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귀주성의 묘족과 포의족의 납염 비교 연구

        멍위,최종명,김지영,Meng, Yu,Choi, Jongmyoung,Kim, Jiyoung 복식문화학회 2018 服飾文化硏究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examine techniqu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batik by focusing on the work of DanZhai and that of ZhenNing Buyi. We collected 50 pieces of batik each from Miao and Buyi in Chinese GuiZhouSheng and then analyzed their colors and patterns. The findings show that most of Miao's batik had deep and soft tones, while that of Buyi most often had blackish tone since the number of dyes in the latter is higher than that in the former. Miao often used patterns expressing animals or animals and plants, while Buyi frequently used geometric ones. An examination of specific motifs demonstrated that butterflies, fish, and flowers were most often used by Miao, while dots, vortexes, lines, and lozenges were frequently utilized by Buyi. For expressive techniques, both Miao and Buyi commonly used simple stylized expression or complex expression combining stylized and geometric techniques. Maio's motifs were often decoratively expressed with delicate curves, while Buyi's motifs had simple structures, so pictures were neatly expressed with thick lines and wide and simple planes. For the composition of the motifs, incomplete symmetry between top and bottom and between left and right often appeared in Maio, while in Buyi complete symmetry was frequently shown.

      • KCI등재

        대학생의 국적에 따른 캐주얼 셔츠의 감성표현요소 선호도 비교

        멍위,김지영,최종명 한국생활과학회 2020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9 No.4

        This research tried to examine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exchange students living in Korea to find out their differences by nationality and gender using the preference analysis of sensibility expression elements such as color, tone, pattern, texture, etc. that were seen for casual shirts worn by the students. Here, the color and tone preference for casual shirt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and gender of the students.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yellow-green, green, blue-green, navy, purple, brown, white, and black, while the Chinese students preferred orange and pink.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dark and vivid tones, while Chinese students usually preferred bright toned casual shirts. Notably, the pattern preference for casual shirt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and gender.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to wear a striped pattern, while Chinese students preferred casual shirts that were dotted, floral, paisley, and gingham checked. Male students preferred paisley, while female students preferred the patterns of tartan and gingham checked. Texture preference for casual shirt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that is, softness, stiffness, lightness, and roughness. Texture preference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and gender.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casual shirts exhibiting the texture of stiffness, while Chinese students preferred shirts characterized by softness. Male students preferred stiffness and roughnes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본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과 한국 거주 중국인 유학생(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의 색채(색상과 톤), 무늬, 질감 등 감성표현요소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국적과 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캐주얼 셔츠에 대한 색상 선호도는 국적과 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대학생은 중국인 유학생에 비해 연두, 초록, 청록, 남색, 보라, 갈색, 흰색, 검정 색상을 더 선호하였고, 중국인 유학생은 주황, 분홍 색상을 더 선호하였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파랑, 회색 색상을 더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분홍 색상을 더 선호하였다. 국적과 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빨강, 노랑, 파랑, 보라, 갈색 색상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캐주얼 셔츠에 대한 톤 선호도는 밝은 톤, 어두운 톤, 선명한 톤의 3가지 톤 요인으로 분류되었는데, 국적과 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대학생은 중국인 유학생에 비해 어두운 톤, 선명한 톤을 더 선호하였고, 중국인 유학생은 밝은 톤을 더 선호하였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선명한 톤을 더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밝은 톤을 더 선호하였다. 국적과 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밝은 톤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캐주얼 셔츠에 대한 무늬 선호도는 국적과 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대학생은 중국인 유학생에 비해 스트라이프를 더 선호하였고, 중국인 유학생은 도트, 꽃, 페이즐리, 깅엄체크를 더 선호하였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페이즐리를 더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타탄체크, 깅엄체크를 더 선호하였다. 국적과 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깅엄체크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질감 선호도는 유연감, 강경감, 경량감, 요철감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는데, 국적과 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대학생은 중국인 유학생에 비해 강경감을 더 선호하였고, 중국인 유학생은 유연감, 요철감을 더 선호하였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강경감, 요철감을 더 선호하였다. 국적과 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강경감과 경량감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여대생의 국적에 따른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과 촉감 선호도 비교

        멍위 ( Yu Meng ),최종명 ( Jongmyoung Choi ) 한국감성과학회 2021 감성과학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인 감각과 선호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춘추용 캐주얼 셔츠의 소재로 시판되는 소재 중에서 섬유조성이 상이한 7가지 종류의 흰색 셔츠 직물을 선정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에 대한 주관적 감각 및 촉감 선호도의 평가자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으로 40명이었다. 참가자들은 7종 소재를 관찰하고 나서 주관적인 감각과 촉감 선호도에 대한 평가를 설문지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을 요인분석한 결과, 평활감, 경량감, 유연감, 신축감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주관적 감각 요인은 소재의 섬유조성별 국적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여대생은 중국인 여대생 보다 면 100% 소재를 더 가볍다고 평가하였고, 폴리에스터 50%/모달 50% 소재와 P100 소재를 더 신축성이 있다고 평가하였으나, 중국인 여대생은 폴리에스터 50%/면 45%/스판덱스 5% 소재를 더 가볍다고 평가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의 섬유조성별 촉감 선호도는 국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여대생은 중국인 여대생에 비해 면 80%/폴리에스터 20% 소재, 폴리에스터 50%/면 45%/스판덱스 5% 소재, 아마 100% 소재를 더 선호하였다. 한편,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 요인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국적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한국 여대생의 경우, 평활감과 유연감이 캐주얼 셔츠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국인 여대생은 평활감, 유연감, 신축감이 촉감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캐주얼 셔츠 소재에 대한 주관적 감각 및 촉감 선호도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 소재 기획시 이러한 감성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deter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Chinese counterparts residing in Korea by evaluating the subjective sensation and tactile preference in fabrics for casual shirts. Seven types of white causal shirt fabrics were selected as specimens from those available in spring and autumn shirt collection. The fabrics were made from various fibers (cotton 100%, polyester 100%, flax 100%, polyester 80%/cotton 20%, polyester 65%/cotton 35%, polyester 50%/cotton 45%/spandex 5%, and polyester 50%/modal 50%). Forty Korean and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subjectively assessed the subjective sensation of fabrics used for casual shir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observe the seven types of fabrics and complete the questionnaire. The subjective sensation to be assessed for white casual shirt fabrics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factors: smoothness, lightness, softness, and stretchiness. Subjective sensation factor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Korean female students evaluated cotton fabric as being light, whereas their Chinese counterparts evaluated the polyester/cotton/spandex blended fabric as light. Korean female students evaluated polyester/modal blended fabric as being stretchable. The tactile preference for fiber composition of the fabric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Korean female students preferred cotton 80%/polyester 20% blended fabric, polyester 50%/cotton 45%/spandex 5% blended fabric, and flax 100% fabric. The subjective sensation of the fabrics had different effects on preferences by nationality. Smoothness and softness had positive effects on preferences for the fabrics of Korean students. However, smoothness, softness, and stretchines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references of Chinese students. The subjective sensation and tactile preference for casual shirt fabrics showed a difference between Korean female students and their Chinese counterparts. Therefore, when planning casual shirt fabric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se differences in subjective sensation and tactile preference.

      • KCI등재

        면 데님소재의 색채 특성과 주관적 감각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김여원,멍위,최종명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4

        본 연구는 대학생 소비자의 선호 감성을 반영한 패션소재기획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8종의 데님소재를 대상으로 색채 특성과 역학적 특성 등의 객관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데님소재의 색채 선호도, 주관적 감각, 촉감 선호도를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데님소재의 색채 선호도와 촉감 선호도가 데님 슬랙스의 구매 선호도에 미치는영향을 파악하였다. 데님소재의 색채 선호도는 데님소재의 개별 시료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들은 데님소재의 색채특성 중 -b*값과 C값이 낮게 측정된 남색(PB)의 데님소재를 선호하였다. 데님소재의 역학적 특성 중에서마찰계수 평균편차(MMD), 마찰계수(MIU), 기하학적 거칠기(SMD) 등의 표면특성과 전단 히스테리시스(2HG5) 등의 전단특성은 주관적 감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한편, 데님소재의 촉감 선호도는 개별 시료에 따른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폴리우레탄이 혼방된 데님소재에 대한 촉감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면섬유 100%로 구성된상대적으로 두껍고 무거운 데님소재의 촉감 선호도는 낮았다. 또한 촉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감각은 평활감,유연감, 경량감 등의 순이었다. 데님 슬랙스에 대한 구매 선호도는 모두 평균 4점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어 선호하였다. 데님소재의 색채 선호도와 촉감 선호도는 데님 슬랙스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는데, 색채 선호도가 더욱 영향을주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elp the denim fabric planning which reflects the sensibility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bjective characteristics, like color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8 denim fabrics (5 cotton 100% fabrics and 3 cotton/polyurethane blended fabrics) were evaluated. And the color preference, subjective sensation and tactile preference of denim fabrics were investigat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The effect of color preference and tactile preference of denim fabrics on the purchase preference of denim slacks was also examined. Color preference of denim fabr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ind of denim fabrics.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purple blue denim fabrics that was measured low -b* value and low C* value among the color properties of denim fabrics. Amo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denim fabrics, surface property like MMD, MIU and SMD as well as shear property like 2HG5 were important elements affecting subjective sensation. While, tactile preferenc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brics. The tactile preferences of cotton/polyurethane blended denim fabrics was highly preferred, and that of heavy 100% cotton denim fabric was lowly preferred. And the subjective sensation affecting tactile preferences were in order of smoothness, softness, lightness. It is concluded that the color preference and tactile preference influenced upon the purchase preference of denim slacks, and color preference had a bigger effect upon the purchase pre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