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시신경유두주위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류천국(Cheon Kuk Ryu),임형빈(Hyung Bin Lim),김정열(Jung Yeul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1

        목적: 주시안과 비주시안이 빛간섭단층촬영 및 시신경유두주위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 측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과 질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촬영한 빛간섭단층촬영 및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분석하였다. ‘Hole-in-the-card test’를 시행하여 주시안을 확인하였다. 시신경유두주위에 4.5 x 4.5 mm scan을 시행하여 시신경유두주위 관류밀도 및 플럭스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중심황반두께 및 신경절세포층 및 내망상층,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역시 측정하였다.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빛간섭단층촬영,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42명 84안이 포함되었다. 대상군의 평균 나이는 27.3 ± 5.63세였으며, 주시안은 우안 28안(66.7%), 좌안이 14안(33.3%)이었다.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주시안과 비주시안 간의 중심황반두께(260.00 ± 14.16 μm, 258.71 ± 15.18 μm, p=0.183), 신경절세포층 및내망상층 복합체두께(82.02 ± 5.07 μm, 82.43 ± 5.60 μm, p=0.460), 망막신경섬유층 두께(99.36 ± 9.27 μm, 97.90 ± 9.46 μm, p=0.091)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검사의 시신경 주위 표층모세혈관망의 관류 밀도(44.62 ± 5.25%, 45.60 ± 2.27%, p=0.221), 플럭스 지수(0.455 ± 0.020, 0.449 ± 0.028, p=0.060)에서도 통계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빛간섭단층촬영 및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측정치는 주시안과 비주시안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따라서 주시안을 확인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인자로서의 의미는 찾을 수 없었다. Purpose: To assess whethe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measurements and peripapillary microvascular parameters measured via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were similar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of normal subjec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pectral domain OCT and OCTA data on healthy Koreans. The “hole-in-the-card” technique was used to determine ocular dominance. The perfusion density (PD) and flux index (FI) of the peripapillary 4.5 × 4.5-mm area were measured via OCTA. Central macular,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and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es were measured with the aid of spectral-domain OCT. The OCT and OCTA data of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were compared. Results: A total of 84 eyes of 42 healthy subjects were analyzed. The average age was 27.3 ± 5.63 years. Twenty-eight subjects (66.7%) were right eye-dominant and 14 (33.3%) left eye-dominant. None of the central macular (260.00 ± 14.16 μm, 258.71 ± 15.18 μm, p = 0.183),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82.02 ± 5.07 μm, 82.43 ± 5.60 μm, p = 0.460), or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99.36 ± 9.27 μm, 97.90 ± 9.46 μm, p = 0.091) differed between the eyes; neither did any OCTA-assessed microvascular parameter. Conclusions: No OCT or OCTA parameter differed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No parameter identified ocular domi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