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샌드위치 플레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합성보의 동적 특성

        류재호,주영규,윤성원,Ryu, Jae-Ho,Ju, Young-Kyu,Yoon, Sung-Won 한국공간구조학회 2014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14 No.4

        To improve the noise and vibration problems of the existing public parking systems, new floor system was proposed. This system consists of the Sandwich Plate System(SPS), steel beam and post-tensioned steel tendons. To verif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atural frequency and damping ratio of the system, the free vibration test was performe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PS composite beam was 23.8Hz and it was increased by 3.8% by installing the post-tensioned tendons. The damping ratio of the specimen with tendons was about 1.64%.

      • KCI등재

        GFRP를 이용한 경량합성바닥의 휨성능에 대한 실험적 평가

        류재호,박세호,주영규,김상대,Ryu, Jae-Ho,Park, Se-Ho,Ju, Young-Kyu,Kim, Sang-Dae 한국강구조학회 2011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3 No.1

        최근 타워형 아파트구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무량판 구조시스템을 대신해 층고절감 및 장스팬 구현 그리고 내화성능향상을 목적으로 GFRP를 이용한 경량합성바닥을 개발하였다. GFRP를 이용한 경량합성바닥은 웨브에 개구부를 가지는 비대칭 강재보 하부에 GFRP를 부착하고 슬래브에 경량체를 삽입한 중공합성바닥이다. 이에 개발된 합성바닥의 휨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GFRP, 중공률, 웨브의 개구부 등을 변수로 실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GFRP를 이용한 합성보 실험체는 기준 실험체에 비해 휨내력 및 강성 측면에서 10% 높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구조물이 항복할 때까지 완전합성거동하였다. 항복 이후 웨브개구부 주변의 응력집중현상에 의해 연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최대내력점까지 미끄러짐의 발생은 미소하였다. 내력설계 측면에서는 안전율을 고려해 해석값의 85%를 설계내력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obtain a lower story height with a long span and better fire resistance, a new composite floor system using GFRP (glass-fiber-reinforced plastics) was proposed. This floor system consists of asymmetric steel with a web opening, a hollow core ball, concrete, and GFRP. To evaluate the flexural performance of the new composite floor syste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test parameters were the presence of GFRP, the void ratio in relation to the hollow core balls, and the web opening.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resistance and stiffness of the specimen with GFRP were 10% higher than those of the reference specimen, and that fully composite action was accomplished up to the yielding point. After the attainment of the yield strength, the ductility of the specimen was reduced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around the web openings. The slip between the concrete and steel beam, however, was small. Thus, in the design of the proposed new floor systems, it is desirable that the calculated resistance be reduced by 15%, for safety.

      • KCI등재

        교육시설계획에 있어서 정보화가 미치는 영향 분석 - ICT의 보급에 의한 교육시스템의 변화에 관한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

        류재호(주저자) ( Ryu Jae Ho(주저자) ),류재호(교신저자) ( Ryu Jae Ho(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6

        본 논문은 정보기술의 발달과 가상현실, 3D 프린팅, IoT와 같은 미래기술의 발달에 의한 교육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미래교육시설의 디자인 원칙에 대한 예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미래지향적인 교육시설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얻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교육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이슈와, 미래의 교육시설의 모습을 예측하고자 새로운 ICT기술의 발달로 영향을 받고 있는 현재 교육시스템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의 교육시설은 탈장소, 탈집단화, 탈집중화, 현장중심체험, 자발적 학습환경, 기술지원환경, 다목적공간, 물리적 캠퍼스의 해체, 교사와 학생의 역할변화와 같은 특징들을 가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따라서 미래의 교육시설은 제3의 교사로서의 열린 공간의 특성을 가지는 공간으로 디자인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the architectural design principles in education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ren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and the educational system which is influenced by the futuristic cutting edge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3D printing, Internet of Things(IoT). In order to acquire some design guidelines for the future educational facilities, many current issues and researches have been surveyed, which are related with the education system. Also the change of the pedagogy philosophy and method influenced by the information technologies(IT) are reviewed to capture the future image of class in educational facilities. From the previously described process, we have theses results; First, the future educational facilities will have these characteristics, such as tele-presence, customization, decentralization, experiential learning, self-learning environments, technology supported education, form follow function, no physical campus and education prosumer(producer & consumer) features. Considering the derived those characteristics, we have to prepare to design the open space for the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can provide the cooperative environments for the students as the third teacher with the integration of those technologies.

      • KCI등재

        유사 홀로그램 기술과 인터랙션을 이용한 3D 디지털 콘텐츠의 전시방법에 관한 연구 - 유사 홀로그램의 피라미드형 반사방식을 중심으로 -

        류재호(주저자,교신저자) ( Ryu Jae Ho(주저자,교신저자) ),조은상(공동저자) ( Cho Eun Sang(공동저자) ),이정인(공동저자) ( Lee Jung In(공동저자) ),류재호(교신저자) ( Ryu Jae Ho(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전시에 활용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유사 홀로그램의 피라미드 반사방식을 이용하여 3D 디지털 콘텐츠를 전시할 수 있는 시스템의 디자인을 제안한다. 또한 다양한 인터랙션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더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전시방식을 고안하였다.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시각적인 이미지의 생성에는 게임엔진을 이용하여 다중시점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전시 관람자와 전시물의 상호인터랙션 및 실시간 영상출력이 가능해졌다. 전시방법에 있어서는 증강현실기술을 접목하여 관람객이 직접 마커를 변경하여 원하는 전시물을 고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보다 능동적인 전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Natural User Interface(NUI)의 일종으로 센서를 사용하여 간단한 손짓 또는 몸짓으로 손쉽게 전시물을 제어하여, 관람자가 다양한 전시물을 흥미를 가지고 효율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방식의 피라미드 반사방식의 유사 홀로그램 전시대를 통해 박물관의 전시분야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보다 효율적인 관람효과를 거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suggests the design of pyramid mirror of pseudo-hologram exhibition system that is very useful in 3D digital contents display. We also integrated the interaction technology to the proposed system to get the more effective and active respond from the audience. In order to project the multiple images of multi-viewpoint, we used the game engine that have several merits such as realtime rendering and easy editing of the scene. Because the system is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e user can select the scene which they want through changing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The user also can control the object easily by natural user interface, that will be the effective way to display the contents and attract the audience. Furthermore we have suggested the design of exterior case of pyramid shape pseudo-hologram that contains all the computer and sensors of our system. So we expect the application of our suggested system will be very useful to display the 3D digital contents in the exhibition area.

      • GFRP를 이용한 경량중공 합성 바닥의 휨성능 평가

        류재호(Ryu, Jae Ho),박세호(Park, Se ho),주영규(Ju, Young Kyu),김상대(Kim, Sang Dae)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9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09 No.2

        As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increases, the reduction of story height and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efficiency are demanded. To obtain the lower story height with long span, a new composite floor system using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was developed.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corresponding floor system for residential building subjected to pure bending is presented.

      • KCI등재

        논문 : 건축 디지털 모델의 활용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위한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NUI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건축적 산책 제안-

        류재호 ( Jae Ho Ry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건축 디지털 모델의 제작 및 활용에 있어서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역할 검토 및 새로운 방식의 인터페이스에 의한 건축 디지털 컨텐츠의 활용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인간과 컴퓨터의 소통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로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및 터치패드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분야에서는 위에 열거한 예 이외에도 Force-feedback 인터페이스 및 사람의 다양한 신체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활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검토하고, 특히나 그중에서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사용자의 자연스런 동작의 화상분석을 통해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NUI(Natural User Interface) 방식에 대하여 조사하고,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건축적인 활용방안을 제안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의 참여도를 높임으로써 디지털 모델을 이용한 건축디자인의 평가 및 품질향상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건축분야에서의 디지털 컨텐츠의 제작 및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가적으로는 제안 방식이 건축 디지털 컨텐츠의 활용에 그치지 않고, 향후 건축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인간의 행위인식 등과 같은 분야까지도 연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method of display of the architectural digital model with natural user interface (NUI). There are a lot of interfaces from mouse to force-feedback which has been developed to control the avatar and interact with the virtual object. In this paper, a survey was carried out about the several interface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s. NUI was specially focused on during the reviewing, which can capture the human gesture. We try to figure out the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the NUI device with architectural digital contents. This paper suggests the new method of appreciation and experience of architectural design of building, which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using architectural digital model in any type of display and presentation. Furthermore,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adopted to the different kind of application such as designing the ubiquitous computing space to recognize the human behavior.

      • KCI등재

        논문 : 건축 디지털 모델의 프레젠테이션에 있어서 AR 기술의 활용에 관한 연구 - 데스크-탑 및 모바일 건축 AR 애플리케이션 및 작업 프로세스 제안을 중심으로 -

        류재호 ( Jae Ho Ryu ),백대선 ( Dae Seon Back ),이은희 ( Eun hee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컴퓨터의 다양한 기술이 집약된 모바일 컴퓨팅의 등장으로 인하여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의 건축적인 적용에 대해서 고찰해보고, 기존의 실물 Mock-up 모델을 이용하는 방식과는 다른 원형적인 형태의 데스크-탑과 모바일 건축 AR 애플리케이션 및 각각의 건축 디지털 모델을 활용한 작업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강조되고 있는 건축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과 같은 건축 디지털 모델의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AR 기술의 문헌적인 고찰과 더불어 데스크-탑 컴퓨팅 환경에서의 응용 및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의 활용가능성을 각각 고찰하고 비교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컴퓨팅 환경이 가지는 건축적 AR 애플리케이션의 특징 및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건축물 생애의 전체 단계 중에서 계획 단계에 중심을 두고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적용가능성은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까지도 충분히 가능하며, 특히 최근의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발전 속도를 감안할 때 본 연구결과의 건축적 활용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method of display of the architectural digital model with Augmented Reality(AR) when the AR became an important technology due to the mobile computing which has several functions in one device. Specially the effectiveness will be significant when the AR technologies combine with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which is largely applied in this field as the architectural digital data.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desktop and mobile AR applications to compare each others and proposed the prototypes of architectural AR applications and new work-flows with BIM data. Even 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cused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phase during the whole life cycle of a build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of this application to the construction and the other phases is quite high. Considering the rapid speed in upgrading the mobile computing technologies of software and hard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applying of AR application to the architectur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