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헐벗은 삶」과 정치의 붕괴 -잃어버린 전후 70년, 그리고 50년-

        마키노에이지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본고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다. 첫째, 제2차 세계대전 패전으로부터 일본은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취해 왔는가. 달리 말하자면, 전후 일본은 무엇을 상실했는가. 둘째, 전후 일본은 국제관계, 특히 한일국교정상화에 성공했는가. 달리 말하자면, 일본은 국제적·국내적으로 평화 실현에 노력하며, 법적 정의를 실현했는가. 셋째, 일본 사회에 살고 있는 시민은 「올바른 삶」(bios)을 향수했는가. 넷째, 현대 사회가 추진하고 있는 과학 기술은 국내외 국민의 「올바른 삶」에 상응하는 「희망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가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상과 같은 질문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모두 부정적이다. 첫째로, 현재 일본에서는 평화헌법에 적합한 민주적인 정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민은 노력을 통해서 획득한 민주주의·입헌정치를 상실했다. 둘째로, 전후 70년,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하면서 한일관계는 최악의 상황에 빠져 있다. 셋째로, 일본의 정치는 붕괴상태에 빠져 있고, 「헐벗은 삶」(zoe)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넷째로, 8월 14일의 수상 담화에 대한 평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본은 미국을 예외로 국제적 불신감을 강화시키고 있고 동아시아로부터 고립당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정치의 붕괴를 막고, 국민이 상실한 것을 회복하며, 이웃 국가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첫째로, 「7·1 쿠데타」 이후, 일본이 직면하고 있는 정치적 문제를 인간의 「삶」의 양의성과 관련해서 해독한다. 둘째로, 현대 정치의 붕괴와 그에 따라 발생한 「헐벗은 삶」의 여러 문제들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로, 필자는 「7·1 쿠데타」가 상징하는 일본의 「정치 붕괴」에 의해서 적나라하게 노출된 「헐벗은 삶」의 상황에 대해서, 정치의 본래 모습을 탐구하기 위한 「올바른 삶」의 의의를 규명한다. 넷째로, 「정치 붕괴」는 아베정권이 목표로 하는 분쟁의 해결 방법이 「자율형 무기」의 활용을 촉진시키고, 「7·1 쿠데타」의 최종 국면으로서 「헐벗은 삶」에 의한 인간의 「올바른 삶」을 위기에 노출시키는 리스크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전후 정치의 붕괴에 가담한 「미국 예외주의」의 공죄를 지적하고, 바람직한 시대의 도래를 위한 방향성을 전망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answer four particular questions. First, what has Japan learned and gained since its defeat in World War II, and what has it lost? Second, did Japan manage to establish favorable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postwar years, particularly in normaliz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To put it differently, has Japan made efforts to achieve peace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realized legal justice? Third, does Japanese society enjoy a qualified life (the English term for the Greek bios)? Fourth, can the science and technology being promoted in Japanese society today guarantee a right to hope as appropriate for the qualified lives of people in Japan and beyond? My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all negative. First, Japan today lacks the democratic governance needed to serve the purpose of its pacifist constitution. The Japanese people have lost democracy and state governance based on constitutionalism, which they had worked so tirelessly to realize. Second, Japan-South Korea relations plunged to a new low as Japan marked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an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Third, Japan’s political scene is on the verge of collapse, exposing a state of bare life (the English term for the Greek zoe). Fourth, Japan has lost the trus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xcept the U.S.) as manifested by various countries’ responses to Prime Minister Shinzo Abe’s August 14 statement on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The nation is increasingly isolating itself from others in East Asia. How can Japan avoid the road to political collapse, recover what its people have lost, and regain the confidence of neighboring countries? This paper discusses these pressing issues. First, I will elucidate, in consideration of life’s ambiguities, the political issues Japan has faced since the fundamental policy change of July 1, 2015, when the Shinzo Abe administration made a Cabinet decision to allow exercise of the right to collective defense. Second, I will discuss the pending collapse of today’s politics and various aspects of the resulting bare life. Third, I will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a qualified life as a way of examining an ideal political world, as opposed to the state of bare life exposed by Japan’s political malaise as symbolized by the fundamental policy change of July 1. Fourth, I will clarify how,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al collapse, the method of conflict resolution pursued by the Shinzo Abe administration will promote the use of autonomous weapons, and how the bare life concept could endanger qualified life as a consequence of the policy change. Lastly, I will outline the pros and cons of American exceptionalism, which played a part in Japan’s postwar political collapse, and propose a direction to be taken toward a bright future.

      • KCI등재

        아시아문화연구와 후쿠시마(福島) 원전사고 이야기 ― 동아시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하여 ―

        마키노 에이지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tsunami that struck Japan on March11,2011, and particularly the ensuin gnuclear accident at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produced more than 300,000 victims, survivors and evacuees mainly in the northeastern Tohoku region and the Kanto area, where Tokyo is located. The colossal earthquake and massive tsunami devastated a great many villages and communities along with their traditions in the Tohoku region, and claimed the lives of many local residents who were also guardians of traditional culture. The release and worldwide spread of radioactive materials from the stricken nuclear power plant in Fukushima have had a far-reaching influence on the whole of Japanese culture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livelihoods of Fukushima people, the local culture and economy, and the local agricultural and tourism industries. Consequently, Japanese culture is now undergoing a rapid transformation. The author elucidates the significanc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value for human beings as something that is enabled only by study of the humanities. 2011년 3월의 동일본대지진, 특히 후쿠시마원전사고가 인간과 최신 과학기술의 성과조차 무력화시키는 자연의 맹위와 인간에게 기인하는 자연의 제어불가능한 위협에 의해 피해지 주민의 ‘인간답게 살아가는 기술과 기반’, ‘정주지(colonia)’를 빼앗았다. 이 ‘복합재해’, 특히 방사능오염에 의해 전혀 새로운 성격의 ‘식민지주의’(colonialism)라고도 불러야할 폭력이 일본에서 살아가는 많은 인간에게 세대를 넘어 앞으로 불안에 떨면서 살아가야만 하는 사태를 가져온 것이다. 이 전혀 새로운 성격의 ‘식민지주의’가 일본에 한하지 않고 동아시아 제 국민 사이로 확대할 기우를 금하지 않을 수 없다. 후쿠시마원전사고는 일본의 전통문화나 의식주, 전반적인 것에 걸쳐 인간의 문화적 생활양식과 그 기반을 대규모로 파괴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원전건설기술의 수출은 머지않아 동아시아의 전통문화나 의식주 등 문화적인 생활양식과 그 기반을 대규모로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 후쿠시마원전사고의 최대 교훈 중 한 가지는 인문학의 입장에서 이러한 ‘역사의 기억’을 이야기하고 여러 ‘신화’를 비판적으로 서술하고 피해자의 비통한 외침에 귀를 기울여 그러한 약자의 구술 역사를 널리 전승하는 것에 있다. 정치ㆍ경제ㆍ금융의 위기적 상황이나 군사적 긴장관계에 있는 아시아지역 문화연구의 중요한 과제는 후쿠시마원전사고에 의해 명확해진, 지역에 사는 인간의 생명이나 생활의 지평으로부터 모든 지식의 존재를 근본적으로 다시 묻고 그러한 현실을 생생한 단어로 서사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인문학의 시도에 의해 ‘내셔널 히스토리’의 제약을 초월하여 인간다운 사회가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국가 사이에서 실현가능해지고 동아시아의 안정과 평화의 실현에도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다문화주의와 철학의 과제

        마키노 에이지(牧野英二)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8 아시아문화연구 Vol.15 No.-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henomena and acts of violence of language, especially in regard to the Japanese language. Firstly, consideration will be given to the necessity of analyzing “nationality”, “Japaneseness” and “Japanese culture” in terms of the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features of present-day Japan. Secondly, the oppressive characteristics of “Asia” and “neo-Asianism” which have been restored amidst the globalizing trends of the day, will be clarified. Thirdly, I will consider “non-Asian phenomena in Japan” and “Asian phenomena in Japan”.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alism and regionalism.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the fact that Japanese language and Japanese cultural phenomena have diverse functions in their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will be elucidated. I will first examine the negative meaning of “neo-Asianism” through a critique of cultural philosophy, and then focus my attention on the positive meaning of multiculturalism with the aim of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ditions of crosscultural studies and human conditions. Fourthly, efforts will be made to pursue a method of reconciliation between universalistic, essentialist statements and relativistic, constructivist statements. In conclusion, I will elaborate on a critique of language and critical functions based on a critique of cultural philosophy from a pluralistic standpoint.

      • KCI등재후보

        문화연구와 ‘휴머니티’의 과제

        마키노 에이지(牧野英二)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아시아문화연구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hilosophically review the basic ideas and framework of thoughts outlined below which are used as premises by cultural researchers in the twenty-first century. Culture in its entirety is facing global crisis. In this study, cultural crisis will be defined as an initial approach. Then, a paradox of its relation to the results of natural science's remarkable development will be presented. Thus, an attempt to provide ideas toward overcoming this cultural crisis while focusing on the concept of humanity will be explored, as it addresses related issues from the viewpoints of cultural philosophy, intercultural philosophy and neuro-ethics. Cultural studi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are confronted by complexity as the global expansion and diffusion of cultural phenomena have enhanced the ambiguities of its representation. The rapid expansion of industrialization has also contributed to the deconstruction of traditional culture. Thus, the roles of cultural experts have increased and undergone transformation. These circumstances paved way to backlash, criticism and resistance against global culture from a local viewpoint wired with ethnic and minority culture, while on the other hand, creating a trend toward mediation or new integration with globalism. A typical expression which can be attached is 'glocalism'. These trends have also resulted in various cultures crossing national boundaries. Consequently,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to provide a definitiv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exactly culture or Asian culture is. Additionally in today's cultur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take the aforementioned cultural complexity into consideration to look into a wide variety of individual cultural phenomena from a broad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llenge of cultural crisis and neuro-ethics which deals with the study of ethical considerations in neuroscience and brain science. This paper therefore seeks to illuminate the truth of a paradox that seriously challenges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 beings and human nature based on which such a view is developed. Cultural studies, now face major challenges like the flagging of traditional cultures, the increased cultural fragmentation or complexity which are becoming more serious globally among peoples - particularly among minorities - irrespective of origin and economic background. In view of cultural ambiguities, developments from the field of Philosophy, Science and Technology, are intended to give light to the very nature of our own cultural experience, as these critiques need to further clarify such ambiguity by pointing out dangers and crises. Such work should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securing humanity which serves as the foundation of culture, and in promoting sound development in more specific branches like morals, ethics, law, etc. As an implication, cultural studi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o actively promote research on cultural phenomena from complex viewpoints such as global, local and glocal ways of thinking.

      • KCI등재

        아시아문화연구와 후쿠시마(福島) 원전사고 이야기

        마키노 에이지(牧野英二)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2011년 3월의 동일본대지진, 특히 후쿠시마원전사고가 인간과 최신 과학기술의 성과조차 무력화시키는 자연의 맹위와 인간에게 기인하는 자연의 제어 불가능한 위협에 의해 피해지 주민의 ‘인간답게 살아가는 기술과 기반’, ‘정주지(colonia)’를 빼앗았다. 이 ‘복합재해’, 특히 방사능오염에 의해 전혀 새로 운 성격의 ‘식민지주의’(colonialism)라고도 불러야할 폭력이 일본에서 살아가는 많은 인간에게 세대를 넘어 앞으로 불안에 떨면서 살아가야만 하는 사태를 가져온 것이다. 이 전혀 새로운 성격의 ‘식민지주의’가 일본에 한하지 않고 동아시아 제 국민 사이로 확대할 기우를 금하지 않을 수 없다. 후쿠시마원전사고는 일본의 전통문화나 의식주, 전반적인 것에 걸쳐 인간의 문화적 생활양식과 그 기반을 대규모로 파괴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원전건설기술의 수출은 머지않아 동아시아의 전통문화나 의식주 등 문화적인 생활양식과 그 기반을 대규모로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 후쿠시마원전사고의 최대 교훈 중 한 가지는 인문학의 입장에서 이러한 ‘역사의 기억’을 이야기하고 여러 ‘신화’를 비판적으로 서술하고 피해자의 비통한 외침에 귀를 기울여 그러한 약자의 구술 역사를 널리 전승하는 것에 있다. 정치·경제·금융의 위기적 상황이나 군사적 긴장관계에 있는 아시아지역 문화연구의 중요한 과제는 후쿠시마원전사고에 의해 명확해진, 지역에 사는 인간의 생명이나 생활의 지평으로부터 모든 지식의 존재를 근본적으로 다시 묻고 그러한 현실을 생생한 단어로 서사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인문학의 시도에 의해 ‘내셔널 히스토리’의 제약을 초월하여 인간다운 사회가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국가 사이에서 실현가능해지고 동아시아의 안정과 평화의 실현에도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tsunami that struck Japan on March11,2011, and particularly the ensuin gnuclear accident at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produced more than 300,000 victims, survivors and evacuees mainly in the northeastern Tohoku region and the Kanto area, where Tokyo is located. The colossal earthquake and massive tsunami devastated a great many villages and communities along with their traditions in the Tohoku region, and claimed the lives of many local residents who were also guardians of traditional culture. The release and worldwide spread of radioactive materials from the stricken nuclear power plant in Fukushima have had a far-reaching influence on the whole of Japanese culture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livelihoods of Fukushima people, the local culture and economy, and the local agricultural and tourism industries. Consequently, Japanese culture is now undergoing a rapid transformation. The author elucidates the significanc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value for human beings as something that is enabled only by study of the huma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