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에서 과학주의 비판과 열린사회의 이념

        류지석 대동철학회 2002 大同哲學 Vol.18 No.-

        본 논문의 목적은 베르그손의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을 과학주의 비판과 열린사회의 이념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의 도덕-종교철학도 앞의 저서들과 마찬가지로 생명이론을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밝히려는데 있다. 시론으로부터 창조적 진화에 이르기까지 베르그손의 저서들은 인간을 포함한 생명계의 질서를 물질적 결정론으로 환원하려는 과학주의의 시도에 대한 반발이며 각 저서가 다루고 있는 주제에 따라 그 구체적 비판 대상은 달라진다. 베르그손이 도덕의 기원과 본성에 관한 문제를 생명 진화의 역사 속에서 조명하고 있는 두 원천의 중심 쟁점들 중의 하나는 획득형질 유전의 문제였다. 이 점에서 스펜서 철학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된 베르그손의 사상은 두 원천에서도 여전히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모든 자연적 도덕은 그 바탕에 금지와 의무의 이념을 깔고 있으며 이는 일종의 사회적 습관의 형태로 우리에게 주어져있다. 따라서 그것은 마치 본능처럼 자동성과 필연성의 모습을 띤다. 그러나 외면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본능적 성질은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므로 문명의 발전이 곧 도덕성의 진보를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자연적 도덕에서 점진적 양적 확장에 의해 보편적 도덕으로 나아갈 수 없으며 성인이나 신비주의자의 예에서 보여지듯이 절대적 존재의 보편적 사랑의 원리를 체험하여 질적인 도약을 할 때 비로소 감동과 동경에 의한 자발성의 도덕으로 이행할 수 있는 것이다. 베르그손이 제시하는 열린 사회의 이념은 닫힌 도덕과 정적종교를 극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도덕적 개혁의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물질 문명의 발달이 내포하고 있는 갖가지 위험들 - 인구의 폭발, 기계화된 무기에 의한 대량학살과 전쟁, 산업화에 의한 환경의 파괴 - 이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음을 경고하며 우리에게 자기 반성을 통하여 본래적인 자아를 찾을 수 있는 단순 소박한 삶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하는 노철학자의 메시지는 여전히 그 가치를 잃지 않고 있다. Cette étude a pour but de montrer que la théorie bergsonienne de la morale et de la religion dans Les Deux Sources s'est déployée sur le fond de la philosophie de la vie comme dans ses précédents livres. Tout au long de son itinéraire philosophique Bergson a continué à lutter contre le scientisme don't le cible visé s'est varié selon le thème traité. Ce travail a été poursuivi sans exception dans Les Deux Sources. Une des idées fondamentales qui permettent d'établir l'interprétation biologique de la morale et de la religion c'est l'impossibilité de l'hérédité des caractères acquis. Cette théorie (néo-)lamarckienne ou spencerienne de la morale accepte le passage de la morale de la cité à la morale d'humanité par voie d'élargissement. Mais Bergson réfute l'idée fausse de la transmissibilité des acquis dans les moeurs, dans les institutions, dans le langage même où se disposent les acquisitions morales car il ne croit pas la différence de nature entre l'homme fondamental d'aujourd'hui et celui d'autre fois. C'est ainsi que Bergson critique également l'idée intellectuelle et sociologique du fondement morale. La morale complète ne sera donc possible que par l'aspiration exercée par les grands hommes de bien. Tels sont les saints, les mystiques et les héros ayant le contact avec l'élan d'amour et ils incarnent les representants les plus remarquables de la morale ouverte. Dans la partie finale des Deux Sources Bergson nous communique un message de sagesse sur l'avenir de l'humanité. Il s'agit de la nécessité du saut de l'idéal morale pour éviter que l'histoire de l'humanité ne soit que l'aggravation intelligente de sa barbarie naturelle représentée par la guerre et le génicide. C'est le chemin vers la société ouverte qu'on doit s'acheminer en brisant la chaine imposée par la nécessité de la loi biologique.

      • KCI등재

        로컬리톨로지를 위한 시론 : 로컬, 로컬리티, 로컬리톨로지

        류지석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09 한국민족문화 Vol.33 No.-

        본 논문은 로컬과 로컬리티에 대한 연구를 인문학적 담론의 지평으로 확대하기 위한 시론의 성격을 갖는 글이다. 지역 또는 지방으로서의 로컬/로컬리티는 근대성과 중심주의의 논리에 의해 지배, 왜곡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심층적 해결은 좀 더 근원적 성찰을 요구하며 기존의 로컬과 로컬리티의 연구 결과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이론과 실천의 양 측면을 고려하여 로컬리티를 인문학적 방식으로 심화, 확장시킴으로써 담론화하는 로컬리티의 학, 즉 로컬리톨로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예비 작업으로 로컬과 로컬리티의 다양한 의미들을 살펴보고 로컬리티의 제 측면을 구분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찾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복합적이고 유동적인 성격의 로컬리티 연구를 위한 통합적 접근방식을 통섭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모색해본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meaning of local and locality through humanities. It is based on the reflections on the various problems in the local derived from the excess of modernism and the nation-state's centralism. In order to explain the implications of critical view and to find the solution we attempt an interdisciplinary and synthetic study combined by the theoretical approach and practical suggestion of locality. We call it localitology as a science of locality. This is a kind of synthetic theory of locality intergrating local and regional studies and also discourses/narratives persuing the extension of locality studies. This paper is an initiative essay to present th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aspects of localitology. This study distinguish three aspects of locality ― physical and fundamental locality, relative and stratificational locality, epistemic and axiological locality ― to clarify its explicit and implicit significations. We also present some schemata in order to show the complex mouvement and multiple stratum of locality process. In addition we lay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interdisciplinary method and the emergent way of obtaining the inter-referential results.

      • KCI등재

        베르그손 철학의 문헌학적 접근 ― 새 문헌의 발간과 그 의의 ―

        류지석 대동철학회 2000 大同哲學 Vol.11 No.-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에 발간된 베르그손의 새 텍스트들을 소개하고 이 문헌들이 베르그손 철학의 연구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문헌학적 접근 방식이 새삼스럽게 문제가 되는 것은 베르그손이 유언장에서 편지글, 논문이나 강연 원고, 강의록 등을 포함한 자신이 발표하지 않은 모든 글들의 출판을 엄격하게 금지 시켰기 때문이다. 물론 베르그손의 유언이 완전히 지켜지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프랑스에서 발표된 미간행 텍스트들은 대부분 후손의 허락을 얻어서 출판됨으로서 그의 유지가 지켜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프랑스 이외의 지역에서는 사정이 달랐으며 10여 년 전부터는 많은 미간행 텍스트들과 네 권의 강의록(Cours)이 출판되면서 베르그손의 금지조항은 사실상 그 효력을 상실하였다. 먼저 편지글들과 인터뷰는 1972년에 발간된 글모음집(Mélanges)에 누락된 글들로서 베르그손이 프랑스와 외국의 지인, 철학자들과 교환한 서신들과 몇몇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된 인터뷰이다. 이 글들은 양도 엄청나지만 그 내용도 다양하여 모두 소개할 수 없으므로 베르그손의 삶과 철학을 조명하는데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글들 중 몇 가지만을 언급할 것이다. 베르그손 강의록의 출판은 1988년에 필립 술레가 고등사범학교에서의 피히테에 관한 강의 노트를 출판하면서 시작되었고 앙리 위드와 장 루이 뒤마에 의해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총 네 권이 발간된 강의록이 대표적이다. 이 강의록은 베르그손이 끌레르몽 페랑과 빠리의 고등학교와 꼴레쥬 드 프랑스에서 행했던 형이상학, 심리학, 철학사 등 다양한 내용의 강의들을 자세한 주석들과 함께 싣고 있다. 위드는 강의록을 바탕으로 베르그손 철학의 재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새 문헌의 발견이 바로 베르그손 사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정당화시키는 것은 아닐지라도 이 텍스트들이 그의 삶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의 철학을 이해하는데 직접적 도움을 준다는 점은 분명하다. 따라서 새 문헌과 기존 텍스트들의 상호 보완적 이용이 베르그손 철학이해의 첩경이며 바로 이점에서 문헌학적 접근 방법의 의미도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Cette éude a pour but de préenter les nouveaux documents de Bergson et de déontrer leur importance pour la recherche de la pensé bergsonienne. Le texte majeur du philosophe publiédans son vivant est intérédans l’Oeuvre et le texte divers dans le recueil des Méanges. La publication des autres textes inéits est formellement interdite par le testament du philosophe. Mais on trouve beaucoup de textes publié hors les Méanges avec ou sans autorisation de l'exéuteur testamentaire. Il s'agit des nouveaux documents contenant la correspondance, l'interview et les cours. Ayant ééun grand éistolier Bergson a laissééorméent de lettres inéites. Elles nous fournissent non seulement les informations sur sa vie mais surtout les indications et les remarques intéésants qui élairciront certains aspects de la pensé bergsonienne. Les documents dits secondaires tels que la correspondance méitent donc plus d'attention des chercheurs. D'autre part la publication du cours inéit marque une histoire des éudes du bergsonisme. Henri Hude et Jean-Louis Dumas viennent d'achever la publication des quatre volumes du Cours rassemblant les cours professé aux lycés et au Collèe de France. Hude a mêe essayéde faire une nouvelle interpréation de la philosophie bergsonienne en préendant que toutes les interpréations sans rééence aux Cours ne sont plus valables. Il est donc intéésant de s'interroger s'il y a le clivage entre Bergson philosophe et Bergon professeur. Les nouveaux documents compléentaires du texte majeur sont une nouvelle source àlaquelle on puisera les réultats fructueux et accééeront ainsi le renouveau de la recherche bergsonienne.

      • KCI등재후보

        지역 문화정책과 로컬 정체성 : 루베의 라 삐신 미술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지석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코기토 Vol.- No.73

        루베는 19세기에 이미 프랑스의 맨체스터라고 불릴 정도로 섬유산업의 중심지로서 그 명성을 떨치던 공업도시였으나 섬유산업의 몰락과 함께 프랑스에서 제일 가난한 도시로 전락하였다. 공장은 문을 닫고 사람들이 떠난 도심은 황폐화되고 실업률과 범죄율이 높아지는 전형적인 경제 위기에 따른 사회 현상이 지속된다. 루베시는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시도하는데 문화정책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안전문제로 문을 닫은 시립수영장을 리모델링하여 미술관으로 변화시킨 라 삐신 미술관의 경우 원 건물의 건축적 아름다움, 루베 주민들에게 이 수영장이 갖는 장소성과 의미, 미술관으로서의 문화예술적 기능이 조화를 이루면서 단 시간에 큰 성공을 거두었고 프랑스의 주요 미술관으로 부상한다. 많은 루베 주민들에게 이 미술관의 존재와 성공은 재난도시라는 과거로부터 벗어나 예술과 역사 도시로 다시 태어날 수 있는 희망과 자부심을 가져다주었다. 이처럼 주민, 시 당국 그리고 라 삐신 미술관과 같이 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을 주도하는 기관의 협력을 통하여 새롭게 긍정적인 지역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후보

        물리공간과 관념공간의 경계: 디지털공간디자인의 문화-철학적 함의

        류지석,김석태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3

        The rise of new paradigm of digital culture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new Weltanschauung. Cyberspace is one of the key concepts for a full understanding of digital culture. This paper aim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pace with historical approach in order to show its relation with architecture and design. We will study the problem of cyberspace retracing the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notion of space and it's cultural implication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culture based on cyberspace and virtual reality is accompanied with the post-modern interpretation of civilization. For this reason not only the technical aspects of digital civilization but also the ontological reflection is essential to grasp the significance of cyberspace.

      • KCI등재

        베르그손 『서간집』의 발간과 철학적 해석의 문제

        류지석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40 No.-

        본 논문의 목적은 베르그손 전집의 완결 편으로 발간된 ꡔ서간집ꡕ이 가지는 문헌학적 의미와 철학적 함축을 밝히는데 있다. 베르그손이 생전에 모든 미간행 텍스트의 출판을 금지했기 때문에 ꡔ강의록ꡕ과 ꡔ서간집ꡕ을 발간하기까지는 상당히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 철학자의 다양한 텍스트를 전집 형태로 출판하는 것은 문헌학적 엄밀성 외에도 그 철학자의 사상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베르그손 전집은 처음부터 체계적인 계획 하에 출판된 것이 아니므로 편집방식에 따른 발전사적 해석과 체계적 해석간의 차이를 문제 삼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ꡔ저작집ꡕ, ꡔ잡문집ꡕ과 ꡔ서간집ꡕ은 문헌을 시대적 순서에 따라 배열한 반면에 ꡔ강의록ꡕ만은 편집자의 주관적 판단으로 이러한 방식을 지키지 않고 있음은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베르그손의 편지글이 가지는 의미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베르그손의 편지글은 일차적으로 철학자의 삶과 철학에 관련된 다양한 사실을 알려주고 있어서 그 전기적 가치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또한 편지글은 단지 이차적 문헌으로서의 가치뿐만 베르그손의 사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풍부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철학적 가치 또한 높다. 우리가 제시하는 몇 가지 예가 이러한 사실을 잘 보여줄 것이다. Cette 챕tude a pour but de pr챕senter la signifacation de la publication des Correspondances et de son apport �� la recherche de la pens챕e bergsonienne. Avec ce nouveau recueil la publication son oeuvre compl챔te semble s'en achever. Le texte majeur du philosophe publi챕 dans son vivant est int챕gr챕 dans l’Oeuvre et le texte divers dans les M챕langes. La publication de tous les textes in챕dits a 챕t챕 longtemps interdite par le testament du philosophe. Mais cette inetrediction 챕tant devenue caducque depuis des ann챕e on trouve d챕sormais beaucoup de nouveaux textes paraître tels que la correspondance, l'interview et les cours. Les correspondances du philosophe nous fournissent non seulement les informations biographiques et historiques mais surtout les indications et les remarques int챕r챕ssants qui 챕clairciront certains aspects de sa pens챕e. Il faut bien comprendre qu'ils ne sont jamais anecdotiques comme on les consid챔re souvent. Il s'agit d'une nouvelle source �� laquelle on tirera beaucoup de proifit �� son gr챕 et puisera les r챕sultats fructueux de la recherche bergsonienne. Ces documents acc챕l챕reront ainsi l'interpr챕tation historique et g챕n챕alogique du bergsonisme.

      • KCI등재
      • KCI등재

        로컬리티와 인문학

        류지석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이 글의 목적은 로컬리티와 인문학이라는 두 개념을 바탕으로 ‘로컬리티의인문학’ 아젠다가 갖는 인문학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 있다. 인문학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사람다움이 무엇인가를 묻는 학문’에서부터 ‘인간에 관계되는 학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지만 그 의미는 비교적 유사하다. 그러나 인문학을 지칭하는 서구의 용어들을 살펴보면 지적 전통과 역사적 배경에 따른 다양한 함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인문학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의 문제는 이러한 맥락과 함축을 잘 살펴서 볼 때 제대로 드러난다. ‘로컬리티의인문학’은 지역, 지방, 로컬이 당면한 문제들에 대한 인문학적 반성을 바탕으로 인간과 삶의 터인 로컬에 내재된 다양한 가치와 소통, 공생의 실천적 가치를 찾아내고 이를 발판으로 로컬리티 연구를 인문학적 담론의 영역으로 확장하려는 시도이다. 로컬의 고유한 역동성과 정체성에 주목함으로써 로컬리티를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모습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다. ‘로컬리티인문학’이 지향하는 궁극적 목적은 기존의 지역학 연구의 결과들을 수용, 종합하고 보완한 새로운 로컬리티 연구의 이론틀과 현실의 문제에 대한 구체적 성찰에 근거한 실천학을 종합하여 로컬리티의 학, 로컬리톨로지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로컬과 로컬리티에 대한 현상적이고 현행적 연구가 아니라 인간과 삶에 대한 근원적 성찰을 바탕으로 로컬리티를 새로운 인문학 담론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the Humanities Korea project agenda "Localty and Humanities" of Institute of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show its implications. This work aims to establish "Localitology". new paradigm of humanities research in large sense, combining a kind of metatheory of the results of existing locallity and region studies and the praxis theory and practical studies of localities to suggest an alternative discourse to the actual issues of local life. The locality in this agena has the extended and profound significance in comparison with its usual meaning. It is not only the fundamental and concrete location of human life but also the new perspective to overcome the problems generated from the dichotomy of central and peripheric, global and local. The project will discover the new local ident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restore local values and local knowledge system focusing on the contextuality and the haecceity of locality. It attempt also to enlarge the horizon of humanities suggesting a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y pursuing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