 지속 가능발전 방안 찾기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제해결 활동은 대부분 기술적 문제 해결의 과정을 따라 이루어졌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는 주요 핵심 개념인 지속 가능을 포함하고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다른 학교 급의 교과서 분석, 학생 관련 효과성 검증 연구, 그리고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후속 연구로 확장될 수 있다.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기술교과 원격수업 현황과 기술교사의 인식

        모주순(Mo Joo-soon),함형인(Ham Hyung-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한 기술교과 원격수업 현황과 기술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술교과 원격수업을 경험한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22부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사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원격수업 유형은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이었으며, 가장 많이 활용하는 플랫폼은 EBS 온라인 클래스였다. 둘째, 기술교사가 느끼는 원격수업의 어려움은 학생들의 원격수업 준비 부족과 원격수업 진행을 위한 물리적 환경 부족이었다. 셋째, 기술교사들은 기술교과 원격수업 개선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 수업용 플랫폼 개발이라 응답하였으 며, 원격수업에 가장 적합한 기술교과 영역은 통신기술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자신의 원격수업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사용하고 있는 원격 수업 플랫폼에 대해서도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원격수업에 관한 교육부 및 교육청의 지침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술 교과 원격수업의 전략과 이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향후 기술 교과 원격수업의 개선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education for technology teacher sin the context of online start-up due to COVID 19.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from 122 technology teachers were collected in October using online survey. The online instrumen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technology classes by technology teacher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tform most frequently used by technology teachers in online technology classes due to COVID 19 was the ‘EBS online class’ and technology teachers used content utilization-oriented teaching methods the most for online technology classes. Second, the difficulty of online classes felt by technology teachers was mostly students’ lack of preparation for online classes, and they were found to be having difficulty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upport. Third, technology teach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online instruction and online platforms they were using. On the other hand,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on regarding online instruction. This study could be a basic data on the future direction and studies of improving online classes in technology education. In addition, continuous discussion and studies on online teaching strategies and issues in technology education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기술 수업과 기술 교사에 대한 대학 신입생의 인식

        권혁수,모주순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who recentlyexperienced technology education in their secondary education for describingcontemporary technology classrooms. To accomplish this goal, survey and in-depthinterview on their technology classrooms were employed. Participants in this studywere 427 first-year college students who began their college life in 2013 and consistedof 224 students enrolled in 10 departments of educational major and 203 students whoenrolled in 9 departments of other colleges.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consisted ofpreference toward technology classrooms and teachers, experience in the secondarytechnology classrooms, perception toward technology teachers, and suggestions fortechnology classrooms with five point Likert scale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22 volunteers who answered the instrumentand consented the interview proces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statistical and theme analyses were performed and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year students' experiences for technology classrooms were described with thetheme of 'learning contents or activities'(54.4%). And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technology classrooms(29.1%) was larger than he positive perception(16.5%). Theperception toward technology classrooms was also presented with two themes ofteaching methods and subject interest. The perception toward technology teacherspresented a medium level preference with several themes of teachers' teachingmethods, teachers' personality, and subject interest. Lecture style method(60.48%) waslargely used in the participants' technology classrooms and problem solving orcollaborative methods was not frequent(19.31%). The participants indicated a need forimproving teaching methods in technology education and suggested sufficient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supports and transitions of the learning contents. Further studies investigating the diverse public's perception toward technology andtechnology classrooms could be recommended.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기술교육 현장의 모습을 그리기 위해 최근 중·고등학교에서 기술교육을 직접 받았던 대학생들의 기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수업에 대한 설문지와 심층 면담을 사용하였다. 기술수업에 대한 설문지 참가자는 2013년 입학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사범대학생 10개 학과의 224명과 비 사범대학 9개 학과의 203명을 포함한 427명으로 2013년 3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중·고등학교에서의 기술수업과 교사에 대한 선호도, 기술수업에서의 학습경험, 기술교사에 대한 생각, 그리고 기술교육의 개선방향으로 구성되었고 5점 Likert 척도와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마친 후 개인 면담 연구 참가 중 희망자 22명 전원을 개별 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기술통계와 주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결과 최근 기술교육을 받은 대학 신입생들의 기술수업에 대한 경험은수업 내용 또는 실습 내용으로 표현되고(54.4%), 부정적인 인식(29.1%)이 긍정적인인식(16.5%)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은 주로 수업 내용 외 수업방법과 그들의 흥미의 주제로 표현되었다. 기술교사에 관한 인식은 보통 수준의 선호도를 보였고 교사의 수업 방법, 교사의 태도 또는 성격, 과목에 대한 흥미의 주제로 표현되었다. 이 연구의 참가자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기술수업에서의 수업방법은강의식 수업(60.48%)이고 문제해결 또는 협동학습은 19.31%였다. 기술교육의 인식향상과 발전을 위해서 가장 먼저 기술수업방법의 변화를 지적하였고, 학습 환경과교육과정의 개선, 학습내용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술과 기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대중의 인식에 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