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문화재로서 전통술[傳統酒]의 가치와 보전ㆍ활용 방향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4

        전통술[傳統酒]이란, 세대를 거듭하여 이어져온 것으로,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산물을 재료로 써서 전통적인 도구를 이용해 조상들이 하던 방식대로 제조한 술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술 제조는 과거의 문화를 담은 유산으로서, 총 32건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전하고 있다. 무형문화재로서 ‘전통술 제조’는 역사적 소산이자 풍부한 전통지식과 지혜를 담은 자산이며, 다양한 활용 가치를 가진 자원이기도 하다. 그런데 조선 후기의 여러 기록에 수백 가지에 이르는 제조 방법이 소개되었던전통술은 일제강점기 동안 거의 단절되었고, 광복 후 식량이 부족하던 시기를 지나면서 문화적 다양성을 더욱 잃어버렸다. 이후 전통술을 되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나, 오늘날 전통술은 연간 국내 술 출고량 중 0.08%를 차지하는 수준에머물러 있다. 게다가 전통술 보전과 활용은 그 결과물인 술을 상품화하여 경제적가치를 높이는 데에만 몰두하는 등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전통술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한 것은 결과물인 술이 아니라 전통술 제조 과정과 그 기술임에 비추어, 무형문화재로서 전통술 보전과 활용은 과정에 초점을 맞춰 문화를 되살리는 데 집중해야 한다. 상품화된 전통술을 이용한 경제적 활용에만 몰두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문화를 되살릴 때 무형문화재로서 전통술 보전과 활용은 더욱 풍부해질 수 있고, 의미 중심 활용, 가치 중심 활용을 실현할 수 있다. 무형문화재로서의 본질적 의미와 가치를 되찾고, 그것을 확장해나가야 하는 것이다. 문화유산 활용 관점에서 전통술 보전·활용은 그 방법과 형태, 관련 분야 등을 다각적으로 모색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암울했던 시대의 역사 왜곡과 문화 단절을극복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다. 그렇게 할 때 무형문화재로서 전통술은 활용 지평을 넓히고 보전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several kinds of traditional liquor. The craftsmen make the liquor with the product produced in the region and by using traditional tools. They manufacture the liquor in the same ways our ancestors did. So ‘producing the traditional liquor’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mbraces historic meaning, traditional knowledge and wisdom of our ancestors. We have 32 kinds of traditional liquor designated as state-designated or metropolitan city/provinc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There are hundreds kinds of traditional liquor in old books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most kinds of traditional liquor have been ceas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e also had difficulty in preserving traditional liquor in the period in which we were short of food supply. We ruined cultural diversity in the culture of producing traditional liquor in the past. In spite of the efforts the craftsmen have made to revive the traditional liquor, it occupies only 0.08% of the total domestic liquor output nowadays. Most young adults have little interest in and don’t appreciate traditional liquor. Besides, we have focused on the commercial value of traditional liquor. But the intrinsic value of traditional liquor lies not on the liquor as commercialized product, but on the whole process of producing traditional liquor. Therefore, we have to change the preserving and utilizing direction of traditional liquor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f we focus on the intrinsic value of the heritage, we can find far more various utilizing ways such as enjoying the heritage, educational utilizing, academic utilizing, regional utilizing, economic utilizing, international utilizing, and so on. When we revive the culture of traditional liquor by trying various utilizations, we can overcome the interruption to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colonial period. In short, we can diversify and enrich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liquor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trengthen the base of preserving the heritage by focusing on the intrinsic value of it.

      • KCI등재

        역사ㆍ문화 교육 관점에서 갈등 문화유산에 관한 인식과 보존ㆍ활용 - 북한산 선정비 등 역사적 갈등을 담은 비석들을 사례로 -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3

        역사 해석과 인식을 두고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문화유산들이 있다. 그중에서 친일 인물이나 탐관오리의 선정비들은 대체로 허위 공적과 선정이 기록된 것들이 많은데, 북한산 선정비 등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이처럼 갈등을 일으키는 유산들은 ‘부정적 문화유산’이나 ‘불편한 문화유산’ 등 으로 부르며 없애버리거나 감추어야 할 것들로 생각하는 일이 많다. 그런데 더 큰 틀에서 보면 이러한 갈등 유산은 그것이 형성되던 시대부터 오늘에 이르는 역사를 간직한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부정적 역사를 담은 유산이라도 함부로 없애버리거 나 훼손해도 되는 것들이 아니다. 문화유산의 의미와 가치 판단은 가변적인 것이 어서 어느 한 시대의 평가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부정적 역사의 결과물이 역사ㆍ문화 교육 관점에서는 오히려 효과적인 교육 소재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북한산 선정비들은 현장을 정비하여 그것들이 문화유산임을 분명히 한 후, 해설사 배치, 안내문 설치와 QR코드 부착 등을 통해 그에 관한 내용을 알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비문 등 내용을 가진 문화유산이므로 그 내용 을 사실대로 나눔으로써 역사 인식을 바르게 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다. 이처럼 갈등 문화유산을 객관적으로 보고 그 의미와 가치를 바르게 인식할 때 우리는 국 권피탈기와 역사적 아픔을 극복할 수 있다. Some cultural heritages cause social conflict over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perceptions. Among them, monuments exist to commemorate good rule recording achievements or exemplary governments, which may be deceptive. Examples of monuments of pro-Japanese figures or corrupt officials can be found in Bukhansan Mountain. We often consider such conflicting heritages as things to be removed or hidden, designating them as “negative cultural heritages” or “uncomfortable cultural heritages.” However, in a larger framework, these conflicting heritages are valuable in that they retain history from their inception to the present. From this standpoint, even a legacy containing negative history cannot be recklessly removed or damaged. As the criteria to judge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can vary, the evaluation of an era is not absolute. Additionally, cultural heritage resulting from negative history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From this standpoint, Bukhansan monuments can be utilized, centering on their contents as cultural heritage. It is effective to have commentators explain the monuments or install notices and quick response (QR) codes containing relevant information. As these monuments are cultural heritages with historical conten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accurate version of history by sharing their meaning. Accordingly, when we objectively consider conflicting cultural heritages and recognize their meaning and value correctly, we can overcome the colonial period and historical pain.

      • KCI등재

        지역 문화재로서 증평 남하리사지의 가치와 교육적 활용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8

        문화재의 가치를 찾아 누리고 나누는 것을 문화재 활용이라고 한다. 정부의 지원 사업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민간 참여 등으로 문화재 활용은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그런데, 문화재 활용이 문화재가 가진 본질적 가치에 집중되지 못하는 점이나 소외되는 문화재가 많다는 점 등 한계도 있다. 이 연구는 문화재로서 사지 활용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충북 증평 남하리사지와 소재 문화재를 사례로 활용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문화재가 가진 가치와 특성을 분석한 후 그에 맞춘 실질적 활용 방안으로 교육적 활용을 제안했다. 남하리사지와 소재 문화재는 지역 문화재로서 고도(古都) 등 중심 지역의 것들과는 다른 그 지역의 문화를 담고 있다.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지역적․시대적 특성이 녹아있는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남하리사지 삼층석탑과 마애불상군을 다른 지역, 다른 시대의 것들과 비교함으로써 공통점과 특성을 찾고, 이를 통해 지역 문화재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비교를 통해 지역 문화재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방법으로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중심 내용이다. Finding, enjoying, and sharing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s calle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is becoming more active due to the government's support,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participa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the fact that the use of cultural heritage is not concentrated on the essential values of cultural heritage and that there are many cultural heritages that do not receive attention. The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the use of the temple site as a cultural heritage and sought ways to use the Namha-ri Temple Site in Jeungpyeong, Chungcheongbuk-do Province, and cultural heritages on the site as examples. After analyzing th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I proposed educational use as a practical method of utilization accordingly. The Namha-ri Temple Site and the cultural heritages on the site are local cultural heritag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entral region such as the ancient capital. They contain region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at show cultural diversity. From this perspective,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nd the rock cliff Buddha statue of Namha-ri Temple Site can b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regions and periods to find common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thereby making the learners aware of their significance and value as local cultural heritages.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that we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in a way that learners as subjects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local cultural heritage through comparison.

      • KCI등재

        매장문화재 보존조치 제도의 개선 필요성과 방향

        류호철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3

        After inspecting ground surface or excavating cultural heritage site, the government can take measures for the preserv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related law. It means that the provisions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curr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by extending the scope of cultural heritage to be preserved. But we neither have set any matters about implementing the measures for preservation of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nor manage the heritage and its surroundings after implementing the measures. Due to these insufficiency of the law, there arise several problems in the field. For example, the measures for preservation are not complete, or preserved cultural heritage is damaged due to inappropriate management. We have to resolve the problems in order to accomplish the original purpose of taking measures for preservation of the heritage.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sure of the legal status of preserved buried cultural heritage, to establish the standards to decide whether to preserve it or not. We need to have regulations by law or internal rule on the daily management, who should manage it, what and how the manager should manage. It is also important for local residents to take an active part in preserving and utilizing the cultural heritage as the owner. Through building up the foundation mentioned above, the meaning and value of preserved buried cultural heritage can be expanded widely. 지표조사나 발굴조사 후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인정되는 매장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매장문화재 보존조치 제도를 법률로 정하고 있다. 이는 지정·등록 문화재로 한정된 보존 대상 문화재의 범위를 확장하고 문화재 보존으로 인한 재산권 제한을 일부 완화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현행 문화재 관리 제도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런데 문화재 보존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만 법령으로 정해져 있을 뿐, 보존조치에 관한 사항과 그 후 관리에 관해서는 명확한 규정이 없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는 보존 매장문화재의 가치 유지에 적합한 보존조치가 이행되지 않거나, 보존조치 후 철저히 관리되지 않는 등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 매장문화재 보존조치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항을 보완해야 한다. 우선 보존 매장문화재의 법적 성격을 명확히 하고, 보존 대상 결정 기준, 보존조치의 기준과 내용 및 방법, 관리주체 선정과 관리 내용 및 방법 등을 법률 또는 내부 규정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조사 및 발굴과 보존조치 등에 지역 주민들과 민간단체가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보존 매장문화재 관리와 활용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과 민간단체 등이 서로 협력하는 문화재 관리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이와 함께 매장문화재를 원형 보존하는 경우 문화재 보존에 따른 재산권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이처럼 현장 상황에 맞추어 제도를 개선하고, 지역 주민 등 각 주체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는 등 문화재 관리와 활용을 위한 기반을 공고히 할 때 보존 매장문화재는 문화재로서의 의미가 한층 커질 것이다.

      • KCI등재

        문화재 활용과 가치 증진 관점에서 서산 보원사지(普願寺址)의 특성과 활용 방안

        류호철,장용철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0

        By revealing the inherent value of cultural heritage, we can enjoy it in various ways or use it as a basis for creating new valu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refers to further enhancing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n this way. Cultural heritage is a treasure hut that contains cultural diversity, and its characteristics vary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type, area, age, geographical condition, and preservation status. Therefore, we should utilize cultural heritage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containing Bowonsa Temple Site(Historic Site) and several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I explored ways to utilize and enhance the value of the area. We can utilize cultural heritage most effectively and sustainably by reviving the culture that includes the cultural heritage and letting it recover its function as a living culture. The temple site and related cultural heritages have conditions suitable for realizing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at revitalize the culture in terms of historical, cultural value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district-unit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way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creating ‘historical and cultural village’. We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n that I seek new way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such as area-based utilization, district unit utilization, utilization with reviving culture surrounding the heritage. 문화재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를 드러내어 그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누리거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바탕으로 이용함으로써 문화재의 가치를 더욱 증진하는 모든 행위를 문화재 활용이라고 한다. 문화재는 문화적 다양성을 담고 있는 보고(寶庫)로, 그 유형과 지역, 시대, 지리적 조건, 보존 상태 등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그 특성이 제각각이다. 따라서 문화재 활용은 이러한 문화재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서산마애삼존불(국보)과 보원사지(사적), 보원사지 문화재(보물 5건) 등 국가지정문화재 7건이 함께 있는 보원사지 구간을 대상으로 문화재 활용 관점에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문화재 활용은 그 문화재를 포함하는 문화를 되살려 그것이 살아있는 문화로 제 기능을 회복하게 할 때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것이 될 수 있다. 보원사지와 관련 문화재들은 역사적․문화적 가치와 입지적 특성 등에 비추어 문화를 되살리는 문화재 활용을 실현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주목하여 ‘역사문화마을 가꾸기’를 통한 지구단위 문화재 보존․활용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내용이다. 개별 문화재 활용을 넘어선 면적(面的) 활용과 지구단위 활용, 문화재를 과거의 산물로만 두는 한계를 넘어 문화를 되살리는 활용 등 새로운 보존․활용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문화재 관리체계의 한계와 개선방안 - 유형문화재 현장 관리 조직 설치를 중심으로 -

        류호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4 No.-

        1990년대에 문화재 답사가 대중화된 후 2000년대 이후 문화재 활용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문화재가 갖는 사회적・문화적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그것을 확산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서 가치가 손상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화재나 자연재해 등으로 훼손되기도 하고, 사람에 의한 훼손도 늘어나고 있다. 문화재 도난과 도굴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속해서 일어나는 것은 현장 관리 조직을 갖추지 못한 채 행정에만 의존하는 등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확립하지 못한 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 국립공원이나 산림, 국토 등 문화재와 비슷하게 현장을 관리해야 하는 분야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현장 관리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문화재도 이제는 (가칭)문화재관리공단과 같은 조직을 설립하여 현장 관리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문화재 관리는 행정으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므로, 현장 관리 조직을 확보하여 중앙행정기관(문화재청)과 지방자치단체, 현장 관리 조직 간 체계를 확립하고 각 주체의 역할과 권한 및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적 체계가 갖추어질 때 문화재 관리의 수준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문화재 관리체계가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유사 분야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Exploring the cultural heritage was popularized in the 1990s, and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olicy is being promoted in earnest in 2000s. It means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cultural heritage is newly recognized, and can be described as an effort to spread it. On the other hand, the damage to the cultural heritage is ongoing, because we do not properly manage it. Damaged by fire or natural disaster sometimes, and even damage caused by people is increasing. Stealing cultural property and illegal excavating it has not been eradicated. Underlying causes of these problems are that we only rely on government administration without having a site management organization. In the fields that need on-site management such as national parks management or forestry management, they have long been operating field organizations. We sh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sit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by establishing field organization such as Cultiral Heritage Management Corporation. We must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field organization, and clarify each subject's role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fter this structural system equipped,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n be enhanced to a new level.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issue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and investigated several similar cases such as National Park Management and forestry management. Finally, I tried to find efficient ways to improve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무형문화재의 개념 확장과 전통문화 보전·활용 - 충남 서천군 마서면의 전통문화 전승을 사례로 -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1

        전통문화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오랜 기간에 걸쳐 함께 형성하고 유지해온 역사 이자 삶 그 자체이다. 단순히 옛것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을 더욱 풍부 하게 해주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기반이 되어주는 등 다양한 가치들 담고 있 는 것이 전통문화이다. 최근에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문화유산 활용 정책 이 활발해지고 민간 참여도 점차 활성화되는 등 전통문화를 포함하는 문화재의 가 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비해 전통문화 중 일부만이 후세에 전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인정받아 무 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통문화 중에서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에만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그러는 사이 사회문화적 변동 등으로 인해 전통문화는 급격히 소멸되고 있으며,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들도 예외가 아 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현행 무형문화재 제도에 더해 실물 자료 수 집·보존과 디지털 자료를 포함하는 전통문화 아카이브 구축을 병행해야 한다. 전 통문화 아카이브를 무형문화재 보전을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아 니라, 전승자를 중심으로 하는 무형문화재 정책과 전통문화 아카이브를 두 축으로 하여 전통문화 및 무형문화재 보전의 실효성을 높이고 그 지평을 넓혀가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새로 시행되는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근 거하여 무형문화재 지정을 가능한 한 확대하는 등 무형문화재 정책을 강화하고, 전통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것으로 무형문화재의 개념을 확장함으로써 미래적 관 점에서 전통문화를 더욱 풍부하게 보전할 수 있다. 이처럼 전통문화의 특성과 그 것의 전승 실태에 적합한 맞춤형 정책을 펼칠 때 전통문화 보전·활용은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culture is the very history which the community members have formed and maintained. It’s not just old ones, but the base for creating a new culture. We can live a richer life through traditional culture. In recent yea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 by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is becoming much more active. We are newly aware of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ncluding traditional culture. In contrast, we designate only some of the traditional culture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consider only the traditional heritage which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be important. Meanwhile, traditional culture including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being rapidly destroyed due to socio-cultural changes. We have to parallel the two policie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ne i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being transmitted by designating as 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other is to establish the traditional culture archives in order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which is broken.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ies by designating the traditional cultur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many as possible. And we should expand the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encompass the entire traditional culture. As such, we take advantage of preserving and utilizing the traditional culture when we enforce the customized policie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and its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