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시(漢詩)로 읊은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유한림영사부인고사당가(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의 분석-

        류준경 ( Jun Kyung Ryu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본 논문은 「사씨남정기」를 서사한시로 읊은 「유한림영사부인고사당가(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씨남정기 의 수용양상과 한시화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작품의 창작시기와 창작의 원천이 된「사씨남정기」 의 텍스트의 성격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 작품은 대략 18세기 중반경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며, 창작에 참조된 사씨남정기 원텍스트는 김만중이 창작한국문본 계열이 아닌, 김춘택이 한문으로 번역한 「사씨남정기」 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작품의 서사적 특징에 대해 「사씨남정기」 와의 서사의 차이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씨의 남정 부분만 사씨의 시점에서 서술되고, 나머지는 모두 유연수의 시점에서 서사가 구성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씨남정기」 에서 주요하게 나타나는 교씨의 문제에 대해 크게 주목하지 않고, 주로 유연수와 사씨의 만남과 이별의 과정을 주요하게 처리하는 특징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그 만남과 이별의 과정에서 유연수와 사씨가 서로에 대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토로하는 부분이 부각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러한 면모에 따라 「유한림영사부인고사당가(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는 「사씨남정기」 와는 구별 되는 주제의식을 구현하게 되었다. 가부장제의 모순이나 축첩제의 현실 등이 작품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사씨와 유연수의 만남과 헤어짐, 그리고 그 속에 나타나는 두 사람의 사랑이 부각되었다. 부부가 겪은 여러 고난과 그속에 피어나는 서로간의 사랑의 감정이 작품의 주지로 나타난 것이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주인공 사씨의 형상은 「사씨남정기」 에 나타나는 이념적 인물이 아니라, 보다 생동감 있는 인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18세기 향촌사대부의 「사씨남정기」 읽기의 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서사한시 창작을 통해 새로운 사씨남정기를 구현하는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Yu Jin-Han`s 「Yuhalim-Yung-Sabuin-Go-Sadang-ga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 is a narrative poem of 「Sasi-Namjung-gi謝氏南征記」 in Sino-Korean in the late Chosun. I tried to analyze the narrative feature and the meaning of the poem. First, I investigated the identity of the original text. As a result, I could know that he had read 「Sasi-Namjung-gi謝氏南征記」 that Kim Chun-Taek金 春澤had had translated into Sino-Korean. And then I analyzed the feature of the narrative world in the poem. I uncovered that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meeting of Yu Yunsu劉延壽 and Sasi謝氏was figured in this poem. And that the distinguished feeling of love between them was stood out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Sasi, who had been an ideal type in the character in 「Sasi-Namjung-gi」, changed into the lifelike character. These features are an aspect of a nobleman`s reading of 「Sasi-Namjung-gi」 in 18th century and a new 「Sasi-Namjung-gi」 which was embodied as a narrative poem.

      • KCI등재

        『서대주전』의 장르 전변과 그 의미-소송문서로 전변된 『서대주전』에 대한 검토

        류준경 ( Ryu Jun-kyung ) 한국고소설학회 2017 古小說 硏究 Vol.44 No.-

        본 연구는 우화소설 『서대주전』이 소송문서화한 사례를 발굴하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요람(要覽)』에는 『서대주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세 편의 소지문(所志文)과 공초(供招) 및 판결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소설 장르의 소송문서로의 전변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소송문서들은 『서대주전』과 동일하게 도둑인 서대주가 소송에서 승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당대 소송현실에 밀착하여 고발인인 다람쥐가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여 소송에 패배한 점을 부각하고 있다. 사실 여부보다 소송 방법, 곧 ‘법리(法理)’가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 사실보다 소송의 논리가 더 중요한 당대 소송의 모순점이 부각된 것이다. 조선후기에 들어 실용적 한문 사용층이 확대되었고 실용적인 문서들이 독서물로 정착하기도 하였다. 『서대주전』의 소송문서화는 이러한 실용적 문서의 독서물화의 경향에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는 이서층(吏胥層)의 새로운 문자문화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띠며, 동시에 우화소설이 마련한 향촌사회의 문제적 형상이 이서층의 문서기록적 ‘사실성’의 맥락에 수용되어 새로운 성과를 거둔 것으로 이해된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ase of the fable fiction Seodaeju-jeon written as litigation documents and to explore its meaning. Yoram 『要覽』-the collection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contains three litigation documen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eodaeju-jeon,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changed version to the litigation document of the novel genre. The contents of these litigation documents are the same as in Seodaeju-jeon, but the litigation reality of that time is clearly revealed. The controversy of the litigation system at that time, which is more important than the facts, is highlight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use of practical documents in classical Chinese was expanded and practical documents were settled as books. The documenting of the litigation of Seodaeju-jeon is a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tendency of conversion to reading of this practical document. This is important in that it is a new culture in reading and writing of the middle layer.

      • KCI등재

        한문과 및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의 의미와 상호 소통 및 유대의 모색

        류준경 ( Ryu Jun-kyu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7 한문교육논집 Vol.49 No.-

        우리의 언어문화는 한문과 민족어의 ‘이중언어체계(diglossia)’에서 국문 중심의 단일언어체계로 변화하였다. 대한제국기에 국문중심의 새로운 어문교육을 방향을 모색하였으나, 일제강점으로 인하여 새로운 어문교육의 모색은 좌절, 왜곡되었다. 광복 후의 어문교육에서는 국어과와 ‘한문과’는 같은 교과로 도구적 성격이 강조되었다. 이후 한글전용정책의 강제적 실시로 한문과는 국어과와 분리된다. 이에 국어과에서의 한자어 교육은 약화되고, 한문과에서는 교육용 한자 중심의 한자어나 문장 교육이 실시될 뿐이어서 복잡한 한자어의 실태와 그에 대한 교육의 방향이 검토되지 못하였다. 이제 한자어 교육을 매개로 국어과와 한문과가 소통하고 연대하여 어문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근대 단일언어체계의 성립과정은 단순히 한문이 국문으로 대체된 과정이 아니라 민족어와 한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국문 중심으로 전환된 과정이다. 따라서 현실 어문질서에 대한 교육은 이중언어체계에서 단일언어체계로의 전환의 관점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동시에 한문의 동아시아 공동문어적 성격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민족문화적 성격을 강조하는 어문교육의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한문은 기본적으로 국어이면서 동시에 국어가 아닌 어문이다. 분명 ‘국어’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전적으로 국어의 맥락으로 이해되지 않는 이질적인 요소가 존재한다. 따라서 현재 중등학교 교과 편성에서 한문은 ‘국어’이면서 동시에 국어가 아닌 자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중학교에는 국어 교과에 소속되어 ‘국어(한문 포함)’의 방식으로, 고등학교에서는 기초 영역의 국어에 소속되어 ‘국어(한문 포함)’의 방식으로 편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어 교과의 한 과목으로 편제되기보다는 국어와 다른 교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국어’의 범위에 소속되는 것이 한문의 어문 현실이나 교육의 방향에서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제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어과와 한문과의 공통적인 지점에 대한 재확인과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한자어 교육에서의 역할을 분담하여 국어 능력 신장에 기여하고, 아울러 이중언어체계의 과거 유산을 재발견하여 현재 우리의 언어문화 속에 한문과 민족어의 자질이 함께 녹아 있는 사실을 확인하는 교육을 통하여 새로운 언어문화적 주체성 확립에 기여해야 한다. Our language culture has changed from the 'diglossia' of classical Chinese and national language to the monolingual system based on national language. In the Korean Empire period, a new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national language was pursued, but the search for new language education was frustrated and distorted due to the strength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nd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were the same subject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ool subjects were emphasized. Since then,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was separated from the Korean language subject by compulsory implementation of the Hangul exclusive policy. Therefore, the Sino-Korean word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ubject was weakened, and in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the education about basic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education and Chinese classics was carried out, and the complex reality of Sino-Korean words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about them were not examined. Now, people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nd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sh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ino-Korean words education and seek a direction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anguage educati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monolingual system in Korea is not a process in which classical Chinese was replaced with national language, but a process in which classical Chinese and national language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and converted into Korean. Therefore, education on the actual language order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the transition from ‘diglossia’ to monolingual system.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of the language education emphasizing the n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should be sought without denying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common language - the classical Chinese. The classical Chinese is basically Korean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is not Korean. Therefore, in the second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ce as Korean at the same time as not Korean. So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should belongs to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s the form of 'Korean (including classical Chinese)', and in high school, belong to the basic area as the form of 'Korean (including Chinese text)'. It is because it maintains its status as a different subject from the Korean subjects at the same time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rather than being organized as a subject of Korean subjects, which is suitable for the real language order in Korean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order to be organized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reconfirm and share the common points between Korean subject and classical Chinese subject. First of all, we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by sharing our roles in Sino-Korean words education, and rediscover the past heritage of the diglossia system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new identity of our language culture through the education that confirms the fact that the qualities of the classical Chinese and national language coexist in our language culture.

      • KCI등재

        <금현감호(金現感虎)>를 통해 본 전기소설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

        류준경 ( Jun Kyung Ryu ) 한국고소설학회 2010 古小說 硏究 Vol.30 No.-

        필자는 본고에서 초기소설사의 해명의 일환으로 <김현감호>의 형성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김현감호>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를 살피기 위해 먼저 <김현감호>의 서사적 특이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김현감호>는 `天唱`을 기준으로 작품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분량, 문체, 서사적 지향에서 이질적인 면모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그 이질적 성격의 발생 원인을 역사기술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김현감호>는 이물이 변신한 여인과의 사랑이야기라는 보편적 설화에 도성에서 난동을 불인 호랑이를 죽인 사건의 설화적 이해가 결합하여 형성된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이어 당대 동아시아의 소설문화적 맥락에서 <김현감호>의 傳奇性을 해명하기 위하여, 『太平廣記』 소재 호랑이 관련 이야기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김현감호>는 `호랑이 여인과 인간의 결연`이라는 이야기에 `도성에서의 난동으로 살해된 호랑이`의 해원을 위한 설화적 이해가 결합함으로써 또 다른 문학적 성취를 이룩한 작품으로 파악되었다. <신도징>과 달리 역사적 사실의 결합으로 호랑이의 죽음이 상정되기에, 호랑이와 인간의 소통불가능성이 아니라 인간보다도 더 `인간`다운 호랑이를 형상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희생 모티브`의 검토 과정에서 전기소설의 형성과 그 특징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출할 수 있었다. 특히 전기의 문체적 특징을 주목하고, 나아가 서술방식을 통한 새로운 인식의 결합 가능성을 논증한 점은 새로운 시도라 생각된다. 그런데 글쓰기를 통한 인식의 고양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의 발굴과 깊이 있는 이론적인 천착이 필요하다. 다양한 사례와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전기적 글쓰기의 특징에 대한 이론화 작업이 요청된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formation processes of early novels through <KimHyeonGamHo金現感虎>. The story of <KimHyeonGamHo金現感虎> can be divided two part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 in length, style of writing and the aim of narrative each other. As the result of inquiry on the causes of this difference, we can explain this story combines a love story of a female tiger in human form and a young man with understanding in narrative style on killing a tiger in castle town.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early novel in <KimHyeonGamHo金現感虎>, we compare and weigh stories of tigers in human form in ≪Taepyunggwanggi太平廣記≫, expecially <Shindoging申屠澄>. As the result of these inquiries we can explain the formation process of <KimHyeonGamHo金現感虎>. Expecially I think argument of possibility of enhance in cognition through writing of Jungi傳奇 is a new acheivement in studies on early novels.

      • KCI등재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 텍스트 성격과 여성문학사적 가치

        류준경(Ryu Jun-Kyung) 한국문학회 2007 韓國文學論叢 Vol.45 No.-

          The aim of this essay is to search characteristics and values in women"s literary history in the Text of EuiyudangKwanbukYuramIlgi (A diary of Euiyudang"s Kwanbuk area trip). Specially by investigating ChunilSoheung and YungmyungsaDeukwolluSangryangmun which have not yet taken notice we intend to confirm values of EuiyudangKwanbukYuramIlgi in women"s literary history.<BR>  ChunilSoheung is a kind of records that includes some historical person"s anecdotes. It was translated the data of Yi UiHyun李宜顯"s Wunyangmanrok and Bak RyangHan朴亮漢"s Maeonghallok into Korean. The characteristic of these works is that through all these works we can remark a political coloring. Exactly Yi UiHyun, Bak RyangHan and Madam Euiyudang Nam意幽堂 南氏 belonged to equal political coloring.<BR>  The original writer of YungmyungsaDeukwolluSangryangmun is not so clear, but because Deukwollu of Pyongyang had constructed by Hong SangHang洪象漢 who was the governor of Pyongyang at that time, it seems that the original writer of this work was related with Hong SangHan. Hong SangHan and Euiyudang were related by marriage.<BR>  Reveiwing these facts, we can notice of the feature of literature enjoyment of illustrious officials women. Studying on ChunilSoheung, we can notice of the feature that illustrious officials women had been read a historical romance. And with translating YungmyungsaDeukwollu-Sangryangmun, we also notice of closed trend and political coloring of women"s literature at that time.

      • KCI등재

        여성 문집의 텍스트 문제와 해석 『의유당유고』의 형성배경과 문학사적 가치

        류준경 ( Jun Kyung Ryu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1

        This thesis aims to search formation backgrounds, literary world, and values of literary history in the text of EuiyudangYugo, the works of Madam Euiyudang Nam. As a result of contemplation, it was understood that EuiyudangYugo, alongside with EuiyudangKwanbukYuramIlgi and GonBum, was compiled and accumulated by the palace, mediating the queen for women culture of the gentry. Reviewing the women culture of Euiyudang’s maiden family and in-laws, it was verifiable that cultural atmosphere of the two families were adequate for developing and spreading literary attainments. In particular, by the benefit of the liberal atmosphere of the husband’s family towards education of women, many wives including husband’s grandmother to sisters cultivated basic culture and Sino- Korean works writing abilities suitable for literature activities. Only under such cultural atmosphere was Euiyudang also able to leave a collection of her works called EuiyudangYugo. Euiyudang performed outstanding literary accomplishments in particularity with classical Chinese prose. Her skills of stretching out splendid yet detailed observations and serene compassion shows remarkability; especially by expressing her literary capacity with composing <BaekryeonbongSamcheongdongSeo> in ByeonRyo(騈儷) style. Her works in EuiyudangYugo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hose which hold the excitement of daily life in Samcheongdong三淸洞, and those reciting to yearn for the lord about the queen after homecoming. The former shows the short but intense life in Samcheongdong through fine sceneries and warm hospitality from the palace, and the latter expresses the deepening yearn for the lord about the queen after leaving Samcheongdong through Sino-Korean poetry. It is noticeable that there are numerous pieces reciting on the yearn for the lord, among those in EuiyudangYugo.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aged woman in feudal society signifying herself as a being with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relying on the tradition of literature of yearning for the lord. Simultaneously, it is due to the fact that women, considered in the tradition of literature for yearning for the lord as a subject to be alluded to, independently demonstrating the specific literature themselves. That is to say that women of the gentry with qualities of Chinese classics in the traditional period exposed their novel aspects through internalizing the previously male-dominated literary tra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중등학교 한문과 교육의 실태 -한문과 교원수 변동양상을 중심으로-

        류준경 ( Ryu Jun-kyu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8 한문교육논집 Vol.50 No.-

        본 논문은 교육과정의 개편이 논의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새로운 한문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중등학교에서의 한문과 교육의 실태를, 한문 교원수의 변동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3차 교육과정 시기 한문과가 독립교과로 편제된 이후 7차 교육과정 시기까지 한문 교원의 수는 전체 교원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교과 성립 후 한문 자격증 소지 교원을 지속적으로 충원하였기에 나타난 결과였다. 그런데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된 2011년부터 중등학교 한문과 교원의 수가 급격히 줄기 시작하였다. 이는 교육과정 운영 방식의 변경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중학교의 경우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간을 확대하면서 선택 교과의 시수 감소가 유발되어, 대표적인 선택교과인 한문의 수업시수가 크게 감소하였고, 그에 따라 한문교과 담당 교원수가 급감하였다. 고등학교의 경우, 입시위주의 교육이 여전한 가운데 “체육ㆍ예술” 영역의 단위수 확대와 집중이수제의 실시 등으로 생활ㆍ교양 영역의 대표적인 교과인 한문과 제2외국어 교과의 시수가 크게 감소하였고 그에 따라 한문담당 교원수가 급감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8년부터는 자유학기제의 전국적 실시와 의무적으로 136시간을 실시해야 하는 학교스포츠클럽활동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 비주요과목인 한문의 시수 감소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문과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은 교육과정 편제와 운영 방식 변경에 따라 크게 요동치는 한문과의 실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Chinese Classics teachers in order to find new directions in the current time when the curriculum is being revis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 of Chinese Classics during the third curriculum to the seventh curriculum, the number of Chinese Classics teacher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increase of total teachers. It was the result of the continuous recruitment of teachers with Chinese Classics certificat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However, from 2011, whe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was applied, the number of Chinese Class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started to drop sharply. This is due to changes in how the curriculum operates. In middle school, the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dropped sharply amid the decrease in number of classes in Chinese Classics education programs and the decrease in class hours in Chinese Classics, which is a representative subject of intensive experience. Beginning in 2018, whe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will be applie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non-prescription Chinese Classics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at school sites due to the nationwid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chool semester system and the compulsory implementation of 136 hour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he search for new directions in Chinese Classics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Chinese Classics, which is highly volatile due to the structure of education courses and changes in operation.

      • KCI등재

        형성기 한문소설사 서술의 제문제

        류준경 ( Ryu Jun-kyung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5

        이 논문은 소설 장르론의 맥락에서 羅麗時代 소설사 서술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먼저 소설사 서술의 장르관의 문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소설의 개념과 범위는 소설사 서술을 위해서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며, 실제 형성기 소설사 관련 연구에서 이 점이 논란이 되었다. 소설이란 무엇인가를 해명하는 장르론적 관점은 規範的 장르관과 記述的 장르관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규범적 장르관은 조동일 교수의 장르론이 대표적인 것으로 소설 장르의 본질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면에 특장을 보이지만 공시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역사적 변모를 설명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보인다. 이에 반해 기술적 장르관은 구체적 역사시기의 변화의 양상을 포착하는데 유리하다. 형성기 소설사의 주류적 장르인 전기소설의 장르적 특질을 해명한 박희병 교수의 전기소설 이론에서 기술적 장르관을 확인할 수 있다. 소설사의 구체적 국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장르관이 유효하지만, 기술의 타당성과 소설사 전체를 통관하는 관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규범적 장르관의 성과를 수용해야 한다. 이러한 장르적 관점을 바탕으로 불교계 敍事物을 주목하는 최근의 연구성과를 검토하였다. 불교계 서사물을 주목하는 연구는 기술적 장르관의 입장에서 기술의 타당성을 조정하는 경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기소설만이 아니라 불교계 서사물을 주목함으로써 형성기 한문소설사의 지형과 장르 변동의 맥락을 다르게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불교계 서사물에 대한 연구는 구체적 작품 분석에 있어서 규범적 장르론의 성과를 받아들여 작품 내에서의 불교적 영험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좀 더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를 통해 불교계 서사물의 위상과 의미가 보다 정확히 이해될 때, 형성기 소설사의 장르론적 이해가 더욱 심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형성기 한문소설사 이해의 핵심적인 작품인 <崔致遠>에 대한 일련의 새로운 연구성과는 이 시기 한문소설사 서술에서 담당층의 성격에 대한 보다 깊이 천착할것을 요구한다. 애정전기소설사의 동질성에 주목하여 이 시기 소설담당층의 역사적 성격이나 다양성을 주목하지 못한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형성기 한문소설사의 서술을 위해서는 소설사 이해의 관점으로서의 장르론적 이해의 심화, 불교계 서사물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명, 소설 형성의 담당층의 역사적 특성과 다양성 규명 등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ome problems in writing the early history of novels in the context of novel genres. First, we examined the problem in the genre perspective in description on the early history of novels.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novel is a matter in writing the history of novels, and this point has been controversial in the study on the history of novels. The genre perspective that explains what the novel is can be divided into prescriptive genre perspective and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Professor Cho Dong-il`s theory of genre is the representative prescriptive genre perspectiv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genre but has some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s due to its nature of synchrony.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s advantageous in understanding the aspect of the change in the specific history period. Professor Park Hee Byung`s the Jeongi-novel傳奇小說 theory is the representative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fic aspects in the history of novels, the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s valid but it is necessary to accept pr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n order to have the validity of description and viewpoint of the whole history of novels. Based on this genre perspective,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focusing on Buddhist narrative works have been reviewed. Researches focusing on Buddhist narrative works are a new tendency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noves in terms of the descriptive genre perspective. By focusing not only on Jeongi-novels傳奇小說 but also on Buddhist narrative works, the contexts of genre change in the Novel formation period are understood different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meaning and function of Buddhism in the Buddhist narrative works by accepting prescriptive genre perspective in the analysis each works. At the same time, a series of new researches on Choichiwon崔致遠, which is a core work of Understanding the early history of novels, demands a deeper insight into the character of the class in this period. For re-writing the early history of novels, it is required to deepen genreological study, new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Buddhist narrative works,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the classes in charge of novel formation.

      • KCI등재

        한문과 문화 영역의 성격과 교육 방향

        류준경 ( Jun Kyung Ryu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5 No.-

        본 논문은 한문과 문화 영역의 성격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한 글이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지금까지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문화 영역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지만, 문화 영역의 구체적 내용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는 문화영역 강화의 방향성은 동의하지만 그 구체적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한문과 문화 영역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언어문화로서의 한문문화를 주목해야 한다. 전통시기 우리의 언어문화는 한문과 민족어의 이중언어체계를 이루고 있었다. 중세적 이중언어체계에서 한문은 높은 위상을 점유하면서 낮은 위상의 민족어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발전하였고, 아울러 현재의 ‘국어문화’는 한문문화와 민족어문화를 통합적으로 계승한 것이었다. 이상의 사실을 고려할 때, 한문과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은 전통시기 이중 언어체계에서의 한문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중요한 교육의 방향으로 삼아야 하며, 동시에 한문문화는 현재 ‘국어문화’의 밑바탕이며, 현재 ‘국어문화’는 민족어문화의 일방적 계승이 아니라 한문문화와 민족어문화의 통합적 계승임이 부각되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현실 언어의 기저로 작용한 한문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언어문화에 대한 바람직한 관점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국어문화’에 대한 다원적 인식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문과 문화 영역교육의 방향은 한문과가 현실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교과이면서 다문화와 융합으로 대표되는 현대사회에 걸맞은 우리의 정체성을 교육하는 교과라는 성격을 보다 뚜렷이 드러나게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future directions for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n secondary school. Although the position of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may have been gradually elevated since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e detailed content of cultural studies remain unchanged. This refl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al sphere, under which the experts agree on the general direction of emphasizing cultural studies but fail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and content. In order to find a directional path for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t is important to take notice of the culture of classical Chinese as a language culture. Traditionally, Korea’s language culture was diglossia, consisting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Korean language. In the medieval diglossia, classical Chinese, which was perceived to be more superior to the Korean language, interacted and developed alongside with Korean, so as to result in the present “Korean language culture” which comprehensively inherited both the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language culture. Considering such facts, culture studies in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s position and role within the diglossic and historical context. At the same time, the classical Chinese culture should be emphasized as the basis for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culture,” which did not unilaterally stem from the national language culture but is an integrated successor of both the classical Chinese and the national language culture. Only through such emphasis on the classical Chinese culture, which composes the basis of today’s language, can students gain a wholesome perspective towards the contemporary language culture and furthermore, can form a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culture.” Such a change in direction will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which is closely linked with the everyday language and is a subject that could inform students of our multi-cultural and convergent ident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