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공기업 여성관리직 목표제 도입의 성과와 한계에 관한 연구

        류숙원,김태형 한국인사행정학회 2021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여성관리자 확대를 위한 제도도입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광역환경공단 전체 5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향후 인구감소 현상에 대비해서라도 여성인력의 사회적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지만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와 같이 정부의 탑다운 방식의 제도도입은 실증분석결과 공공기관 입장에서는 일부 제약이 따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공공기관의 인력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제도 도입은 실질적 도입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선언적 계획으로만 남는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성의 일가정 양립의 부담이 2순위로 꼽히는 분석결과 환경공단과 같이 교대근로 사업장에 대한 인력수급의 문제를 개선하는 방향이 필요하다. 셋째, 여성리더십 역량과 전문성의 부족 등이 지적된 점은 여성근로자의 경력관리와 조직 내 인식 등 복합적인 개선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정부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여성관리자 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각 계획 수립시 기관에 대한 이해와 조직관리의 특수성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여성관리자’라는 개별 사안에 대한 계획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이 구축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계획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상수도사업의 공기업 전환을 위한 정책수단의 선택과 조합에 관한 연구

        류숙원,노성민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19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3 No.3

        Policy tols for the conversion from waterworks in local government to local public enterprise are required. Since the transiton to a direct management company, complaints have ben rai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work such as acounting, busines evaluation, and management disclosure, but this system has not impro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onvers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n water suply projects, to sugest policy tols, and to improve the eficiency of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It is urgent to prepare economic, managerial, and educational policy tols to encourage the transiton from waterworks to local public enterprises. As an economic incentive, it is necesary to expand the suport tax to excelent instiutions after direct management and instiutionalize incentives based on management evaluation. Administratively, it should strengthen instiutional incentives and rationalize personel placement and promotion requirements. For educational incentives, consulting before and after the transit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profesional education such as aset management should be reinforced and maintained. 상수도 사업은 공기업으로 특정 기준 도달 이후에는 전환이 되어야 하지만, 공기업으로 전환을 유도할 정책수단이 부족해 법령만으로는 전환을 유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처럼 전환을 지연시키는 이유 중 하나는 공기업이 되면 결산을 기업방식으로 해야하고, 매년 경영평가를 받는 등 추가적인 업무가 늘어나지만, 이를 독려한 정책수단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사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상수도 사업을 직영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수단을 설문하여 전환을 위한 정책수단을 1차적으로 목록화하였다. 이를 기초로 전문가 집단 인터뷰를 통해 경제적, 관리적, 교육적 정책수단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경제적 수단으로는 공기업으로 전환이 된 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서는 교부세를 확대지원하여 상수도 사업의 공기업 전환 이후 안정화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인력에 대한 차등적 인센티브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경영평가를 통해 도출하면 된다. 관리적 수단으로는 공기업으로 전환을 유도하는 제도적 수단을 강구하며, 배치된 임직원의 인사・승진에 불이익이 없도록 해야한다. 교육적 수단으로는 공기업 전환 전 후에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하는 컨설팅을 통해 전문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조력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법령으로 서비스 전달 방식의 변경하려하기보다는 다양한 정책수단의 선택과 조합을 통해 공기업 전환을 통해 달성하려고 하는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공공부문 기관장 직급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류숙원,손지은 한국인사행정학회 202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class of the director in public institutions. The status of the director is closely related to institutional supports required to accomplish the institution’s purpose of establishment, resource mobilization, the scope of authority of the director, as well as the commitment of the institution members. Although the status of the director of a public institution is generally determined by the class of the position classification of public offices system, institutions that recruit openly usually do not have clear standards and thus assign the recruited directors to different classes for each institution. Hence, this study aimed to deduc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class of the director by comparative analysis of central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while focusing on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qualification standards, size of th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k with the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as the standard. Analysis of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institution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s the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namely those with relatively large size and high institutionalization of qualification standards, and in institutions that require collaboration with various interested groups, the class of the director was set at fairly high levels compared to institutions that lacked these featur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at assignment of class in future recruitment of directors in the public sector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ize, function, and work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setting clear qualification standards that meet these aspects is a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status and scope of responsibilities across institutions. 본 연구는 공공조직의 기관장 직급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관장의 위상은 기관의 설립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지원 및 자원의 동원, 기관장의 권한 범위, 조직구성원들의 사기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공공조직의 기관장의 위상은 대체로 공직분류체계에 따른 직급으로 결정이 되고 있으나, 공모를 통해 충원하는 기관의 경우 대체로 명확한 기준없이 기관별로 상이한 직급에 보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자유구역청을 기준으로 하여 자격기준의 제도화 수준, 조직규모, 업무특성을 중심으로 중앙 및 기타 공공기관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기관장의 직급 결정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자유구역청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 기관 즉, 자격기준의 제도화 정도가 높고 조직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기관,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이 필요한 업무특성이 있는 기관들은 그렇지 않은 기관에 비해 기관장의 직급이 다소 높은 수준으로 책정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부문의 기관장 충원 시 보임하는 직급은 조직의 규모와 기능, 업무 특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이에 부합하는 자격기준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관 간 위상을 정립하고 책임범위를 설정하는데 고려해야 하는 요소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방연구원의 운영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부출연연구기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류숙원(柳肅苑),손지은(孫芝恩) 한국정책과학학회 202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5 No.2

        본 연구는 지방연구원의 운영 및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비교하여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공연구기관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등의 지원을 받아 과학기술분야와 인문・사회분야의 기초연구 및 연구성과의 확산을 주도하여 국가 전체의 지식역량과 성장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은 기술의 발전에 따른 전문분야의 융합과 변화, 정책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주제의 변화와 지식의 확산방향에 따라 다양한 운영제도를 거쳐 현재는 연구회 형태의 연구 거버넌스체계를 확립하고 있다. 지방연구원도 지방자치단체의 발전과 함께 지방정부의 정책 고도화와 선진화에 큰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기술・사회의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지방연구원의 역량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중앙・지방정부로부터 공동 출연을 받아 매칭사업 형태로 연구사업을 수행하는 지방출자출연기관과도 다양한 형태의 협력 및 경쟁 관계를 형성해가고 있기 때문에 지방연구원의 환경변화에 따른 운영 및 관리방안 점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연구원의 운영현황과 제도를 재원구조, 내부지배구조, 성과관리체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과의 비교 및 정부출연연구소들의 관리체계 개편사례를 분석하여 지방연구원의 운영 및 관리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local research institutes, and suggest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example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were established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the nation"s overall knowledge capacity through public-led development of research and knowledge with the support of public sectors such a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have established a research governance system in the form of a research group through changes in the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divergence of technology and knowledge and the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of specialized fields. Local research institutes have also contributed greatly to the advancement and advancement of local government polici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s, but they are conducting research projects that receive joint contributions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form of matching projects with the rapid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and local governments. It will face various forms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 local funded organizations. As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council, local research institutes are in need of a check on their operation and management plan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operation status and system of local research institutes are divided into financial structure, internal governance structure,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the context of reorganization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ith experience in advanced management system reform is analyzed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local research institutes,

      • KCI등재

        지방공기업 책임과 권한의 변화에 관한 연구

        류숙원(Ryu Suk Won)(柳肅苑)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16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2 No.2

        In this paper, we analyzed related laws and evaluation indexes that manage and supervise the authority related to local public entities to ensure accountability.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local public entities are organ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central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we analyzed government policy compliance indicator which evaluate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policy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s statutes and guidelines, local government -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local public entities management evaluation index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hich are stakeholders surrounding the local public entities, are operating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systems related to the local public entities harmoniously through the system and regulations. The local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ocal public entities, and the local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the establishment and feedback of local public entiti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lated regulations, the central ministries and municipalities operate as a dual management system, which is providing a complementary measure to the concerns about the management of disturbing management such as the abuse of the local public entities and moral hazard, and the institutional weaknesses. In the case of the central ministry, the local public entities are managed and supervised by the feedback from the establishment-related regulations and evaluations. Among the indicators of compliance with public corporation policy , management-related indicators slightly increased, while indicators related to government policy compliance doubled, and even if the number of indicators increas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deduction indicators, an evaluation system that does not affect the total sc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local public entit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but also leave room for autonomous operation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and supervision system of local autonomous bodies and central ministries. 본 논문에서는 지방공기업의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방공기업 관련 업무를 관리·감독하는 관련 법령 및 경영평가지표 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방공기업의 자율성과 책임성은 중앙부처와 각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책임의 변화에 따라 유기적으로 조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중앙부처의 법령 및 지침, 지방자치단체의 지방공기업관련 법령체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지표 중 정부정책 이행 수준을 평가하는 ‘공기업정책준수’ 지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방공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인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제도와 규정을 통해 조화롭게 지방공기업과 관련된 관리·감독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공기업 설립 일부분과 운영은 지방자치단체가, 지방공기업의 설립 일부분과 피드백은 중앙부처가 담당하고 있다. 특히, 설립 관련된 규정의 경우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이중 관리체계로 작동하고 있어 지방공기업의 남설 및 도덕적 해이 등 방만경영에 대한 우려와 제도적 미비점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었다. 중앙부처의 경우 설립 관련 규정과 평가를 통한 피드백으로 지방공기업을 관리·감독하고 있고, 특히, 경영평가 지표의 ‘공기업정책준수’지표를 통해 국가 전체적인 국정방향에 대해 지방공기업이 준수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하고 있었다. ‘공기업정책준수’ 지표 가운데 방만경영 관련 지표는 소폭 증가한 반면, 정부정책준수 관련지표는 두 배 정도 늘어났고, 감점지표 도입으로 지표 수가 늘어나도 총점(100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향후 지방공기업의 성과향상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중앙부처의 체계화된 관리·감독체계를 통해 책임과 권한을 강조하되, 자율적 운영의 여지도 남겨둘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정책도구의 선택이 중소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류숙원,김상윤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0 No.1

        본 연구에서는 정부가 의도적으로 정책을 활용하여 개입하는 중소기업혁신정책을 대상으로 정부의 정책도구를 분류하고 정책도구별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정책도구란 정부가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직.간접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조직적, 정보적, 재정적, 그리고 강제적 메커니즘을 일컫는다. 중소기업은 정부의 정책으로부터 기업의 생존이 결정될 정도로 많은 영향을 받는다. 중소기업정책은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을 고취시키고,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하는 등 중소기업 혁신을 위해 중요한 수단이 된다. 또한 정책도구의 선택에 따라 자금, 인력, 정보 등 특정한 자원을 공급해줌으로써 기업혁신과 성과창출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의 결과, 경제적 유인도구 중 기술개발조세감면, 정보제공 도구 중 기술정보제공과 정부연구개발 사업참여는 중소기업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정보제공 도구 중 기술지원의 경우는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에 의한 강제적인 도구보다는 중소기업의 자생적 노력 지원하는 도구에 대한 혁신 영향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공공기관 인권경영 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지방공기업 조직구성원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류숙원,김태형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2

        In Korean society, human rights were regarded as limited to special targets or fields, but whe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was established in 2001, awareness of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has increased. Then, in 2013, due to the “Namyang Dairy Incident”, the law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human rights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began to be reorganized. In line with this, various measures to eradicate the values of human rights protection and preservation, such as the revis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the “human rights management guideline and checklist,” and the “measures to eradicate goads,” were made to take root within the organization. Taking advantage of this, related regulations are introduced as an evaluation index for each public institution to induce human rights management within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to be activated. What kind of cognitive changes were made to the members of the public institution's internal organization by the improvement measures prepared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way, and fundamentally, it was analyzed whether the introduction of human rights management was effective.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d the perceptions of 303 institutional members of three local public corporations, and examined whether changes in the human rights management perception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had an effect on human rights manag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ork performanc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s a factor affecting the effect of human rights management.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the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asks such as human rights management education or work level, when operating an institution or conducting busi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 of human rights management only when the implementation system and implementation are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human rights manage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s of major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and stakeholders surrounding local public enterprises have an effect on the effect of human rights managemen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interest of department heads and institution heads in human rights management is an influencing factor that improves the effect of human rights management, and the results of analysis have been shown to recognize that the interest of public institution managers must be accompanied. 한국사회에서 인권은 특수 대상이나 분야에 한정된 것과 같이 여겨지다가 2001년 국가인권위원회가 설립되면서 인권의 보편성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졌다. 그러다 2013년 ‘남양유업 갑질 사태’로 공공부문 인권경영에 대한 법과 제도체계가 개편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발맞춘 「근로기준법」 개정과 ‘인권경영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 ‘갑질 근절방안’ 마련 등 인권보호와 존업의 가치가 조직 내 뿌리 내리기 위한 다양한 근절대책마련이 이루어졌다. 이에 편승하여 관련 규정을 각 공공기관 평가지표로 도입하여 공공기관의 조직체계 내 인권경영이 활성화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처럼 법제도적으로 마련된 개선대책이 공공기관 조직 내부 구성원들에게는 어떠한 인식적 변화를 이루어냈으며 근본적으로 인권경영이 도입이 효과적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공기업 세 개 기관의 303명 기관구성원들의 인식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조직구성원의 인권경영인식변화가 조직 내 인권경영 효과에도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회귀분석결과에서 인권경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업무수행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기관운영이나 업무추진시, 인권경영 교육이나 업무수준 등 업무수행과정에서 조직의 방향성이 인권경영에 목적을 두고 추진체계와 실행이 이루어져야 인권경영 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낼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방공기업을 둘러싼 내외부 주요 고객이나 이해관계자의 관심이 인권경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권경영에 부서장이나 기관장들의 관심정도가 인권경영 효과를 개선하는 영향요인으로 분석결과가 도출되어 공공기관 관리자들의 관심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사실상 다양한 제도적 도입 이후에도 조직 내부 구성원의 인권경영 의식수준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인권경영을 통한 성과변화수준 개선이나 조직문화의 변화를 위해서는 결국 조직구성원의 인식과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지방출자출연기관의 기관장 성과평가제도 분석: 지방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류숙원,박민정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23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9 No.1

        About 300 institutions were expanded after the local public corporation law was divided into local investment-funded institutions, and major institutions were subject to restructuring starting in 2022 when the 8th public election began. However,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had an agency ceo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local governments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agency ceos every year to secure the responsibility of agencies and agency CEO and maintain a system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the ceos of local investment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case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and looked at the level of institutional management of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by local investment institutions. As for the analysis target, the ‘Evaluation Manual of Local Invested Institutions’ and ‘Performance Evaluation by ceos of Local Invested Institutions’ of each of the three local governments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ver 70% of the agency evaluation was reflected in the agency ceo's evaluation, indicating that the agency ceo and agency's responsibility were linked. case was excluded.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contribution of local governments,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governance in the future financial structure of local investment institutions acted as the range of performance evaluation for institution ceos in a complex way. In terms of performance management, except for local governments that are 100% linked to institutional evaluations, autonomous goals (project goals) were set to evaluate projects for their own tasks. The evaluation results were based on performance pay, personnel measures, institutional business reorganization, and contribution adjustment criteria, and a strong feedback mechanism was established to link with responsibility. Legally, there is a means of management diagnosis, but in the case of local investment institutions, management diagnosis is not used enough, so it is analyzed that they are taking feedback measures to link institutional responsibil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지방출자출연기관은 2014년 지방공기업법」에서 분법된 이후 약 300여개 기관이 확장되면서 민선8기가 시작된 2022년을 기점으로 주요 기관은 구조개편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광역지방자치단체는 기관장성과평가제도를 두고 지방자치단체에서 매년 기관장의 성과를 평가하여 기관과 기관장의 책임성을 확보하고 성과관리하는 체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역지방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출자출연기관의 기관장 성과평가 제도를 분석하고 지방출자출연기관이 책임성과 성과관리를 제도적으로 어느 수준까지 관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광역시와 도 각각 3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출자출연기관 평가편람’과 ‘지방출자출연기관 기관장 성과평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과관리 차원에서는 기관평가와 100%연동하는 지자체 외에는 자율목표(사업목표)를 두어 기관의 고유업무에 대한 사업을 평가하도록 되어 있었다. 평가결과는 성과급, 인사조치, 기관의 사업개편, 출연금 조정 기준 등으로 두고 책임성과 연계하도록 강력한 피드백 장치를 두고 있었다. 법적으로 경영진단이라는 수단은 있으나 지방출자출연기관의 경우 경영진단의 활용이 미진하여 기관의 책임성과 성과관리를 연계하기 위한 피드백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글로벌 혁신플랫폼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영국 Tech City와 프랑스 Station F를 중심으로

        류숙원,김상윤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1 국제경영리뷰 Vol.25 No.2

        본 연구는 각국에서 주도하는 혁신플랫폼들의 성공요인을 혁신생태계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혁신생태계 이론에서는 이전의 선형적 혁신성과 도출모형에서 나아가 혁신이 네트워크와 인적ㆍ물적 자본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하나의 생명체와 같이 살아움직이 는 생태계를 생성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을 연계시키기 위해 전통적으로 국가주도의 혁신생태계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전통적으로는 기술개발자원을 지원하거나 단일 연구소 기술을 설립, 인력을 양성, 스타트업 지원 등으로 각국의 정책이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민관의 유기적인 협력과 연구와 기술이 생산으로 연계되는 연구ㆍ기 술ㆍ생산의 유기적 네트워크와 풀의 구성, 규제개혁을 위한 정부의 지원, 교육의 연계 등이 경쟁력 거점을 이루는 혁신생태계 조성의 성공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같은 혁신생태계 이론이 실제로 글로벌 혁신플랫폼을 거점으로 영국와 프랑스의 성공사례를 살펴보아도 대부분 이론에서 언급된 성공적 요인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에서는 네트워크-인적자본-물적자본이 각 사례에서 유기 적으로 조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민간 산업계, 정부, 그리고 교육(대학, 민관 연구소 등)이 종합적으로 연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서도 서울테헤란밸리, 대덕밸리, 판교밸리 등 특정지역의 지역혁신체계의 구축중요성이 재차 확인된 바 있으나, 글로 벌 혁신플랫폼의 성공요인을 통해 각 산업단지들과 혁신밸리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혁신시너지를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 글로벌 혁신플랫폼 성공요인을 혁신생태계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는 국내 혁신플랫폼 조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of innovation platforms led by each country based on the innovation ecosystem theory. In the innovation ecosystem theory, beyond the previous linear innovation performance derivation model, it is considered that innovation creates an ecosystem that moves like a living organism by organically connecting networks and human and physical capital. In order to connect them, there has traditionally been a movement to promote a state-led innovation ecosystem. Traditionally, each country's policies have been fragmented by supporting technology development resources, establishing a single research center, nurturing manpower, and supporting startups. However,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romote innovation, organic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organic networks and pools of research, technology, and production in which research and technology are connected to production, government support for regulatory reform, and linkage of education are the key points of competitiveness. It is regarded as one of the success factors in creating an innovative ecosystem that achieves the future. In fact, even when looking at the success cases of the UK and France based on the global innovation platform, we analyzed whether the successful factors mentioned in most theories are organically interacting. In the research model,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human capital-physical capital was organically combined in each case, and it was found that the private industry, the government, and education (university, public-private research institutes, etc.) are comprehensively linked. In Korea,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certain regions, such as Seoul Teheran Valley, Daedeok Valley, and Pangyo Valley, has been confirmed again, but through the success factors of the global innovation platform, each industrial complex and innovation valley are organically linked to create innovation synergy. Need to be creat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global innovation platform based on the innovation ecosystem theory are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domestic innovation plat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