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주 시경 말본에서의 「부름만」의 위치

        리의도 건국대학교 1986 論文集 Vol.23 No.1

        In this paper, I study where "Bureum-man(부름만)"-a(아), ya(야), yeo(여), iyeo(이여) - is situated within the Ju Si-gyeong(주 시경)'s theory, centering on the descriptions of Gugeo-munbeob(국어 문법 1910 ; Korean Grammar) which is acknowledged as the representative book of his works on Korean Language. ("Bureum-man" what Ju called is the grammartical term that is commonly called the vocative case-marker at the present time.) I seize that Ju perceived Mani(만이), which is commonly called the case marker at the time, to be separated into two subclasses: one is that only performs the grammatical function in sentences, another the semantic function beyond this. Accordingly I will call the former Hos-man(홋만) and the latter DDeus-man(뜻만). These are not the term which Ju employed personally. In Gugeo-monbeob, and then, the descriptions for Bureum-man intermixes in that of the ordinary DDeus-man from the order point of view, and he defines for Bureum-man to represent' to be called'. Therefore excessively attacking to such the fact, it may seem that Ju treated Bureum-man as Dueus-man. I agree to the opinion that Ju interpreted'to be called' as the semantic function But I think that it is not the full evidances which Ju perceives Bureum-man as DDeus-man. I preferably conclude that Ju perceived Bureum-man as a sort of Imi-man(임이만), which is a subclass of Hos-man. Untill I decide the conclusion, I minutely have compared as well as inquired the description in Gugeo-munbeob, and have examined the transition of the system from Gugeo-munbeob to Mal-eui Soli(말의 소리 1914 ; Korean Sound). Bureum-man is distingushed from the other Iml-man by that performs the semantic function. It is a fact that Ju perceived such the phenomenon and defined such the conception too, but Ju did not establish it as a grammartical category I will call it Teugbyeol-im-man(특별임만), which signifies what is a special nominative case-marker Perfectly refecting the effect of such this investigation, I reorgasize the classitication of Mani in the following: ***** This framework showes clearly the Bureum-man's position within Mani that Ju referee in his theory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한글 관련 용어 ‘자모 ․ 낱자’와 ‘글자’의 사용 실태연구: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을 중심으로

        리의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4 No.-

        In transcription method, Hangeul has a uniquely precious characteristic verydifferent from other writing systems: It is equipped with both phonemic symboland syllabogram. In Korea, however, the standard rules for Hangeul does notspecify the subject matter and associated terminologies in sufficient ways. Moreover, the description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are obscure at best. Unfaithfulness and obscurity of the standard rules for Hangeul has whollyreflected themselves o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f Korean, textbookand guide book for lessons. Results of inadequate understanding on phonemicsymbol and syllabogram have continually been exposed even without the termsreferring to these two symbols in consistent manner. Such a tendency remainingmuch the same since the independence in 1945 is prominent in books forlessons for middle grades and higher. On the other hand, since 「1981 curriculum」,lower grades course for Hangeul lessons has positively presented ‘(basic) syllabletable’, which contains every kind of problems. In the meantime, there has been a positive progress in outline. Turning thetime period of 「1987 curriculum」 for textbooks, terms for phonemic symbolswere almost set into ‘낱자(natja)’ and syllabograms into ‘글자(geulja)’. 「2007curriculum」 and textbooks at this time began to use ‘자음자(consonant letter)’and ‘모음자(vowel letter)’ as the term for sorting 낱자(natja). Still, this is the한글 관련 용어 ‘자모·낱자’와 ‘글자’의 사용 실태 연구 157case mostly for the first grader’s course and that with an unstable scope fornatja. It is considered necessary that not only the standard rules for Hangeul andcurriculums but also textbook and guide book for all grades should improvesoon with stability of the scope for ‘낱자’ in the direction of expansion. 표기 방식으로 볼 때에, 한글에는 여느 문자와는 아주 다른, 독특하고도 소중한특징이 있다. 음소 표기자와 음절 표기자를 함께 갖추고 있는 점이 그것이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어문 규정에 그와 관련된 내용과 용어가 충실히 명시돼 있지 않을뿐더러 규정되어 있는 내용도 선명하지 않다. 어문 규정의 불충실과 불선명은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교과서와 지도서)에 그대로 투영되어 왔다. 음소 표기자와 음절 표기자에 대한 불충분한 인식의 결과가 지속적으로 노출되었으며, 두 표기자를 가리키는 용어도 일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8․15 광복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비슷한데, 중학년 이상의 교과용 도서에서 두드러졌다. 저학년의 한글 익히기 과정에서는 「교육과정1981」 시기부터 ‘(기본) 음절표’를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그 표에는 갖가지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그러는 중에도 큰 줄기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흘러왔다. 「교육과정 1987」 시기의 교과서에 이르러 음소 표기자를 가리키는 용어는 ‘낱자’로, 음절 표기자를 가리키는 용어는 ‘글자’로 거의 굳어졌다. 「2007 교육과정」과 그 시기의 교과서에서는낱자를 분류하는 용어로 ‘자음자·모음자’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이것은대부분 1학년 과정에 국한된 사정이며, 그나마 낱자의 범위는 불안정하다. 어문 규정은 물론이요, 교육과정을 비롯하여 모든 교과서와 지도서의 한글 관련용어가 하루바삐 안착하고, 낱자의 범위도 확대의 방향으로 안정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잡지《한글》의 발전사

        리의도 한글학회 2002 한글 Vol.- No.256

        The History of Han-geul(the Journal of KLS)

      • KCI등재

        주 시경의 토씨 연구에 대한 고찰

        리의도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87 겨레어문학 Vol.11·12 No.-

        이 글은, 지금까지 세상에 드러난 자료를 가지고, 한힌샘 주 시경 선생의 토씨 연구가 어떻게 변천ㆍ발전되어 왔는가를 살핀 것이다. 이 글에서 논의 한 내용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1) 한힌샘의 말본갈에서 토씨가 설정되기는 《國文文法》(1905)에서가 처음이며, 그때의 이름은 「인졉(引接)」이다. 여기서의 「인졉」은, 이름씨 아래 붙어서, 의미상으로 이름씨와 풀이씨 사이의 관계를 맺어 주는 요소로 인식하였다. 2) 이러한 인식과 처리 방법은 《말》(1908)에 이르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완전한 하나의 체계로 자리 잡히는데, 그 체계는 본문의 (4)와 같이 정리된다. 다시 말하면, 한힌샘은 《말》에 이르러 자리토씨(常意格)와 도움토씨(特意格)를 구별하여 인식하였고, 또 임자자리 토씨와 부림자리 토씨와 어찌자리 토씨를 구별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이르러 토씨가 말본소(關係部)임을 명확히 인식하였다. 3) 《高等國語文典》(1909)에 이르러서는 「引接」이란 술어를 「關聯」으로 바꾸며, 그것은 《國文文法》(1910)의 「겻」으로 이어진다. 4) 한힌샘은, 이음토씨 "의"의 처리에 매우 고심한 것 같은데, 《말》에서는「∼하는 표」라고 하다가 《高等國語文典》에서는 「關聯」이라고 하여 하나의 씨(토씨)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國文文法》에서는 「겻」(토씨)으로서 처리한 흔적이 보이지 않으며, 《말의 소리》(1914)에 다시 「겻」의 하나로 나타난다. 5) 이음토씨 "과/와"는 《高等國語文典》에서 「接續」(이음법 씨끝)의 하나로 설정되며, 이것은 그 이후 《말의 소리》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